KR101883773B1 -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773B1
KR101883773B1 KR1020160004059A KR20160004059A KR101883773B1 KR 101883773 B1 KR101883773 B1 KR 101883773B1 KR 1020160004059 A KR1020160004059 A KR 1020160004059A KR 20160004059 A KR20160004059 A KR 20160004059A KR 101883773 B1 KR101883773 B1 KR 10188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pressure
fut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793A (ko
Inventor
백우진
최희정
김소진
신한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7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7Weigh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덮는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의 개방상태 및 환자의 상/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여 침대 위에서의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서 환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하여 환자가 침대로부터 낙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은 일 측 가장자리가 침대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의 타 측 가장자리 중 환자 가슴이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 상기 일 측 가장자리가 침대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의 타 측 가장자리 중 환자 허리가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 상기 침대 커버의, 환자 상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상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상반신 압력 감지부; 상기 침대 커버의, 환자 하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하반신 압력 감지부;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 및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ATIENT FROM FALLING FROM BED}
본 발명은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덮는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의 개방상태 및 환자의 상/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여 침대 위에서의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서 환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하여 환자가 침대로부터 낙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병원이나 요양원에 설치된 침대에서 낙상하게 될 확률이 높은데, 이는 주로 취침 중 화장실을 가고 싶어 하는 이유로 갑자기 기상하는 경우 본인이 침대에 누워있음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환자 낙상을 방지 또는 보호용 침대는, 예컨대 국내 특허 등록 제1250423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 및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침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환자의 접촉시 일정한 저항력을 갖고 회동 되면서 낙상 충격을 완화시키고, 환자의 낙상으로 인한 접촉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낙상을 감지하는 완충 낙상 감지레버; 및 감지레버가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레버가 스위칭 온(on) 되어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작동되어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환자 낙상을 방지 또는 보호용 침대는 환자의 낙상이 발생한 후에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낙상에 대한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만약, 머리부터 지면을 향해 떨어질 경우 목뼈가 손상될 수 있으며, 더욱이 노후화로 인해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침대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병원관계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리 환자의 상태를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침대 낙상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은 일 측 가장자리가 침대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의 타 측 가장자리 중 환자 가슴이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 상기 일 측 가장자리가 침대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의 타 측 가장자리 중 환자 허리가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 상기 침대 커버의, 환자 상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상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상반신 압력 감지부; 상기 침대 커버의, 환자 하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하반신 압력 감지부;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 및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어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다는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는 각각 전도성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는 각각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서버 컴퓨터 및 이동단말기에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음이 표시됨과 아울러, 알람부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숙면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수면중 뒤척임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의 상부를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을 걷고 누워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1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을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제어부가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를 통해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고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를 통해 환자 상/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여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여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가 침대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병원관계자가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리 환자의 상태를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게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의 제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의 제품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10),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 하반신 압력 감지부(130), 제어부(200), 서버 컴퓨터(300) 및 알람부(310)를 포함한다.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는 일 측 가장자리(Us)가 침대 커버(D)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U)의 타 측 가장자리(Ut) 중 환자 가슴이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D)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U)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는 예컨대 상, 하 결합형의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되어 전도성 벨크로가 결합되었을 때는 전류가 흐르는 한편, 전도성 벨크로가 분리되었을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전도성 벨크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회로부는 생략되어 있다.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10)는 일 측 가장자리(Us)가 침대 커버(D)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U)의 타 측 가장자리(Ut) 중 환자 허리가 접촉하는 높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D)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U)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10)는 예컨대 상, 하 결합형의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되어 전도성 벨크로가 결합되었을 때는 전류가 흐르는 한편, 전도성 벨크로가 분리되었을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전도성 벨크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회로부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110)는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두 결합되어 있으면 환자의 거동을 어느 정도 통제하여 환자 낙상 방지 효과도 가진다.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는 침대 커버(D)의, 환자 상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상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는 예컨대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어 환자 상반신이 침대 커버(D)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회로부는 생략되어 있다.
하반신 압력 감지부(130)는 침대 커버(D)의, 환자 하반신이 접촉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반신 압력 감지부(130)는 예컨대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어 환자 하반신이 침대 커버(D)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회로부는 생략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110) 및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120, 130)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라즈베파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110),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120, 130) 및 서버컴퓨터(300)와 유, 무선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부(200)의 USB 단자에 삽입되어 블루투스, 적외선 장치와 연결해주는 외장형 주변장치인 USB Dongle이 사용될 수 있다.
알람부(310)는 제어부(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어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다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개방 감지부(100, 110),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120, 130), 제어부(200) 및 알람부(310)는 침대(B) 하나에 모두 설치된다.
서버 컴퓨터(300)는 제어부(200) 및 이동 단말기(M)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M)에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 컴퓨터(300)는 복수의 침대(B) 각각에 설치된 제어부(200)와 유, 무선 통신가능하므로, 복수의 침대(B) 각각에 있는 환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M)에 의해 환자 또는 침대별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M)는 병원 관계자(예컨대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 의해 소유되며 서버 컴퓨터(300)를 통해 침대(B)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인지하여 조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침대 낙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서버컴퓨터(300)에 의해 제공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통해 환자 또는 침대별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M)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넷북, 테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부(200)는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를 통해 이불(U)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상기 스텝(S1)에서 이불(U)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YES), 제어부(200)는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10)를 통해 이불(U)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
상기 스텝(S2)에서 이불(U)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YES), 제어부(200)는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를 통해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상기 스텝(S3)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NO), 제어부(200)는 하반신 압력 감지부(130)를 통해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스텝(S4)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NO),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단말기(M)에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다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알람부(310)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5).
한편, 상기 스텝(S1)에서 이불(U)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NO),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 단말기(M)에 환자가 숙면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스텝(S2)에서 이불(U)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NO), 제어부(200)는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를 통해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
상기 스텝(S7)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YES),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 단말기(M)에 환자가 수면중 뒤척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8).
반면에, 상기 스텝(S7)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N0),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 단말기(M)에 환자가 이불(U)의 상부를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9).
한편, 상기 스텝(S3)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YES),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 단말기(M)에 환자가 이불(U)을 걷고 누워 있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0).
한편, 상기 스텝(S4)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면(YES), 제어부(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버 컴퓨터(300) 및 이동 단말기(M)에 환자가 이불(U)을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제어부가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를 통해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고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를 통해 환자 상/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여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송신하여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가 침대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병원관계자가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리 환자의 상태를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U: 이불
Us: 이불의 일 측 가장자리
Ut: 이불의 타 측 가장자리
B: 침대
D: 침대커버
M: 이동 단말기
100: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
110: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
120: 상반신 압력 감지부
130: 하반신 압력 감지부
200: 제어부
300: 서버 컴퓨터
310: 알람부

Claims (9)

  1. 일 측 가장자리(Us)가 침대 커버(D)와 연결되어 있는 이불(U)의 타 측 가장자리(Ut) 중 이불의 상단부로부터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침대 커버 부분에 장착되어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상, 하 결합형의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되는,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상기 이불의 가슴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이불 및 침대 커버의 위치에 장착되어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상, 하 결합형의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되는, 이불의 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10);
    상기 침대 커버(D)의 상단부로부터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상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
    상기 침대 커버(D)의, 상기 상반신 압력 감지부(120)로부터 하방으로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부분에 장착되어 환자 하반신의 압력을 감지하는 하반신 압력 감지부(130);
    상기 이불의 가슴/허리 측 부분 개방 감지부(100, 110) 및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120, 130)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환자의 침대 상에서의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 및 이동 단말기(M)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서버 컴퓨터(300)를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어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다는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반신 압력 감지부는 각각 압력감지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기재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서버 컴퓨터 및 이동단말기에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였음이 표시됨과 아울러, 알람부에 의해 경보음이 발생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이불의 가슴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숙면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불의 허리 측 부분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수면중 뒤척임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의 상부를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환자의 상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을 걷고 누워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10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환자의 하반신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환자가 이불을 걷고 앉아 있는 상태에 있음이 표시되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방법.
KR1020160004059A 2016-01-13 2016-01-13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59A KR101883773B1 (ko) 2016-01-13 2016-01-13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059A KR101883773B1 (ko) 2016-01-13 2016-01-13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793A KR20170084793A (ko) 2017-07-21
KR101883773B1 true KR101883773B1 (ko) 2018-07-31

Family

ID=5946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059A KR101883773B1 (ko) 2016-01-13 2016-01-13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12B1 (ko) 2017-11-17 2019-10-01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낙상 사고 예방용 환자 교육 장치 및 방법
KR102046702B1 (ko) * 2018-02-06 2019-11-19 경상대학교병원 낙상방지 보호대
KR101935232B1 (ko)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92B1 (ko) 2012-04-20 2013-04-17 가온소프트(주) 침대 이탈 감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986A (ja) * 1984-03-31 1985-10-21 Toyama Chem Co Ltd 新規セファロスポリン類およ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92B1 (ko) 2012-04-20 2013-04-17 가온소프트(주) 침대 이탈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793A (ko)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788B2 (en)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patient torso angle
EP2680744B1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supports
KR101725624B1 (ko)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US77332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osition and movement of human beings
US201602280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JP2014504893A (ja) 圧力センサ組立体及び褥瘡の発症を回避する関連の方法
EP3170161B1 (en) A sensor arrangement for measuring moisture and the presence of a person on a base
KR101883773B1 (ko)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60616B1 (ko)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EP3466391B1 (en) Apparatus for adding hospital bed functionality to an at-home bed
US20120025990A1 (en) Bed exit alert silence with automatic re-enable
WO2014208246A1 (ja) 離床センサおよび離床検出方法
KR20170109934A (ko)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의 헬스케어 시스템
US11850041B2 (en) Bed exit monitoring
KR101790944B1 (ko) 원격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CN113192288A (zh) 一种踢被监测系统及具有其的儿童床
CN204133003U (zh) 一种网络智能枕垫
CN208607775U (zh) 滑倒侦测警示系统
JP4342298B2 (ja) 機器利用状況判定方法及び機器利用状況判定装置
CN207731454U (zh) 一种坠床报警系统
KR102169174B1 (ko) 모듈식 낙상 위험 감지 시스템
JP2022175555A (ja) 被介護者見守りシステム及び被介護者見守りプログラム
CN209899833U (zh) 智能病床
CN110248573B (zh) 具有警报装置的躺卧家具和用于操作躺卧家具的警报装置的方法
JP5384319B2 (ja) 行動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