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696B1 -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696B1
KR101883696B1 KR1020170158405A KR20170158405A KR101883696B1 KR 101883696 B1 KR101883696 B1 KR 101883696B1 KR 1020170158405 A KR1020170158405 A KR 1020170158405A KR 20170158405 A KR20170158405 A KR 20170158405A KR 101883696 B1 KR101883696 B1 KR 10188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catalyst
air
filter
purifying
unit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정
정윤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정화부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화부들로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화부들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들은 각각 재생 배관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정화 기능과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Air purification system by oxidation catalyst}
본 발명은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 등의 실내 작업장을 비롯한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산화촉매를 이용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그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매우 심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며, 대기오염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산업현장의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공기정화 기술이 채용된 단순한 공기정화기를 주로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그 대부분은 주 처리 대상이 먼지 및 저농도의 오염물질이어서, 악취나 유해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완벽한 처리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유가공업체, 하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과 같은 특수 사업장에서는 특히 악취와 함께 세균을 포함한 유해성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하게 오염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제거할 수 있을 뿐, 충분한 탈취 및 살균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히 필터에 의한 여과나 흡착제에 의한 흡착제거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그 흡착성능에도 한계가 있어 필터 등을 자주 청소하거나 교체해 주어야만 하므로, 불편함과 함께 유지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악취를 집중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습식세정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도 하나, 이는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처리약제의 사용에 따라 유지비용을 상승시키며, 폐수와 폐슬러지와 같은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제반 상황을 감안할 때, 현 시점에서는 고농도의 악취 및 유해성분을 함유하는 오염공기를 완전하게 무해화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그 경제적 운용도 가능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830호(2006.01.27.) 한국등록특허 제10-0604425호(2006.07.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농도의 악취 및 유해성분을 함유하는 오염공기에 대하여 우수한 정화성능을 제공하여 완전한 무해화 처리가 가능하고, 사용되는 필터에 대한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2차 오염물질의 발생 우려를 불식시킴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산업현장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되, 오염물질을 산화촉매 작용에 의해 완벽히 제거함은 물론 오염물질이 걸러진 필터를 재생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는 산화촉매 필터를 회전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재생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는, 복수의 정화부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정화부로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는 각각 재생 배관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정화 기능과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정화부는, 각각 입구단과 출구단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과 인접한 위치에 히터블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히터블 필터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복수의 단위 필터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산화촉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구단에는 흡기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단에는 배기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재생 배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재생 배관에는 서큘레이션 밸브와, 서큘레이션 팬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밸브는 차폐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밸브는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서큘레이션 팬이 가동하여 상기 정화부들 내의 공기가 정화 기능 시와는 역 방향으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촉매 필터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하부의 일부 단위 필터만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회전되는 제1 차폐판이 구비되고, 상기 출구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상부의 일부 단위 필터만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회전되는 제2 차폐판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차폐판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차폐판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블 필터는, 정화 기능의 수행 시 25-40℃로 승온되고, 재생 기능의 수행 시 250~300℃로 승온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정화부의 각 입구단 사이에는 유입되는 공기 중,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의하면, 고농도의 악취 및 유해성분을 함유하는 오염공기에 대하여 우수한 정화성능이 제공되어 완전한 무해화 처리가 가능하고, 사용되는 필터에 대한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2차 오염물질의 발생 우려가 불식됨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의하면, 각종 산업현장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되, 오염물질을 산화촉매 작용에 의해 완벽히 제거하게 됨은 물론 오염물질이 걸러진 필터의 재생으로 연속 사용이 가능하여 정화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 의하면, 산화촉매에 의해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는 산화촉매 필터가 회전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오염 물질의 정화 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재생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세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서, 정화부가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재생시키는 과정을 확대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서, 정화부가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재생시키는 과정을 확대 도시한 개략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세로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작동 순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서, 정화부가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재생시키는 과정을 확대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100)는, 양측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제1 정화부(200) 및 제2 정화부(300)와, 이 제1 정화부(200) 및 제2 정화부(300)를 감싸는 본체(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의 일측에는 공기 흡기구(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제1 정화부(200) 및/또는 제2 정화부(300)에 의해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기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공기 흡기구(120)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공기 배기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 영역에는 공기 흡기구(120)와 연통되는 유입 공간부(124)가 형성되고, 이 유입 공간부(124)의 선단에는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 내기 위한 프리 필터(122)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 공간부(124)의 상부 쪽으로는 나란하게 한 쌍의 정화부(200,300) 즉, 제1 정화부(200)와 제2 정화부(300)가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정화부(200)와 제2 정화부(300)의 상단은 대략 U형상의 배기 배관(410)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배기 배관(410)의 일측 즉, 중간부위에는 흡배기 팬(400)이 설치되고, 흡배기 팬(400)은 공기 배기구(130)와 토출 배관(420)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흡배기 팬(40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시키게 되면, 공기 흡기구(120)를 통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본체(110)의 유입 공간부(124)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입자가 큰 이물질 등은 프리 필터(122)에 의해 1차로 걸러진 후 유입 공간부(124)로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 공간부(124)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제1 정화부(200) 및/또는 제2 정화부(300)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배기 배관(410)과 토출 배관(420)을 거쳐 공기 배기구(130)를 통해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정화부(200) 또는 제2 정화부(300) 중, 어느 하나의 정화부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정화부는 필터들의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제1 정화부(200) 및 제2 정화부(300)의 구성과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는, 제1 흡기 밸브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입구단(210)과 제1 배기 밸브(206)에 의해 배기 배관(410)과 개폐가 가능한 출구단(260)을 갖춘 제1 케이스(202)와, 이 제1 케이스(202)의 하부 영역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히터블 필터(heatable filter)(220)와, 이 제1 히터블 필터(220)와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산화촉매 필터(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정화부(200)는 제1 케이스(202)의 입구단(210)과 출구단(260)에 걸쳐 연결되게 설치되며,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와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이 설치되는 제1 재생 배관(270)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화부(200)의 출구단(260) 측에는 제1 차압센서부가 설치되어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을 통과한 공기들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정화 가동 또는 재생 가동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정화부(300)도 제2 흡기 밸브(304)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입구단(310)과 제2 배기 밸브(306)에 의해 배기 배관(410)과 개폐가 가능한 출구단(360)을 갖춘 제2 케이스(302)와, 이 제2 케이스(302)의 하부 영역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히터블 필터(320)와, 이 제2 히터블 필터(320)와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산화촉매 필터(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정화부(300)도 제2 케이스(302)의 입구단(310)과 출구단(360)에 걸쳐 연결되게 설치되며, 제2 서큘레이션 밸브(372)와, 제2 서큘레이션 팬(374)이 설치되는 제2 재생 배관(370)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화부(300)의 출구단(360) 측에도 제2 차압센서부가 설치되어 제2 산화촉매 필터(330)들을 통과한 공기들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정화 가동 또는 재생 가동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작동 관계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정화부(200)의 제1 히터블 필터(220)와 제2 정화부(300)의 제2 히터블 필터(3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승온이 이루어지며, 정화 공정 중에는 통과되는 공기 중, 미세 먼지 등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재생 공정 중에는 통과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슬러지 등을 태워서 탄화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히터블 필터(220) 및 제2 히터블 필터(320)는, 정화 공정 중에는 대략 25~40℃ 범위로 승온이 이루어지고, 재생 공정 중에는 250~300℃(최고 1,000℃)까지 승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정화부(200)의 제1 산화촉매 필터(230)와 제2 정화부(300)의 제2 산화촉매 필터(330)는, 유입되는 공기 중 각종 VOC 가스, 유해 세균, 미세 먼지 등의 유해 물질을 촉매 반응에 의해 산화처리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공기와의 접촉 단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씩 종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산화촉매 필터(230,330)의 경우 기공율이 좋지 못한 관계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씩 종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게 되면, 통과되는 오염된 공기와의 접촉 단면적이 증가되어 정화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산화촉매 필터(230)와 제2 산화촉매 필터(330), 그리고 제1 히터블 필터(220)와 제2 히터블 필터(320)는 각각 제1 케이스(202) 및 제2 케이스(302)에 대하여 카트리지 방식으로 수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체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제1 산화촉매 필터(230)는 모두 4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산화촉매 필터(230)는 제1-1 산화촉매 필터(232), 제1-2 산화촉매 필터(234), 제1-3 산화촉매 필터(236) 및 제1-4 산화촉매 필터(238)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 히터블 필터(220)를 통과한 유입 공기가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을 고르게 통과하여 접촉 단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그 경로를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막음판(242,244,246,248,250)들에 의해 일부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1 산화촉매 필터(232)의 하단과 제1 케이스(202)는 제1-1 막음판(242)에 의해 차폐시키고, 제1-1 산화촉매 필터(232)와 제1-2 산화촉매 필터(234)의 상단은 제1-2 막음판(244)에 의해 차폐시키며, 제1-2 산화촉매 필터(234)와 제1-3 산화촉매 필터(236)의 하단은 제1-3 막음판(246)에 의해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3 산화촉매 필터(236)와 제1-4 산화촉매 필터(238)의 상단은 제1-4 막음판(248)에 의해 차폐시키고, 제1-4 산화촉매 필터(238)의 하단과 제1 케이스(202)는 제1-5 막음판(250)에 의해 차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화부(200)의 제1 케이스(202) 하부 측의 입구단(210)을 통해 유입되어 제1 히터블 필터(220)를 통과한 유입 공기는, 제1-1 산화촉매 필터(232)와 제1-2 산화촉매 필터(234)의 하단 사이 공간과, 제1-3 산화촉매 필터(236)와 제1-4 산화촉매 필터(238)의 하단 사이 공간을 통해 상승되면서 제1-1, 1-2, 1-3, 1-4 산화촉매 필터(232,234,236,238)들을 고르게 통과한 후, 제1-1 산화촉매 필터(232)와 제1 케이스(202) 사이 공간과, 제1-2 산화촉매 필터(234)와 제1-3 산화촉매 필터(236)의 사이 공간 및 제1-4 산화촉매 필터(238)와 제1 케이스(202) 사이 공간을 통해 출구단(260)으로 모인 후, 배기 배관(410) 및 토출 배관(420)을 거쳐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히터블 필터(220)를 통과한 유입 공기는 복수의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을 다단계에 걸쳐 교차하면서 통과하게 되는바, 그 접촉 단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정화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2 산화촉매 필터(330)도 모두 4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산화촉매 필터(330)는 제2-1 산화촉매 필터(332), 제2-2 산화촉매 필터(334), 제2-3 산화촉매 필터(336) 및 제2-4 산화촉매 필터(338)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2 히터블 필터(320)를 통과한 유입 공기가 제2 산화촉매 필터(330)들을 고르게 통과하여 접촉 단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그 경로를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2 막음판(342,344,346,348,350)들에 의해 일부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1 산화촉매 필터(332)의 하단과 제2 케이스(302)는 제2-1 막음판(342)에 의해 차폐시키고, 제2-1 산화촉매 필터(332)와 제2-2 산화촉매 필터(334)의 상단은 제2-2 막음판(344)에 의해 차폐시키며, 제2-2 산화촉매 필터(334)와 제2-3 산화촉매 필터(336)의 하단은 제2-3 막음판(346)에 의해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3 산화촉매 필터(336)와 제2-4 산화촉매 필터(338)의 상단은 제2-4 막음판(348)에 의해 차폐시키고, 제2-4 산화촉매 필터(338)의 하단과 제2 케이스(302)는 제2-5 막음판(350)에 의해 차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화부(300)의 제2 케이스(302) 하부 측의 입구단(310)을 통해 유입되어 제2 히터블 필터(320)를 통과한 유입 공기는, 제2-1 산화촉매 필터(332)와 제2-2 산화촉매 필터(334)의 하단 사이 공간과, 제2-3 산화촉매 필터(336)와 제2-4 산화촉매 필터(338)의 하단 사이 공간을 통해 상승되면서 제2-1, 2-2, 2-3, 2-4 산화촉매 필터(332,334,336,338)들을 고르게 통과한 후, 제2-1 산화촉매 필터(332)와 제2 케이스(302) 사이 공간과, 제2-2 산화촉매 필터(334)와 제2-3 산화촉매 필터(336)의 사이 공간 및 제2-4 산화촉매 필터(338)와 제2 케이스(302) 사이 공간을 통해 출구단(260)으로 모인 후, 배기 배관(410) 및 토출 배관(420)을 거쳐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히터블 필터(320)를 통과한 유입 공기는 복수의 제2 산화촉매 필터(330)들을 다단계에 걸쳐 교차하면서 통과하게 되는바, 그 접촉 단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정화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정화부(200)에 모두 4개의 제1 산화촉매 필터(230)가 배치되고, 제2 정화부(300)에도 모두 4개의 제2 산화촉매 필터(330)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전체 용량에 비례하여 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100)는, 정화부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정화부는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정화부는 재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정화부가 모두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복수의 정화부가 모두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정화부 중, 어느 하나의 정화부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정화부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 공기정화 처리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지속해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의 작동 관계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 및 제2 정화부(300)는 정화 기능과 함께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흡기 밸브(204)와 제1 배기 밸브(206)를 개방시키고, 제1 재생 배관(270) 상에 설치된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폐쇄시키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의 입구단(210)을 통해 유입된 유입 공기는 제1 히터블 필터(220)와 제1 산화촉매 필터(230)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출구단(260)과 배기 배관(410) 및 토출 배관(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흡기 밸브(204)와 제1 배기 밸브(206)는 폐쇄시키고, 제1 재생 배관(270) 상에 설치된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을 가동시키게 되면, 제1 정화부(200)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역방향 즉, 출구단(260)으로부터 입구단(210) 측으로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출구단(26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과 접촉되면서 제1 히터블 필터(220) 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에 집진된 미세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은 제1 히터블 필터(220)로 송풍되어 낙하가 이루어지게 되고, 제1 히터블 필터(220)로 낙하된 부유 물질은 제1 히터블 필터(220)의 고온(대략 250~300℃)에 의해 탄화되어 소멸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제2 정화부(300)의 재생 기능은 앞서 설명한 제1 정화부(200)의 재생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정화 처리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키게 되는 경우,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가동이 이루어지고, 제2 정화부(3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정화부(200)의 정화 기능 가동에 따라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는 폐쇄되고, 제1 흡기 밸브(204) 및 제1 배기 밸브(206)는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 히터블 필터(2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대략 25~40℃ 내외로 승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흡배기 팬(400)이 가동하게 됨에 따라 본체(110)의 공기 흡기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프리 필터(122)와 제1 정화부(200)의 제1 히터블 필터(220), 제1 산화촉매 필터(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배기 배관(410)과 토출 배관(420) 및 공기 배기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정화 공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정화부(300)는 제2 서큘레이션 밸브(372)와 제2 흡기 밸브(304) 및 제2 배기 밸브(306)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상부 즉, 출구단(260)에는 제1 차압센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제1 차압센서부는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을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차압센서부로부터 송신되는 압력 값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필터링 효율이 정상임을 판단하여 계속해서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차압센서부로부터 송신되는 압력 값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필터링 효율이 비정상임을 판단하여 제1 정화부(200)는 재생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 정화부(300)를 가동시켜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화부(3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제1 정화부(200)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제1 정화부(200)의 제1 히터블 필터(220)는 오프되고, 제1 흡기 밸브(204) 및 제1 배기 밸브(206)는 폐쇄됨과 동시에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는 개방됨과 아울러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이 가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밸브들의 개폐가 이루어지면, 제1 히터블 필터(220)는 다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온(on) 되어 승온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경우 즉, 재생 공정에서는 250~400℃ 내외로 승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정화부(200) 내의 공기는 정화 공정과는 반대인 역 방향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에 붙어 있던 미세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은 낙하되면서 제1 히터블 필터(220)에 의해 탄화되어 소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때, 제1 정화부(200)의 재생 시간은 대략 30분~500분 내외로 설정한 후,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폐쇄시키고,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의 가동을 중지시키며, 제1 히터블 필터(220)를 오프시킨 다음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정화부(300) 또한 제2 산화촉매 필터(330)의 필터링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제2 정화부(300)를 재생 공정을 전환시킴과 아울러 대기 상태인 제1 정화부(200)를 다시 정화 공정으로 전환시키면 되는데, 제2 정화부(300)의 재생 공정과 제1 정화부(200)의 정화 공정으로의 전환은 앞서 설명한 제1 정화부(200)의 재생 공정과 제2 정화부(300)의 정화 공정으로의 전환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에서, 정화부가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재생시키는 과정을 확대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100)는, 앞선 실시 예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와 비교할 때, 산화촉매 필터(230,330)의 구성만 상이할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산화촉매 필터(230,330)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정화부(200)의 제1 산화촉매 필터(230)와 제2 정화부(300)의 제2 산화촉매 필터(330)는 각각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내에서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산화촉매 필터(230)는 제1 정화부(200)의 제1 케이스 내부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벨트부(232)와, 이 제1 벨트부(232)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234)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스의 입구단(210) 측에 인접하되, 제1 히터블 필터(220)의 상부 쪽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단위 필터(234) 중,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입구단(210)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 제1 차폐판(236)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의 출구단(260) 측에도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단위 필터(234) 중,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출구단(260)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는 제2 차폐판(238)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1 차폐판(236)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234)들 중,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입구단(210)과 연통되도록 하고, 반대로 제2 차폐판(238)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출구단(260)과 연통되도록 한다.
반면에, 제1 정화부(200)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2 차폐판(238)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234)들 중,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출구단(260)과 연통되도록 하고, 반대로 제1 차폐판(236)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입구단(210)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산화촉매 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 처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흡기 밸브(204)와 제1 배기 밸브(206)를 개방시키고, 제1 재생 배관(270) 상에 설치된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폐쇄시키게 되면, 제1 정화부(200)의 입구단(210)을 통해 유입된 유입 공기는 제1 히터블 필터(220)와 제1 산화촉매 필터(230)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출구단(260)과 배기 배관(410) 및 토출 배관(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제1 차폐판(236)은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단위 필터(234)들 중, 하부 영역의 일부 단위 필터만 입구단(210)과 연통되도록 차폐시킨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입구단(2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하부 영역의 일부 단위 필터들을 통해 유입된 후, 나머지 단위 필터들을 다단계에 걸쳐 교차하면서 통과하게 됨으로써, 그 접촉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정화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산화촉매 필터(230)는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회전력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단위 필터(234)들을 더욱 많이 통과하게 되어 접촉 단면적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바,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화부(200)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흡기 밸브(204)와 제1 배기 밸브(206)는 폐쇄시키고, 제1 재생 배관(270) 상에 설치된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을 가동시키게 되면, 제1 정화부(200)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역방향 즉, 출구단(260)으로부터 입구단(210) 측으로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제2 차폐판(238)은 제1 산화촉매 필터(200)의 단위 필터(234)들 중, 상부 영역의 일부 단위 필터만 출구단(260)과 연통되도록 차폐시킨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출구단(260)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 공기는 상부 영역의 일부 단위 필터들만 통해 유입된 후, 나머지 단위 필터들을 다단계에 걸쳐 교차하면서 통과하게 됨으로써,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에 집진된 미세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은 제1 히터블 필터(220)로 송풍되어 낙하가 이루어지게 되고, 제1 히터블 필터(220)로 낙하된 부유 물질은 제1 히터블 필터(220)의 고온(대략 250~300℃)에 의해 탄화되어 소멸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제1 산화촉매 필터(230)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바, 복수의 단위 필터(234)들에 집진된 각종 부유 물질들은 고르게 박리되어 제1 히터블 필터(220) 쪽으로 낙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재생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정화부(300)의 재생 기능은 앞서 설명한 제1 정화부(200)의 재생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정화 처리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키게 되는 경우,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가동이 이루어지고, 제2 정화부(3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정화부(200)의 정화 기능 가동에 따라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는 폐쇄되고, 제1 흡기 밸브(204) 및 제1 배기 밸브(206)는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 히터블 필터(2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대략 25~40℃ 내외로 승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제1 차폐판(236)은 폐쇄되고, 제2 차폐판(238)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함께, 흡배기 팬(400)이 가동하게 됨에 따라 본체(110)의 공기 흡기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프리 필터(122)와 제1 정화부(200)의 제1 히터블 필터(220), 제1 산화촉매 필터(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배기 배관(410)과 토출 배관(420) 및 공기 배기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정화 공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정화부(300)는 제2 서큘레이션 밸브(372)와 제2 흡기 밸브(304) 및 제2 배기 밸브(306)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상부 즉, 출구단(260)에는 제1 차압센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제1 차압센서부는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을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차압센서부로부터 송신되는 압력 값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필터링 효율이 정상임을 판단하여 계속해서 제1 정화부(200)가 정화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차압센서부로부터 송신되는 압력 값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산화촉매 필터(230)의 필터링 효율이 비정상임을 판단하여 제1 정화부(200)는 재생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 정화부(300)를 가동시켜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화부(300)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제1 정화부(200)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제1 정화부(200)의 제1 히터블 필터(220)는 오프되고, 제1 흡기 밸브(204) 및 제1 배기 밸브(206)는 폐쇄됨과 동시에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는 개방됨과 아울러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이 가동되도록 한다.
이 때, 제1 차폐판(236)은 개방되고, 제2 차폐판(238)은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밸브들의 개폐가 이루어지면, 제1 히터블 필터(220)는 다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온(on) 되어 승온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경우 즉, 재생 공정에서는 250~400℃ 내외로 승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정화부(200) 내의 공기는 정화 공정과는 반대인 역 방향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제1 산화촉매 필터(230)들에 붙어 있던 미세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은 낙하되면서 제1 히터블 필터(220)에 의해 탄화되어 소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때, 제1 정화부(200)의 재생 시간은 대략 30분~500분 내외로 설정한 후, 제1 서큘레이션 밸브(272)를 폐쇄시키고, 제1 서큘레이션 팬(274)의 가동을 중지시키며, 제1 히터블 필터(220)를 오프시킨 다음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산화촉매 필터(230,330)들을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단위 필터(234,334)들이 회전됨으로써, 정화 효율 및 재생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100)에서는, 제1 정화부(200)와 제2 정화부(300)가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정화부는 둘 이상의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부는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나머지 정화부들은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
100 : 공기정화 처리장치 110 : 본체
120 : 공기 흡기구 122 : 프리 필터
124 : 유입 공간부 130 : 공기 배기구
200 : 제1 정화부 202 : 제1 케이스
204 : 제1 흡기 밸브 206 : 제1 배기 밸브
210 : 입구단 220 : 제1 히터블 필터
230 : 제1 산화촉매 필터 232 : 제1-1 산화촉매 필터
234 : 제1-2 산화촉매 필터 236 : 제1-3 산화촉매 필터
238 : 제1-4 산화촉매 필터 242 : 제1-1 막음판
244 : 제1-2 막음판 246 : 제1-3 막음판
248 : 제1-4 막음판 250 : 제1-5 막음판
260 : 출구단 270 : 제1 재생 배관
272 : 제1 서큘레이션 밸브 274 : 제1 서큘레이션 팬
300 : 제2 정화부 302 : 제2 케이스
304 : 제2 흡기 밸브 306 : 제2 배기 밸브
310 : 입구단 320 : 제2 히터블 필터
330 : 제2 산화촉매 필터 332 : 제2-1 산화촉매 필터
334 : 제2-2 산화촉매 필터 336 : 제2-3 산화촉매 필터
338 : 제2-4 산화촉매 필터 342 : 제2-1 막음판
344 : 제2-2 막음판 346 : 제2-3 막음판
348 : 제2-4 막음판 350 : 제2-5 막음판
360 : 출구단 370 : 제2 재생 배관
372 : 제2 서큘레이션 밸브 374 : 제2 서큘레이션 팬
400 : 배기 팬 410 : 배기 배관
420 : 토출 배관
<다른 실시 예>
230 : 제1 정화부 232 : 제1 벨트부
234 : 단위 필터 236 : 제1 차폐판
238 : 제2 차폐판
330 : 제2 정화부 332 : 제1 벨트부
334 : 단위 필터 336 : 제1 차폐판
338 : 제2 차폐판

Claims (9)

  1. 복수의 정화부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정화부로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구;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화부는 각각 재생 배관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정화 기능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각 입구단과 출구단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과 인접한 위치에 히터블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히터블 필터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복수의 단위 필터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산화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단에는 흡기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단에는 배기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은 상기 재생 배관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재생 배관에는 서큘레이션 밸브와, 서큘레이션 팬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밸브는 차폐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밸브는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서큘레이션 팬이 가동하여 상기 복수의 정화부 내의 공기가 정화 기능 시와는 역 방향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촉매 필터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하부의 일부 단위 필터만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회전되는 제1 차폐판이 구비되고,
    상기 출구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상부의 일부 단위 필터만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회전되는 제2 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차폐판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차폐판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화부가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차폐판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단위 필터들 중,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만 상기 출구단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차폐판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부 쪽에 위치하는 일부의 단위 필터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필터들이 상기 입구단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블 필터는,
    정화 기능의 수행 시 25-40℃로 승온되고,
    재생 기능의 수행 시 250~300℃로 승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정화부의 각 입구단 사이에는 유입되는 공기 중,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KR1020170158405A 2017-11-24 2017-11-24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KR10188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05A KR101883696B1 (ko) 2017-11-24 2017-11-24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05A KR101883696B1 (ko) 2017-11-24 2017-11-24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696B1 true KR101883696B1 (ko) 2018-07-31

Family

ID=6307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405A KR101883696B1 (ko) 2017-11-24 2017-11-24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92B1 (ko) * 2019-09-20 2019-12-19 김용이 자동차 도장 부스용 공기정화 처리장치
KR20210034890A (ko) * 2019-09-23 2021-03-31 정문성 공기정화 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64Y1 (ko) * 2004-01-15 2004-04-30 정의택 촉매산화식 필터재생장치
KR20050107323A (ko) * 2005-10-07 2005-11-11 포아센산업 주식회사 흡착농축 및 역기류식, 열풍식 탈착 촉매 산화장치
KR200407830Y1 (ko) 2005-10-31 2006-02-03 (주) 성림에스포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0604425B1 (ko) 2006-01-23 2006-07-25 운해이엔씨(주) 비방전식 산업용 공기정화 장치
KR20150104708A (ko) * 2014-03-06 2015-09-16 최영환 플라즈마 흡착 탈취기
KR20150146103A (ko) * 2014-06-20 2015-12-31 한대곤 공기정화 장치
KR20170060465A (ko) * 2015-11-24 2017-06-01 한대곤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64Y1 (ko) * 2004-01-15 2004-04-30 정의택 촉매산화식 필터재생장치
KR20050107323A (ko) * 2005-10-07 2005-11-11 포아센산업 주식회사 흡착농축 및 역기류식, 열풍식 탈착 촉매 산화장치
KR200407830Y1 (ko) 2005-10-31 2006-02-03 (주) 성림에스포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0604425B1 (ko) 2006-01-23 2006-07-25 운해이엔씨(주) 비방전식 산업용 공기정화 장치
KR20150104708A (ko) * 2014-03-06 2015-09-16 최영환 플라즈마 흡착 탈취기
KR20150146103A (ko) * 2014-06-20 2015-12-31 한대곤 공기정화 장치
KR20170060465A (ko) * 2015-11-24 2017-06-01 한대곤 공기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92B1 (ko) * 2019-09-20 2019-12-19 김용이 자동차 도장 부스용 공기정화 처리장치
KR20210034890A (ko) * 2019-09-23 2021-03-31 정문성 공기정화 처리장치
KR102363542B1 (ko) 2019-09-23 2022-02-24 주식회사 진우기술개발 공기정화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278B1 (ko)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CN108568213B (zh)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CN204880408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1883695B1 (ko)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KR20190020442A (ko) 자외선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정화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04848443A (zh) 一种再生型空气净化系统
KR102145364B1 (ko) 공기 청정기
KR101883696B1 (ko) 산화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처리장치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0807152B1 (ko) 오염된 공기의 정화 장치
KR102057492B1 (ko) 자동차 도장 부스용 공기정화 처리장치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101746711B1 (ko) 사이클론형 촉매 산화 장치를 이용한 VOCs 제거 시스템
CN220026520U (zh) 用于塑料生产加工工艺的有机废气净化系统
KR100550517B1 (ko) 활성탄섬유를 이용한 먼지 및 악취 동시 제거장치
CN2827513Y (zh) 微波辅助的复合式纳米光催化空气净化器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200031871A (ko)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의한 공기정화방법
CN210674789U (zh) 有机废气蜂窝沸石吸附浓缩催化净化装置
CN204543809U (zh) 专用空气净化器
KR102363542B1 (ko) 공기정화 처리장치
CN111706931A (zh) 一种地下阵地自再生空气净化系统及其处理方法
KR100494587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N110925926A (zh) 一种计算机机房空气净化系统
CN21854477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