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435B1 - 진동 감지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감지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435B1
KR101883435B1 KR1020180000082A KR20180000082A KR101883435B1 KR 101883435 B1 KR101883435 B1 KR 101883435B1 KR 1020180000082 A KR1020180000082 A KR 1020180000082A KR 20180000082 A KR20180000082 A KR 20180000082A KR 101883435 B1 KR101883435 B1 KR 10188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contact ring
contact
alarm devic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국
Original Assignee
백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국 filed Critical 백명국
Priority to KR102018000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5/00Measuring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발생 여부 내지는 주변 상황의 이상 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도체로 이루어진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를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면서 설정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전도체의 접촉링과, 상기 진동자와 접촉링의 접촉 상태에 의해 진동의 성질을 파악하여 경보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을 가동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 및 경보장치에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장치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자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링은 원판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자의 상부에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고정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의 고정길이에 따라 진동자와 접촉링의 이격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감지 경보장치{VIBRATION SENSINGGRADIATION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진 등 진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함으로서, 지진발생 여부 내지는 주변 상황의 이상 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감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대규모의 지진은 쓰나미의 유발과 후쿠시마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을 누출시킴으로써,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시킨 바 있다.
판경계에 위치하여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일본과는 달리 한반도는 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지진 발생 위험지역이 아니며, 발생되는 지진의 형상도 판 내부에서 국지적인 응력작용에 기인하는 것이어서 그리 큰 위험을 줄 만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의견이다. 그에 따라 건축물 등에 적용되는 내진 기준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 문헌에 따르면 한반도 내에서도 지진으로 인하여 1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근래에도 속리산 지진, 홍성 지진을 비롯하여 규모 5.0 이상의 큰 지진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2016년 9월 12일 경주시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8의 것으로 1978년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최대 규모의 것으로, 23명의 부상자와 함께 건축물의 지붕 및 담장이 붕괴되고 차량이 파손되었으며, 벽체의 균열 발생, 수도배관의 파열 등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야기시켰다.
또 가장 최근인 2017년 11월 15일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1978년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피해를 일으킨 것으로서, 수십명의 부상자와 함께 천여명이 넘는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지진의 피해는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으로부터 방송 또는 문자 등을 통해 그 정보를 통보받았다고 하더라도 대피 등을 통해 그 피해를 줄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 일반 사람들이 지진 발생을 즉시 인식하여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주택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지진 감지기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18929호의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지진 감지기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일정한 구배(g)를 가진 구멍(14)이 형성되고, 단부에 인접한 원주면을 따라서 제 1 도체(18)가 부착된 부도체의 받침원반(4); 상기 받침 원반(4)의 구멍에 삽입되는 금속구(12) ; 및 상기 받침 원반(4)의 단부와 밀착되며 하단부에 제 2도체(20)가 원주를 따라서 부착된 원통형 커버(2)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도체(18,20)에 전선(16)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선(16)은 경보발생 회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지진의 진동력에 의하여 금속구(12)가 구멍(14) 밖으로 이탈되면, 진동에 의하여 금속구(12)는 받침 원반(4)의 일단부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도체(18,20)에 걸쳐서 위치하여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전기적 접속은 경보발생 회로의 경보장치에 의해 경고음이 울려지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지진 감지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실용화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먼저, 금속구(12)가 일단 구멍(14) 밖으로 이탈되면, 제1, 2 도체가 접촉하게 되므로 지진 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경고음이 울리게 된다. 따라서 지진이 아닌 불측의 충격에 의해 지진 감지기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경고음이 울리게 되고, 이러한 오작동이 반복은 경고음에 대한 경각심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내진설계의 정도가 다른 바, 이에 따라 경보 대상의 진동 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하여 받침 원반(4)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4)의 구배(g)를 변경하여 금속구(12)의 이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거나 이탈이 보다 어렵게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이나, 이러한 구멍(14)의 구배(g)를 변경하는 것은 결국 원통형 커버(2) 자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18929 Y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보작동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감지하고자 하는 진동의 규모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품의 제작비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도체로 이루어진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를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면서 설정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전도체의 접촉링과, 상기 진동자와 접촉링의 접촉 상태에 의해 진동의 성질을 파악하여 경보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을 가동시키는 경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 및 경보장치에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장치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자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링은 원판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자의 상부에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고정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의 고정길이에 따라 진동자와 접촉링의 이격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촉링은 반원링 형상의 제1접촉링과 제2접촉링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접촉링과 제2접촉링은 상호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부도체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는 진동자가 제1, 2접촉링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나머지 하나에도 접촉되면 비로소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명령하게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하우징에 LED 표시장치를 구비시키고, 제어장치로 하여금 진동자가 제1, 2접촉링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LED 표시장치가 작동되도록 명령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진 등 자연재해에 의한 진동의 움직임과 진동 감지 경보장치의 설치 상태 불량에 따른 움직임을 구분함으로써 지진 등 감지하고자 하는 진동과 무관하게 발생되는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경보음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진동 감지 경보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그 장치의 효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누구나 손쉽게 경보음이 울리는 대상의 진동 규모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진 설계의 정도와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농장 또는 대지 경계선에 대한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에 의해 제작이 가능한 바, 일반 사람들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지진 감지가가 진동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의 일 구성인 진동자의 형상에 관한 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에서 감지하고자 하는 진동의 규모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상기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일 구성인 진동자(110)의 형상에 관한 각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는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에 표출시킴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진동 발생 즉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에 따라 전후좌우의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110)와, 진동자(110)와 접촉하여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링(130)과, 경보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장치(150) 등에 그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장치(140)와, 제어장치(140)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을 가동시키는 경보장치(150) 및, 이들에게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시키는 전원장치(1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경보수단은 경고음일 수도 있고 경고발광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자(110), 접촉링(130), 제어장치(140), 경보장치(150) 및, 전원장치(170)는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190)에 내장되어 건축물의 벽체, 펜스 등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9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판(191)과 중판(192) 및 하판(193)과, 이들을 둘러싸는 4개의 측판(194)으로 이루어진 육면체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상기 4개의 측판(194)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되는 도어 형식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의 각 장치 들에 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전동자는 예컨대 구리와 같이 전류의 흐름이 매우 양호한 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접촉링(130)과의 사이에서 전원장치(170)로부터 인가된 전류 흐름을 단속(斷續)함으로써 진동 발생의 여부 등에 관한 신호를 제어장치(140)로 보낸다.
이러한 전동자는 진동발생시 쉽게 흔들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진동자(110)를 현수시킬 수 있는 지지체(120)가 진동자(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120)는 하우징(190)의 상판(191)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진동자(110)와 지지체(120) 사이에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오작동 내지 미작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전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도체의 결합수단을 개입시키거나, 상기 지지체(120) 자체를 부도체의 재질로 구성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지지체(120)와 진동자(110) 사이에 고무링(122)을 개재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에서는 지지체(120) 자체를 합성수지 등의 부도체 재질로 구성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체(120)에 의해 현수되어 자유 자재로 흔들리는 진동자(110)는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흔들림이 정확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광상협(下廣上狹)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도 3의 (a)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접촉링(130)의 평면방향에 대하여 '-'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게 할 수도 있도, (b)에서와 같이 접촉링(130)의 평면방향에 대하여 십자형이 단면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진동의 각 방향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접촉링(130) 역시 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판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링(130)은 하우징(190)을 상하로 구획하는 중판(19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의해 하우징(190)의 상하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진동자(110)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진동자(110)의 전후좌우의 각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이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은 상호간에 감지하고자 하는 진동의 규모에 따라 설정되는 만큼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한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로 하여금 별도의 구성을 부가하거나 교체하지 않고서도 경보장치(150)가 작동하는 규모의 진동 크기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진동자(110)와 접촉링(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감지하고자 하는 진동의 규모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접촉링(130)의 내경은 일정한 반면, 진동자(110)는 하광상협으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진동자(110)를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진동자(110)와 접촉링(130) 사이의 이격 간격이 좁아져 작은 진동에도 이들 사이가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나, 진동자(11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면 진동자(110)와 접촉링(130) 사이의 이격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큰 진동에만 서로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자(1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감지되는 진동의 규모가 달라지는 바, 본 발명에서는 진동자(110)를 현수하고 있는 지지체(120)의 고정길이(상판(191)으로부터 진동자(110)를 고정시킨 길이를 말한다)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진동자(11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지지체(120)에 숫나사를 구비시키고, 상판(191)의 바깥쪽에서 나비너트(121) 등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체(120)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의 회전에 따라 진동자(110)를 현수시킨 고정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면서 진동자(110)는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전동 또는 유압수단에 의해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140)는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의 접촉 상태에 의해 진동의 성질을 파악한 후, 경보발생의 여부를 판단하고, 의미있는 진동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경보장치(150)에 대하여 경보수단이 가동되도록 명령한다.
즉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이 접촉하게 되면 전원장치(170)로부터 인가된 전류가 제어장치(140)로 통전되면, 제어장치(140)는 경보장치(150)로 하여금 경고음 또는 경보발광 등을 나타내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진동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는 초기상태가 진동자(110)와 접촉링(130) 사이가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셋팅되어 벽체 등에 움직임 없이 단단히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는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의 접촉을 통해 진동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어서, 장기 존치로 인한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 고정상태의 이완 내지는 외부의 예기치 않은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가 기울어져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이 접촉됨으로써 경보장치(150)가 작동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110)가 접촉하는 접촉링(130)을 반원링 형상의 제1접촉링(131)과 제2접촉링(132)으로 분할하여, 이들이 상호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부도체의 연결수단(13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의 상기한 구성은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건축물의 진동은 전후좌우의 대칭적으로 흔들리는 것으로, 건축물의 진동 없이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 자체만 기울어지는 경우와는 움직임 차체가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경보장치(150)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진동자(110)가 제1접촉링(131)가 제2접촉링(132)을 교대로 각 1회 이상 접촉된 경우에만 경보장치(150)가 작동되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장치(140)는 진동자(110)가 제1, 2접촉링(131,13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나머지 하나에도 접촉되면 비로소 경보장치(150)가 작동되도록 명령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된 시간 내라 함은 진동의 주기가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적 차이만큼을 설정한 것으로서,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진동 없이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가 불측의 외력에 의해 기울어 졌다가 그 무게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자(110)가 제1, 2접촉링(131,132)을 차례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는 경보장치(15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진동자(110)의 제1, 2접촉링(131,132)에 대한 접촉이 수회 이루어진 이후에 경보장치(150)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보장치(150)의 작동 조건인 진동자(110)와 각 접촉링(131,132)의 접촉횟수 설정, 제1, 2접촉링(131,132)과의 접촉 시간간격의 설정은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의 경보장치(150) 작동은 진동자(110)가 제1접촉링(131)과 제2접촉링(132)을 교대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이에 더하여 상기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가 잘못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이를 관리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90)에 LED 표시장치(160)를 구비시키고, 제어장치(140)는 진동자(110)가 제1, 2접촉링(131,132)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LED 표시장치(160)의 작동을 명령하게 한다.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가 불측의 외력에 의해 기울어 진 경우에는 그 기울어진 상태가 그대로 지속되거나,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나머지의 각 접촉링(131,132)에 접촉된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접촉 시간 차이는 지진에 의한 진동의 경우보다 매우 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어장치(140)는 제1, 2접촉링(131,132)에 대한 진동자(110)의 각 접촉시간을 산정한 후 그 접촉의 시간 차이와 설정된 시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진동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경보장치(150)와 LED 표시장치(16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신속한 대피를 하게 하거나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설치상태를 확인하게 한다.
전원장치(170)로는 상용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제어장치(140) 및 경보장치(150)에 단속없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있는 충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190)에는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이 용이하도록 전원단자(180)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전원단자(180)을 통해 상용전원과도 상시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140)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전기량이 상시 충분하도록 충전지에 의한 전류의 흐름상태를 감지하고, 부족시에는 상기 전원단자(180)를 통한 상용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제어함으로써 상용전원의 정전시에도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진동의 원인이 지진인 것을 대상으로 한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축물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농장의 펜스 또는 대지간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펜스 등에 설치되어 동물이나 외부인의 불법침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펜스 또는 대지경계선에 설치된 지주 상에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를 설치하되, 상기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가 시계추처럼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만을 펜스 또는 지주에 핀결합시키고, 하단에는 낚시줄과 같이 투명하여 인식이 쉽지 않고 잘 끊어지지 않는 줄을 팽팽하게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경우 동물이나 외부인이 불법 침입하면서 줄을 건들게 되면, 진동 감지 경보장치(100)의 하단이 회전하면서 진동자(110)로 하여금 접촉링(130)을 접촉하게 한다. 따라서 경보장치(150)는 경보음 등의 경보수단을 가동하게 되는 바, 관리인은 동물 등의 침입을 곧 바로 인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인 바,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진동 감지 경보장치 110; 진동자
120; 지지체 121; 나비너트
122; 고무링 130; 접촉링
131; 제1접촉링 132; 제2접촉링
133; (부도체의) 연결수단 140; 제어장치
150; 경보장치 160; LED표 시장치
170; 전원장치 180; 전원단자
190; 하우징 191; 상판
192; 중판 193; 하판
194; 측판

Claims (5)

  1.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도체로 이루어진 진동자(110)와, 상기 진동자(110)를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면서 설정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전도체의 접촉링(130)과, 상기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의 접촉 상태에 의해 진동의 성질을 파악하여 경보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140)와, 상기 제어장치(140)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을 가동시키는 경보장치(150)와, 상기 제어장치(140) 및 경보장치(150)에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장치(170)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19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자(110)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링(130)은 원판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자(110)의 상부에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고정길이가 조절되는 지지체(12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20)의 고정길이에 따라 진동자(110)와 접촉링(130)의 이격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접촉링(130)은 반원링 형상의 제1접촉링(131)과 제2접촉링(132)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접촉링(131)과 제2접촉링(132)은 상호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부도체의 연결수단(13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40)는 진동자(110)가 제1, 2접촉링(131,13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나머지 하나에도 접촉되면 비로소 경보장치(150)가 작동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90)에는 LED 표시장치(16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140)는 진동자(110)가 제1, 2접촉링(131,132) 중 어느 하나에만 접촉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LED 표시장치(160)가 작동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110)는 접촉링(130)의 평면방향에 대하여 십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감지 경보장치.
KR1020180000082A 2018-01-02 2018-01-02 진동 감지 경보장치 KR10188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82A KR101883435B1 (ko) 2018-01-02 2018-01-02 진동 감지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82A KR101883435B1 (ko) 2018-01-02 2018-01-02 진동 감지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435B1 true KR101883435B1 (ko) 2018-07-30

Family

ID=6304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82A KR101883435B1 (ko) 2018-01-02 2018-01-02 진동 감지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6283A (zh) * 2023-03-31 2023-07-04 毛红兵 一种煤矿矿山地质灾害预警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113B2 (ja) * 1991-02-27 2000-11-13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成形体
JP2006112925A (ja) 2004-10-14 2006-04-27 Kristina Aleksandrova 振動検出装置
KR101250642B1 (ko) 2012-02-24 2013-04-03 이준석 학습교구용 지진경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113B2 (ja) * 1991-02-27 2000-11-13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成形体
JP2006112925A (ja) 2004-10-14 2006-04-27 Kristina Aleksandrova 振動検出装置
KR101250642B1 (ko) 2012-02-24 2013-04-03 이준석 학습교구용 지진경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6283A (zh) * 2023-03-31 2023-07-04 毛红兵 一种煤矿矿山地质灾害预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386283B (zh) * 2023-03-31 2024-03-12 固安县清河机电配件有限公司 一种煤矿矿山地质灾害预警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4598B2 (en) Liquid leak detector and alarm system
JP3081846U (ja) 地震警報器
US6121888A (en) Earthquake detector
KR101883435B1 (ko) 진동 감지 경보장치
US5418523A (en) Earthquake motion detector alarm
CN101759102A (zh) 塔式起重机倾斜报警装置
KR20140030915A (ko) 지진감지장치
US4528559A (en) Seismic actuation system
CN101377549A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地震警示方法
US6953046B2 (en) Microprocessor-based gas meter
CN1026447C (zh) 检测位置变化的便携式装置
CN201762042U (zh) 塔式起重机倾斜报警装置
JP6505537B2 (ja) 傾斜検出装置
KR101938839B1 (ko) 지진 경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US5596183A (en) Seismically activated appliance switch
CN201796467U (zh) 地震提醒仪
WO2018029447A1 (en) Fire extinguish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0706457A (zh) 一种地震检测设备
JPH08327434A (ja) 水位検知装置
KR101741913B1 (ko) 이상 징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KR102539559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220604150U (zh) 边坡监测报警器
JP2006112925A (ja) 振動検出装置
CN209182523U (zh) 一种电动自行车通过检测装置
CN111429687B (zh) 社区安防智能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