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480B1 -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 Google Patents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480B1
KR101882480B1 KR1020160082364A KR20160082364A KR101882480B1 KR 101882480 B1 KR101882480 B1 KR 101882480B1 KR 1020160082364 A KR1020160082364 A KR 1020160082364A KR 20160082364 A KR20160082364 A KR 20160082364A KR 101882480 B1 KR101882480 B1 KR 10188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lipid
unit
serum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56A (ko
Inventor
마선영
Original Assignee
강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찬 filed Critical 강경찬
Priority to KR102016008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01N33/48792Data management, e.g. communication with processing uni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4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4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 C12Q1/5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involving transami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2Aminoacyltransferases (2.3.2)
    • C12Y203/02002Gamma-glutamyltransferase (2.3.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6/00Transferases transferring nitrogenous groups (2.6)
    • C12Y206/01Transaminases (2.6.1)
    • C12Y206/01001Aspartate transaminase (2.6.1.1), i.e. aspartate-aminotransfe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6/00Transferases transferring nitrogenous groups (2.6)
    • C12Y206/01Transaminases (2.6.1)
    • C12Y206/01002Alanine transaminase (2.6.1.2), i.e. alanine-aminotransfer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01N21/315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using two sources of radiation of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01N33/48721Investigating individual macromolecules, e.g. by translocation through nanop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ipids, e.g. cholesterol, lipoproteins, or their recep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xicology (AREA)
  • E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에 있어서,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일정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과 지질 검사시약(P)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에 주입하고, 주입된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분리된 혈청과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S)를 이용하여 결과를 검출하되, 간기능효소검사는 초속도측정으로 측정파장은 340[nm], 405[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지질검사는 종말점(END-POINT)으로 측정파장은 546[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하여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축된 검사시약(V, P)으로 인해 검사자의 많은 양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이 필요 없고 특정 측정파장으로 검사가 용이함에도 정확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서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검사방법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Apparatus for measuring liver enzyme and lipid}
본 발명은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분리된 혈청이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과 반응하여 검출된 결과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특정 측정파장으로 측정하되, 간기능효소 함유량 측정은 초속도측정(KINETIC TEST)으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지질 함유량 측정은 종말점(END-POINT)으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하여 검출결과를 검사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임상검사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환자로부터 얻기 위해 실시되는 수단 중 하나이다.
환자의 요, 혈액, 조직 등으로부터 유효한 정보를 얻는 검사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며, 임상검사실 검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들 검사를 위해서는 각각 특수한 기기들이 일정한 사용기술에 의해 사용되는데 그 기기나 방법에는 칭량, 분리, 혼합, 가역, 보온, 보냉, 살균 등의 장치와 화학반응 등을 이용하여 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그리고 관찰하거나 촬영하기 위한 장치가 검사기기로서 활용된다.
보통 병원에서 사용되는 생화학 자동분석기는 환자의 혈액을 따로 분리하여 혈청 및 혈장이 분석 대상이 되어 생화학 분석기술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계측장비로서, 생화학 시료 분석을 이용하여 간 기능 검사, 골 질환 검사, 혈당 검사, 지질 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극소량의 샘플을 가지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미량 분석은 물론 임상화학의 자동분석 시스템으로 비색계의 자동기록장치, 시료 시약의 자동채취 및 분주장치, 자동 감지장치, 정위치 제어장치 등 첨단 기술이 복합되어 있다.
이러한 고품질, 고용량, 고속의 완전 자동화된 장비에서부터 저가의 의원용 소형 장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혈액학 분석기가 시판되고 있다.
이들 장비들 대부분은 장비 상에서의 샘플 준비와 측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다수의 시약 및 세정제를 장비 내에 탑재하고 있다.
이들 혈액학 분석기가 고용량, 일괄적인 샘플분석, 자동화된 샘플 흡입 및 준비, 자동화된 세정 사이클과 같은 공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장비는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대용량의 시약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시약 재고관리 및 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유지 보수로 혈액을 분석하기 위한 용이한 측정장치가 필요로 하다.
이에,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862호의 "말초 혈액 검사기용 스트립 센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스트립 센서에 채혈침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스트립 센서의 일단부측을 본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채혈침으로 피부를 찌른 후, 피부에서 나오는 혈액을 스트립 센서에 묻혀 검사하는 스트립 센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1696호의 "혈액 검사기 및 그에 따른 혈액 검사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검사 대상체를 포함하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기 위한 로딩부, 응급 모드에 대응되는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딩부를 구동시켜 검사 대상체를 포함하는 검사 매체를 입력받고, 상기 검사 대상체의 분석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응급 모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검사 매체가 입력되면 상기 검사 대상체의 분석을 자동으로 시작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응급 상황에서 빠르고 용이하게 혈액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혈액 검사기 및 그에 따른 혈액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단순 채혈침이 스트립 센서에 일체로 형성되고 검사 시 채혈침을 이용하여 검사자의 피부에 상처를 내어 출혈된 혈액을 스트립 센서에 묻혀 혈당 및 혈액응고시간 또는 약물의 혈중농도 등을 검사하는 소규모의 검사기로 검사할 수 있는 항목이 제한적이며 채혈침 관리에 있어서 이를 통한 감염 또는 전염을 예방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방법이 필요하다.
선행기술 2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다양한 검사를 할 수 있으나 종래의 계측장비와 마찬가지로 검사자로부터 많은 양의 채혈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862호 (2011.02.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1696호 (2015.10.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검사자로부터 많은 양의 채혈과 고가의 측정장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농축된 검사시약으로 인해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만으로도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측정기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 시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사용되므로 관리자 및 검사자가 채혈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어 채혈 시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이용하더라도 농축된 검사시약으로 인해 객관적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검출결과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제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농축된 검사시약과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 인해 측정기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여 이동성 및 공간활용성이 우수하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있어서,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일정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과 지질 검사시약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에 주입하고, 주입된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분리된 혈청과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결과를 검출하되, 간기능효소검사는 초속도측정으로 측정파장은 340[nm], 405[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지질검사는 종말점(END-POINT)으로 측정파장은 546[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하여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는,
모세혈액 및 정맥혈 주입구와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외측에 위치하고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 입력과 검출과정안내 및 검출결과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내부에 위치하되,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시약모듈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돌출되는 시약모듈 삽입부;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을 재차 가압하여 상기 시약모듈 삽입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복원하였을 때 이를 확인하는 시약모듈 삽입확인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시약모듈(M)에 주입된 검사자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원심분리부;
상기 원심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을 반응시키되, 적정온도 37[℃]에서 반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가온하는 가온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송과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에 이송하여 반응시키도록 하는 세정암부;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의 반응결과를 분광광도계로 광학 측정하여 검사자의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검출하는 검출부;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와 상기 검출부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를 개인용 단말기에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시약모듈 삽입부, 시약모듈 삽입확인부, 원심분리부, 가온부, 세정암부, 검출부, 데이터저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며, 시약모듈(M)은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 측정 시 검사자로부터 많은 양의 채혈과 고가의 측정장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농축된 검사시약으로 인해 초미량의 혈청으로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 측정이 가능하여 검사가 용이하다.
또한, 초미량의 혈청을 필요로 하므로 관리자 및 검사자가 채혈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어 검사 시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초미량의 혈청을 이용하더라도 농축된 검사시약으로 인해 객관적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서, 초미량의 혈청과 간기능효소(AST, ALT, GGT) 및 지질(TCHO, TG, HDL-C, LDL-C) 함유량의 특정 검출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농축된 검사시약의 사용으로 측정기기의 부피가 작아져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여 이동성 및 공간활용성이 우수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측정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의 원료분량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지질 검사시약의 원료분량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검사시약의 성능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검사시약의 원료에 대한 용어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에 있어서,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일정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과 지질 검사시약(P)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에 주입하고, 주입된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분리된 혈청과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S)를 이용하여 결과를 검출하되, 간기능효소검사는 초속도측정으로 측정파장은 340[nm], 405[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지질검사는 종말점(END-POINT)으로 측정파장은 546[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하여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는,
모세혈액 및 정맥혈 주입구(I)와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외측에 위치하고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 입력과 검출과정안내 및 검출결과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내부에 위치하되,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가압하면 상기 시약모듈(M)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돌출되는 시약모듈 삽입부(300);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재차 가압하여 상기 시약모듈 삽입부(30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복원하였을 때 이를 확인하는 시약모듈 삽입확인부(4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고 시약모듈(M)에 주입된 검사자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원심분리부(500);
상기 원심분리부(500)에 의해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을 반응시키되, 적정온도 37[℃]에서 반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를 가온하는 가온부(6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송과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에 이송하여 반응시키도록 하는 세정암부(700);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의 반응결과를 분광광도계(S)로 광학 측정하여 검사자의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검출하는 검출부(800);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와 상기 검출부(800)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900);
상기 데이터저장부(900)의 데이터를 개인용 단말기(H)에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0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시약모듈 삽입부(300), 시약모듈 삽입확인부(400), 원심분리부(500), 가온부(600), 세정암부(700), 검출부(800), 데이터저장부(900) 및 통신부(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부(1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부(1200)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고(전원공급단계, S100),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를 입력(검사자 정보입력단계, S200)한 후,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가압하면 하우징(100)으로부터 시약모듈 삽입부(300)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시약모듈 삽입부(300)에 검사자로부터 채혈된 모세혈액 및 정맥혈이 주입된 시약모듈(M)을 시약모듈 삽입부(300)와 시약모듈(M)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시약모듈 삽입부(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시약모듈(M)에 형성된 홈부(M1)를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시약모듈 삽입단계, S300)한다.
시약모듈(M)이 삽입된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시약모듈 삽입부(300)는 인위적으로 일정시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넣거나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재차 가압하여 시약모듈 삽입부(3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시킨다.
이때, 시약모듈 삽입확인부(4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시약모듈 삽입부(300)에 시약모듈(M)이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확인(삽입 확인단계, S400)하고, 검출부(800)에 의해 검출(검출단계, S600)이 이루어진다.
만일, 시약모듈(M)이 올바르게 삽입되지 않았을 시에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재삽입 요청(삽입 요청단계, S500)한다.
상기 검출단계(S600)는 세정암부(700)가 시약모듈(M)에 주입된 검사자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을 원심분리부(500)로 이송시켜 원심분리부(500)를 통해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추출(혈청 추출단계, S610)하도록 보조하며, 또한 추출된 혈청을 시약모듈(M)에 농축된 간기능효소(AST, ALT, GGT) 검사시약(V) 및 지질(TCHO, TG, HDL-C, LDL-C) 검사시약(P)과 반응(검사시약 반응단계, S620)하도록 이송시킨다.
상기 검사시약 반응단계(S620)에서는 혈청과 농축된 검사시약(V, P)이 37[℃]의 적정온도에서 반응될 수 있도록 가온부(60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고 각각 반응된 결과를 분광광도계로 초속도측정(KINETIC TEST)으로 AST와 ALT는 340[nm]의 측정파장에서, GGT의 경우 405[nm]의 측정파장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TCHO, TG, HDL-C, LDL-C는 종말점(END-POINT)으로 546[nm]의 측정파장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분광광도계 측정단계, S630)한다.
이러한 검출단계(S6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관리자 및 검사자가 검출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검출과정안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혈청 추출단계(S610), 검사시약 반응단계(S620), 분광광도계 측정단계(S630)를 포함한 검출단계(S600)에서 검출된 검출결과를 출력(검출결과 출력단계, S700)할 수 있다.
검출된 검출결과는 관리자 및 검사자의 결정에 따라 데이터저장부(900)에 저장(데이터 저장단계, S900)되어 종료(종료단계, S1100)된다.
이때, 데이터저장부(900)에 저장된 검출결과는 통신부(1000)를 통해 관리자 및 검사자의 개인용 단말기(H)로 송신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 추가 구성되는 이동형 메모리부 포트(E)를 이용하여 이동형 메모리(U)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농축된 지질 검사시약의 원료분량을 표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검사시약의 성능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가 측정하는 간기능효소의 검사항목 및 측정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AST는 엘-아스파르트산과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의 아미노기 전이를 촉매하여 심근, 간, 뇌와 다른 조직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글루타민산과 옥살로아세테이트를 생성시키므로 간과 심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된다.
측정원리는 혈청 및 혈장이 시약모듈(M)에 농축된 기질효소액(R1, R2)과 반응하게 되면 AST의 촉매반응에 의해 글루타민산과 옥살로아세테이트가 생성되어 옥살로아세테이트는 말레이트 탈수소 효소에 의해 말레이트가 되고 동시에 NADH는 NAD로 산화된다.
따라서, NADH의 산화에 의해 340[nm]의 측정파장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을 측정하여 혈청 및 혈장 내 AST의 활성을 결정한다.
ALT는 L-알라닌과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의 아미노기 전이를 촉매하여 간, 신장과 다른 조직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글루타민산과 피루빈산을 생성시키므로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된다.
측정원리는 혈청 및 혈장이 시약모듈(M)에 농축된 기질효소액(R1, R2)과 반응하게 되면 ALT의 촉매반응에 의해 글루타민산과 피루빈산이 생성되어 피루빈산은 유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유산으로 바뀌고 NADH는 NAD로 산화된다.
따라서, NADH의 산화에 의해 340[nm]의 측정파장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 것을 측정하여 혈청 및 혈장 내 ALT의 활성을 결정한다.
GGT의 γ-GTP는 감마-글루타밀기의 활성으로 인해 감마-글루타밀 펩티드를 신장, 췌장, 간 또는 다른 조직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다른 펩티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효소이며 간이나 담즙관 질병 진단에 중요한 임상 생화학적 매개변수로 알콜 간질환과 그 치료 추이를 관찰하는데 중요한 매개변수로 간주된다.
측정원리는 혈청 및 혈장이 시약모듈(M)에 농축된 완충액(R1)과 기질시약(R2)과 반응하여 L-γ-글루타밀-3-카르복시-4-니트로아닐린 기질의 γ-글루타밀기가 γ-GTP의 작용에 의해 결과물로 L-γ-글루타밀-글리실글리신과 5-아미노-2-안식향산이 유리되며, 이 5-아미노-2-안식향산의 비율을 405[nm]의 측정파장에서 측정하여 혈청 및 혈장 내 γ-GTP의 활성도를 측정한다.
TCHO의 측정원리는 시약모듈(M)에 농축된 효소시약(R1)과 기질시약(R2)에 혈청 및 혈장이 첨가되었을 때 혈청 및 혈장 내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가수분해되어 콜레스테롤이되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CHE)에 의해 지방산이 생성되는데, 콜레스테롤은 혈청 및 혈장에 이미 생성되어 존재하고 CO(일산화탄소)에 의해 산화되어 과산화수소가 생성된다.
과산화수소는 4-아미노안티피린과 TOOS와 POD 효소에 의해 정량산화축합반응을 하며, 혈청 및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의 양은 546[nm]의 측정파장에서 흡광도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TG는 혈청 가운데 지질로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유리지방산 및 지용성 비타민, 카로틴 등의 미량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혈청 중 중성지방의 측정은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등의 진단에 중요한 검사이며, 측정원리는 혈청 중의 중성지방은 Lipoproteinlipase(LPL)의 작용에 의하여 Glycerol과 Fatty acid로 분해되는데 Glycerol에 Glycerolkinase(GK)와 ATP를 작용시키면 α-Glycerol-3-phosphate와 ADP로 된다.
이때, α-Glycerol-3-phosphate는 α-Glycerol-3-phosphate-oxidase(GPO)의 작용에 의해 H2O2를 생성하며 생성된 H2O2는 Peroxidase(POD)의 존재 하에 4-Aminoantipyrine(4-AAP)과 ADPS를 산화, 축합시켜 생성되는 Quinoneimine를 546[nm]의 측정파장에서 비색측정한다.
한편,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오랫동안 관상동맥성 심장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 들어 HDL-C 농도와 관상동맥성 심장병의 발병률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보고됨에 따라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가 관상동맥성 심장병 발병의 위험요소로서 이 질병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검사가 되고 있다.
HDL-C를 정량 검사하는데 선택적 화학 침전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 방법은 별도의 침전조작 과정이 있어서 큰 규모의 분석실에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량 검사하는 검사시약으로서 특이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침전조작이 필요 없으며, 각종 자동분석기에 적용할 수 있다.
측정원리는 직접 효소법의 검사시약으로서 특이적인 2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1단계에서 Chylomicron, VLDL, LDL의 콜레스테롤은 특이적 조건에서 CHE, COD, POD 효소에 의해 Cholestenone과 H2O2가 생성되고 이 H2O2는 catalase에 의해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2단계에서 남아있는 HDL-Cholesterol이 특이한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CHE, COD, POD 효소 반응으로 색소를 형성하며, 이 색소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HDL-Cholesterol의 농도를 546[nm]의 측정파장에서 측정한다.
LDL-C는 심장관상혈관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LDL-C의 혈중 농도와 심장관상혈관질환의 발병증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검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측정원리는 TG와 TCHO의 분석에 따라 계산식에서 LDL-C 값을 산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계산식은,
LDL-C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G / 5 이며, 단위는 [mg/dL]이다.
더하여서, 상기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과 지질 검사시약(P)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은 일회용으로 구성되어 검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인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의 구성요소 중 시약모듈 내에 농축된 검사시약의 원료에 대한 용어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초미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추출된 혈청이 농축된 간기능효소 및 지질 검사시약과 반응하여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검출하므로, 병원 및 보건소 등 다양한 검사기관에 적용하여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검사자에 대한 검출결과를 주기적으로 관리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의료사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100 : 하우징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시약모듈 삽입부 310 : 돌출부
400 : 시약모듈 삽입확인부 500 : 원심분리부
600 : 가온부 700 : 세정암부
800 : 검출부 900 : 데이터저장부
1000 : 통신부 1100 : 제어부
1200 : 전원부 B :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
E : 이동형 메모리부 포트 H : 개인용 단말기
I : 모세혈액 및 정맥혈 주입구 M : 시약모듈
M1 : 홈부 P : 농축된 지질 검사시약
S : 분광광도계 U : 이동형 메모리
V :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S100 : 전원공급단계 S200 : 검사자 정보입력단계
S300 : 시약모듈 삽입단계 S400 : 삽입 확인단계
S500 : 삽입 요청단계 S600 : 검출단계
S610 : 혈청 추출단계 S620 : 검사시약 반응단계
S630 : 분광광도계 측정단계 S700 : 검출결과 출력단계
S800 : 검출결과 저장단계 S900 : 데이터 저장단계
S1000 : 추가검출 단계 S1100 : 종료단계

Claims (3)

  1. 검사자로부터 채취된 일정량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과 지질 검사시약(P)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에 주입하고, 주입된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분리된 혈청과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S)를 이용하여 결과를 검출하되, 간기능효소검사는 초속도측정으로 측정파장은 340[nm], 405[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분당 기울기로 결과치를 산출하고, 지질검사는 종말점(END-POINT)으로 측정파장은 546[nm]에서 혈청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의 크기로 결과치를 산출하여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1)에 있어서,
    모세혈액 및 정맥혈 주입구(I)와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형식의 시약모듈(M);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외측에 위치하고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 입력과 검출과정안내 및 검출결과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내부에 위치하되,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가압하면 상기 시약모듈(M)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돌출되는 시약모듈 삽입부(300);
    시약모듈 삽입부 버튼(B)을 재차 가압하여 상기 시약모듈 삽입부(30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복원하였을 때 이를 확인하는 시약모듈 삽입확인부(4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고 시약모듈(M)에 주입된 검사자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원심분리부(500);
    상기 원심분리부(500)에 의해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을 반응시키되, 적정온도 37[℃]에서 반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를 가온하는 가온부(6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의 모세혈액 및 정맥혈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송과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에 이송하여 반응시키도록 하는 세정암부(700);
    모세혈액 및 정맥혈로부터 분리된 혈청과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V) 및 지질 검사시약(P)의 반응결과를 분광광도계(S)로 광학 측정하여 검사자의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검출하는 검출부(800);
    관리자 및 검사자의 정보와 상기 검출부(800)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900);
    상기 데이터저장부(900)의 데이터를 개인용 단말기(H)에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0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시약모듈 삽입부(300), 시약모듈 삽입확인부(400), 원심분리부(500), 가온부(600), 세정암부(700), 검출부(800), 데이터저장부(900) 및 통신부(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부(1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82364A 2016-06-30 2016-06-30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KR101882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64A KR101882480B1 (ko) 2016-06-30 2016-06-30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64A KR101882480B1 (ko) 2016-06-30 2016-06-30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6A KR20180003056A (ko) 2018-01-09
KR101882480B1 true KR101882480B1 (ko) 2018-07-27

Family

ID=610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364A KR101882480B1 (ko) 2016-06-30 2016-06-30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847B1 (ko) * 2020-01-09 2020-1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과농 분광학적으로 종말점을 결정하는 자동 적정기 및 이를 이용한 종말점 결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610B2 (ja) * 1993-01-22 2000-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偏波伝送システム
JP2004109099A (ja) * 2002-09-16 2004-04-08 Jun Kikuchi 血液分析方法、血液分析装置および血液分析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610U (ja) * 2006-01-27 2006-04-1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小型コレステロール測定装置
KR20110001862U (ko) 2009-08-18 2011-02-24 홍종수 말초 혈액 검사기용 스트립 센서
KR20150111696A (ko)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액 검사기 및 그에 따른 혈액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610B2 (ja) * 1993-01-22 2000-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偏波伝送システム
JP2004109099A (ja) * 2002-09-16 2004-04-08 Jun Kikuchi 血液分析方法、血液分析装置および血液分析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6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1241B (zh) 具有改善的可操作性的生物化学分析盒
Ashworth et al. HemoCue: evaluation of a portable photometric system for determining glucose in whole blood
CN102313815B (zh) 血浆葡萄糖测定方法
CN103276052B (zh) 一种尿素氮检测试剂
EP0451981A2 (en) Disposable reagent unit
CN103320498B (zh) 一种天冬氨酸氨基转移酶检测试剂
US9835613B2 (en) Rapid small volume detection of blood ammonia
CN103278469B (zh) 一种总蛋白检测试剂
CN103320497B (zh) 一种丙氨酸氨基转移酶检测试剂
Wiener Whole blood glucose: what are we actually measuring?
KR101882480B1 (ko)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을 측정하는 휴대용 측정기
KR101882485B1 (ko) 체내 간기능효소 및 지질 함유량 측정방법
Matteucci et al. Point-of-care testing in diabetes care
CN105572403A (zh) 一种适合全自动生化分析仪的血清总胆固醇检测试剂盒
CN108949902A (zh) 一种血清小而密低密度脂蛋白胆固醇检测试剂盒
Ervin et al. Issues and implications in the selection of blood glucose monitoring technologies
Chen et al. Technical and clinical evaluation of an electrochemistry glucose meter: experience in a diabetes center
JP3516069B2 (ja) グルコース濃度の測定方法
US11213228B2 (en) Stacked sensor assembly for fluid analyzer
US20030077205A1 (en) Diagnostic test optical fiber tips
JP2006524509A (ja) 血中フェニルアラニン濃度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医療装置
Gachoki Comparative analysis of random blood glucose levels in serum, plasma and whole blood using glucose oxidase and hexokinase methods under spectrophotometric and electrochemical techniques
KR20180040853A (ko) 농축된 간기능효소 검사시약 및 지질 검사시약의 동결건조방법
Nanji et al. Desktop analysers: quality of results obtained by medical office personnel.
CN113252653A (zh) 检测生理活性物质的方法以及检测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