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01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01B1
KR101882201B1 KR1020170111871A KR20170111871A KR101882201B1 KR 101882201 B1 KR101882201 B1 KR 101882201B1 KR 1020170111871 A KR1020170111871 A KR 1020170111871A KR 20170111871 A KR20170111871 A KR 20170111871A KR 101882201 B1 KR101882201 B1 KR 10188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parking
external devices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455A (ko
Inventor
강경현
강기동
노희진
윤석영
김성운
백빛나
김가희
허종혁
김치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0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within an open public zone, e.g. city cent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위의 주차 정보를 제공 받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 측면은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서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위의 주차 정보를 제공 받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주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백화점 또는 대형 주차장에는 층별 주차기능 대수를 알려주는 주차장 관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주차장의 규모가 큰 경우에 주차가능 대수 정보만을 가지고 주차 위치를 찾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전자는 주차 위치를 찾기 위해 목적지 주변을 직접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커넥티비티를 활용해 차량을 주차 가능 위치로 안내하는 시스템이 제안 된 바 있으며, 이밖에 다양한 방법이 연구 중에 있다.
일 측면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간(Device-to-Device, D2D) 통신 방식으로 주차 정보를 제공 받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서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정보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서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외부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미리 인증을 거친 외부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촬영부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차량 주위에 위치하는 주위 차량 및 CCT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서버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에 차량을 포함한 복수 대의 차량들이 접속할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차 정보는 복수 대의 차량들에 대해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비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차량의 크기를 고려해 차량이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및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부는, 차량 및 외부 디바이스의 GPS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한 주차 정보를 영상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외부 디바이스에 차량을 포함한 복수 대의 차량들이 접속할 경우, 서버를 통해 복수 대의 차량들에 대해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차량의 크기를 고려해 차량이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및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GPS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주차를 위해 목적지 주변을 돌아다니지 않고 주차 가능 공간을 확인 가능한 바, 사용자에게 안전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주차관리시스템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단일한 외부 디바이스 간의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통신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차량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주차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 간의 디바이스간 통신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버를 통해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2)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3, 4)과, 차륜(3, 4)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5)와,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6)와,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7, 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2)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차륜(3, 4)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3)과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4)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5)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3) 또는 후륜(4)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5)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6)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6)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이드 미러(7, 8)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7)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0)와, 기어 박스(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50)(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드(2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23)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시계(32), 오디오 장치(33) 및 AVN 장치(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1)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2)는 공조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오디오 장치(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34)는 AVN 장치(3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5)와,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42a, 4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50)는 실시 예에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전술한 차량 외에 자율 주행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율 주행 차량은 주행 시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주행 경로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며 자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주행하는 차량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100a)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100a)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100a)은 도 1에 도시한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기어박스(20), 스티어링 휠(40)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다른 자율 주행 차량(100a)은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신문을 보거나, 잠을 자거나 상관 없이 자율로 주행할 수 있다. 운전석의 시트(1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 좌석 시트(10b)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100a)에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100a)에는 다양한 센서 기술, 매핑 기술, 인식/판단 기술,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센서 기술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실시 예에 따라 다중비디오카메라, 전방감시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의 장비가 적용될 수 있다. 매핑 기술은 자차의 절대/상대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로, 매핑 기술을 적용해 거리, 출발지, 목적지, 기타 도로 상황 등을 점과 선의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인식/판단 기술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계획하고, 장애물 회피 경로를 계획하는 기술로, 전술한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융합시키고 이를 저장된 매핑 데이터와 비교하여 다른 차량, 교통제어장치, 보행자나 장애물 등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및 제어 기술로서 디바이스간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관련 부분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전술한 차량(100, 100a)들 중 도 1에 따른 차량(100)을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단일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거나,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에 복수 대의 차량(100) 들이 접속할 경우, 서버로부터 복수 대의 차량(100)들에 대해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단일한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간 통신은 디바이스간에 이루어진 통신으로써, 디바이스가 센서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디바이스간 통신은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지원 방식 중 하나로, 근접한 장치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탐색(discove)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장치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관련 데이터를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5G(5Generation)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5G 통신망은 디바이스간 통신이 지원되는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먼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차량(100)이 주행 중에도 외부 디바이스(200)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관련 부분에서 후술한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위 차량 또는 CC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부를 포함하는 각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200)는 미리 인증을 거친 것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가 차량인 경우, 획일적으로 주위 차량(200a)으로부터 주차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면 주위 차량(200a)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가 CCTV인 경우, 일률적으로 주위 CCTV(200b)로부터 주차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면 CCTV(200b)의 본래 목적인 특정인을 위한 영상 제공 측면이 무시될 수 있고,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인증을 거친 외부 디바이스(200)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으로 이하의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200)가 차량인 경우, 주위 차량으로부터 주차 정보를 제공 받는 것을 동의한 차량은 주위 차량에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데 동의한 것으로 보아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증을 거친 차량(200a)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가 CCTV인 경우, 주차 정보 제공에 사전 동의를 거친 CCTV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증을 거친 CCTV(200b)로 분류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인증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외부 디바이스(200)가 차량(200a)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아울러,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하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은 "주차 차량(100)"으로, 외부 디바이스(200)로서 주차 차량(100)에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200a)은 "주위 차량(2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주위 차량(200a)은 전방, 후방, 또는 측면에 촬영부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는 차량(100)의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차 차량(100)이 주위 차량(200a)에 주차 정보를 요청한 경우, 주위 차량(200a)은 촬영부를 통해 주위의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한 주차 정보를 주차 차량(100)에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주차 차량(100)은 주위 차량(200a)으로부터 주위의 주차 정보를 제공 받고, 이를 활용해 쉽게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는 주차 가능한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은 위치 검출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와, 입력부(130)와, 표시부(140)와, 저장부(150)와, 통신부(160)와, 촬영부(170)와,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외부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와, 촬영부(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차량(100)의 구성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구성 간 혼동을 피하기 위해 차량(100)의 통신부(160)와, 촬영부(170)와, 제어부(180)는 각각 제 1 통신부(160)와, 제 1 촬영부(170)와, 제 1 제어부(180)로 지칭하고, 외부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10)와, 촬영부(220)와, 제어부(230)는 제 2 통신부(210)와, 제 2 촬영부(220)와, 제 2 제어부(230)로 지칭한다.
먼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 검출부(1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주차 차량(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 및 입력 받아 주차 차량(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차 차량(100)의 위치와,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GPS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GPS 신호로부터 주차 차량(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GPS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GPS 모듈은 DGPS(Differential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차량(100)이 실외 주차장에서 주차 공간을 탐색하는 경우, 위치 검출부(110) 통해 주차 차량(100)의 위치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위치 검출부(110)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처리부(12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영상 처리하고 이를 제 1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된 주차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처리부(12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는 과정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 1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한 복수의 영상을 정합할 수 있으며, 정합된 영상을 제 1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주차 가능 공간을 제외한 다른 공간들을 모자이크 처리하고, 모자이크 처리된 영상 정보를 제 1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의 운전자, 번호판과 같이 외부 디바이스(200)의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정보만을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되거나 주차 차량(100)에서 수집한 주차 정보가 제 1 표시부(140)에 그대로 표시될 경우, 별도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여러 기능들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제 1 입력부(130)는 AVN 장치(34)의 입력부(135)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가압식 버튼 장치 또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주위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라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제 1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1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주위 외부 디바이스(200)를 탐색하기 위한 반경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제 1 표시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채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표시부(140)는 AVN 장치(34)의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표시부(140)는 제 1 입력부(13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제 1 입력부(13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 1 표시부(140)는 차량(100) 주위의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한 주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한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주차 정보는 주차 가능한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차 차량(100)의 크기를 고려한 주차 가능한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차량(100)의 제 1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주차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정보는 주차 가능한 공간을 특정한 마크(M1)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정보는, 주차 차량(100)의 위치와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위 차량(200a)의 위치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주위 차량(200a)의 위치 정보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정보는 주차 가능한 공간을 특정한 마크(M1)로 표시함과 동시에, 주차 가능한 공간 외의 공간은 모자이크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정보는, 주차 차량(100)의 위치와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위 차량(200a)의 위치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위 차량(200a)을 포함한 외부 디바이스들의 개인 정보와 관련된 부분, 예를 들어 운전자의 얼굴, 번호판 등의 정보 만 모자이크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정보는 주차 가능한 공간을 특정한 마크(M1)로 표시함과 동시에, 주차 차량(100)의 크기를 고려해 주차가 불가능한 주차 공간에는 주차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별도의 표지(M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영상 처리부(120)의 영상 처리 결과 주차 가능 공간의 크기가 주차 차량(100)의 크기보다 협소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표시부(140)에는 해당 주차 공간의 위치에 주차 할 수 없음을 알리는 별도의 표지(M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정보는 주차 차량(100)에 미리 저장된 네비게이션 지도 상에 주차 가능 공간(M1)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주차 가능 공간(M1)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네비게이션 지도 상에는 네비게이션 지도의 축적에 따라 주차 차량 주위의 모든 주차 가능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특정 주차 가능 공간을 선택할 경우는 해당 주차 가능 공간의 위치 정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는 현재 주차 차량(100)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주차 가능 공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표시부(14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한 주차 정보 외에, 주차 차량(100)에 장착된 제 1 촬영부(170)로부터 수집한 주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200)에서 수집된 주차 정보 또는 주차 차량(100) 자체에서 수집한 주차 정보를 이미지 형태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주차 정보의 형태는 수집된 정보가 이미지 정보인지 영상 정보인지에 따라 달라지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150)는 차량(100)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차량(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로부터 다운 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50)는 차량(1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디바이스(200)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200)들로부터 수집한 주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 되는 신호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메모리 카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카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16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 2 통신부(210)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140)는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기지국을 거쳐 차량(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와 주차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40)는 5G(5Generation)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4G 통신 방식은 2Gh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5G 통신방식은 약 28G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5G 통신방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G 통신방식에는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를 수십 개 이상 사용하여 초고대역 주파수까지 커버 가능하고 다중 접속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소자의 배열을 조정하여 특정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5G 통신 네트워크 망의 사용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전파를 전송하는 방향 외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전파를 최소화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품질 향상과 전력량의 감소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5G 통신의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단말 네트워킹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 네트워킹은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0)은 이러한 여러 방식들 중에서도 그룹 캐스트 방식으로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 캐스트 방식은 인증을 거친 외부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워킹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외부 디바이스(200)의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 방식은 직교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변조하는 기존 방법과는 달리, 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xing Access, NOMA) 방식을 통해 변조한 무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더 많은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대 용량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은 차량(100)에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200)들이 동시에 접속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200)들로부터 이들이 수집한 주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최고 1 Gbps의 전송속도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에 대용량 전송을 통해 UHD(Ultra-HD), 3D, 홀로그램 등과 같이 대용량 전송이 요구되는 몰입형 통신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00)에서 수집한 주차 정보가 초 고용량 데이터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제 1 통신부(160)는 비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은 제 1 통신부(160)에 비콘 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주위의 외부 디바이스(200)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외부 디바이스(200)들 또한 비콘 모듈을 장착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외부 디바이스(200)들에 포함된 비콘의 위치 정보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위치 정보는 제 1 제어부(180)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촬영부(170)는 주차 차량(100) 주위의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촬영부(170)는 주차 차량(100)에 마련된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차량(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차량(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주차 정보의 수집 명령이 입력되면, 위치 검출부(110)가 주차 차량(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200)에 주차 정보를 요청하도록 제 1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160)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주차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이러한 응답을 근거로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 2 촬영부(220)에서 수집한 주차 정보에 대한 영상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면 이를 영상 처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영상 처리하고 이를 제 1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할 경우 수집 된 복수 개의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80)는 영상 처리된 주차 정보가 제 1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영상 처리부(120)의 영상 처리 내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 외부 디바이스(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통신부(210)는 주차 차량(100)의 제 1 통신부(160)와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10)는 제 1 통신부(160)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 1 통신부(16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촬영부(220)는 외부 디바이스(200) 주위의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주차 정보는 제 2 제어부(230)로 출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가 차량인 경우 제 2 촬영부(220)는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가 CCTV인 경우 제 2 촬영부(220)는 CCTV에 내장된 카메라일 수 있다.
제 2 제어부(23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주차 차량(100)으로부터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30)는 제 2 촬영부(220)에서 수집한 주차 정보를 주차 차량(100)에 송신하도록 제 2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단일한 외부 디바이스(200) 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간 통신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 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주위에 마련된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과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은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고, 미리 인증을 거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도 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주차 차량(100)이 주차장 등의 공간에 진입하면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로부터 주차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주차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과 5G 통신 방식을 통해 주차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으며, 5G 통신 방식의 특성상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주차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의 촬영부를 통해 수집한 영상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의 비콘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주차 차량(100)이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로부터 복수의 영상 정보를 전달 받으면, 영상 정보들을 정합해 주차장 내의 주차 가능 공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차 차량(100)의 위치 검출부(110)에서 수집한 GPS 정보 또는 제 1 통신부(160)의 비콘 모듈에 의해 수집한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량(100)과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의 통신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멀티홉(multihop)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제 1 디바이스(200-1)와 연결되고,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200-4)와 연결될 경우, 차량(100)은 제 1 디바이스(200-1)를 매개로 제 2 디바이스(200-4)로부터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차량(100) 주위의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들 뿐 아니라 보다 멀리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200-4, 200-5)들로부터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과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 사이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이 서버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1)과 외부 디바이스(200-6)가 서버(300)를 통해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특정한 외부 디바이스(200-6)에 여러 대의 차량(100-1, 100-2)이 동시에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매우 짧은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주차 차량들(100-1, 100-2)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4)가 동시에 주차 정보를 요청한 각각의 주차 차량들(100-1, 100-2)에 대해 동일한 주차 가능 위치를 제공할 경우, 주차 차량들(100-1, 100-2) 중 하나는 다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100-1)과 외부 디바이스(200-6)의 디바이스간 통신 외에 서버(300)가 개입될 수 있다. 서버(300)는 외부 디바이스(200-6)에 동시 접속중인 복수의 주차 차량들(100-1, 100-2)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4)에 두 대의 주차 차량(100-1, 100-2)이 접속하며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6)는 해당 외부 디바이스(200-6)에 대한 접속 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공 받은 접속 정보로부터 두 대의 주차 차량들(100-1, 100-2) 중 먼저 접속된 차량에 우선적으로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두 대의 주차 차량 (100-1, 100-2)이 동시에 외부 디바이스(200-4)에 접속한 경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 차량에 우선적으로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차량(100)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방법은,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차량(100) 및 차량(100) 주위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 주위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200) 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차 차량(100)의 위치와 주차 차량(100)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GPS 신호를 생성하고, GPS 신호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가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외부 디바이스(200)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외부 디바이스(200)는 주차 차량(100)의 요청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를 주차 차량(100)에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주차 차량(100)에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 2 통신부(210)에 마련된 비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차량(100) 주위에 복수 대의 외부 디바이스(200)가 존재하는 경우 주차 차량(200)은 복수 대의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멀티홉 방식으로 보다 멀리 있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영상 정보가 수집되면 수신한 복수 개의 영상 정보를 정합하는 영상 처리 과정이 수행되며, 이로부터 주차 가능한 공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차량(100)은 복수 대의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되는 비콘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대의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 경우 각각의 외부 디바이스(200)들 간의 상대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한 상대 위치 정보와 전술한 영상 정보를 이용해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에 여러 대의 차량이 동시에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매우 짧은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우선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주차 차량들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 경우는 서버(300)가 개입되어 주차 차량(100)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차량(100, 100a, 100b)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100 : 차량
100a, 100b : 자율 주행 차량
200 : 외부 디바이스
300 : 서버

Claims (22)

  1.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복수 개의 영상을 정합하고 상기 정합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정합된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정합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차 가능한 공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정합된 영상에 기초하여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는,
    미리 인증을 거친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는,
    촬영부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차량 주위에 위치하는 주위 차량 및 CCT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차량이 접속되면, 상기 복수의 차량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비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량의 크기를 고려해 상기 차량이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차량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의 GPS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15.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주차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복수 개의 영상을 정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합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수신된 주차 정보로부터 추출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통해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 의해 결정된 복수의 차량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주차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크기를 고려해 상기 차량이 주차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상기 차량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GPS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70111871A 2017-09-01 2017-09-0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71A KR101882201B1 (ko) 2017-09-01 2017-09-0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71A KR101882201B1 (ko) 2017-09-01 2017-09-0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90A Division KR20160112526A (ko) 2015-03-19 2015-03-19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55A KR20170105455A (ko) 2017-09-19
KR101882201B1 true KR101882201B1 (ko) 2018-08-24

Family

ID=6003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71A KR101882201B1 (ko) 2017-09-01 2017-09-0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8810B2 (ja) * 2017-10-20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車方法、配車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駐車料金課金システム
KR102319243B1 (ko) 2020-01-10 2021-12-30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자동주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5291B2 (ja) * 1994-10-19 2005-05-1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車両制御装置
JP2005182504A (ja) * 2003-12-19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駐車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5291B2 (ja) * 1994-10-19 2005-05-1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車両制御装置
JP2005182504A (ja) * 2003-12-19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駐車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55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252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5094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platform
CN109558957B (zh) 选择车辆上车位置
US1087036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attery thermal management
US11155267B2 (en) Mobile sensor platform
CN110254392B (zh) 使用灵活认证装置和方法来提供并控制访问车辆的方法
US11518384B2 (en) Method for displaying lan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682880B1 (ko)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차량 조작 시스템
JP2016006603A (ja) 駐車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駐車管理方法
KR20150075774A (ko) 자율 주행 차량 및 그것의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인프라
CN105991942B (zh) 车辆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CN110177723A (zh) 用于提供周围视野的装置
KR20160112537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2002005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based tours
US20190147743A1 (en) Vehicle guidance based on location spatial model
US11587435B2 (en) Method for guiding path by extracting guiding information in lane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7666659A (zh) 用于经由外部接入点获取网络接入的车辆接入点扫描
KR10188220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448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N115520198A (zh) 图像处理方法、系统和车辆
WO2018020884A1 (ja) 端末機器、および機器システム
KR10165079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3551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EP4191204A1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