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54B1 -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54B1
KR101880854B1 KR1020170078323A KR20170078323A KR101880854B1 KR 101880854 B1 KR101880854 B1 KR 101880854B1 KR 1020170078323 A KR1020170078323 A KR 1020170078323A KR 20170078323 A KR20170078323 A KR 20170078323A KR 101880854 B1 KR101880854 B1 KR 10188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formwork
yok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삼
Original Assignee
정안건설 주식회사
김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안건설 주식회사, 김종삼 filed Critical 정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으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10)이 완성되고, 상기 바닥(10)에서 벽체골재(20)와 상기 벽체골재(20)의 내측에 연결된 벽체기둥골재(30) 및 상기 벽체기둥골재(30)와 대응하도록 기둥골재(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골재(20)와 벽체기둥골재(30) 및 기둥골재(40)를 유로폼(310, 320, 410, 510)으로 둘러싸서 벽체거푸집(300)과 벽체기둥거푸집(400) 및 기둥거푸집(500)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거푸집(300)은 외측의 유로폼(310)보다 내측의 유로폼(320)을 낮게 하고,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유로폼(320)과 같게 시공하는,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서 내측에 배치되고 맨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폼(320)의 슬롯(325)과,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에서 상기 기둥거푸집(500)에 대향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에, 수평재(100)의 키(110)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재(10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수평재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안착되는 벽체보(wall girder)거푸집(600) 시공하되,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로 제작하는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을 들어올려서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하부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는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 (500) 사이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 사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배열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는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보(pillar girder)거푸집(700)을 시공하는,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기둥보거푸집(700)을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세워진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도록 하는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10)의 상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다수 배치하고,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멍에(9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900)의 상면에 장선(1000)을 배치하는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장선(1000)의 상부를 플레이트(1100)로 마감하는 플레이트 장착단계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LD AVAILABLE AGAIN}
본 발명은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합과 해체 가능한 부속으로 거푸집을 시공하므로, 기존의 거푸집 시공방법에 비해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며, 재사용 가능한 이점으로 인해서 자재 소모를 현저하게 줄여 경제적이고, 공기 단축 및 인건비 절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해서 슬래브가 시공된 것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거푸집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기 위한 거푸집이 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콘크리트로 바닥을 완성한 후에 벽체와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골조가 상기 바닥에 시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골조를 유로폼으로 둘러싸서 벽체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이 완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푸집의 상단에 받침목을 철사로 결합시킨 후에 상기 벽체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 및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보 거푸집이 시공된다. 이때 보 거푸집은 상기 받침목의 상면에 안착되고 못 내지는 철사에 의해서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 거푸집은 다수의 서포터(1)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포터(1)의 상단에은 받침목이 안착되고 상기 받침목과 서포터(1) 및 보 거푸집은 못 내지는 철사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의 상면에 다수의 서포터(1)를 세우는데 쓰러지지 않도록 바(BAR)로 연결시킨다. 이때, 철사로 바와 서포터(1)를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서포터(1)의 상단에 각목인 멍에(3)를 올리는데 멍에(3)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서포터(1)와 멍에(3)를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멍에(3)의 상면에 장선(5)을 철사 내지는 못 등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장선(5)의 상면에 합판 등의 플레이트(7)를 안착시킨 후 못으로 장선(5) 쪽으로 관통시켜서 플레이트(7)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7) 및 벽체거푸집 그리고 기둥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상기 각각의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엇다.
첫째, 일일이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하기 때문에 신속한 시공이 어렵고 숙련공이 아니고서는 작업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거푸집 시공을 위해서 다량의 못과 철사가 사용되기 때문에 한 번 사용된 거푸집의 각 부속들은 손상되어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매번 거푸집을 시공할 때마다 새로운 부속을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같은 구조가 상방으로 반복되는 고층 건물인 경우, 매번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해야 한다. 하지만, 배경기술에 의하면 매번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더디고 동일한 구조의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2-0067306호 (2002년 08월 22일)
본 발명에 의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일일이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하기 때문에 신속한 시공이 어렵고 숙련공이 아니고서는 작업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배경기술에 비해서 적은 인원 특히 비숙련자들을 통해서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거푸집 시공을 위해서 다량의 못과 철사가 사용되기 때문에 한 번 사용된 거푸집의 각 부속들은 손상되어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단순한 착탈 방식을 통해서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매번 거푸집을 시공할 때마다 새로운 부속을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같은 구조가 상방으로 반복되는 고층 건물인 경우, 매번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해야 한다. 하지만, 배경기술에 의하면 매번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더디고 동일한 구조의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한 번 시공된 구조를 분해한 후 다시 같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반복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커버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 내측에 바(BAR)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에, 유로폼의 슬롯에 끼워지는, 키(KEY)가 형성된, 수평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수평판과 수직판이 L형으로 연결된 브래킷이 부착되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에 삽입홈이 상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판에 관통구가 형성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와,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양측 단부가 ㄱ형이 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바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이 완성되고, 상기 바닥에서 벽체골재와 상기 벽체골재의 내측에 연결된 벽체기둥골재 및 상기 벽체기둥골재와 대응하도록 기둥골재가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골재와 벽체기둥골재 및 기둥골재를 유로폼으로 둘러싸서 벽체거푸집과 벽체기둥거푸집 및 기둥거푸집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거푸집은 외측의 유로폼보다 내측의 유로폼을 낮게 하고, 상기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유로폼과 같게 시공하는,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에서 내측에 배치되고 맨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폼의 슬롯과, 상기 벽체기둥거푸집에서 상기 기둥거푸집에 대향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의 슬롯 및 상기 기둥거푸집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의 슬롯에, 상기 수평재의 키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재를 상기 유로폼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수평재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에 안착되는 벽체보(wall girder)거푸집을 시공하되, 상기 벽체기둥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로 제작하는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보거푸집을 들어올려서 상기 벽체거푸집에 장착된 수평재에 안착시키고, 하부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로 지지하는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 및 상기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배열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는 상기 지지바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보(pillar girder)거푸집을 시공하는,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기둥보거푸집을 상기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수평재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수평재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세워진 사방 연계형 서포터로 지지하도록 하는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의 상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다수 배치하고, 상기 지지바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에 멍에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을 배치하는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장선의 상부를 플레이트로 마감하는 플레이트 장착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재의 키는 관통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는, 상기 수평재의 키를 상기 유로폼의 슬롯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에 웨지를 박아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수평재의 키는,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과, 양측의 상기 지지판의 내측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판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하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와, 양측의 상기 레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레버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는, 상기 키를 상기 유로폼의 슬롯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에 레버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관통구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된 수평판과, 상기 수직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유로폼의 슬롯에 삽입되는, 키(KEY)가 형성된 연결브래킷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키가 유로폼의 슬롯에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폼과 상기 수직판 사이에, 상기 수평판의 상면과 동일 높이의, 바가 개재되고, 상기 바의 상면에 상기 벽체거푸집에 장착된 수평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을 부착시키고, 상기 유로폼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에 상기 수평재의 키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에 상기 수평재가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이 상기 바닥판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보 거푸집이 상기 벽체거푸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재의 상단은 벽체거푸집의 외측 유로폼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는, 상기 바닥판을 상기 벽체거푸집의 수평재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브래킷이 상기 바를 받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판은 V형이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걸림판은 외측으로 Π형으로 절곡된, 멍에걸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는, 상기 서포터의 브래킷에 상기 멍에걸이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걸이에 바가 수용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판에 상기 브래킷의 수직판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되고,상기 압축판은 절곡된 상태에서 바의 삽입에 의해서 펴지면서 압축 기능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수평판이 상호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상기 연결브래킷을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연결 브래킷의 키에 유로폼의 슬롯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이 양측으로 대응하도록 고정시키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에 플렛타이를 관통시켜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과 상기 수직판 사이에 상기 수평판과 동일 높이의 바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바의 상면에 동시에 바닥판을 부착시키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판이 상기 바닥판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은 외측의 유로폼의 높이가 벽체거푸집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하고, 내측의 유로폼의 높이는 상기 벽체보거푸집의 유로폼의 높이와 동일하게 시공하고, 내측의 상기 유로폼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에 상기 수평재의 키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에 상기 수평재가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은 양측의 유로폼의 높이가 상기 벽체보거푸집의 유로폼과 동일하게 시공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에 상기 수평재의 키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에 상기 수평재가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래킷의 키는 관통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연결브래킷의 키를 상기 유로폼의 슬롯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에 웨지를 박아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연결브래킷의 키는,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과, 양측의 상기 지지판의 내측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상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와, 양측의 상기 레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레버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키를 상기 유로폼의 슬롯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에 레버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진다.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는, 상기 서포터의 브래킷에 상기 멍에걸이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걸이에 바가 수용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판에 상기 브래킷의 수직판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되고,상기 압축판은 절곡된 상태에서 바의 삽입에 의해서 펴지면서 압축 기능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는, 상기 멍에걸이에 멍에를 삽입하여 끼우고, 상기 멍에 위에 장선을 배치하고, 상기 장선의 상면은 상기 기둥보거푸집과 기둥보에 장착된 수평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멍에는 상면에 핀홀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장선은 핀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핀은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핀과 돌출부가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는, 상기 핀을 상기 핀홀에 삽입하므로 상기 장선을 상기 멍에에 장착시키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장착단계는, 상기 플레이트의 슬롯을 상기 핀이 관통하도록 한 후, 상기 핀을 돌려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롯과 어긋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못과 철사에 의존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배경기술에 비해서 적은 인원 특히 비숙련자들을 통해서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단순한 착탈 방식을 통해서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번 거푸집을 시공할 때마다 새로운 부속을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하므로 한 번 시공된 구조를 분해한 후 다시 같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반복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매번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더디고 동일한 구조의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핀을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장선에 고정시키는 경우, 콘크리트 양생 후상기 핀은 슬래브에 박혀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핀에 내장용 천정이나 조명등 등을 지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별도로 기초볼트를 시공하지 않고서도 멍에와 장선 및 플레이트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핀이 기초볼트처럼 슬래브에 박혀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해서 슬래브가 시공된 것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수평재의 키를 별도로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지지바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바(BAR)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지지바에 발판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서포터에 결합되어 멍에를 지지하는 멍에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에 멍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가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가 서포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멍에를 지지하고,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과 바(BAR)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이 사방 연계형 서포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로폼과 바(BAR)를 지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멍에걸이에 멍에가 장착되고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에 의해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과정을 통해서 멍에의 상면에 다수의 장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상태에서 장선의 상면에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플레이트와 멍에 및 장선이 이탈된 상태에서 슬래브가 성형되고, 상기 슬래브에 핀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이 시공되기 전 바닥재와 철골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에 의해서 벽체 골조와 기둥 골조가 유로폼에 의해서 커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 벽체기둥거푸집 및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연결 브래킷체 유로폼과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상태에서 반대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유로폼의 상단에 수평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완성된 벽체보 거푸집을 로프로 걸어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의 상단에 벽체보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지지바에 의해 4개가 결합되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멍에걸이를 장착한 후 바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 및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양측에 배치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과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상태에서 하부에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일측 유로폼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기둥보 거푸집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상에 기둥보 거푸집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상승시켜서 기둥보 거푸집을 받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기둥보 거푸집을 받친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지지바 사이에 발판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기둥거푸집과 벽체거푸집 사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로서 상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멍에걸이를 끼운 후 상기 멍에걸이에 멍에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에 멍에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0은 도 49의 상태에서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장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2는 도 51의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3은 도 52의 상태에서 양생한 후 각각의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평재(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커버(101)가 길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101) 내측에 바(103, BAR)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101)의 하면에, 유로폼의 슬롯에 끼워지는, 키(110, KEY)가 형성된, 수평재(100)가 구성된다. 상기 바(103)는 일례로서 목재로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에는 슬롯(111)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처럼 수평재(100)의 키(110)를 유로폼(R)에 끼운 후에 상기 키(110)에 형성된 슬롯(111)에 웨지(112)를 박아서 유로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키(11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수평재의 키를 별도로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수평재가 유로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는,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113)이 구성되는데, 일측 지지판(113)이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17)가 상대측 지지판(113)의 내측면에 부착되므로 상호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양측의 상기 지지판(113)의 내측에 수용되어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판(113)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하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115)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13)이 회동하기 위해서는 핀(116)이 지지판(113)과 레버(115)를 동시에 관통하므로 가능하다.
또한, 양측의 상기 레버(115)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118)이 구성되고, 상기 레버(115)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11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115)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117)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17)는 양측 지지판(113)의 내측면에 연결된 것일 수도 있고, 어느 일측의 지지판(113)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처럼, 키(110)를 유로폼(R)의 슬롯(L)에 삽입하게 되면 양측의 레버(115)가 지지판(113)의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슬롯(L)에 관통된 후, 압축스프링(118)의 팽창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회동하므로 유로폼(R)에 걸리게 되므로 수평재(100)를 유로폼(R)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115)를 오므리게 되면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지지바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바(BAR)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지지바에 발판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길이 조정이 가능한 파이프(201)가 구성되는데 일반적인 서포터의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201)의 상단에, 수평판(211)과 수직판(215)이 L형으로 연결된 브래킷(210)이 부착되고, 상기 파이프(201)의 외측면에 삽입홈(223)이 상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201)의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판(211)에 관통구(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도록 양측 단부(235)가 ㄱ형이 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바(230)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서처럼, 4군데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배치한 후, 4개의 지지바(230)를 각각의 삽입홈(223)에 끼우게 되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서처럼, 상기 수평판(211)에 바(bar)를 올리게 되면 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도 11에서처럼 지지바(230)에는 발판(T)을 올려서 작업자들이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멍에걸이(8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서포터에 결합되어 멍에를 지지하는 멍에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에 멍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가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서 도시한 멍에걸이가 서포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멍에를 지지하고,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관통구(213)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샤프트 내지는 판상의 삽입부(810)가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810)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8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8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압축판(830)이 구성되고, 상기 압축판(830)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820)의 상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걸림판(840)이 구성된다.
상기 압축판(830)은 V형이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걸림판(840)은 외측으로 Π형으로 절곡된 것이다.
따라서, 도 13에서처럼, 멍에걸이(800)의 상방으로 멍에(900) 또는 바(850)를 끼우게 되면, 압축판(830)이 펴지면서 형상이 변형된다. 이로 인해서 멍에(900)를 압축하게 되어 멍에(900) 또는 바(850)가 헐거워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 14에서처럼,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관통구(213)에 상기 삽입부(810)를 끼우면서 상기 걸림판(840)에 상기 브래킷(210)의 수직판(215)이 끼워지게 하므로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5에서처럼,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상부에 장착된 멍에걸이(800)에 멍에(9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멍에(900)의 상면에 장선(10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멍에(900)를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장착하기 위해서 별도로 못을 박거나 철사로 결속시켜야 할 필요성은 없다. 따라서, 멍에(900)를 견고하고 신속하게 지지할 수 있다. 멍에(900) 외에 바(850) 역시 이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브래킷(12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과 바(BAR)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6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이 사방 연계형 서포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로폼과 바(BAR)를 지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관통구(213)에 끼워지는 삽입부(1201)가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1201)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1203)이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1203)의 일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1205)이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1205)의 상단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된 수평판(1206)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1205)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1203)의 상면에 돌출되고,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삽입되는, 키(1210, KEY)가 구성된다. 상기 키(1210)에는 슬롯(1207)이 관통되므로 웨지를 박아서 유로폼(630, 711, 715)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폼(630, 711, 715)의 슬롯(633, 713, 717)에 상기 키(1210)가 관통하도록 한 후, 웨지를 상기 슬롯(1207)에 박아 넣게 되면 유로폼(630, 711, 715)을 연결브래킷(1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로폼(630, 711, 715)과 수직판(1205) 사이에 바(640, 720)를 끼운 후에 상기 바(640, 720)와 수평판(1206)에 바닥판(650, 730)을 올리게 되면 후술하는 벽체보거푸집(600) 및 기동보거푸집(700)을 철사 등으로 결속시키기 않고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키(12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 및 도 20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1211)이 구성되고, 양측의 상기 지지판(1211)의 내측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121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상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1217)가 구성된다. 또한, 양측의 상기 레버(1217)의 상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1225)이 구성되고, 상기 레버(1217)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121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1217)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1221)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 711, 715)의 슬롯(633, 713, 717)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217)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630)에 레버(1217)가 걸리게 되므로 유로폼(630, 711, 715)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키(1210)의 구성은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와 구조가 동일하되, 레버(1217)의 방향이 상이할 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멍에(900)와 장선(10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멍에걸이에 멍에가 장착되고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에 의해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과정을 통해서 멍에의 상면에 다수의 장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상태에서 장선의 상면에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플레이트와 멍에 및 장선이 이탈된 상태에서 슬래브가 성형되고, 상기 슬래브에 핀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멍에(900)는 상면에 핀홀(910)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장선(1000)은 핀(1110)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핀(1110)은 상부에 측방으로 돌출부(111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핀(1110)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하방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끼워맞춤이 조정된 것이다. 일례로 중간끼워맞춤으로 조합된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0)는 상기 핀(1110)과 돌출부(1115)가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슬롯(1150)이 형성된 것으로서, 합판도 가능하고 장기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금속판으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핀(1110)을 상기 핀홀(910)에 삽입하므로 상기 장선(1000)을 상기 멍에(900)에 못 없이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3에서처럼, 상기 플레이트(1100)의 슬롯(1150)을 상기 핀(1110)이 관통하도록 한 후, 상기 핀(110)을 돌려서 상기 돌출부(1115)가 상기 슬롯(1150)과 어긋나게 하므로 역시 못 없이도 플레이트(1100)를 장선(1000)에 부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각 구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
도 25는 본 발명이 시공되기 전 바닥재와 철골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에 의해서 벽체 골조와 기둥 골조가 유로폼에 의해서 커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에서처럼,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10)이 완성되고, 상기 바닥(10)에서 벽체골재(20)와 상기 벽체골재(20)의 내측에 연결된 벽체기둥골재(30) 및 상기 벽체기둥골재(30)와 대응하도록 기둥골재(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골재(20)와 벽체기둥골재(30) 및 기둥골재(40)를 유로폼(310, 320, 410, 510)으로 둘러싸서 벽체거푸집(300)과 벽체기둥거푸집(400) 및 기둥거푸집(500)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거푸집(300)은 외측의 유로폼(310)보다 내측의 유로폼(320)을 낮게 하고,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유로폼(320)과 같게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벽체골재(20)는 건물의 슬래브(S)를 받치는 내력벽을 이루게 되고, 벽체기둥골재(30)는 내력벽에서 실내 쪽으로 연결된 기둥으로서 내력벽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골재(40)는 벽체골재(20)에서 이격된 것으로서 슬래브(S)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벽체기둥골재(30)와 기둥골재(40)는 상호 대응하는 구조가 되므로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대응된다. 따라서, 추후 기둥보거푸집(7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유로폼(310, 320, 410, 510)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수평재 결합단계
도 27은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과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수평재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 벽체기둥거푸집 및 기둥거푸집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서 내측에 배치되고 맨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폼(320)의 슬롯(325)과,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에서 상기 기둥거푸집(500)에 대향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재(10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즉, 이후에 벽체보거푸집(600)과 기둥보거푸집(700)을 지지하는 쪽에 수평재(100)가 장착된다.
이때, 도 27에서처럼,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슬롯(325, 415, 517)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325, 415, 517)에 웨지를 박으므로 수평재(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는, 도 5 내지 도 7에서처럼, 상기 키(11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슬롯(325, 415, 517)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15)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320, 410, 510)에 레버(115)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진다.
3.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
도 30은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연결 브래킷체 유로폼과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상태에서 반대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유로폼의 상단에 수평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완성된 벽체보 거푸집을 로프로 걸어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안착되는 벽체보(wall girder)거푸집(600)을 시공하되,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로 제작한다.
상기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연결브래킷(12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키(1210)가 유로폼(320)의 슬롯(325)에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320)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폼(320)과 상기 수직판(1205) 사이에, 상기 수평판(1206)의 상면과 동일 높이의, 바(640)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바(640)의 상면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650)을 부착되도록 하는데, 못을 박아서 바닥판(650)이 바(64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못을 사용하지만 전공정을 두고 배경기술과 비교하면 못의 사용 빈도는 확연하게 줄어든다.
또한, 상기 유로폼(320)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633)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320)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판(1206)이 상기 바닥판(65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이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재(100)의 상단은 벽체거푸집(300)의 외측 유로폼(3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므로 추후 멍에(900)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633)에 웨지를 박으므로 연결브래킷(1200)에 유로폼(630)을 장착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상기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217)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630)에 레버(1217)가 걸리게 하므로 장착시킬 수 있다.
4.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
도 34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벽체보 거푸집 결합단계에 의해서 벽체거푸집의 상단에 벽체보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을 로프로 감아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하부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벽체보거푸집(600)의 바닥판(650)이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에 안착되도록 하고,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00)는 상방으로 높여서 상기 브래킷(210)이 바(640)를 받칠 수 있도록 한다.
5.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지지바에 의해 4개가 결합되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멍에걸이를 장착한 후 바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 및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 (500) 사이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 사이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배열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는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후 기둥보거푸집(7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브래킷(210)에 상기 멍에걸이(8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걸이(800)에 바(850)가 수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부(810)는 상기 관통구(213)에 끼워지고,상기 걸림판(840)에 상기 브래킷(210)의 수직판(215)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되고, 상기 압축판(830)은 절곡된 상태에서 바(850)의 삽입에 의해서 펴지면서 압축 기능을 하도록 하므로 바(8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6.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
도 39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양측에 배치된 연결 브래킷에 유로폼과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9의 상태에서 하부에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1은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시공단계로서 일측 유로폼의 상단에 수평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보(pillar girder)거푸집(700)을 시공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수평판(1206))이 상호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상기 연결브래킷(1200)을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에 유로폼(711, 715)의 슬롯(713, 717)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711, 715)이 양측으로 대응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에 플렛타이(F)를 관통시켜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과 상기 수직판(1205) 사이에 상기 수평판(1206)과 동일 높이의 바(720)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바(720)의 상면에 동시에 바닥판(730)을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판(1206)이 상기 바닥판(73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700)은 외측의 유로폼(715)의 높이가 벽체거푸집(300)의 외측의 유로폼(310)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하고, 내측의 유로폼(711)의 높이는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의 내측의 유로폼(3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시공하고, 내측의 상기 유로폼(711)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713)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711)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700, 도 41에서 로프로 달아서 하강시키는 기둥보거푸집)은 양측의 유로폼(711, 715)의 높이가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의 내측의 유로폼(320)과 동일하게 시공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711)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711, 715)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를 상기 유로폼(711, 715)의 슬롯(713, 717)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713, 717))에 웨지를 박으므로 유로폼(711, 71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는 도 19 및 도 20에서처럼, 상기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217)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630)에 레버(1217)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진다.
7.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
도 42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벽체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사이에 기둥보 거푸집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기둥거푸집과 기둥거푸집 상에 기둥보 거푸집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4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를 상승시켜서 기둥보 거푸집을 받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기둥보 거푸집 결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기둥보 거푸집을 받친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기둥보거푸집(700)을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세워진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730)을 받치는 바(720)를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장착된 바(850)에 지지되도록 한다.
8.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도 46은 본 발명의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지지바 사이에 발판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로서 기둥거푸집과 벽체거푸집 사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10)의 상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다수 배치하고,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멍에걸이(800)를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30)에 발판(T)을 설치하여 작업자들이 올라가서 멍에(9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9.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
도 48은 본 발명의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로서 상방 연계형 서포터의 상단에 멍에걸이를 끼운 후 상기 멍에걸이에 멍에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로서 사방 연계형 서포터에 멍에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0은 도 49의 상태에서 멍에의 상면에 장선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멍에(9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900)의 상면에 장선(1000)을 배치한다.
즉, 상기 멍에걸이(800)에 멍에(900)를 삽입하여 끼우고, 상기 멍에(900) 위에 장선(1000)을 배치하고, 상기 장선(1000)의 상면은 상기 벽체보거푸집(600)과 기둥보거푸집(700)에 장착된 수평재(1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이때, 장선(1000)과 멍에(900)는 못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원에서도 못을 사용하지만 전체 공정을 놓고서 배경기술과 비교하면 못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는, 도 21 내지 도 22에서처럼, 장선(1000)에 구성된 핀(1110)을 상기 멍에(900)에 장착된 핀홀(910)에 삽입하므로 장선(1000)을 멍에(9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못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10. 플레이트 장착단계
도 51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장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플레이트(1100)에 못을 박아서 상기 장선(1000)에 고정한다. 이처럼 본원에서도 못을 사용하지만 전체 공정을 놓고서 배경기술과 비교하면 못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는, 도 23에서처럼, 상기 플레이트(1100)의 슬롯(1150)을 상기 핀(1110)이 관통하도록 한 후, 상기 핀(1110)을 돌려서 상기 돌출부(1115)가 상기 슬롯(1150)과 어긋나게 하므로 플레이트(1100)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플레이트(1100)는 금속판으로 구비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렇게 본원에 의한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이 완료한 후, 도 52에서처럼, 콘크리트를 상방으로 타설한다. 그리고 양생한 후 본원에 의한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도 53에서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도 24에서처럼, 상기 핀(110)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슬래브(S)에 박혀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핀(110)에 내장용 천정이나 조명등 등을 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핀(110)의 돌출부(1115)는 핀(110)의 이탈과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별도로 기초볼트를 시공하지 않고서도 멍에(900)와 장선(1000) 및 플레이트(110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핀(110)이 기초볼트처럼 슬래브(S)에 박혀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못과 철사에 의존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배경기술에 비해서 적은 인원 특히 비숙련자들을 통해서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착탈 방식을 통해서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번 거푸집을 시공할 때마다 새로운 부속을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방식의 거푸집을 시공하므로 한 번 시공된 구조를 분해한 후 다시 같은 방식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반복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매번 철사와 못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더디고 동일한 구조의 거푸집을 반복해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평재 101: 커버
103: 바 110: 키
111: 슬롯 113: 지지판
114: 이격돌기 115: 레버
116: 핀 117: 지지돌기
118: 압축스프링 200: 사방 연계형 서포터
201: 파이프 210: 브래킷
211: 수평판 215: 수직판
213: 관통구 220: 돌출부
223: 삽입홈 230: 지지바
235: 단부 300: 벽체거푸집
310, 320: 유로폼 400: 벽체기둥거푸집
410: 유로폼 500: 기둥거푸집
510: 유로폼 600: 벽체보거푸집
630: 유로폼 640: 바
650: 바닥판 700: 기둥보거푸집
711, 715: 유로폼 720: 바
730: 바닥판 800: 멍에걸이
810: 삽입부 820: 받침판
830: 압축판 840: 걸림판
850: 바 900: 멍에
910: 핀홀 1000: 장선
1110: 핀 1115: 돌출부
1100: 플레이트 1150: 슬롯
1200: 연결브래킷 1201: 삽입부
1203: 받침판 1205: 수직판
1206: 수평판 1210: 키
1207: 슬롯 1211: 지지판
1213: 레버 1215: 이격돌기
1219: 핀 1221: 지지돌기
1225: 압축스프링

Claims (13)

  1.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커버(101)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101) 내측에 바(103, BAR)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101)의 하면에, 유로폼의 슬롯에 끼워지는, 키(110, KEY)가 형성된, 수평재(100)와,
    길이 조정이 가능한 파이프(201)와, 상기 파이프(201)의 상단에, 수평판(211)과 수직판(215)이 L형으로 연결된 브래킷(210)이 부착되고, 상기 파이프(201)의 외측면에 삽입홈(223)이 상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201)의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평판(211)에 관통구(213)가 형성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와,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도록 양측 단부(235)가 ㄱ형이 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바(23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10)이 완성되고, 상기 바닥(10)에서 벽체골재(20)와 상기 벽체골재(20)의 내측에 연결된 벽체기둥골재(30) 및 상기 벽체기둥골재(30)와 대응하도록 기둥골재(40)가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골재(20)와 벽체기둥골재(30) 및 기둥골재(40)를 유로폼(310, 320, 410, 510)으로 둘러싸서 벽체거푸집(300)과 벽체기둥거푸집(400) 및 기둥거푸집(500)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거푸집(300)은 외측의 유로폼(310)보다 내측의 유로폼(320)을 낮게 하고,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유로폼(320)과 같게 시공하는,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와,
    상기 벽체기둥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서 내측에 배치되고 맨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폼(320)의 슬롯(325)과,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에서 상기 기둥거푸집(500)에 대향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쪽의 맨 상부에 배치된 유로폼(510)의 슬롯(517)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재(10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수평재 결합단계와,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안착되는 벽체보(wall girder)거푸집(600) 시공하되,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로 제작하는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와,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을 들어올려서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하부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는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와,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 (500) 사이 및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 사이에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배열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는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와,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보(pillar girder)거푸집(700)을 시공하는,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와,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 이후에, 상기 기둥보거푸집(700)을 상기 벽체기둥거푸집(4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둥거푸집(500)과 기둥거푸집(500)의 수평재(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세워진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로 지지하도록 하는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와,
    상기 기둥보거푸집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10)의 상면에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를 다수 배치하고, 상기 지지바(230)의 양측 단부(235)가 각각 상기 삽입홈(223)에 끼워지므로 상호 지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와,
    상기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에 멍에(9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900)의 상면에 장선(1000)을 배치하는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와,
    상기 장선(1000)의 상부를 플레이트(1100)로 마감하는 플레이트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는 관통된 슬롯(111)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는,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슬롯(325, 415, 517)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325, 415, 517)에 웨지를 박아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는,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113)과,
    양측의 상기 지지판(113)의 내측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판(113)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하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115)와,
    양측의 상기 레버(115)의 하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118)과,
    상기 레버(115)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11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115)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117)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재 결합단계는,
    상기 키(110)를 상기 유로폼(320, 410, 510)의 슬롯(325, 415, 517)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15)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320, 410, 510)에 레버(115)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4.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관통구(213)에 끼워지는 삽입부(1201)와, 상기 삽입부(1201)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1203)과, 상기 받침판(1203)의 일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판(1205)과, 상기 수직판(1205)의 상단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된 수평판(1206)과, 상기 수직판(1205)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1203)의 상면에 돌출되고,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삽입되는, 키(1210, KEY)가 형성된 연결브래킷(12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벽체보 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키(1210)가 유로폼(320)의 슬롯(325)에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320)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폼(320)과 상기 수직판(1205) 사이에, 상기 수평판(1206)의 상면과 동일 높이의, 바(640)가 개재되고,
    상기 바(640)의 상면에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수평재(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650)을 부착시키고,
    상기 유로폼(320)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633)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320)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판(1206)이 상기 바닥판(65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이 상기 벽체거푸집(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재(100)의 상단은 벽체거푸집(300)의 외측 유로폼(3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보거푸집 결합단계는,
    상기 바닥판(650)을 상기 벽체거푸집(300)의 수평재(100)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브래킷(210)이 상기 바(640)를 받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213)에 끼워지는 삽입부(810)와, 상기 삽입부(810)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된 받침판(820)과, 상기 받침판(8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압축판(830)과, 상기 압축판(830)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판(820)의 상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걸림판(840)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판(830)은 V형이 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걸림판(840)은 외측으로 Π형으로 절곡된, 멍에걸이(8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으로서,
    제1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는,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브래킷(210)에 상기 멍에걸이(8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걸이(800)에 바(850)가 수용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810)는 상기 관통구(213)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판(840)에 상기 브래킷(210)의 수직판(215)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되고,
    상기 압축판(830)은 절곡된 상태에서 바(850)의 삽입에 의해서 펴지면서 압축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수평판(1206))이 상호 대응하도록 양측으로 상기 연결브래킷(1200)을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에 유로폼(711, 715)의 슬롯(713, 717)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유로폼(711, 715)이 양측으로 대응하도록 고정시키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에 플렛타이(F)를 관통시켜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과 상기 수직판(1205) 사이에 상기 수평판(1206)과 동일 높이의 바(720)를 개재시키고,
    양측의 상기 바(720)의 상면에 동시에 바닥판(730)을 부착시키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판(1206)이 상기 바닥판(73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700)은 외측의 유로폼(715)의 높이가 벽체거푸집(300)의 외측의 유로폼(310)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하고, 내측의 유로폼(711)의 높이는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의 내측의 유로폼(320)의 높이와 동일하게 시공하고, 내측의 상기 유로폼(711)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713)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711)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하고,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보거푸집(700)은 양측의 유로폼(711, 715)의 높이가 상기 벽체보거푸집(600)의 내측의 유로폼(320)과 동일하게 시공하고, 양측의 상기 유로폼(711, 715)의 상단에 배치된 슬롯(711)에 상기 수평재(100)의 키(110)를 관통시켜, 상기 유로폼(711, 715)에 상기 수평재(100)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는 관통된 슬롯(1207)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관통시키고, 상기 슬롯(633)에 웨지를 박아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1200)의 키(1210)는,
    양측으로 이격된 지지판(1211)과,
    양측의 상기 지지판(1211)의 내측에 수용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판(121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상부가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는 레버(1217)와,
    양측의 상기 레버(1217)의 상부를 연결하는 압축스프링(1225)과,
    상기 레버(1217)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121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1217)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1221)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보거푸집 시공단계는,
    상기 키(1210)를 상기 유로폼(630)의 슬롯(633)에 관통시키므로 상기 레버(1217)가 오므려졌다가 펴지면서 유로폼(630)에 레버(1217)가 걸리게 하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2 사방 연계형 서포터 설치단계는,
    상기 사방 연계형 서포터(200)의 브래킷(210)에 상기 멍에걸이(800)를 장착시키고, 상기 멍에걸이(800)에 바(850)가 수용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810)는 상기 관통구(213)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판(840)에 상기 브래킷(210)의 수직판(215)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되고,
    상기 압축판(830)은 절곡된 상태에서 바(850)의 삽입에 의해서 펴지면서 압축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는,
    상기 멍에걸이(800)에 멍에(900)를 삽입하여 끼우고, 상기 멍에(900) 위에 장선(1000)을 배치하고,
    상기 장선(1000)의 상면은 상기 벽체보거푸집(600)과 기둥보거푸집(700)에 장착된 수평재(1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900)는 상면에 핀홀(910)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장선(1000)은 핀(1110)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핀(1110)은 상부에 측방으로 돌출부(1115)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플레이트(1100)는 상기 핀(1110)과 돌출부(1115)가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슬롯(1150)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멍에 및 장선 장착단계는,
    상기 핀(1110)을 상기 핀홀(910)에 삽입하므로 상기 장선(1000)을 상기 멍에(900)에 장착시키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단계는,
    상기 플레이트(1100)의 슬롯(1150)을 상기 핀(1110)이 관통하도록 한 후, 상기 핀(1110)을 돌려서 상기 돌출부(1115)가 상기 슬롯(1150)과 어긋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0)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20170078323A 2017-06-21 2017-06-21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188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23A KR101880854B1 (ko) 2017-06-21 2017-06-21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23A KR101880854B1 (ko) 2017-06-21 2017-06-21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54B1 true KR101880854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23A KR101880854B1 (ko) 2017-06-21 2017-06-21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115A (zh) * 2019-06-05 2019-08-20 广东志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支架铝合金模板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488B1 (ko) 2015-05-12 2016-02-25 김종삼 사방 연계형 샷포드
KR101627971B1 (ko) 2015-05-12 2016-06-07 김종삼 재사용이 가능한 상하수평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488B1 (ko) 2015-05-12 2016-02-25 김종삼 사방 연계형 샷포드
KR101627971B1 (ko) 2015-05-12 2016-06-07 김종삼 재사용이 가능한 상하수평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115A (zh) * 2019-06-05 2019-08-20 广东志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支架铝合金模板系统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6457291B2 (en) Floor frame structural support assembly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969799B2 (ja) 建造物コネクタのアンカーケージシステム
KR100796808B1 (ko) 노출콘크리트용 유로폼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노출콘크리트시공방법
US20110072751A1 (en) Masonry bracke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70173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KR101880854B1 (ko)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100123231A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슬라이드형 보시공용 판넬
KR101934520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시공용 거푸집 시스템 및 합벽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US77214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5912194B1 (ja) 木造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基礎部材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JP3453895B2 (ja) 大型鉄骨架構のアンカーボルト据付け方法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AU2014336964A1 (en) Building method and system
JP6464459B2 (ja)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KR100404930B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JP2023008484A (ja) 布基礎用型枠
JP2520371B2 (ja) 枠組壁工法のコンクリ―ト造床施工方法
JP3000796U (ja) 仮設フェンス
KR200447082Y1 (ko)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