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612B1 -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612B1
KR101880612B1 KR1020160034734A KR20160034734A KR101880612B1 KR 101880612 B1 KR101880612 B1 KR 101880612B1 KR 1020160034734 A KR1020160034734 A KR 1020160034734A KR 20160034734 A KR20160034734 A KR 20160034734A KR 101880612 B1 KR101880612 B1 KR 10188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housing
unit
stepped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397A (ko
Inventor
바르샤 카레
안성훈
김충수
퍼우델
전영준
김성용
송카리아 산자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6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시 수용부와, 측정부가 연결된 여과부가 순차적으로 상하 적층된 단위 여과 모듈을 복수로 다단 적층한 구조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음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MODULE TYPE WASTE WATER INCLUDING HEAVY METAL FIL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음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폐수는 각종 산업 발전에 따라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폐수 내에는 구리(Cu), 납(Pb), 아연(Zn), 크롬(Cr), 카드뮴(Cd) 등과 같이 인체에 매우 유해한 다량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유해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산업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표준활성슬러지법, 접촉산화법, 물리·화학적 처리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은 시설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운영 및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이며,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힘들며, 처리효율도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위적인 생·물리학적인 처리방법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처리수질을 개선하기는 힘든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332486호의 "다단식 공기방울 접촉조에 의한 향류 연속식 중금속함유 폐수의 처리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상하 다단으로 적층된 접촉조 사이에 체판을 각각 배치하되, 각각의 접촉조 상, 하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중량물인 접촉조들을 일일이 상, 하로 다단 적층해가면서 플랜지 각각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제작 및 설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증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3324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음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일시 수용부; 내부에 여과재를 수용하고, 상기 일시 수용부로부터 하강한 상기 오폐수가 여과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를 통과하는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 및 여과 압력을 계측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수용부와 상기 여과부가 상하로 배치된 단위 여과 모듈이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시 수용부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수용홀을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여과부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상면에 함몰된 제1 단턱홈부와, 상기 제1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2 단턱홈부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와, 상기 제2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1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1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리저버는 막힌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턱홈부와 상기 제2 단턱홈부와 상기 제1 여과 멤브레인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일시 수용부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여과부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오폐수가 공급되는 오폐수 공급 포트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와, 상기 제1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상면에 상기 일시 수용부가 안착 고정되고,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1 여과홀을 구비하며,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는 제1 여과 하우징과, 상면에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2 여과홀을 구비하는 제2 여과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일시 수용부와 별개인 일시 수용부의 상면이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은,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여과홀과 연통되는 게이지 포트와,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여과홀과 연통되는 밸브 포트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3 단턱홈부와, 상기 제3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4 단턱홈부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단턱돌부와, 상기 제3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1 오링과, 상기 제4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2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오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5 단턱홈부와, 상기 제5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6 단턱홈부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별개인 일시 수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단턱돌부와, 상기 제5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2 오링과, 상기 제6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3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3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3 오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여과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오폐수가 여과됨에 따른 여과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와, 상기 여과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의 측정에 따른 여과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부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오폐수를 일정량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는, 상하로 적층 배치된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을 받침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과, 상기 복수의 지지봉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최상단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봉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최하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을 거쳐 상기 최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 여과수가 일시 수용되는 배출 공간을 구비한 최종 하우징과, 상기 최종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배출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 공간으로부터 상기 최종 여과수가 배출되는 최종 드레인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종 하우징은,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7 단턱홈부와, 상기 제7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8 단턱홈부와, 상기 제7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3 오링과, 상기 제8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4 여과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 하우징은,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최종 하우징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출 사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종 드레인 포트는 상기 배출 사면부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출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일시 수용부와 측정부가 연결된 여과부가 순차적으로 상하 적층된 단위 여과 모듈을 복수로 다단 적층한 구조로부터, 숙련도에 관계없이 모듈 타입으로 제공된 단위 여과 모듈을 상하로 다단 적층하기만 하면 여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직관적인 사용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실제 현장은 물론, 실험실 규모의 여과 성능 테스트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등 범용성 또한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단위 여과 모듈이 각각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로, 도면의 우측 상부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일시 수용부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리저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가 적용된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가 적용된 여과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가 적용된 여과 시스템의 내부에 공급된 오폐수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면의 좌측 하부는 최종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로, 도면의 우측 상부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일시 수용부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리저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 수용부(100)와, 측정부(300)가 연결된 여과부(200)가 순차적으로 상하 적층된 단위 여과 모듈(FU)을 복수로 다단 적층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일시 수용부(100)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것이며, 여과부(200)는 내부에 여과재(이하 미도시)를 수용하고, 일시 수용부(100)로부터 하강한 오폐수가 여과되는 것이다.
측정부(300)는 여과부(200)와 연결되어 여과부(200)를 통과하는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 및 여과 압력을 계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시 수용부(100)와 여과부(200)가 상하로 배치된 단위 여과 모듈(FU)이 상하로 적층 배치하는 구조로부터, 숙련도에 관계없이 모듈 타입으로 제공된 단위 여과 모듈(FU)을 상하로 다단 적층하기만 하면 여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직관적인 사용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실제 현장은 물론, 실험실 규모의 여과 성능 테스트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등 범용성 또한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단위 여과 모듈(FU)이 각각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측정부(3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시 수용부(100)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수용홀(111)을 구비하고, 하면에 여과부(200)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시 수용부(100)는 수용홀(111)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리저버(110)의 상면에 함몰된 제1 단턱홈부(1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시 수용부(100)는 제1 단턱홈부(12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수용홀(111)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2 단턱홈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시 수용부(100)는 수용홀(111)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리저버(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1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시 수용부(100)는 제2 단턱홈부(122)에 안착되는 제1 여과 멤브레인(141)을 포함한다.
제1 여과 멤브레인(141)은 후술할 제2 여과 멤브레인(216)과 제3 여과 멤브레인(225) 및 제4 여과 멤브레인(730)과 함께 원판 형상인 메쉬(mesh)의 양면에 나노 박막 코팅을 함으로써, 나노 규모의 미세한 중금속 입자들을 여과해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비하여 후술할 여과부(200)에 내장되는 여과재는 모래나 입경이 작은 자갈, 활성탄, 숯 분말 등과 같은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규모로부터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이물질이나 중금속 입자들을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시 수용부(100)는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1 단턱돌부(131)에 끼움 결합되고 리저버(1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1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단턱돌부(131)의 내주면은 중력 방향에 따른 오폐수의 원활한 하강 및 여과를 위하여 수용홀(111)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리저버(110)는 막힌 상면을 구비하며 제1 단턱홈부(121)와 제2 단턱홈부(122)와 제1 여과 멤브레인(141)이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최상단에 배치되는 일시 수용부(10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수용홈(112)을 구비하고, 하면에 여과부(200)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일시 수용부(100)는 리저버(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과 연통하며 오폐수가 공급되는 오폐수 공급 포트(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일시 수용부(100)는 수용홈(112)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리저버(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131)를 포함한다.
또한, 최상단에 배치되는 일시 수용부(100)는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1 단턱돌부(131)에 끼움 결합되고 리저버(1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151)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시각적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일시 수용부(100)의 리저버(110)와, 일반적인 일시 수용부(100)의 리저버(110)를 혼동할 우려없이 직관적으로 구별하여 파악하고 선택하여 조립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여과부(2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여과 하우징(210)과 제2 여과 하우징(220)을 포함하되, 후술할 측정부(300)는 제1 여과 하우징(210)과 연결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상면에 일시 수용부(100)가 안착 고정되고,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1 여과홀(211)을 구비하며, 측정부(3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제2 여과 하우징(220)은 상면에 제1 여과 하우징(210)이 안착 고정되고,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2 여과홀(221)을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여과 하우징(220)의 하면에는 일시 수용부(100)와 별개인 일시 수용부(100, 도 3에서 좌측 상부의 리저버(110)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면이 적층 결합된다.
한편, 제1 여과 하우징(21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여과 하우징(21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측정부(300)가 연결되고, 제1 여과홀(211)과 연통되는 게이지 포트(211g)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1 여과 하우징(21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측정부(300)가 연결되고, 제1 여과홀(211)과 연통되는 밸브 포트(211v)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1 여과홀(211)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여과 하우징(210)의 상면에 함몰된 제3 단턱홈부(21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3 단턱홈부(21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여과홀(211)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4 단턱홈부(21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1 여과홀(211)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 여과 하우징(2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여과 하우징(2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단턱돌부(21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3 단턱홈부(213)에 안착되는 제1 오링(151)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4 단턱홈부(214)에 안착되는 제2 여과 멤브레인(216)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여과 하우징(210)은 제2 단턱돌부(215)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여과 하우징(2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오링(217)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단턱돌부(215)의 내주면은 중력 방향에 따른 오폐수의 원활한 하강 및 여과를 위하여 제1 여과홀(211)의 내주면과 연결된다.
한편, 제2 여과 하우징(22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여과홀(221)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여과 하우징(220)의 상면에 함몰된 제5 단턱홈부(22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여과 하우징(220)은 제5 단턱홈부(22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여과홀(221)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6 단턱홈부(22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여과 하우징(220)은 제2 여과홀(221)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여과 하우징(2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별개인 일시 수용부(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단턱돌부(22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여과 하우징(220)은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5 단턱홈부(222)에 안착되는 제2 오링(217)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여과 하우징(220)은 제6 단턱홈부(223)에 안착되는 제3 여과 멤브레인(22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여과 하우징(220)은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3 단턱돌부(224)에 끼움 결합되어 제2 여과 하우징(2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3 오링(2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단턱돌부(224)의 내주면은 중력 방향에 따른 오폐수의 원활한 하강 및 여과를 위하여 제2 여과홀(221)의 내주면과 연결된다.
한편, 측정부(300)는 다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과부(200)의 외측에 연결되어 여과부(200)의 내부와 연통되고, 오폐수가 여과됨에 따른 여과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정부(300)는 여과부(200)의 외측에 연결되어 여과부(200)의 내부와 연통되고,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의 측정에 따른 여과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여과부(200) 내부를 관통하는 오폐수를 일정량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력 게이지(310)는 제1 여과 하우징(210)의 게이지 포트(211g)와 연결되고, 드레인 밸브(320)는 제1 여과 하우징(210)의 밸브 포트(211v)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측정부(300)는 압력 게이지(310)와 드레인 밸브(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 게이지(31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여과 압력의 데이터를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하거나 저장하고, 중금속 함량의 데이터값을 기설정값과 비교 분석하거나 저장하는 컨트롤러(3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드레인 밸브(3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컨트롤러(330)에 의하여 개폐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 조작하는 일반 수동 조작 밸브와 같은 것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컨트롤러(330)는 구성 부품의 배치상 편의를 위하여 후술할 베이스 플레이트(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 여과 모듈(FU)의 상하 다단 적층 구조에 따른 실질적인 여과 성능 구현이 가능하도록,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지지봉(500) 및 커버 플레이트(600)를 더 구비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상하로 적층 배치된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을 받침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봉(500)은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각각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부재이다.
커버 플레이트(600)는 복수의 지지봉(500) 상단부에 체결되어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의 최상단부를 커버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봉(500)은, 복수의 지지봉(500)들 사이에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의 갯수에 대응하여 그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최종 여과수의 배출 구조 마련을 위하여 최종 하우징(700)과 최종 드레인 포트(800)를 더 구비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최종 하우징(700)은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의 최하단부, 즉 제2 여과 하우징(220)의 제3 단턱돌부(224)가 안착되고,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FU)을 거쳐 최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 여과수가 일시 수용되는 배출 공간(701)을 구비한 것이다.
최종 드레인 포트(800)는 최종 하우징(700)의 외측으로부터 연결되어 배출 공간(701)과 연통되고 배출 공간(701)으로부터 배출되는 최종 여과수의 배출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최종 드레인 밸브(이하 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최종 하우징(700)은 도 6의 좌측 하부에 도시된 확대부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최종 하우징(7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701)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최종 하우징(700)의 상면에 함몰된 제7 단턱홈부(71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최종 하우징(700)은 제7 단턱홈부(71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배출홈(701)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8 단턱홈부(72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최종 하우징(700)은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7 단턱홈부(710)에 안착되는 제3 오링(226)을 더 포함한다.
또한, 최종 하우징(700)은 제8 단턱홈부(720)에 안착되는 제4 여과 멤브레인(73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최종 하우징(700)은 최종 드레인 포트(800)측으로 최종 여과수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게,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최종 하우징(7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70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최종 하우징(700)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배출 사면부(7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드레인 포트(800)는 배출 사면부(740)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 공간과 연통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상단의 리저버(110)로부터 공급된 중금속이 함유된 오폐수는 도 6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하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 여과 모듈(FU)을 거치면서, 구체적으로는 제1 여과 멤브레인(141)과 제2 여과 멤브레인(216)과 제3 여과 멤브레인(225)과 제4 여과 멤브레인(730) 및 단위 여과 모듈(FU) 각각의 제1, 2 여과 하우징(210, 220) 내부에 수용된 여과재를 통하여 여과되어 최종 드레인 포트(8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적층된 위치에 따른 여과 압력 및 여과 효율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음은 물론, 오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일시 수용부
110...리저버
111...수용홀
112...수용홈
113...오폐수 공급 포트
121...제1 단턱홈부
122...제2 단턱홈부
131...제1 단턱돌부
141...제1 여과 멤브레인
151...제1 오링
200...여과부
210...제1 여과 하우징
211...제1 여과홀
211g...게이지 포트
211v...밸브 포트
213...제3 단턱홈부
214...제4 단턱홈부
215...제2 단턱돌부
216...제2 여과 멤브레인
217...제2 오링
220...제2 여과 하우징
221...제2 여과홀
222...제5 단턱홈부
223...제6 단턱홈부
224...제3 단턱돌부
225...제3 여과 멤브레인
226...제3 오링
300...측정부
310...압력 게이지
320...드레인 밸브
330...컨트롤러
400...베이스 플레이트
500...지지봉
600...커버 플레이트
700...최종 하우징
701...배출홈
710...제7 단턱홈부
720...제8 단턱홈부
730...제4 여과 멤브레인
740...배출 사면부
800...최종 드레인 포트
FU...단위 여과 모듈

Claims (12)

  1.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일시 수용부;
    내부에 여과재를 수용하고, 상기 일시 수용부로부터 하강한 상기 오폐수가 여과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를 통과하는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 및 여과 압력을 계측하는 측정부;
    상하로 적층 배치된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을 받침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 및
    상기 복수의 지지봉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최상단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수용부와 상기 여과부가 상하로 배치된 단위 여과 모듈이 상하로 적층 배치되고,
    상기 일시 수용부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수용홀을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여과부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상면에 함몰된 제1 단턱홈부와,
    상기 제1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2 단턱홈부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와,
    상기 제2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1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1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수용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리저버는 막힌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턱홈부와 상기 제2 단턱홈부와 상기 제1 여과 멤브레인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일시 수용부는,
    상측으로부터 공급된 오폐수가 일시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하면에 상기 여과부가 적층 결합되는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며 상기 오폐수가 공급되는 오폐수 공급 포트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단턱돌부와,
    상기 제1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면에 상기 일시 수용부가 안착 고정되고,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1 여과홀을 구비하며,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는 제1 여과 하우징과,
    상면에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 양단 관통인 제2 여과홀을 구비하는 제2 여과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일시 수용부와 별개인 일시 수용부의 상면이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은,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여과홀과 연통되는 게이지 포트와,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기 측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여과홀과 연통되는 밸브 포트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3 단턱홈부와,
    상기 제3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4 단턱홈부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단턱돌부와,
    상기 제3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1 오링과,
    상기 제4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2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2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오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5 단턱홈부와,
    상기 제5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6 단턱홈부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별개인 일시 수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단턱돌부와,
    상기 제5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2 오링과,
    상기 제6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3 여과 멤브레인과,
    상기 제3 단턱돌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 여과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3 오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턱돌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 여과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여과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오폐수가 여과됨에 따른 여과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와,
    상기 여과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중금속 함량의 측정에 따른 여과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부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오폐수를 일정량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봉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의 최하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여과 모듈을 거쳐 상기 최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 여과수가 일시 수용되는 배출 공간을 구비한 최종 하우징과,
    상기 최종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배출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 공간으로부터 상기 최종 여과수가 배출되는 최종 드레인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하우징은,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의 내주면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된 제7 단턱홈부와,
    상기 제7 단턱홈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의 내주면과 연결되게 함몰된 제8 단턱홈부와,
    상기 제7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3 오링과,
    상기 제8 단턱홈부에 안착되는 제4 여과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하우징은,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최종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배출홈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최종 하우징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배출 사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종 드레인 포트는 상기 배출 사면부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출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KR1020160034734A 2016-03-23 2016-03-23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KR10188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734A KR101880612B1 (ko) 2016-03-23 2016-03-23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734A KR101880612B1 (ko) 2016-03-23 2016-03-23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97A KR20170110397A (ko) 2017-10-11
KR101880612B1 true KR101880612B1 (ko) 2018-07-23

Family

ID=6013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734A KR101880612B1 (ko) 2016-03-23 2016-03-23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6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411A (ja) * 1996-02-19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JP2001239135A (ja) * 2000-03-02 2001-09-04 Nippon Mykrolis Kk 多段式液処理装置
KR100332486B1 (ko) * 1999-05-28 2002-04-17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임업연구원장) 다단식 공기방울 접촉조에 의한 향류 연속식 중금속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KR20020043737A (ko) * 2000-12-04 2002-06-12 이찬기 오폐수 처리장치
KR100880454B1 (ko) * 2008-09-25 2009-01-29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파이럴 열교환기
KR20110023423A (ko) * 2009-08-31 2011-03-08 이종언 오일필터
KR20110042625A (ko) * 2009-10-19 2011-04-27 주식회사 케이씨텍 필터링 장치
KR20110075799A (ko) * 2009-12-29 2011-07-06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정화장치
KR20160021710A (ko) * 2014-08-18 2016-02-26 문두영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411A (ja) * 1996-02-19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KR100332486B1 (ko) * 1999-05-28 2002-04-17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임업연구원장) 다단식 공기방울 접촉조에 의한 향류 연속식 중금속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JP2001239135A (ja) * 2000-03-02 2001-09-04 Nippon Mykrolis Kk 多段式液処理装置
KR20020043737A (ko) * 2000-12-04 2002-06-12 이찬기 오폐수 처리장치
KR100880454B1 (ko) * 2008-09-25 2009-01-29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파이럴 열교환기
KR20110023423A (ko) * 2009-08-31 2011-03-08 이종언 오일필터
KR20110042625A (ko) * 2009-10-19 2011-04-27 주식회사 케이씨텍 필터링 장치
KR20110075799A (ko) * 2009-12-29 2011-07-06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정화장치
KR20160021710A (ko) * 2014-08-18 2016-02-26 문두영 정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출원번호 제10-2015-0073028호(출원일자:2015.05.2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97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60149B2 (en) Purification device, insert and method of purifying a liquid
US9630130B2 (en) Multi-segmented tube sheet
US20170007949A1 (en) Water filter cartridge
US20060037919A1 (en) Diesel fuel filter and associated methods
WO2014182424A1 (en) Sealed magnetic filter for hazardous operations and easy clean-up service
EP2251305A3 (en) Filter cartridge for jugs
WO2006044630A2 (en) Contaminated liquids filtering apparatus
DE3001675A1 (de) Geraet zur anzeige des erschoepfungsgrades eines adsorptionsfilters
US20140263014A1 (en) Water Filtration Device
KR101880612B1 (ko)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KR20160138763A (ko)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CN215876364U (zh) 水过滤系统
JP2005513435A (ja) 濾過水及び濾紙の同時採集装置
KR102223128B1 (ko) 이온교환체 충전 카트리지 및 금속제거칼럼
US20220268755A1 (en) Water sampling immersion probe
EP3903938B1 (de) Wasseraufbereitungsmodul
KR101415941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NL2011545C2 (nl) Filtratie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filtreren van een vloeistof.
JP2007216217A (ja) ろ過器及びろ過システム並びにろ過材
CA2932166C (en) Filtering system for removing chemicals from fluids
KR102018325B1 (ko) 순수 생산 장치
CN219792593U (zh) 可实现自动取样的超纯水设备
KR101670616B1 (ko)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작동방법
KR20240018812A (ko) 미세플라스틱 크기별 분리장치
JP2020131152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