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737A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43737A KR20020043737A KR1020000072833A KR20000072833A KR20020043737A KR 20020043737 A KR20020043737 A KR 20020043737A KR 1020000072833 A KR1020000072833 A KR 1020000072833A KR 20000072833 A KR20000072833 A KR 20000072833A KR 20020043737 A KR20020043737 A KR 200200437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row
- storage tank
- waste water
- outlet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한 소규모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폐플라스틱 박스를 재활용하여 하면에 홀이 형성된 폐플라스틱 박스의 내부에 여재를 충진하고, 이러한 폐플라스틱 박스를 다수개 수직으로 적층하며, 박스의 하부에는 저류조를 설치한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 또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오폐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수질을 정화시키도록 소규모로 설치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대규모 환경기초시설에서는 활성슬러지 공법이 보편화되어 환경 전문가 등 다수의 운전인원 및 관리인원이 근무하면서 활성슬러지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오폐수 처리시설에는 경제적인 문제점 등으로 전문가의 확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활성슬러지 공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시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비전문가가 운전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규모 오폐수 처리시설의 경우, 보다 경제적이고 운전이 용이한 공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소규모의 오폐수 처리시설을 갖춘 관광단지, 숙박업소, 음식점 등에 의해 각 수계의 오염이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소규모 처리시설에서는 정화조를 설치하여 오수를 처리 후 방류하고 있으나, 많은 정화조 시설들이 정상적인 배출농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수계를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화조 유출수의 경제적인 재처리 또는 처리공법의 개선으로 상수원을 보호하고 수계 환경을 지키는 것이 매우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처리장치에서는 오폐수 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차침전지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처리하는 장치는 많은 시설비 및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한 소규모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 중의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각 박스열에서 오폐수의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 중의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폐플라스틱 박스를 재활용하여 하면에 홀이 형성된 폐플라스틱 박스의 내부에 여재를 충진하고, 이러한 폐플라스틱 박스를 다수개 수직으로 적층하며, 박스의 하부에는 저류조를 설치한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 중의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각 박스열에서 오폐수의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 중의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크게 전처리장치 및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축산분뇨 및 오폐수(A)는 먼저 전처리장치로 유입되고 여기를 통해 여과되어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되며, 다음,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B)는 생물학적 처리장치로 유입되고 여기를 통해 부유물질이 2차로 제거되며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가 제거된 상태(C)로 방류되는 것이다.
이 때, 전처리장치는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전처리장치 없이 생물학적 처리장치만으로도 부유물질,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가 충분히 제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전처리장치를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
먼저, 전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처리장치는 다수개의 박스가 수직으로 적층된 박스열이 다수개 이루어진 구조로서, 다수개의 박스열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각각의 박스열은, 각각의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여재(3)가 충진된 다수개의 박스(1)와, 최하층 박스의 하부에 설치된 저류조(2)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박스(1)는 농업용으로 제작되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플라스틱 박스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폐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폐플라스틱을 이용해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박스의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각 박스열의 박스(1) 내부에 충진된 여재(3)를 왕겨로 하면, 막힘현상이 발생한 후 오폐수 내의 부유물질과 혼합된 왕겨를 퇴비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축산농가에서 축산폐수에 함유된 돈분과 같은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퇴비화하는 데에 이용하면 매우 유용하다.
최상층 박스의 상부에는 살수장치(6)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살수장치(6)는 유입수를 최상층 박스 내로 살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된 오폐수가 박스열의 여과용량을 초과하여 막힘현상이 발생하면 오폐수가 넘치게 되는데, 그 넘친 오폐수가 이웃하는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되도록, 최상층 박스의 측면에 이웃하는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의 상부를 향해 유출관(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한 박스열의 저류조(2)에 저장된 여과된 오폐수는 이웃하는 박스열의 저류조로 흐르도록, 유출관(4)이 저류조의 측면에 이웃하는 저류조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장치가 9개의 박스열이 다단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박스열은 두 개의 박스(1)와 그 하부에 설치된 저류조(2)로 이루어져 있다.
설명의 편의상, 최상부에 위치한 박스열을 제1박스열이라 칭하고, 이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이웃하는 순서대로 차례대로 번호를 붙여 최하단에 위치한 박스열을 제9박스열이라 칭하면, 오폐수는 제1박스열의 상층 박스로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제9박스열까지 유입된다. 각 박스열을 통과하여 그 하부의 저류조로 저장되는 여과된 오폐수 역시 제1박스열의 저류조로부터 순차적으로 제9박스열의 저류조까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즉, 최상단의 제1박스열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여과작용이 시작되며, 제1박스열에서 막힘현상이 나타나면 이웃하는 제2박스열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제2박스열에서 여과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9박스열까지 여과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전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의 양은 그 내부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재로서 왕겨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생활오수에 대해 실험한 결과, 한 박스열에서 처리가능한 오폐수의 양은 약 2톤 정도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전처리장치는 18톤 정도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만톤 규모의 시 하수종말처리장 1차 침전지에서의 부유물질 제거효율이 연평균 42∼46% 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내어 1차 침전지 대용으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층 박스로 유입되는 오폐수 및 저류조로 흐르는 여과된 오폐수의 흐름이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제1박스열 내지 제9박스열이 배열되면, 전처리장치의 전체구조가 컴팩트하게 되므로 좋으며, 이와 같은 컴팩트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장치에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박스열에는,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재(3)가 충진된 상, 하층 박스(1)가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하층 박스의 하부에는 저류조(2)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층 박스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박스열의 상층 박스의 상부를 향해 유출관(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저류조(2)의 측면에는 이웃하는 저류조와 연결되도록 유출관(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제2박스열이 설치되어 있어서, 제1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제2박스열의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제1박스열의 저류조(2)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4)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제2박스열의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유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동일한 구조로 제2박스열의 측방 및 하방으로 제3박스열이 설치된다.
제4박스열은 제3박스열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이 때에도 제3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제4박스열의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제3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유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4박스열의 측방 및 하방으로 제5박스열이 설치되는데, 이 때 제1,2, 3박스열이 설치된 측방과 반대방향의 측방으로 설치되면 전체 전처리장치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좋다.
이와 동일한 구조로 제5박스열의 측방 및 하방으로 제6박스열이 설치되고, 제6박스열의 하방으로 제7박스열이 설치된다.
제8박스열은 제7박스열의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되는데, 이 때, 다시 제4, 5, 6박스열이 설치된 측방과 반대방향의 측방으로 설치되면 전체 전처리장치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좋다.
마찬가지로 제8박스열의 측방 및 하방으로 제9박스열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각 박스열을 설치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로 각 박스열을 안착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한 프레임(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프레임의 하면에는 바퀴를 부착하여 전체 전처리장치를 이동가능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전처리 장치는 가로 142.5 cm, 세로 40 cm로서 0.57 m2에 불과한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콤팩트한 구조이다.
막힘현상이 발생한 박스열은 교체가 용이하고, 고형물을 함수율 60∼70% 정도로 여과할 수 있어 호기성 퇴비화를 통한 자원화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처리장치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1차로 여과된 오폐수는, 생물학적 처리장치로 유입되는데, 이하,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생물학적 처리장치는, 다수개가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된 박스(13a, 13b)와 최하층 박스의 하부에 배열된 저류조(14, 16)를 포함한 구성이다.
각각의 박스 하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최상층 박스로 유입된 오폐수가 최하층 박스를 통과한다. 박스는 폐플라스틱 박스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이루어져 있다.
박스의 내부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특히 최하층 박스(15)의 내부에는 모래가 충진되어 있다. 최하층 박스를 제외한 박스 내에 충진된 여재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작된 것이며, 여기에는 미생물이 배양되어 있다.
미생물은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박스는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다공성이므로 미생물에 산소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박스의 개수 및 충진여재의 종류는 처리하고자 하는 오폐수의 양과 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저류조(14, 16)에는 펌프(11)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펌프는 저류조에 저장된 여과된 오폐수를 펌핑하여 다시 상기 최상층 박스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상층 박스의 상부에는 살수장치(12a, 1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살수장치는 펌프 또는 외부유입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최상층 박스 내로 살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는 둘 또는 그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을 위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서로 연결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구조물의 연결시에는, 앞의 구조물의 저류조(14)에 저장된 오폐수를 펌핑하여 뒤의 구조물의 최상층 박스(13b)로 유입시키는 펌프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처리장치 및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통한 오폐수 처리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처리장치의 최상단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면 여과작용이 시작되어, 박스 내에 충진된 왕겨와 같은 여재를 통해 부유물질은 여재와 혼합되고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는 하부의 저류조에 저장된다.
이 때, 유입된 오폐수가 최상단 박스열의 여과용량을 초과하여 막힘현상이 발생하면 오폐수가 넘쳐 하부의 이웃하는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되어, 이웃하는 박스열에서 여과작용이 시작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부유물질은 여재와 혼합되면서 여과되고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는 하부의 저류조에 저장된다.
한편, 최상단 박스열의 저류조에 저장되어 있던,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는, 유출관을 통해 이웃하는 박스열의 저류조로 흐른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오폐수는 최하단의 박스열까지 유입되어 부유물질의 1차여과작용을 하며, 각 박스열의 저류조에 저장된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는 유출관을 통해 최하단 박스열의 저류조까지 흐른다.
최하단 박스열의 저류조에 저장된, 부유물질이 1차로 제거된 오폐수는, 다음 장치인 생물학적 처리장치로 유입된다.
이 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처리장치는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전처리장치 없이 생물학적 처리장치만으로도 부유물질,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가 충분히 제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전처리장치를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으며, 따라서, 오폐수는 별도의 저류조(10)에 저장되어 있다가 생물학적 처리장치로 바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된 오폐수는, 다수층의 박스를 통과하면서 각 층의 박스 내에 충진되어 있고 미생물이 배양되어 있는 여재를 통해 부유물질이 여과되고 유기물질 및 영양염류가 제거된다.
다음, 최하층 박스 내에 충진되어 있는 모래를 통해 탈리된 미생물과 부유물질이 제거된 후, 하부의 저류조에 저장된다.
저류조에 저장된 여과된 오폐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다시 최상층 박스로 유입됨으로써 미생물이 부착된 여재가 있는 생물학적 처리장치에 의해 연속적인 재처리가 이루어진다.
또는,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구조물이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경우, 저류조에 저장된 여과된 오폐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다음 구조물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됨으로써 연결된 생물학적 처리장치 구조물에 의해 재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박스와 여재로 사용하고, 펌프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복잡한 기계설비가 불필요하므로 시설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시설비를 비교해보면, 타공법 시설비의 약 30%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폐플라스틱 박스를 재활용하여 적층하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서 축산 농가, 군부대, 음식점, 숙박시설, 관광지, 사찰, 야전 행사장 등의 임시시설과 같은 모든 소규모 집단에서의 생활오수, 축산폐수, 양식장 폐수 등의 오폐수 처리시설에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중수도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조작으로 작동되므로, 운전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가 불필요하여 장치의 유지관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출농도의 기준치를 초과하였던 기존의 오폐수 처리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시설비 추가만으로도 정상적인 배출농도를 유지하여 수계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다수개가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되고, 최상층으로 유입된 오폐수가 최하층을 통과하도록 각각의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박스;상기 최하층을 제외한 박스의 내부에 충진된 여재;상기 최하층 박스의 내부에 충진된 모래;상기 최하층 박스의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다수개의 박스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오폐수가 저장되는 저류조;상기 저류조에 저장된 여과된 오폐수를 펌핑하여 다시 상기 최상층 박스로 유입시키는 펌프;상기 최상층 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 또는 외부유입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최상층 박스 내로 살수하는 살수장치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박스는 여섯 개이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것이며, 상기 여재에는 미생물이 배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오폐수 처리장치는, 제 2 항의 전체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상기 연결시에는, 앞의 구조물의 저류조에 저장된 오폐수를 펌핑하여 뒤의 구조물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시키는 펌프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다수개가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되고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재가 충진된 박스와, 상기 다수개의 박스 하부에 설치된 저류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박스열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구성이고,한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부터 넘치는 오폐수가 이웃하는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되도록, 최상층 박스의 측면에 이웃하는 박스열의 최상층 박스의 상부를 향해 유출관이 설치되며,한 박스열의 저류조로부터 이웃하는 박스열의 저류조로 여과된 오폐수가 흐르도록, 저류조의 측면에 이웃하는 저류조와 연결되도록 유출관이 설치된오폐수 전처리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오폐수 전처리 장치는,두개가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배열되고 하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여재가 충진된 박스, 상기 두개의 박스 하부에 설치된 저류조, 상층 박스의 측면에 이웃하는 박스열의 상층 박스의 상부를 향해 설치된 유출관, 및 저류조의 측면에 이웃하는 저류조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유출관을 포함하는 제1박스열과;상기 제1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1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된 제2박스열;상기 2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2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된 제3박스열;상기 제3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3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3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하방으로 설치된 제4박스열;상기 제4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4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4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된 제5박스열;상기 제5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5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5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설치된 제6박스열;상기 제6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6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6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하방으로 설치된 제7박스열;상기 제7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7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7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된 제8박스열; 및상기 제8박스열의 상층박스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상층박스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8박스열의 저류조 측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8박스열의 유출관이 설치된 측방 및 하방으로 설치된 제9박스열;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오폐수 전처리 장치의 박스열 내부에 충진된 여재는 왕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오폐수 처리장치는,제 4 항의 오폐수 전처리장치와 연결되며,상기 연결시에는 제 4 항의 오폐수 전처리장치의 저류조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여과된 오폐수가 제 3 항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최상층 박스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2833A KR20020043737A (ko) | 2000-12-04 | 2000-12-04 | 오폐수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2833A KR20020043737A (ko) | 2000-12-04 | 2000-12-04 | 오폐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43737A true KR20020043737A (ko) | 2002-06-12 |
Family
ID=2767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2833A KR20020043737A (ko) | 2000-12-04 | 2000-12-04 | 오폐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4373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402B1 (ko) * | 2006-04-12 | 2007-08-28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
KR101880612B1 (ko) * | 2016-03-23 | 2018-07-2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
CN111153488A (zh) * | 2020-01-13 | 2020-05-15 | 南京公诚节能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复合生物滤料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67390A (en) * | 1978-11-14 | 1980-05-21 | Kyoto Suiken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
JPS62179095U (ko) * | 1986-05-01 | 1987-11-13 | ||
WO1996033136A1 (de) * | 1995-04-20 | 1996-10-24 | Anton Schlatte | Kläranlage |
KR970069897A (ko) * | 1997-08-07 | 1997-11-07 | 류종원 | 목편을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
-
2000
- 2000-12-04 KR KR1020000072833A patent/KR20020043737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67390A (en) * | 1978-11-14 | 1980-05-21 | Kyoto Suiken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
JPS62179095U (ko) * | 1986-05-01 | 1987-11-13 | ||
WO1996033136A1 (de) * | 1995-04-20 | 1996-10-24 | Anton Schlatte | Kläranlage |
KR970069897A (ko) * | 1997-08-07 | 1997-11-07 | 류종원 | 목편을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402B1 (ko) * | 2006-04-12 | 2007-08-28 |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
KR101880612B1 (ko) * | 2016-03-23 | 2018-07-2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모듈 타입의 오폐수 여과 장치 |
CN111153488A (zh) * | 2020-01-13 | 2020-05-15 | 南京公诚节能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复合生物滤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97568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a biological reactor to purify water | |
US3713543A (en) | Activated sewage plant | |
US8287733B2 (en) | Membrane bioreactor | |
US3846305A (en) |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 |
AU2006284174B2 (en) | Waste water purifying device | |
KR100921194B1 (ko) | 축산폐수의 퇴비 및 액비 자원화 및 여과수 고도정화처리장치 | |
CN113979603A (zh) | 一种填料可替换双层种植套筒活水式模块化人工湿地装置 | |
WO2005066081A1 (en) | Waste water treatment plant and method | |
KR100419959B1 (ko) |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 |
CN204824353U (zh) | 倒置式曝气生物滤池 | |
KR20020043737A (ko) | 오폐수 처리장치 | |
JP2795620B2 (ja) |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 |
KR20000000745A (ko) |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스템 | |
KR100873052B1 (ko) |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 |
KR100880535B1 (ko) |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 |
GB2396312A (en) | A biological filter with backwash means | |
CN214244101U (zh) | 一种农村污水处理系统 | |
KR101543548B1 (ko) |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 |
US6592755B1 (en) |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 |
KR100584881B1 (ko) | 무동력 자연순환형 폐,하수 처리장치 | |
CN2908469Y (zh) | 油田洗井废水处理系统 | |
CN111977813B (zh) | 一种人工湿地污水处理系统 | |
KR100304404B1 (ko) | 고정생물막 및 연속역세척 여과공법에 의한 밀집형 고도 하폐수처리방법 | |
KR100487595B1 (ko) | 무반송 연속 정화공정을 이용한 하천수처리설비 및하천수처리공법 | |
CN212610102U (zh) | 一种河道排污口处理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