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604B1 -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604B1
KR101880604B1 KR1020170175028A KR20170175028A KR101880604B1 KR 101880604 B1 KR101880604 B1 KR 101880604B1 KR 1020170175028 A KR1020170175028 A KR 1020170175028A KR 20170175028 A KR20170175028 A KR 20170175028A KR 101880604 B1 KR101880604 B1 KR 10188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casing
emitting elemen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태
Original Assignee
박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태 filed Critical 박우태
Priority to KR102017017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7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상태의 확인 및 피부관리를 함께 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된 거울을 통하여 피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테두리에 구비된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차광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피부에 조사 가능하여, 피부상태의 확인, 피부 노폐물의 확인 및 주름 개선관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Portable skin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상태의 확인 및 피부관리를 함께 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된 거울을 통하여 피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테두리에 구비된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차광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피부에 조사 가능하여, 피부상태의 확인, 피부 노폐물의 확인 및 주름 개선관리와 같은 피부관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광역학치료(Photodynamic Therapy)는 암세포 또는 감염세포 선택성이 있는 광민감성 물질(Photosensitizers)을 처리한 피부 세포에 광민감성 물질을 여기시킬 수 있는 특수 에너지 파장의 빛을 조사해 줌으로써 여기된 광민감성 물질이 세포 내 산소 분자를 활성이 강한 1항상태(singlet oxygen)의 산소분자로 만들어 줌으로써 암세포 또는 감염세포를 파괴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광역학치료 시에 광민감성 물질을 여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일정 파장의 빛 에너지를 조사하는 데에는 단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이는 고가의 레이저 발진기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저가의 LED를 사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피부 표면처럼 빛이 도달하는데 별다른 방해물이 없는 경우에는 LED가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를 치료하는데 LED를 이용한 피부 케어 장치가 연구되고 있으며, 피부 케어 장치의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15호(2016.08.09. 엘이디 마스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 제10-1648415호는 합성 수지 재질로서 안면을 가릴 수 있도록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로 이루어진 마스크와 외부커버와 내부커버 사이로 형성된 공간으로 설치 구성되고, 안면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와 LED를 On/Off 시키는 컨트롤러로 구성하되, 마스크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 되며, 착용한 내부커버가 안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 고정대와 결합부와 머리 고정대 사이로 형성되어 안면에 착용한 마스크의 상,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하되, 마스크에 형성되는 개구홀과 개구홀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밀착되어 LED의 빛이 사용자의 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648415호는 LED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LED에서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안면을 전부 덮는 마스크 형태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피부 케어 장치의 종래기술로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372호(2016.05.02. 스킨캐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 제10-1619372호는 자연광 혹은 인공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면, 인체의 피부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자연광 혹은 인공광으로부터 제1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여기(excitation)된 후 완화(relaxation)되면서 제2파장의 빛을 상기 인체의 피부로 방출하는 포스퍼(phosphor) 물질을 포함하는 포스퍼층-상기 제2파장의 빛은 상기 인체의 피부 조직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피부 조직에 대한생물자극을 일으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등록특허 제 10-1619372호는 주변광을 이용하여 피부를 개선시키는 장치로서,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외부 광원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15호(2016.08.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372호(2016.05.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026호(2014.08.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927호(2016.06.28.)
본 발명은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는 안면 전체를 덮는 마스크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고;
또한 피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울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특정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가 구비된 거울 형태의 피부 관리장치는 피부상태의 확인 또는 피부 관리를 위한 빛의 파장이 서로 달라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정 영역의 빛을 동시에 조사하여, 조사된 빛의 간섭으로 인한 피부상태의 확인 또는 피부 관리가 미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전면의 내측에 거울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상기 케이싱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전방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차광판을 구비하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는 케이싱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는 케이싱의 전면에 거울이 구비되고, 케이싱의 테두리에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 가능한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구비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휴대하며 피부상태 확인과 피부 관리를 일괄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차광부의 차광판으로 선택하며 피부에 조사 가능하여, 피부상태 확인을 위하여 조사되는 빛, 피부관리를 위하여 조사되는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 보다 완벽하게 피부상태를 확인하거나 피부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차단 격판이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차광부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제1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제1통과홀을 통하여 인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제2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제2통과홀을 통하여 인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제3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제3통과홀을 통하여 인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의 인쇄회로기판과 차광판이 경사진 상태로 구성되는 경우 및 투광홀에 광필터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본 발명은 피부상태의 확인 및 피부관리를 함께 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의 내측에 거울(20)을 구비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구비하는 광원부(30)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 전방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차광판(43a, 43b, 43c)을 구비하는 차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이하, ‘피부 관리장치’라 칭함.)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장치는 거시적으로 케이싱(10), 광원부(30) 및 차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0)은 전면의 내측에 거울(2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피부 관리장치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구성이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단일 개의 것으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케이싱(10) 유닛이 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하기 광원부(30)에 포함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32), 상기 광원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가 내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10)의 전면, 측부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배터리(12)에서 광원부(30)에 포함된 발광소자(31a, 31b, 31c)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조절시키는 스위치(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배터리(12)는 교체 가능한 일반적인 건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피부상태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20)이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거울(20)은 케이싱(10)의 외주 형태와 동일한 외주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외주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거울(20)은 케이싱(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여, 케이싱(10)의 전면 테두리에서는 하기 광원부(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피부상태를 명확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파장 영역을 빛을 조사하는 소정 개의 발광소자(31a, 31b)와 피부관리에 도움이 되는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소정 개의 발광소자(31c)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광원부(30)는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포함되는 배터리(12)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는 케이싱(10)의 전면 테두리에 해당하는 일정 부분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31a, 31b, 31c)는 엘이디소자와 같은 발광소자(31a, 31b, 31c)로 구성되어, 작은 전원으로 발광 가능하고 발광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30)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포함하여 케이싱(10)의 전면 쪽으로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피부상태를 확인할 경우에는 피부상태 확인에 용이한 빛을 이용하고, 피부관리를 할 경우에는 피부관리에 효과가 있는 빛을 이용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2);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78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를 포함하는 제1발광소자 라인(33);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를 포함하는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를 포함하는 제3발광소자 라인(35);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광원부(30)는 거시적으로 인쇄회로기판(32), 제1발광조사 라인,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2발광소자 라인(34)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32)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 지지시키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터리(12)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스위치(11)와 연결되어 발광소자(31a, 31b, 31c)들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배터리(12)의 과충전을 방지시키기 위한 과충전 방지칩(미도시)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2)은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어 케이싱(10)의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공간 측부에 각각의 인쇄회로기판(32)이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케이싱(10)의 테두리의 일정부분과 동일한 형태의 외주를 가지는 단일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은 각각이 소정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31a, 31b, 31c)들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78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평상시에 피부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장치를 사용할 때를 위하여 백색광의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는 케이싱(10) 테두리의 외측에 해당하는 테두리 영역을 따라 일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열되고, 제1발광소자(31a)에서 조사된 빛은 케이싱(10)의 전면 쪽에 위치된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된 후 반사되어 거울(20)에 사용자의 피부가 상으로 맺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은 400~780nm 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가시광선 파장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일반적인 낮 또는 백색광의 조명 상태처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2발광소자 라인(3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피부에 존재하는 피지 또는 얼룩과 같은 노폐물, 치아에 끼인 플라그(plaque) 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장 영역의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부에 존재하는 피지 또는 얼룩과 같은 노폐물은 400~410nm의 파장 영역의 빛이 피부에 조사된 경우에 명확하게 거울(20)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확인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상기 파장 영역의 빛은 제2발광소자 라인(34)에 의하여 발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발광소자 라인(34)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는 상기 제1발광소자(31a)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 테두리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열되고,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은 청색광을 띠며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된 후 반사되어 거울(20)에 사용자의 피부가 상으로 맺힐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존재하는 노폐물 및 치아에 끼인 플라그는 피부 또는 치아와 서로 다른 색으로 구현되며 거울(20)에 맺힌다.
더불어 상기 제3발광소자 라인(3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피부관리에 유용한 파장 영역의 빛을 발광시키는 구성이다.
즉, 공지의 기술에 의하면,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은 주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져 있고, 상기 제3발광소자 라인(35)을 형성시키는 제2발광소자(31b)는 상기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 개선의 효과를 실현시키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는 상기 제2발광소자(31b)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 테두리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면 배열되고, 청광색에서 녹광색 계열의 색을 띠며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된 후 피부에 흡수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을 하는 제1발광소자(31a)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31b)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31c)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3발광소자 라인(35)은 단일의 인쇄회로기판(32)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순차적 실장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이 서로 분리된 상태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각각 실장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이 서로 분리된 상태의 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실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에 포함된 발광소자(31a, 31b, 31c)가 손상되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 손상된 발광소자(31a, 31b, 31c)가 포함된 인쇄회로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의 사이사이에는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 및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이 하기의 차광부(40)에 포한된 차광판(43a, 43b, 43c)을 통과하기 이전에 서로 간섭되어, 일부 파장 영역의 빛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차단 격판(36)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 격판(36)은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의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32)의 상부 또는 케이싱(10)의 일정 부분에 배치되는 구성을 하여,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에서 발광된 빛이 인접된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에서 발광된 빛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각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에서 발광된 빛이 소실없이 하기 차광부(40)의 차광판(43a, 43b, 43c)을 통하여 케이싱(10)의 외부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피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차광부(4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 전방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차광판(43a, 43b, 43c)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발광된 빛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차광부(40)는 차광판(43a, 43b, 43c)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켜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각각 발광된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이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피부상태 확인이 용이한 파장 영역의 빛, 피부의 노폐물을 용이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파장 영역의 빛 및 피부관리에 효과가 있는 파장 영역의 빛이 일괄적으로 발광되어 피부에 도달하는 동안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 중 특정 영역의 빛만이 사용자의 피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영역 이외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부(40)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방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에 각각 대응하는 링형태의 제1절개홈(42a), 제2절개홈(42b) 및 제3절개홈(42c)이 형성된 차광판 프레임(41); 상기 제1절개홈(4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투광홀(44a)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1차광판(43a); 상기 제2절개홈(42b)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투광홀(44b)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2차광판(43b) 및; 상기 제3절개홈(42c)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3투광홀(44c)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3차광판(43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차광부(40)는 거시적으로 차광판 프레임(41), 제1차광판(43a),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은 상기 케이싱(10)의 전방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에 각각 대응하는 링형태의 제1절개홈(42a), 제2절개홈(42b) 및 제3절개홈(42c)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발광소자(31a, 31b, 31c) 라인 각각에서 발광된 빛을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차광판(43a, 43b, 43c) 역할을 하는 제1차광판(43a),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을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은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되, 내측에는 상기 거울(20)을 내입시킬 수 있는 빈공간이 형성되는 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빈공간의 외측에는 링형태의 제1절개홈(42a), 제2절개홈(42b) 및 제3절개홈(42c)이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절개홈(42a)은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발광소자 라인(33)을 이루는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절개홈(42b)은 상기 제2발광소자 라인(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발광소자 라인(34)을 이루는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절개홈(42c)은 상기 제3발광소자 라인(3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3발광소자 라인(35)을 이루는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절개홈(42a), 제2절개홈(42b) 및 제3절개홈(42c)은 링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을 각각 형성시키는 발광소자(31a, 31b, 31c)들 역시 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차광판(43a)은 상기 제1절개홈(4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투광홀(44a)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구성으로서, 제1발광소자 라인(33)에서 발광된 후 제1절개홈(42a)을 통하여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는 빛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차광판(43a)은 링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개홈(42a)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의 제1절개홈(42a)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차광판(43a)이 긴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차광판(43a)의 외주 일부분이 내입될 수 있는 링형태의 차광판 체결홈(42a-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광판(43a)은 빛이 통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차광판(43a)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투광홀(44a)은 제1차광판(43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1투광홀(44a)이 제1발광소자(31a)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1투광홀(44a)은 제1발광소자 라인(33)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가 이루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1차광판(43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차광판(43b)은 상기 제2절개홈(42b)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투광홀(44b)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구성으로서, 제2발광소자 라인(34)에서 발광된 후 제2절개홈(42b)을 통하여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는 빛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차광판(43b)은 링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2절개홈(42b)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의 제2절개홈(42b)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차광판(43b)이 긴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2차광판(43b)의 외주 일부분이 내입될 수 있는 링형태의 차광판 체결홈(42b-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광판(43b)은 빛이 통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차광판(43b)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투광홀(44b)은 제2차광판(43b)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투광홀(44b)이 제2발광소자(31b)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2투광홀(44b)은 제2발광소자 라인(34)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가 이루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2차광판(43b)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차광판(43b)은 상기 제3절개홈(42c)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3투광홀(44c)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구성으로서, 제3발광소자 라인(35)에서 발광된 후 제3절개홈(42c)을 통하여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는 빛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3차광판(43c)은 링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3절개홈(42c)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의 제3절개홈(42c)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차광판(43c)이 긴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3차광판(43c)의 외주 일부분이 내입될 수 있는 링형태의 차광판 체결홈(42c-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차광판(43c)은 빛이 통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차광판(43c)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3투광홀(44c)은 제3차광판(43c)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3투광홀(44c)이 제3발광소자(31c)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3투광홀(44c)은 제3발광소자 라인(35)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가 이루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3차광판(43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ⅰ) 도 5a와 같이, 사용자가 피부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2차광판(43b)을 회전시켜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또한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3차광판(43c)을 회전시켜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 역시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백광색의 빛만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ⅱ)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피지 또는 얼룩과 같은 노폐물, 치아에 끼인 플라그(plaque)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1차광판(43a)을 회전시켜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3차광판(43c)을 회전시켜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 역시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청광색의 빛만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ⅲ) 도 5c와 같이, 사용자가 피부관리를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1차광판(43a)을 회전시켜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이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차광판 프레임(41)에서 상기 제2차광판(43b)을 회전시켜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 역시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청광색에서 녹광색 계열의 빛만이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광부(40)에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이 포함되는 구성을 하는 경우, 상기 제2투광홀(44b)에는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 이외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제1광필터(4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투광홀(44c)에는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 이외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제2광필터(46)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발광소자(31b) 및 제3발광소자(31c)는 각각이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과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을 주되게 발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지만, 일반적인 발광소자(31a, 31b, 31c)의 특성상 상기 파장 영역의 빛뿐만 아니라 상기 범위 파장 영역의 빛도 부가적으로 발광시킨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1광필터(45)는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을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투광홀(44b)에 구비되어,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 중 400~410nm 파장 영역 이외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필터링하여, 제2발광소자(31b)에 의한 피부상태 확인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필터(46) 역시,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을 케이싱(10) 전방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3투광홀(44c)에 구비되어,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 중 425~600nm 파장 영역 이외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필터링하여, 제3발광소자(31c)에 의한 피부관리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피부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거울(20)을 보면, 거울(20)의 중앙에 확인하고자 하는 피부의 일부분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광원부(3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발광된 빛이 사용자가 확인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의 일정부분에 보다 집중 조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케이싱(10)의 전방 중앙 쪽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32)은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가 케이싱(10)의 전방 중앙 쪽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에 형성된 제1차광판(43a),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 역시 상기 인쇄회로기판(32)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들이 케이싱(10) 전방 중앙 쪽으로 경사진 형태의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면, 발광소자(31a, 31b, 31c)들 각각에서 발광된 빛은 케이싱(10)의 전방 중앙 쪽에 배치된 거울(20)의 전방으로 발광되고,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가 거울(20)의 전방 중앙 쪽에 위치시킨 피부 일정부분에 발광소자(31a, 31b, 31c)들 각각에서 발광된 빛이 보다 집중적으로 조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에 형성된 제1차광판(43a),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 역시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와 대응하도록 경사진 상태를 가져, 제1발광소자(31a), 제2발광소자(31b) 및 제3발광소자(31c) 각각에서 발광된 빛이 제1투광홀(44a)의 내주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제2투광홀(44b)의 내주를 형성시키는 모서리 및 제3투광홀(44c)의 내주를 형성시키는 모서리에서 회절되어, 거울(20) 전방의 중앙 쪽 이외의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케이싱 11 : 스위치
12 : 배터리 20 : 거울
30 : 광원부 31a, 31b, 31c : 발광소자
32 : 인쇄회로기판 33 : 제1발광소자 라인
34 : 제2발광소자 라인 35 : 제3발광소자 라인
36 : 차단 격판 40 : 차광부
41 : 차광판 프레임 42a : 제1절개홈
42a-1 : 체결홈 42b : 제2절개홈
42b-1 : 체결홈 42c : 제3절개홈
42c-1 : 체결홈 43a, 43b, 43c : 차광판
44a : 제1투광홀 44b : 제2투광홀
44c : 제3투광홀 45 : 제1광필터
46 : 제2광필터

Claims (5)

  1. 전면의 내측에 거울(20)을 구비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를 구비하는 광원부(30)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 전방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차광판(43a, 43b, 43c)을 구비하는 차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2);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78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를 포함하는 제1발광소자 라인(33);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를 포함하는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32)에 실장되되,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보다 안쪽에 해당하는 케이싱(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를 포함하는 제3발광소자 라인(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의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32)의 상부 또는 케이싱(10)에는 제1발광소자(31a)에서 발광된 빛, 제2발광소자(31b)에서 발광된 빛 및 제3발광소자(31c)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차광부(40)에 포함된 차광판(43a, 43b, 43c)을 통과하기 이전에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차단 격판(36)이 더 구비되는 구성되며,
    상기 차광부(40)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방 테두리에 체결되고,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에 각각 대응하는 링형태의 제1절개홈(42a), 제2절개홈(42b) 및 제3절개홈(42c)이 형성된 차광판 프레임(41); 상기 제1절개홈(4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a)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투광홀(44a)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1차광판(43a); 상기 제2절개홈(42b)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1b)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투광홀(44b)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2차광판(43b) 및; 상기 제3절개홈(42c)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발광소자(31c)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3투광홀(44c)이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3차광판(43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투광홀(44b)에는, 400~410nm 파장 영역의 빛 이외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제1광필터(4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투광홀(44c)에는, 425~600nm 파장 영역의 빛 이외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제2광필터(46)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2)은,
    상기 제1발광소자 라인(33), 제2발광소자 라인(34) 및 제3발광소자 라인(35)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31a, 31b, 31c)가 케이싱(10)의 전방 중앙 쪽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판 프레임(41)에 형성된 제1차광판(43a), 제2차광판(43b) 및 제3차광판(43c) 역시 상기 인쇄회로기판(32)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KR1020170175028A 2017-12-19 2017-12-19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KR10188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28A KR101880604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28A KR101880604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604B1 true KR101880604B1 (ko) 2018-07-20

Family

ID=6310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28A KR101880604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671B1 (ko) * 2020-02-03 2020-08-05 권도근 Led를 이용한 피부 미용 복합 기기
CN116193038A (zh) * 2023-02-24 2023-05-30 无锡宇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活动激光定位灯的扫描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320A (ja) * 2003-11-21 2005-06-16 Yoshida Industry Co Ltd 携帯用ケース
KR101428026B1 (ko) 2012-06-13 2014-08-07 (주)블루앤 스킨케어 미용보조기
KR20140098624A (ko) * 2013-01-31 2014-08-08 정명희 조명수단을 구비한 콤팩트 거울
KR101619372B1 (ko) 2014-09-15 2016-05-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킨캐어장치
KR101635927B1 (ko)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1648415B1 (ko) 2015-11-24 2016-08-16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엘이디 마스크 장치
KR20170007986A (ko) * 2015-07-13 2017-01-23 정윤주 화장품 용기
KR101833421B1 (ko) * 2017-08-08 2018-02-28 박우태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거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320A (ja) * 2003-11-21 2005-06-16 Yoshida Industry Co Ltd 携帯用ケース
KR101428026B1 (ko) 2012-06-13 2014-08-07 (주)블루앤 스킨케어 미용보조기
KR20140098624A (ko) * 2013-01-31 2014-08-08 정명희 조명수단을 구비한 콤팩트 거울
KR101619372B1 (ko) 2014-09-15 2016-05-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킨캐어장치
KR20170007986A (ko) * 2015-07-13 2017-01-23 정윤주 화장품 용기
KR101648415B1 (ko) 2015-11-24 2016-08-16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엘이디 마스크 장치
KR101635927B1 (ko)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1833421B1 (ko) * 2017-08-08 2018-02-28 박우태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거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671B1 (ko) * 2020-02-03 2020-08-05 권도근 Led를 이용한 피부 미용 복합 기기
CN116193038A (zh) * 2023-02-24 2023-05-30 无锡宇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活动激光定位灯的扫描设备
CN116193038B (zh) * 2023-02-24 2023-11-21 无锡宇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活动激光定位灯的扫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533B1 (ko) 엘이디 마스크
KR102034145B1 (ko) 엘이디 마스크
KR100000013B1 (ko) 눈 보호 및 눈주름 개선용 광 의료기
US9415237B2 (en) Light treatment system
KR101880604B1 (ko) 휴대용 피부 관리장치
EP2368599A1 (en) Hair growth device
US20220152417A1 (en) Mask device for skincare using light
CN110114116B (zh) 光照射器以及光遮蔽构件
CN1353620A (zh) 带有光敏剂的美容脱毛工具箱
KR20160139108A (ko) 광 조사장치
KR101942547B1 (ko) Led 전신 치료기
KR20140090332A (ko) 테라피 글라스
KR101611986B1 (ko) 개인용 광역학 치료 패치 및 이를 구비한 광역학 치료장치
KR101181580B1 (ko) 접착식 칼라라이트 패치
CA2112444A1 (en) Medical Laser Apparatus and Diagnosing/Curing Apparatus Using the Medical Laser Apparatus
KR20200035711A (ko)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WO2022050151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コンタクトレンズ用ケース、コンタクトレンズユニット
KR102470632B1 (ko) 백반증 치료 장치
ES2903420T3 (es) Dispositivo terapéutico para irradiar la superficie de un tejido
KR20220040756A (ko) 비타민 d 합성 유도를 위한 led 웨어러블 디바이스
TWI833370B (zh) 光療裝置
KR101561448B1 (ko)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KR20200099677A (ko) 휴대용 led 피부미용기기
KR102642026B1 (ko) 양자점 기반 파장변환형 조명장치
JP3232446U (ja) 感染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