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48B1 -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 Google Patents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48B1
KR101561448B1 KR1020150038660A KR20150038660A KR101561448B1 KR 101561448 B1 KR101561448 B1 KR 101561448B1 KR 1020150038660 A KR1020150038660 A KR 1020150038660A KR 20150038660 A KR20150038660 A KR 20150038660A KR 101561448 B1 KR101561448 B1 KR 10156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d
guide plate
led l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박정례
Original Assignee
동방국제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국제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국제지주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충분한 광확산 및 광추출을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의 빛을 추출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스크래치에 강하고, 도광판 전체에 걸쳐 충분한 빛의 강도 및 광출사량을 얻을 수 있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를 제시한다. 그 광치료기는 다수개의 LED 광원을 탑재한 LED 림 및 LED 림을 중심으로 양측의 배치된 한 쌍의 도광판을 포함하며, 도광판은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에는 다수개의 미립자가 층을 이루어 형성된 광출사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Optical curer using light guide plate having fine particle layer}
본 발명은 광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전반사를 유도하는 미립자가 패턴 형태로 도포된 도광판을 이용하여, 광선요법으로 안면을 치료하는 광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LED와 같은 광원은, 태양광이 엽록소(chlorophyll)를 통해 식물 세포에서 변환되는 원리와 유사하게, 세포간의 광-생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광선요법은, 광원의 광자(photon)가 세포조직의 색소포(chromatophore)나 광수용기(photo-acceptor)에 흡수되어 세포의 대사활동을 촉진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세포에 흡수된 빛은 세포조직 내 ROS와 ATP 합성을 증가시킨다. ROS는 유전자 생산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적색과 근적외선 광에 노출된 세포는 NO를 방출한다. 적절한 시간 및 주기로 선택된 파장의 빛은 세포 내 시토크롬 c 산화제(cytochrome c oxidize)와 같은 광수용기에 의해 흡수된다. 흡수된 빛은 억제 NO를 광분해하고, 효소 활성화 및 미토콘드리아의 대사와 ATP 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과 같은 단백질이 부가적인 NO를 방출하고, 이것은 연속적인 세포 내 생화학 반응으로 이어진다.
최근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원 중 LED 광원을 이용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LED 광원은, 고출력 레이저(laser)로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LED 광원은 파장 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에너지가 낮아 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미국 FDA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LED 광원을 이용한 치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LED 광원의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부피가 작아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
한편, 빛이 도광판의 일측 면으로만 전파되어 면광원을 이루는 LED 광치료기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64780호에 의하면, 제1방향과 제2방향의 2차원으로 배열된 다수의 마이크로 오목렌즈를 포함하며, 각각의 오목렌즈 및 오목렌즈들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곡률이 0보다 크거나 작은 광분산 구조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하는 LED 광치료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한 LED 광치료기는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오목렌즈는 제조하기 어렵고, 사용 중에 마이크로 오목렌즈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상기 도광판의 기능을 상실한다. 상기 마이크로 오목렌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기 어려워, 다양한 파장의 빛을 도광판으로부터 방출하기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광치료기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광치료기는 도광판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어서, 도광판 전체에 걸쳐 빛의 강도(intensity) 및 광출사량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충분한 광확산 및 광추출을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의 빛을 추출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스크래치에 강하고, 도광판 전체에 걸쳐 충분한 빛의 강도 및 광출사량을 얻을 수 있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는 다수개의 LED 광원을 탑재한 LED 림 및 상기 LED 림을 중심으로 양측의 배치된 한 쌍의 도광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은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에는 다수개의 미립자가 층을 이루어 형성된 광출사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LED 림의 양측은 빛이 측면으로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차단판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LED 림은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연질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림의 내부는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LED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이 조합된 픽셀을 이루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하나의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은 도트패턴 또는 라인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패턴일 수 있다. 상기 광출사패턴의 중심부는 상기 패턴의 주변부에 비해 상기 패턴의 간격이 넓을 수 있다. 상기 광출사패턴은 상기 미립자가 패인 홈에 충진되어 홈패턴을 이룰 수 있고, 상기 미립자가 평면상에 충진되어 평면 패턴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미립자가 부분적으로 홈에 충진되고 부분적으로 평면상에 돌출되어 복합패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출사패턴이 형성된 상기 출사면은 경화층으로 덮이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층을 이루며, 상기 층은 n1 또는 n2의 굴절율 범위를 가진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n1의 범위의 상기 제1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이 상기 n2의 범위의 상기 제2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보다 작은 것이 좋다. 상기 층은 굴절율이 n1의 범위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제1 미립자층 및 굴절율이 n2의 범위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제2 미립자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n1의 범위의 상기 제1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이 상기 n2의 범위의 상기 제2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을 이루는 미립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층은 양자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미립자는 표면에 굴절율이 다른 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크기가 작은 미립자가 큰 미립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에 의하면, 미립자가 일정한 패턴으로 도포된 도광판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방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충분한 광확산 및 광추출을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가 채용된 도광판의 표면을 경화 코팅하여, 이물질에 의해 도광판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막고,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광판을 사용자의 눈을 중심으로 분리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빛의 강도 및 광출사량을 높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광치료기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적용된 도트패턴을 가진 제1 광출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도광판에 적용된 라인패턴을 가지 제1 광출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립자가 도포된 도광판을 사용하고 상기 도광판의 표면을 경화 코팅함으로써,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충분한 광확산 및 광추출을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의 빛을 추출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스크래치에 강하고, 도광판 전체에 걸쳐 충분한 빛의 강도 및 광출사량을 얻을 수 있는 LED 광치료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LED 광치료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기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을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LED 광치료기는 사용자 안면의 피부의 손상을 치료하거나 피부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에 조사된 빛은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광치료기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배면이란 상기 도광판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바라보는 방향의 면이며, 정면이란 상기 배면과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치료기는 LED 림(rim, 20), 걸이부(22), 도광판(10) 및 마무리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광판(10)은 LED 림(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도광판(10a, 10b)으로 이루어진다. 도광판(10)의 끝부분은 마무리부(17)를 통하여 마무리된다. 도광판(10)은 빛을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여 출사한다.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립자가 형성된 제1 광출사패턴(a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광출사패턴(a1)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걸이부(22)에는 전원(30)이 전원선(32)으로 연결되어, LED 림(20) 내의 다수개의 LED 광원(4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30)은 통상적인 어댑터(adapt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모바일 기기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LED 림(20) 및 걸이부(22)는 안경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LED 림(20) 내부의 공간(21)은 빈 공간일 수 있고, 렌즈가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광치료기를 착용하였을 때, LED 림(20)의 내부 공간은 투명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좋다. LED 림(20)의 다수개의 LED 광원(40)에서 방출된 빛은 도광판(10)의 미립자(15)를 거쳐 사용자의 안면을 비추게 된다. 미립자(15)를 거친 상기 빛은 확산되고 산란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조사되지 않는다. 만일, LED 광원(40)에 의한 빛이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쏘이면, 사용자의 안면에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치료기는 확산되고 산란된 빛이므로,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광치료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수단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치료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코걸이(23), 연질 보호부(24) 및 측면 차단판(25)을 부가할 수 있다. 코걸이(23)는 사용자가 광치료기를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질 보호부(24)는 사용자 및 광치료기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한다. 연질 보호부(24)는 고무와 같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닿는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측면 차단판(25)은 광치료기의 측면으로 빛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 차단판(25)을 부착하면, 상기 빛이 본 발명의 광치료기 내에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측면 차단판(25)에 의해, 도광판(10)의 빛을 사용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 적용되는 도광판(10)은 LED와 같은 광원(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도광판 기재(12) 전체에 걸쳐 전반사에 의해 전파한다. 도광판 기재(12)에서 상기 빛이 인입되는 입사면은, 빛의 확산을 위하여, 패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3)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3)의 형상은 도광판 기재(12)의 크기, 폭,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오목부(13)는 경우에 따라, 곡면을 따라 복수개의 마이크로 오목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 기재(12)는 빛이 도파되는 투명한 물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PMMA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 강화유리와 같은 유리 재질일 수 있다. 도광판 기재(12)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층의 경우 굴절율을 서로 달리하여 전반사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40)을 도광판(20)의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광원(40)은 도광판(20)의 출사면의 반대 측에 배치되었다. 편의상, 도광판(20)의 출사면을 전면, 출사면의 반대면을 후면이라고 할 때, 전면 및 후면 사이의 면을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 광원(40)을 상기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3)는 상기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40)의 위치는 본 발명의 광치료기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립자(15)가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1 광출사패턴(a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광출사패턴(a1)은 홈패턴(14)이 도트 형태의 패턴 또는 라인 형태의 패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패턴을 이루는 것이다. 홈패턴(14)은 단면으로 보아, 사각형, 원형의 일부 또는 타원형의 일부 또는 그들의 조합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홈패턴(14)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표현하였다. 상기 원형의 일부 또는 타원형의 일부는 각각 원형의 구체 또는 타원형의 구체의 일부를 가지는 홈패턴(14)을 이룬다. 홈패턴(14)의 깊이는 채워지는 미립자(15)의 종류, 미립자(15)의 크기, 홈패턴(14)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1 광출사패턴(a1)이 형성된 도광판 기재(12)는 투명한 경화수지로 도포되어 경화된 경화층(16)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경화수지는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경화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등에 여러 가지의 아크릴 단위체와 자외선 경화 촉매를 배합해서 만든다. 경화층(16)은 경도가 높고, 탄성도 우수하며, 장기간 써도 유해물질이 분해되어 나올 염려도 없다. 경화층(16)은 도광판(10)의 홈패턴(14)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스크래치에 강해진다. 도면에는 상세하게 표현하지 않았지만, 경화층(16)의 일부는 제1 광출사패턴(a1)으로 파고들어, 기재(12)에 주입된 빛의 산란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도광판(10)은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3)가 있고,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은 미립자(15)가 층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1 광출사패턴(a1)이 존재한다. 도광판 기재(12)는 대략 3,000㎛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500㎛가 좋다. 미립자(15)는 휘발성 용매에 혼합된 미립자(15)의 콜로이드 용액 형태로 잉크젯 방식, 정전분무 방식 또는 분사법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출사패턴(a1)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도광판 기재(12) 상에 부착시킨 후에, 스크린 프린팅 또는 롤 코팅을 할 수 있다. 이중에서 정전분무 방식이 바람직하다. 도광판(10)은 굳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립자(15) 사이는 공기층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바인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 등의 문제가 있고, 공급되는 미립자(15)의 양이 공기층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LED 림(20)의 상부에는 도광판 기재(12)의 오목부(13)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LED 광원(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 기재(12) 및 LED 광원(40)을 감싸는 부분은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광층(42)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층(42)은 차광의 특성을 가진 물질이 포함된 필름을 접착하여 형성하거나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차광용 물질은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차광 특성이 있는 물질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차광용 물질은 카본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철, 크롬 및 그 합금, 은 및 그 합금, 주석 및 그 합금과 금속 분말 또는 고분자 재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에는 도광판 기재(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28)가 위치한다. 즉, 도광판 기재(12)의 끝부분은 고정부(28)에 부착된 상태로 LED 림(20)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LED 광원(40)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LED 광원(40)이 조합된 픽셀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LED 광원(4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LED 림(2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셀은 적색 LED, 청색 LED, 녹색 LED가 조합되거나, 적색, 청색, 녹색 LED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 사용되는 LED 광원(40)은 하나의 파장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치료기에 사용되는 LED 광원(40)은 모두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도광판(10)에 적용된 도트패턴(14a)을 가진 제1 광출사패턴[a1(1)]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도광판(10)에 적용된 라인패턴(14b)을 가진 제1 광출사패턴[a1(2)]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에 따르면, 도트패턴(14a)은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도트 형태를 가진다. 도트패턴(14a)의 가로(W1) 및 세로(W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10)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광판(10)의 투명성을 강조하면 가로(W1) 및 세로(W2)의 크기는 작고, 투명성이 고려되지 않으면 상기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투명성을 강조하는 경우, 가로(W1) 및 세로(W2)는 100㎛ ~ 1,000㎛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투명성이 강조되지 않으면, 가로(W1) 및 세로(W2)는 수mm ~ 수십mm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광치료기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패턴(14a)은 사각형뿐 아니라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트패턴(14a) 사이의 간격(D1, D2)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간격(D1, D2)은 도광판(10)에서 출사되는 광량 및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면광원을 이루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트패턴(14a)은 도광판 기재(12)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 기재(12)의 중심부과 주변부의 면적 및 간격(D1, D2)이 다를 수 있다. 빛이 입사하는 오목부(13) 주변을 중심부라고 할 때, 상기 중심부의 상기 간격(D1, D2)은 넓게 하고, 상기 중심부에 벗어날수록 상기 간격(D1, D2)을 점차로 좁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심부의 도트패턴(14a)의 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주변부에서는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도광판 기재(12)에서 출사되는 광량 및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 등을 고려된 것이다.
도 4b에 따르면, 라인패턴(14b)은 띠 형태의 스트라이프(stripe) 모양이다. 라인패턴(14b)의 폭(W3)은 도트패턴(14a)과 마찬가지로 투명성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광판(10)의 투명성을 강조하면 폭(W3)의 크기는 작고, 투명성이 고려되지 않으면 상기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투명성을 강조하는 경우, 폭(W3)은 100㎛ ~ 1,000㎛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투명성이 강조되지 않으면, 폭(W3)은 수mm ~ 수십mm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인패턴(14b)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길이 방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12)의 양끝 부분으로 갈수록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할 수 있다. 라인패턴(14b)은 일정한 곡률을 가진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라인패턴(14b) 사이의 간격(D3)은 도광판 기재(12)에서 출사되는 광량 및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라인패턴(14b)은 도광판 기재(12)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이 입사하는 오목부(13) 주변을 중심부라고 할 때, 상기 중심부의 상기 간격(D3)은 넓게 하고, 상기 중심부에 벗어날수록 상기 간격(D3)을 점차로 좁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심부의 라인패턴(14b)의 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주변부에서는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도광판 기재(12)에서 출사되는 광량 및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 등을 고려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광출사패턴(a1)은 도트패턴(14a) 및 라인패턴(14b)이 조합될 수 있다. 즉, 도광판(10)의 중심부는 도트패턴(14a)으로 하고, 주변부는 라인패턴(14b)로 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도트패턴(14a) 및 라인패턴(14b)이 조합되면, 도광판(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출사되는 광량이 부족한 부분은 패턴의 형태를 변형하여 이를 보강할 수 있다. 도트패턴(14a) 및 라인패턴(14b)의 조합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사각형 형태의 도트패턴(14a)과 직선 형태의 라인패턴(14b) 또는 원형의 도트패턴(14a)과 곡선 형태의 라인패턴(14b)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10)에 적용되는 미립자(15)는 층을 이루며, 상기 층은 동일한 굴절율의 범위를 가진 단층 또는 상기 단층이 적층된 복층일 수 있다. 여기서, 복층이란 굴절율이 서로 다른 미립자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동일한 굴절율의 범위는 이후에 설명될 n1 및 n2의 굴절율 범위 중의 하나이다. 미립자층을 이루는 미립자(15)는 유전체가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복층의 경우, 하나의 미립자층을 이루는 미립자(15)는 굴절율이 n1의 범위를 가지며, 다른 미립자층을 이루는 미립자(15)는 굴절율이 n2의 범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미립자층은 굴절율 값으로 구분된 것이며, 층의 두께로 정의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각층은 상기 굴절율 범위의 미립자(15)가 두 개의 층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더 많은 층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굴절율 범위를 가진 미립자층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상기 단위를 적층하여 복수개의 미립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하나의 변형예는 홈패턴(14)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도광판(10)과 동일하다. 홈패턴(14)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부분은 앞에서의 도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미립자(15)로 이루어진 층의 모양이 약간 변형될 수 있으나, 그 특성을 도광판(10)과 같다.
도 5에 따르면, 변형된 도광판은 도광판 기재(50)의 평면상에 패턴이 형성된 평면패턴(52)을 포함한다. 평면패턴(52)은 앞의 도광판(10)의 홈패턴(14)과 마찬가지로, 도트패턴 또는 라인패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패턴을 형성한다. 평면패턴(52)을 활용하면, 홈패턴(14)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해진다. 평면패턴(52)이 형성된 도광판 기재(50)의 면에는 도광판(10)에서와 같이 경화층(16)이 부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평면패턴(52)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도포할 수도 있다. 평면패턴(52)에 의한 도광판은 제2 광출사패턴(a2)을 이룬다.
도 6은 본 발명의 LED 광치료기에 적용된 도광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다른 변형예는 복합패턴(62)을 이룬다는 것을 제외하고, 앞의 도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미립자(15)로 이루어지는 층의 모양이 약간 변형될 수 있으나, 그 특성은 앞의 도광판(10)과 같다.
도 6에 의하면, 변형된 도광판은 도광판 기재(60)의 평면상에 패턴이 형성된 복합패턴(62)을 포함한다. 복합패턴(62)은 미립자층의 일부는 기재(60)의 홈에 충진되고 나머지는 기재(6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복합패턴(62)은 도광판(10)의 홈패턴(14)과 같이 도트패턴 또는 라인패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패턴을 형성한다. 복합패턴(62)을 활용하면, 홈에 의해 미립자층을 고정하고 일부는 평면에 형성하므로, 보다 안정된 패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미립자층 전체가 홈에 충진되지 않으므로, 공정의 마진이 커진다. 복합패턴(62)이 형성된 도광판 기재(60)의 면에는 도광판(10)에서와 같이 경화층(16)이 부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합패턴(62)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도포할 수도 있다. 복합패턴(62)에 의한 도광판은 제3 광출사패턴(a3)을 이룬다.
미립자(15)의 평균입경은 5nm 내지 1,000nm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500nm가 좋다. 평균입경이 5nm보다 작으면 미립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이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평균입경이 1,000nm보다 크면 원하는 정도의 빛의 산란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반사방지 및 다중산란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힘들다. 단층의 경우, 미립자층을 이루는 미립자(15)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층의 경우, 하나의 미립자층의 미립자(15)의 평균입경이 다른 미립자층의 미립자(15)의 평균입경보다 작을 수 있다. 미립자(15)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색상을 띨 수도 있다. 이는 입사하는 빛의 색상을 수용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미립자(15)는 그 표면에 굴절율이 다른 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크기가 작은 미립자가 큰 미립자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립자의 처리는 통상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15)는 다공성을 가질 수 있고, 양자점 미립자일 수도 있다. 양자점 미립자는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이 발생하고, 입자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이 발생한다. 양자점 미립자를 적용하면, 다중파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미립자(15) 사이의 공간은 공기층일 수 있고, 바인더로 채워져 있을 수 있으나, 공기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립자층을 포함하는 도광판(10)은 반사방지 및 다중산란 효과에 의해, 종래의 표면을 요철로 하는 도파관에 비해 보다 광추출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굴절율이 서로 다른 미립자층 또는 양자점층을 배치하면, 입사되는 빛의 파장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치료기는 LED 림(20)을 중심으로 도광판(10)을 양측으로 나누어, 종래의 광치료기보다 LED 광원(40)에 의한 빛이 도광판(10)에 의해 흡수되어 소멸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출사되는 광출사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 사용되는 LED 광원(40)의 빛은 가시광선 및 적외선이 바람직하다. LED 광원(40)은, 고출력 레이저(laser)로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LED 광원(40)은 파장 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에너지가 낮아 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LED 광원(40)의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부피가 작아 공간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생화학적인 효과는 광원의 파장, 조사량, 세기, 조사시간, 광 조사방법(연속 광 또는 펄스 광) 등 다양한 변수들에 의존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광치료기에는 상기 변수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부를 부가할 수 있다. 의학적으로는 광원의 조사 주기, 치료의 횟수 및 치료 주기 등에 의존한다. 따라서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LED 광원(40)의 특성을 피부 특성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LED 광원(40)은 파장으로 구분된다. 다른 파장은 세포조직 내에서 다른 생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장파장의 광이 세포 내로 깊이 침투하기 때문이다. 세포와 세포조직은 각각의 고유한 광 흡수 특성을 갖고 있다. 즉, 특정 파장의 광만을 흡수하는 것이다. 광선요법의 최대 효율을 위해서는 광이 목적하는 세포나 세포조직까지 침투할 수 있는 파장을 선정해야 한다. 붉은색은 피부의 깊은 층에 있는 피지선(sebaceous glad)의 활성화에 이용되고, 파란색은 PDT 방법을 이용해 표피(epidermis)에 있는 각질(keratoses)을 활성화하여 피부의 표면 상태를 조절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LED 광원(40)을 이용한 광선요법 적용을 위해서는 매우 깊은 침투 깊이를 갖는 파장의 광이 효과적이다. 피부조직 내에는 수많은 내생적 색소포(endogenous chromophore)가 존재하므로 특정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적절한 LED 광원(40)의 파장을 선별해야 한다. 또한 치료목적으로 세포나 피부세포에 외부적으로 더해지는 외생적색소포(exogenous chromophore)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LED 광원(40)의 피부 조사량(dose)에 따라 그 치료 효율은 달라질 수 있다. 광원의 조사량은 J/cm2으로 표현할 수 있고 여기에 시간을 곱한 것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세기가 강한 광원을 짧은 시간 조사한 것과 세기가 약한 광원을 오랜 시간 조사하는 경우 동일한 조사량을 갖는다. 이를 호혜성(reciprocity)이라 한다. 상처치료에 있어 다양한 세기의 LED 광원(40)을 서로 다른 시간 동안 조사하여 동일한 조사량을 상처에 노출시키는 경우, 반드시 치료 효율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광원의 세기가 강한 경우 조사량 측면에서는 조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광저해(photoinhibition) 효과가 나타난다.
조사량 측면에서 LED 광원(40)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또는 펄스 형태로 조절할 수 있다. 펄스 형태의 경우 펄스의 주기, 반복시간, 간격, 점등시간, 점멸시간 등 다양한 변수를 통한 조사량 변화가 가능하다. 특별한 경우, 매우 짧은 펄스의 LED 광원(40)은 연속조사의 경우보다 세포조직 내에서 깊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처음의 강한 펄스는 피부의 위층에 있는 세포조직을 여기 상태로 만들고 아래층의 세포조직까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매우 긴 펄스는 세포탈진(cellular exhaustion)을 일으킬 수 있고, 매우 짧은 펄스는 세포조직 내 생화학 반응을 일으키기에 불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펄스 시간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세포조직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LED 광원(40)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 효율이 결정된다. 건강하지 않은 상태의 세포조직은 건강한 세포조직에 비하여 보다 빨리 LED 광원(40)에 반응한다. LED 광원(40)에 조사되는 시점에 미숙한 상태에 있는 세포에 대해 광원은 보다 자극적인 세포 확산을 유도할 수 있다. 광의 조사는 전교원질(procollagen; 콜라겐) 생산과 저장을 유도하고 세포의 잠재력을 극대치로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치료기를 이용하면, 상처 치유, 염증 치유, 피부 재활, 햇볕 화상 방지, 자외선 없는 광 치료, 광역동요법 등의 피부질환의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빛을 쪼이면, 사용자는 심리적인 안정도 꾀할 수 있다. 상기 광치료기는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다양한 파장을 갖는 LED 광원(40)은 뮤린섬유아세포, 쥐 골아세포(osteoblast), 쥐 골근세포(skeletal muscle cell) 및 휴먼 상피(epithelial cell) 등의 다양한 세포선(cell line)에 존재하는 세포의 성장을 증가시킨다. 상처의 크기 감소 및 상처의 봉합 속도 증가되며, 특히 인간 피부 세포의 빠른 상처 치유와 봉합에 대한 긍정적이다. 특히 외과적 수술 이후 LED 광원(40)을 조사하였을 때, 부기(swelling), 삼출성(oozing), 각질화(crusting), 고통(pain), 홍반(erythema)의 부작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괴저성(necrotic) 상처를 갖는 피부의 치유를 위해서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이 메탈로프로테이나제(metalloproteinases) 생산의 증가가 상처치유에 도움을 준다.
염증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발되는데 태양 빛이나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에 의해 생산된 효소의 산성화에 의해 발생된다. LED 광원(40)을 이용한 치료는 염증 유발자의 역 반응에 의한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635nm 파장의 광을 인간 잇몸의 섬유아세포에 조사하는 경우 PGE2 합성을 억제하여 염증 발생을 저하 시킬 수 있다. LED 광원(40)의 조사는 홍반의 명확한 구분을 도왔으며 펄스 다이 레이저 치료로 상처를 입은 환자의 치유에서 불편함을 최소화 하였다. LED 광원(40)은 MMP를 억제하는데 MMP의 억제는 염증이 있는 세포조직의 낭창을 줄일 수 있다.
피부 재활은 태양 빛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있어서, 콜라겐 합성은 MMP의 증가와 함께 줄어든다. 따라서 피부 노화의 의학적 징후를 방지하거나 치료하는 전략은 MMP의 감소와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을 통해 콜라겐 부족을 해소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가시광과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하는 다양한 LED 광원(40)의 사용은 피부 콜라겐 합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MMP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LED 광원(40)의 조사 후 현저한 콜라겐 합성의 증가된다. 햇볕 화상 방지는 가시광에서 근적외선의 광은 피부의 광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LED 광원(40)을 조사한 피부는 UV 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660nm 파장의 광을 UV에 노출시키기 전에 조사하는 경우 UV-B에 의해 발생되는 홍반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향후 이러한 방법을 통한 UV에 대한 세포적 저항력의 유도는 UV 차단제와 같은 전통적인 피부보호 방법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자외선이 없는 광 치료는 UV 조사를 통한 광 치료는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방법이다. 하지만 UV 광 조사에 따른 면역억제 약물을 투여 받는 환자나 어린이의 장기 치료에 발생되는 부작용이 항상 존재하였다. 초기 다양한 피부 상태에 맞는 UV 광 치료의 노력은 청색 LED 광원(40)과 IR 광 치료를 통하여 인터류킨(interleukin)의 변조와 산소 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UV 광 치료가 부작용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피부에 LED 광원(40)이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이 UV 없는 광 치료이다. 400~500nm 파장의 광은 아토피성 습진을 갖는 환자에 사용될 수 있다.
광 역동요법은 광 역동요법은 광선요법의 극대화를 위하여 화학적 인자인 광감작제(photosensitizer)의 도움을 받는 방법이다. 광감작제는 특정 파장의 빛에 의해 여기 상태로 변화하는 물질로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파장 대역의 빛을 흡수하고 트리플렛 상태(triplet state)로 에너지 수준이 여기 된다. 세포 내에서 트리플렛 상태에 놓여 있는 화학인자는 산소 분자이다. 광감작제와 세포 내 산소분자가 근접한 상태에 있으면 여기 된 광감작제는 바닥 싱글렛 상태(singlet state)로 돌아오고, 세포 내 여기 된 싱글렛 상태 산소분자의 생산이 가능한 에너지 전환이 발생한다. 활성산소(single oxygen)는 매우 공격적인 화학 인자로 가까이 있는 생화학분자들과 매우 빠르게 반응한다. 이러한 파괴적인 반응은 세포를 고사(apoptosis) 또는 괴사(necrosis)의 형태로 소멸시키게 된다.
광 역동요법은 적절한 광감작제의 선별을 통하여 피부 질환 치료에 응용하는 경우, 피부 내부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세포조직을 제거함으로써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광역동요법의 적용가능 질환은 피부 T 세포 림프종(cutaenous T-cell lymphoma), 혈관종(vascular tumor), 건선(psoriasis), lichen sclerosis, 편평태선(lichen planus), scleroderma, 피부레쉬마니아증(cutaneous leishmaniasis) 등이다. 치료뿐 아니라 예방 목적으로도 그 활용이 확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도광판 12, 50, 60; 기재
13; 오목부 14; 홈패턴
15; 미립자 16; 경화층
17; 마무리부 20; LED 림
22; 걸이부 23; 코걸이
24; 연질 보호부 25; 측면 차단판
30; 전원 40; LED 광원
42; 차광층 52; 평면패턴
62; 복합패턴
a1, a2, a3; 제1 내지 제3 광출사패턴

Claims (17)

  1. 다수개의 LED 광원을 탑재한 LED 림; 및
    상기 LED 림을 중심으로 양측의 배치된 한 쌍의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에는 다수개의 미립자가 층을 이루어 형성된 광출사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림의 양측은 빛이 측면으로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차단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림은 사용자의 안면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연질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림의 내부는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LED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이 조합된 픽셀을 이루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하나의 파장의 빛을 발현하는 상기 LED 광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은 도트패턴 또는 라인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의 중심부는 상기 패턴의 주변부에 비해 상기 패턴의 간격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은 상기 미립자가 패인 홈에 충진되어 홈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은 상기 미립자가 평면상에 충진되어 평면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은 상기 미립자가 부분적으로 홈에 충진되고 부분적으로 평면상에 돌출되어 복합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패턴이 형성된 상기 출사면은 경화층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층을 이루며, 상기 층은 n1 또는 n2의 굴절율 범위를 가진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n1의 범위의 제1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이 상기 n2의 범위의 제2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굴절율이 n1의 범위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제1 미립자층 및 굴절율이 n2의 범위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제2 미립자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n1의 범위의 상기 제1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이 상기 n2의 범위의 상기 제2 미립자층의 굴절율의 평균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을 이루는 미립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양자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표면에 굴절율이 다른 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크기가 작은 미립자가 큰 미립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다공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층의 굴절율을 서로 달리하여 전반사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LED 광치료기.
KR1020150038660A 2014-06-05 2015-03-20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KR101561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459 2014-06-05
KR20140068459 2014-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48B1 true KR101561448B1 (ko) 2015-10-30

Family

ID=5443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660A KR101561448B1 (ko) 2014-06-05 2015-03-20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8016A1 (en) * 2019-03-19 2020-09-24 Seoul Viosys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KR20210014240A (ko) 2019-07-29 2021-0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엘이디 마스크 장치
US11992698B2 (en) * 2020-03-17 2024-05-28 Seoul Viosys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8016A1 (en) * 2019-03-19 2020-09-24 Seoul Viosys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KR20210014240A (ko) 2019-07-29 2021-0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엘이디 마스크 장치
US11992698B2 (en) * 2020-03-17 2024-05-28 Seoul Viosys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658B1 (en) Radiation emitting apparatus with spatially controllable output energy distributions
KR101496370B1 (ko) 치료용 및/또는 미용 요법에 이용되는 발광 장치
US20120289885A1 (en) Phototherapy system
JP2011511330A (ja) フィルター層を備えた網膜メラトニン抑制装置
KR20150143456A (ko) 광선치료 장치, 방법 및 용도
IL100545A (en) Photodynamic Healing Therapy Device
US20160279439A1 (en) Methods of application of therapeutic light sources
Oh et 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light emitting diode: Photo-oncomic approach
KR20150032994A (ko) 피부개선 및 발모용 광 요법 장치
RU201211019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актиничным излучением с разными длинами волн
KR101611986B1 (ko) 개인용 광역학 치료 패치 및 이를 구비한 광역학 치료장치
JP2010284399A (ja) 光線力学的治療装置
KR101561448B1 (ko)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광치료기
CA2112444A1 (en) Medical Laser Apparatus and Diagnosing/Curing Apparatus Using the Medical Laser Apparatus
KR20200035711A (ko) 피부미용 마스크 장치
US20120253449A1 (en) Stent
Khalid Mechanism of laser/light beam interaction at cellular and tissue level and study of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pplication of low level laser therapy
CN114028728B (zh) Led光治疗面膜罩及其智能控制方法
KR102117262B1 (ko) 색광을 이용한 피부 진단 및 치료장치
McKenzie How may external and interstitial illumination be compared in laser photodynamic therapy?
US20150297915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US20240060629A1 (en) Light application device
KR102227619B1 (ko) Foled 발광 시스템을 이용한 미용 및 의료용 foled마스크
Calderhead Discover the True Science of Multispecialty Light-Emitting Diode Low Level Light Therapy (LED-LLLT)
Belikov et al. OPTIMIZATION OF SPECTRAL AND SPATIAL LIGHT BEAM DISTRIBUTION OF OPTICAL SYSTEMS FOR PHOTODYNAMIC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