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41B1 -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41B1
KR101878841B1 KR1020180044580A KR20180044580A KR101878841B1 KR 101878841 B1 KR101878841 B1 KR 101878841B1 KR 1020180044580 A KR1020180044580 A KR 1020180044580A KR 20180044580 A KR20180044580 A KR 20180044580A KR 101878841 B1 KR101878841 B1 KR 10187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ynamic
unit
dynamically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호
안진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 (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8004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제설비에서 필수적인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적인 컴파일 과정 없이 동적으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하여 입력 받을 데이터의 형식을 동적으로 정의하고, 입력 받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며, 전송할 데이터의 형식으로 동적으로 정의해, 네트워크의 QoS 또한 동적으로 정의하고, 외부 원격 업데이트를 위한 XML 기반 동적 모델을 제공하고 있는 동적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Dynamic protocol definition Interface device in Data Distribution Service}
본 발명은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제설비에서 필수적인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정적인 컴파일 과정 없이 동적으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하여 (1) 입력 받을 데이터의 형식을 동적으로 정의하고, (2) 입력 받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며, (3) 전송할 데이터의 형식으로 동적으로 정의해, (4) 네트워크의 QoS 또한 동적으로 정의할 수 있고, (5) 동적 정의를 위한 XML 기반 모델을 정의하여 외부에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동적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철도에 적용되었던 네트워크 장치들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로 통신하였다. 네트워크 데이터의 형식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도 미리 정해져 있는 표준 또는 지침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철도 네트워크에서 활용하는 데이터가 가변적이지 않고 정적인 형태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센서 네트워크 형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정적 또는 사전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하고, 이를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인터페이스 장치의 각 부분의 작동 기능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입력부(10)는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RS-232/485 또는 Etherne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이다.
데이터 해석부(11)는 데이터 입력부(10)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장치로, 코드 내에 정적으로 포함되거나 사전에 정의된 형태에 일치되는지 데이터 해석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부(13)는 데이터 해석부(11)에서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장치로, 코드 내에 정적으로 포함되거나 사전에 정의된 형태로 변환한다.
데이터 전송부(15)는 변환된 데이터를 코드 내에 정적으로 포함되거나 사전에 정의된 형태 네트워크 QoS를 보장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데이터 출력부(17)는 데이터 전송부(15)에서 변환된 이진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합해야 하는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존 철도에 적용되었던 네트워크 장치들과는 요구사항이 다르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먼저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합해야 하며, 통합된 프로토콜을 가공해 미리 정해지지 않은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경우 센서를 생산하는 회사마다 데이터의 형식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품질이 모두 다르다.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서로 상이한 온도 측정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합하고 가공한 후 데이터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와 서비스품질에 맞추어 데이터를 변환 후 재전송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정적인 데이터 형식과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이 주를 이루는 철도의 네트워크라 할지라도 프로토콜을 변환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한하여 데이터의 형식과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철도 감시 설비는 전체 노선의 각 역사에 수집장치가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어 인터페이스의 기능 변경 및 추가 설치에 따른 업데이트를 위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철도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동적으로 해석하고, 동적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미리 정의되지 않은 형태로 동적으로 전송하고, 전송하는 과정에서도 동적으로 정의된 네트워크 품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고, 동적 정의를 위한 XML 기반 모델 정의 파일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283170호 한국등록특허 제1346461호 한국등록특허 제0874652호 한국등록특허 제2013-00686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해석하고, 동적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의한 형식 및 네트워크 QoS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해석하는 동적 데이터 해석부;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가 동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동적 해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에 의해 동적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동적 데이터 변환부;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동적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의한 형식으로 전송하는 동적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 및 네트워크 QoS 정보를 저장하는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전송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특정 변수를 사용해 일정 공식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변환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동적 데이터 전송부는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의한 형식으로 전송하면서,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네트워크 QoS 정보에 따른 네트워크 QoS 정책을 보장한다.
상기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는 특정 변수를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어떤 메모리 위치에 기록해야 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석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얼마나, 어떤 형태로 해석해서 다른 특정 변수에 저장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철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정적인 컴파일 과정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응이 가능하여 관제설비에 있어 인터페이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적으로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고, 정적으로 네트워크 QoS를 정의해야 하는 기존 철도의 네트워크 장치들과는 다르게 동적으로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석하고, 변환해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으로 분산처리서비스(DDS, Data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정적인 컴파일 과정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응이 가능하여 관제설비에 있어 인터페이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철도의 관제설비에서 안전 설비 확충에 따른 인터페이스 추가에 있어 유연성과 확장성의 제공은 개조에 따른 비용 절감은 물론, 추가에 따른 시스템 안전성 검증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의 기능 변경 및 추가 설치에 따른 업데이트를 위하여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진행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가 연결된 원격지에서 업데이트되므로 개조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정적 처리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처리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데이터 해석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데이터 변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데이터 출력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철도의 관제설비 구축에 있어 안전설비의 확충에 따른 인터페이스 추가를 진행하는 경우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관제설비에서 필수적인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적인 컴파일 과정 없이 동적으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하여 입력 받을 데이터의 형식을 동적으로 정의하고, 입력 받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며, 전송할 데이터의 형식으로 동적으로 정의해, 네트워크의 QoS 또한 동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부(100),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120),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 데이터 출력부(170),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200)로 구성된다.
데이터 입력부(100)는 복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모듈로서, 입력받은 데이터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정적인 형태의 데이터가 아닌 동적인 데이터의 형식으로 정의한다.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해석하는 모듈로서, 동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동적 해석 데이터를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120)로부터 전달받아 동적으로 데이터를 해석 한다.
따라서 기존 철도의 네트워크 장치들과는 다르게 동적으로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석하고, 변환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120)는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가 동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동적 해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이다.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는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에 의해 동적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모듈로서,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로 부터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동적 변환 데이터를 전달받아 동적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 때 상기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는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동적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이다.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는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의한 형식으로 전송하는 모듈이다. 즉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는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 및 네트워크 QoS 정보에 따라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는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 및 네트워크 QoS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로서, QoS 처리를 위한 관리 정책을 저장하는 정책(Policy) DB에 연결된다.
상기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는 수신되는 모든 트래픽을 분석하여, 모든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 특성과 양을 계산하여 향후 일정 시간 동안의 트래픽 특성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는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가 원하는 QoS를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원하는 QoS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며, 현재 링크 상태가 장래에 미칠 영향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예측 정보에 따른 자원 변경을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어, 회사마다 데이터의 형식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품질이 모두 다른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응이 가능하여 관제설비에 있어 인터페이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170)는 상기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모듈이다.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2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에서 동적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적 처리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100)는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RS-232/485 또는 Ethernet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이다.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는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이진 데이터를 입력 받았을 때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숫자로 해석해야 하는지,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문자열로 해석해야 하는 식의 동적인 데이터 해석을 수행한다.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120)는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해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석 데이터는 이진 데이터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어떤 형태로 해석해서 어떤 변수에 저장할 것인가 하는 정보이다.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는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에서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화씨로 해석된 데이터를 섭씨로 변환하거나 몇 가지 데이터를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는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는 어떤 변수를 사용해 어떤 공식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변환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는 변환된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과 일정한 네트워크 QoS 정보를 보장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1, 2, 3이라는 세 개의 숫자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이진 데이터로 출력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며, 네트워크 QoS 정보를 보장하는 장치이다.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의 형식 그리고 네트워크 QoS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는 어떤 변수를 어떤 메모리 위치에 얼마나 써야 하는지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출력부(170)는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에서 변환된 이진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200)은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와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변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해석 및 변환을 위한 동적 정의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XML 형식으로 정의되어 있다.
동적 정의 모델을 별도 미디어로 분리하여 구현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추가를 위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원격지에서 편리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하는 과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3의 데이터 입력부(100)는 입력받은 이진 데이터(예 : 0x90)를 임시 메모리에 입력된 데이터(181)에 쓴다.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는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120)에서 이진 데이터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예 : offset=8, length=8), 어떤 형태(예 : type=unsigned integer)로 해석해서 어떤 변수(예 : variable=temperature)에 저장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참고해서 데이터를 해석한 후 임시 메모리에 해석된 데이터(182)와 같이 특정 이름과 형태(예 : unit8_t temperature=0x90)로 데이터를 해석한다.
해석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4의 동적 데이터 해석부(110)가 해석한 데이터(예 : unit8_t temperature=0x90)는 임시 메모리에 해석된 데이터(182)에 저장되어 있는데, 동적 데이터 변환부(130)는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어떤 변수(예 : float celsius)를 사용해 어떤 공식(예 : (temperature - 32)/1.8)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변환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참고해 임시 메모리에 변환된 데이터(183)에 변환된 값(예 : float celsius = 62.222)을 저장한다.
변환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 5에서 보는바와 같다.
도 4의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140)가 변환한 데이터(예 : float celsius = 62.222)는 임시 메모리에 변환된 데이터(183)에 저장되어 있는데, 도 5의 동적 데이터 전송부(150)는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어떤 변수(예 : variable=celsius)를 어떤 메모리 위치(예 : offset=16)에 얼마나(예 : length=32) 써야 하는지 하는 정보를 보고 임시 메모리에 출력된 데이터(184)에 값을 입력하면 데이터 출력부(170)는 네트워크로 임시 메모리에 출력된 데이터(184)에 저장된 이진 데이터(예 : fb3c)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기존 안전관제 설비에서 추가적으로 안전 감시를 보강하기 위하여 전체 선로에 신규 안전설비를 추가하는 경우(S200) 우선적으로 신규 안전설비에 대한 프로토콜을 분석(S210) 한다.
프로토콜의 분석 내용과 신규 안전설비에 대한 안전관제 DDS 표준모델을 기반으로 XML기반으로 동적 정의 모델의 미디어 파일을 작성(S210)하고, 작성된 동적 정의 모델은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S230)하여 검증(S240)이 수행된다.
검증이 완료된 동적 정의 모델을 전체 선로의 역사 별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업데이트를 수행(S250)한 후, 추가된 안전설비를 실제로 연결하여 I/F 시험을 수행(S260)하고,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는 지 확인(S270)한다.
일반적으로 철도 감시 설비는 전체 노선의 각 역사에 수집장치가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어 인터페이스의 기능 변경 및 추가 설치에 따른 업데이트를 위하여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진행되고 있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된다.
그러나 철도 감시 설비에서 본 장치를 적용함에 따라 네트워크가 연결된 원격지에서 업데이트되므로 개조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100 : 데이터 입력부
110 : 동적 데이터 해석부
120 :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
130 : 동적 데이터 변환부
140 :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
150 : 동적 데이터 전송부
160 :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
170 : 데이터 출력부
200 :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

Claims (6)

  1. 복수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동적으로 해석하는 동적 데이터 해석부;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가 동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동적 해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에 의해 동적 해석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동적 데이터 변환부;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가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동적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동적으로 정의한 형식으로 전송하는 동적 데이터 전송부;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을 저장하는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 상기 동적 데이터 전송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
    안전 감시를 보강하기 위하여 전체 선로에 신규 안전설비를 추가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신규 안전설비에 대한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상기 프로토콜의 분석 내용과 상기 신규 안전설비에 대한 안전관제 DDS 표준모델을 기반으로 XML기반으로 동적 정의 모델의 미디어 파일을 작성하고, 작성된 상기 동적 정의 모델은 XML 기반 동적 정의 모델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이 수행되고,
    검증이 완료된 상기 동적 정의 모델을 전체 선로의 역사 별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추가된 안전설비를 실제로 연결하여 I/F 시험을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는 지 확인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변환 데이터 저장부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특정 변수를 사용해 일정 공식으로 데이터를 어떻게 변환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전송 데이터 저장부는 특정 변수를 사용자가 정의한 전송하는 어떤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어떤 메모리 위치에 기록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해석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동적 데이터 해석부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해석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얼마나, 어떤 형태로 해석해서 다른 특정 변수에 저장할 것인가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동적 데이터 해석부와 동적 데이터 변환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XML 기반 미디어 형태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80044580A 2018-04-17 2018-04-17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187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80A KR101878841B1 (ko) 2018-04-17 2018-04-17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80A KR101878841B1 (ko) 2018-04-17 2018-04-17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841B1 true KR101878841B1 (ko) 2018-07-17

Family

ID=6304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80A KR101878841B1 (ko) 2018-04-17 2018-04-17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4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40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74652B1 (ko)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20100030373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에스원 Rfid/usn 통합 미들웨어 장치 및 방법
JP2011118950A (ja) * 2011-03-18 2011-06-16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データの検索方法
KR20110071691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KR20130068600A (ko)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통합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283170B1 (ko) 2011-12-15 2013-07-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346461B1 (ko) 2011-12-30 2014-0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방법
KR20170014184A (ko) * 2015-07-29 2017-02-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향토산업과 연관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240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74652B1 (ko)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20100030373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에스원 Rfid/usn 통합 미들웨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71691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JP2011118950A (ja) * 2011-03-18 2011-06-16 Hitachi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データの検索方法
KR20130068600A (ko)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통합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283170B1 (ko) 2011-12-15 2013-07-0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346461B1 (ko) 2011-12-30 2014-0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방법
KR20170014184A (ko) * 2015-07-29 2017-02-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향토산업과 연관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2026B (zh) 一种基于labveiw的解析dbc分析报文的方法
KR101090360B1 (ko) 상수도 관망의 블록 정보 전산화 시스템 및 정보취득 방법
WO2016031244A1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装置
Day et al. Integrating traffic signal performance measures into agency business processes
Al-Dabbagh et al. Reliability modeling of networked control systems using dynamic flowgraph methodology
US11063701B2 (en) Safety integrity level of service (SILoS) system
KR102430440B1 (ko) 시계열 에너지 예측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설비이상감지 정보처리장치
KR20190061833A (ko)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CN105827300B (zh) 中继装置以及数据通信系统
KR101878841B1 (ko) 철도 네트워크망에서 dds 기반 동적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77401B1 (ko) 동적 모드버스 프로토콜 매핑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Arthur et al. The emulation and simul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JP2012141931A (ja) 保守装置、保守方法及びプログラム
Negli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rain moving-block control
US11132276B2 (en) Network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sensing system, data transfer method, management method, sen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9298831B (zh) 信息存储方法和装置
CN105209985B (zh) 用于运行过程和/或生产设备的方法和装置
JP4316422B2 (ja) 測定データ通信装置、健康情報通信装置、情報取得装置、測定データ通信システム、測定データ通信装置の制御方法、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測定データ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2749132A (zh) 从航空电子装置提取数据的方法和系统
Lekidis et al. Energy characterization of IoT systems through design aspect monitoring
KR101963509B1 (ko) 반도체 장비 및 secs 서버 간의 중계 장치 및 방법
Glomb et al. A stochastic optimization approach for optimal Tail Assignment with knowledge-based predictive maintenance
KR20200021782A (ko) 원격 3d 프린터의 제어방법
US20080056152A1 (en)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program for controlling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pruytte et al. Modeling equipment hierarchy and costs for ICT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