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701B1 - 버클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701B1
KR101878701B1 KR1020180032416A KR20180032416A KR101878701B1 KR 101878701 B1 KR101878701 B1 KR 101878701B1 KR 1020180032416 A KR1020180032416 A KR 1020180032416A KR 20180032416 A KR20180032416 A KR 20180032416A KR 101878701 B1 KR101878701 B1 KR 10187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ok
female buckle
male
expos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군
조주환
홍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8003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26Safety buckles with an operating lever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과,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한 수 버클의 후크가 체결되는 노출 홀이 형성된 암 버클과,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암 버클에 형성된 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버클 조립체{BUCKLE ASSEMBLY}
본 발명은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 버클에 체결된 복수의 수 버클을 견인 와이어를 당기거나 또는 해제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일시에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벗을 수 있는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BUCKLE)은 가방, 의류, 신발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과 같은 한 개의 끈 양단 또는 두 개의 끈을 간편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버클은 암 버클과 수 버클로 이루어져 암 버클과 수 버클이 결속되는 것에 의해 암 버클과 수 버클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버클의 구조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암 버클(10)은 수 버클(20)에 형성된 후크(21)가 진입하도록 일측에 입구(12)를 형성한 제1몸체(11), 입구(12)의 반대쪽 제1몸체(11)에 형성되고 고정끈(16)과 연결되는 고리 형태를 갖는 제1연결부(13), 제1몸체(11)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수 버클(20)이 제1몸체(11)에 형성된 입구(12)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수 버클(20)에 형성된 후크(2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 홀(14), 제1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되 노출 홀(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 버클(20)의 후크(21)를 압박하여 후크(21)의 너비를 감소시켜 체결된 암 버클(10)과 수 버클(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탄지부(15)로 구성된다.
또한, 수 버클(20)은 암 버클(10)의 제1몸체(11)에 형성된 입구(12)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몸체(22), 제2몸체(22)의 일측에 형성되고 암 버클(10)의 입구(12)로 진입하여 노출 홀(14)에 걸림되는 후크(21), 후크(21)의 반대쪽 제2몸체(22)에 형성되고 고정끈(24)과 연결되는 고리 형태를 갖는 제2연결부(23)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버클은 암 버클과 수 버클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갖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미국등록특허 제86315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암 버클이 일체화된 조립체를 형성하고 조립체에 형성된 복수의 암 버클에 수 버클이 제각기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버클은 그 편리함으로 인해 소방장비, 군사장비 등에 사용되는 백팩, 방탄복 등에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방탄복의 탈의시 전면 또는 측면에 결합된 밸크로테이프 또는 버클 등을 손으로 직접 해제하는 방식으로 방탄복을 착용 및 탈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결합부위를 직접 손으로 해제하는 방식에 의하면, 훈련 또는 전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방탄복을 쉽게 탈의하기 어려워 활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상을 입은 경우에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하거나 이송하여야 하는 긴급한 상황에서 복잡한 결합을 해제하는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US, A, 2012/0030852, (2012.02.09) KR, B, 10-1543762, (2015.08.05) US, B, 8631545, (2014.01.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속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버클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는 버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과,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한 수 버클의 후크가 체결되는 노출 홀이 형성된 암 버클과,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암 버클에 형성된 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 버클은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를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버클의 후크가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후크의 일부를 상기 몸체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노출 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 및 해제 레버의 피벗을 지지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제1조립부 및 상기 제1조립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는 상기 작동부 및 해제 레버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 및 제2힌지블록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 위치하며 상기 노출 홀에 체결된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노출 홀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 버클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여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상기 가압부가 후크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탭퍼는 그 하면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견인 와이어와 가까워지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출 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수 버클의 후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제 레버는 그 기단이 상기 암 버클에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작동부를 향하는 편심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제 레버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가 작동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편심 돌기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편심 돌기에 상응하는 안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 돌기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작동부가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상기 후크를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암 버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가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 버클은 상기 견인 와이어를 보호하는 중공된 프로텍터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터 튜브는 상기 암 버클의 몸체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견인 와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의 중공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에 의하면, 견인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해제 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암 버클에 체결된 복수의 수 버클이 일시에 분리되기 때문에 소방장비, 군사장비 등에 사용되는 백팩, 방탄복 등에 적용되는 버클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 중 해제 레버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 중 견인 와이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 중 해제 레버 또는 견인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작동부가 후크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는 후크(110)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100), 상기 수 버클(100)의 후크(110)가 체결되는 노출 홀(212)이 형성된 암 버클(200), 노출 홀(212)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여 암 버클(200)로부터 수 버클(100)을 해제시키는 작동부(300), 후크(110)를 가압하는 동력을 작동부(300)에 전달할 수 있게 작동부(300)와 연계된 상태로 암 버클(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4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부(300)를 가압하여 후크(110)를 암 버클(200)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5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수 버클(100)은 암 버클(200)의 몸체(210)에 형성된 입구(211)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디가 마련되고 바디의 일측에 후크(11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수 버클(100)은 후크(110)와 대향하는 바디의 타측에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웨빙(webbing)과 같은 끈이 마련된다. 이러한 수 버클(100)은 복수로 마련되어 암 버클(200)에 체결된다.
암 버클(200)은 수 버클(100)에 형성된 후크(110)가 진입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암 버클(200)은 몸체(210), 노출 홀(212), 조립부(220)로 구성된다.
즉, 암 버클(200)은 수 버클(100)의 개수에 상응하게 후크(110)가 진입하는 입구(211)가 복수로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수 버클(100)의 후크(110)가 몸체(210)에 형성된 입구(211)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후크(110)의 일부를 몸체(210)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노출 홀(212) 및 몸체(21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작동부(300) 및 해제 레버(500)의 피벗을 지지하며 견인 와이어(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립부(220)의 기단에는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끈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립부(220)의 기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는 소방장비, 군사장비 등에 사용되는 백팩, 방탄복 등에 마련된 끈과 연결된다.
조립부(220)는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조립부(221) 및 상기 제1조립부(2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부(222)로 이루어진다. 즉, 제1조립부(221)는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견인 와이어(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225)이 형성된다.
이때, 제1조립부(221)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25)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견인 와이어(400)의 슬라이드 바(410)가 위치하여 견인 와이어(400)가 암 버클(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슬라이드 바(410)가 가이드 슬롯(225)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를 피벗시키게 된다.
또한, 제2조립부(222)는 제1조립부(2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221)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게 되는데, 제1조립부(221) 및 제2조립부(222)는 나사 고정이 가능하게 제1조립부(221)에 보스가 형성되고 제2조립부(222)에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조립부(221) 및 제2조립부(222)는 작동부(300) 및 해제 레버(500)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223) 및 제2힌지블록(224)이 마련된다.
제1힌지블록(223)은 제1조립부(221) 및 제2조립부(222)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조립부(221)와 제2조립부(222)가 조립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작동부(300)의 힌지부(320)에 형성된 힌지축(321)이 개재된다. 이러한 제1힌지블록(223)은 몸체(210)와 제1조립부(221)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제2힌지블록(224)은 제1힌지블록(223)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힌지블록(223)과 노출 홀(212)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제2힌지블록(224)은 제1힌지블록(223)에 개재되어 피벗하는 작동부(300)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제1힌지블록(223)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해제 레버(500)가 작동부(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힌지블록(224)은 제1힌지블록(223)과 마찬가지로 제1조립부(221) 및 제2조립부(222)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조립부(221)와 제2조립부(222)가 조립되었을 때 형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해제 레버(500)에 형성된 힌지축(520)이 개재된다.
한편, 작동부(300)는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여 후크(110)를 노출 홀(212)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310), 암 버클(200)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320), 가압부(310)가 후크(110)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330)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가압부(310)는 노출 홀(212)에 체결된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여 후크(110)를 노출 홀(212)에서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압부(310)는 암 버클(200)의 몸체(210) 상면에 형성된 노출 홀(21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310)의 일측으로 힌지부(320)가 마련되는데, 힌지부(320)는 가압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 앞서 설명한 제1힌지블록(223)에 개재되는 힌지축(321)이 형성되어 가압부(310)가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상하로 피벗된다.
또한, 스탭퍼(330)는 가압부(310)와 대향하여 힌지부(320)의 타측에 마련되는데, 이러한 스탭퍼(330)는 견인 와이어(400)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가압부(310)가 후크(110)를 가압할 수 있게 연동된다.
즉, 가압부(310) 및 스탭퍼(330)는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어 스탭퍼(330)가 상향으로 피벗되는 경우 가압부(310)는 하향으로 피벗하는 시소운동을 하게 되면서 가압부(310)가 노출 홀(212)에 체결된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여 후크(110)를 노출 홀(212)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특히, 스탭퍼(330)는 그 하면에 견인 와이어(400)가 암 버클(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견인 와이어(400)와 가까워지는 경사면(331)이 형성된다.
한편, 견인 와이어(400)는 암 버클(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스탭퍼(330)의 경사면(331)과 접촉하여 견인 와이어(400)가 암 버클(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스탭퍼(330)를 상하로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410)가 마련된다.
즉, 슬라이드 바(410)는 앞서 설명한 제1조립부(2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25)에 설치되어 견인 와이어(400)가 암 버클(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가이드 슬롯(225) 내에서 견인 와이어(400)의 인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바(410)가 제1조립부(2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25)을 따라 견인 와이어(400)의 인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410)와 접촉된 경사면(331)에 의해 스탭퍼(330)는 암 버클(200)의 상방으로 피벗된다.
이와 같이, 스탭퍼(330)가 암 버클(200)의 상방으로 피벗하는 것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10)는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암 버클(200)의 하방으로 피벗하게 되면서 노출 홀(212)에 체결된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여 후크(110)를 노출 홀(212)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한편, 평상시에는 작동부(300)의 가압부(310)가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가압하지 않도록 노출 홀(212)에는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340)가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작동부(300)에 마련된 가압부(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압부(310)를 탄성 지지하게 되며, 견인 와이어(400)의 인출 또는 해제 레버(500)의 작동에 의해 스탭퍼(330)가 암 버클(200)의 상방으로 피벗되는 것에 따라 압축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40)는 안정적으로 가압부(3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게 가압부(310)의 하면에 스프링 시트와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해제 레버(500)는 그 기단이 암 버클(200)에 피벗되게 설치되는데, 해제 레버(500)의 기단 양측면에 앞서 설명한 제2힌지블록(224)에 개재되는 힌지축(520)이 형성되어 해제 레버(500)의 선단이 제2힌지블록(2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피벗된다.
또한, 해제 레버(500)는 작동부(300)와 마주하는 면에 작동부(300)를 향하는 편심 돌기(510)가 형성되는데 편심 돌기(510)는 해제 레버(500)에 형성된 힌지축(520)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며 작동부(300)를 향해 장축을 형성한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제 레버(500)에 편심 돌기(510)가 형성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레버(500)가 제2힌지블록(224)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510)가 작동부(300)를 가압하게 되고, 작동부(300)는 노출 홀(212)에 체결된 후크(110)를 가압하여 노출 홀(212)로부터 후크(110)를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 레버(500)에 편심 돌기(510)가 형성될 때 작동부(300)는 편심 돌기(510)와 마주하는 면에 편심 돌기(510)에 상응하는 안치 홈(311)이 마련된다.
이렇게 작동부(300)에 마련되는 안치 홈(311)은 해제 레버(5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해제 레버(50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해제 레버(500)가 무단으로 피벗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해제 레버(500)가 사용자의 의해 조작될 때는 해제 레버(500)의 피벗에 따라 편심 돌기(510)의 장축에 해당하는 부분이 안치 홈(311)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작동부(300)의 가압부(310)를 암 버클(200)의 하방으로 피벗시켜 수 버클(100)의 후크(110)를 노출 홀(212)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버클 조립체는 견인 와이어(400)를 보호하는 중공된 프로텍터 튜브(2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프로텍터 튜브(230)는 암 버클(200)에 형성된 조립부(22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조립부(220)의 외부로 인출되고 그 내부에 견인 와이어(400)가 개재된다.
이러한 프로텍터 튜브(230)는 바람직하게 완충력이 발휘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 튜브(230)가 암 버클(200)에 마련되면 암 버클(200)이 유동하여 견인 와이어가 휘어질 때 견인 와이어(230)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버클 조립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견인 와이어(400)가 당겨지거나 또는 해제 레버(500)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암 버클(200)에 체결된 복수의 수 버클(100)을 동시에 해제할 수 있어 소방장비, 군사장비 등에 사용되는 백팩, 방탄복 등에 적용되는 버클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제 레버(500)를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게 암 버클(200)의 몸체(210)에는 파지 홈(2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 홈(215)은 해제 레버(500)의 선단에 상응하게 몸체(210)에 형성되어 해제 레버(500)의 선단이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를 갖게 될 때 해제 레버(500)의 선단 하부에 파지 홈(2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몸체(210)에 파지 홈(215)이 형성되면 위급상황 시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 홈(215)에 삽입하는 것으로 해제 레버(5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암 버클(200)의 몸체(210)에 파지 홈(215)이 형성될 때 파지 홈(215)의 내부에는 해제 레버(500)를 지지하는 격벽(216)이 형성되는데, 격벽(216)은 파지 홈(215)과 노출 홀(212)의 경계에 형성되어 해제 레버(500)가 도 5와 같이 몸체(21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를 갖게 될 때 해제 레버(50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 레버(500)를 지지하는 격벽(216)이 파지 홈(215)의 내부에 형성되면 가압부(310)가 임의로 눌리지 않게 보호하여 수 버클(100)이 의도치 않게 암 버클(200)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0 : 수 버클 110 : 후크
200 : 암 버클 210 : 몸체
211 : 입구 212 : 노출 홀
220 : 조립부 221 : 제1조립부
222 : 제2조립부 223 : 제1힌지블록
224 : 제2힌지블록 225 : 가이드 슬롯
230 : 프로텍터 튜브 300 : 작동부
310 : 가압부 311 : 안치 홈
320 : 힌지부 321,520 : 힌지축
330 : 스탭퍼 331 : 경사면
340 : 탄성부재 400 : 견인 와이어
410 : 슬라이드 바 500 : 해제 레버
510 : 편심 돌기

Claims (10)

  1. 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한 수 버클의 후크가 체결되는 노출 홀이 형성된 암 버클;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작동부;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암 버클에 형성된 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 버클은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를 형성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 버클의 후크가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후크의 일부를 상기 몸체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노출 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작동부 및 해제 레버의 피벗을 지지하며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제1조립부; 및
    상기 제1조립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는 상기 작동부 및 해제 레버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 및 제2힌지블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4. 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한 수 버클의 후크가 체결되는 노출 홀이 형성된 암 버클;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작동부;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암 버클에 형성된 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 위치하며 상기 노출 홀에 체결된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노출 홀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 버클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여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견인 와이어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상기 가압부가 후크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탭퍼는 그 하면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견인 와이어와 가까워지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출 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수 버클의 후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7. 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수 버클;
    상기 수 버클의 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가 진입하는 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진입한 수 버클의 후크가 체결되는 노출 홀이 형성된 암 버클;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작동부;
    상기 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암 버클에 형성된 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를 암 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레버는 그 기단이 상기 암 버클에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작동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작동부를 향하는 편심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제 레버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가 작동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편심 돌기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편심 돌기에 상응하는 안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 돌기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작동부가 상기 수 버클의 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암 버클의 노출 홀에서 상기 후크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9.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암 버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가 암 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10.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버클은
    상기 견인 와이어를 보호하는 중공된 프로텍터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터 튜브는
    상기 암 버클의 몸체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견인 와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의 중공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조립체.
KR1020180032416A 2018-03-21 2018-03-21 버클 조립체 KR10187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16A KR101878701B1 (ko) 2018-03-21 2018-03-21 버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16A KR101878701B1 (ko) 2018-03-21 2018-03-21 버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701B1 true KR101878701B1 (ko) 2018-07-16

Family

ID=6304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16A KR101878701B1 (ko) 2018-03-21 2018-03-21 버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7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08B1 (ko) * 2020-12-29 2021-03-26 우일무역(주) 원터치 버클
KR102296586B1 (ko) * 2021-05-20 2021-09-01 우일무역(주) 개량 원터치 버클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79B1 (ko) * 1994-11-18 1998-04-18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KR20040093415A (ko) * 2003-04-29 2004-11-05 조셉 앤셔 버클 조립체
US20110113520A1 (en) * 2009-11-19 2011-05-19 Guardian Protective Technologies Inc. Armor vest with mechanical quick release mechanism
US20110247179A1 (en) * 2010-04-09 2011-10-13 Cenorin, Llc Closure latch
US20120030852A1 (en) 2010-08-03 2012-02-09 Joseph Anscher Multiple buckle release system
US8631545B2 (en) 2010-07-15 2014-01-21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Water activated ejector mechanism for rotary buckle assembly
KR101543762B1 (ko) 2014-02-24 2015-08-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탄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79B1 (ko) * 1994-11-18 1998-04-18 요시다 다다히로 버클
KR20040093415A (ko) * 2003-04-29 2004-11-05 조셉 앤셔 버클 조립체
US20110113520A1 (en) * 2009-11-19 2011-05-19 Guardian Protective Technologies Inc. Armor vest with mechanical quick release mechanism
US20110247179A1 (en) * 2010-04-09 2011-10-13 Cenorin, Llc Closure latch
US8631545B2 (en) 2010-07-15 2014-01-21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Water activated ejector mechanism for rotary buckle assembly
US20120030852A1 (en) 2010-08-03 2012-02-09 Joseph Anscher Multiple buckle release system
KR101543762B1 (ko) 2014-02-24 2015-08-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탄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08B1 (ko) * 2020-12-29 2021-03-26 우일무역(주) 원터치 버클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KR102296586B1 (ko) * 2021-05-20 2021-09-01 우일무역(주) 개량 원터치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701B1 (ko) 버클 조립체
KR101892018B1 (ko) 방탄조끼
KR102208912B1 (ko) 자기 버클링 어셈블리
RU2681234C2 (ru) Ручка бритвы с механизмом фиксации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кассеты бритвы
EP3165118B1 (en) Buckle
JP5580390B2 (ja) 腕時計用バンドまたはベルトの留め金
US8011544B1 (en) Hinged pocket
EP2561775B1 (en) Sack pack sternum clip
ITUD20070124A1 (it) Dispositivo d'aggancio per una apparecchiatura elettronica indossabile ed apparecchiatura elettronica indossabil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d'aggancio
US10159291B1 (en) Side release buckle fastener with semi rigid insertion structure
PL200091B1 (pl) Szybki mechanizm zwalniający maski oddechowej oraz maska oddechowa zawierająca szybki mechanizm zwalniający
EP1705876A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liding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CN111432682B (zh) 工具带
KR200486739Y1 (ko)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US10123591B2 (en) Safety buckle with provision for emergency release
CN102961823B (zh) 低频治疗仪
KR20090025522A (ko) 결속장치
CN111387652A (zh) 一种磁吸搭扣及可穿戴设备
KR101872335B1 (ko) 버클 조립체
WO2019084614A1 (en) Tourniquet clip
CN208114260U (zh) 一种多功能携带用装置、无人机及其遥控器
KR101805724B1 (ko) 비상 분리 장치
CN215075963U (zh) 可穿戴设备
CN209436395U (zh) 压扣
KR100856452B1 (ko) 배낭용 비상탈출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