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018B1 - 방탄조끼 - Google Patents

방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018B1
KR101892018B1 KR1020180043353A KR20180043353A KR101892018B1 KR 101892018 B1 KR101892018 B1 KR 101892018B1 KR 1020180043353 A KR1020180043353 A KR 1020180043353A KR 20180043353 A KR20180043353 A KR 20180043353A KR 101892018 B1 KR101892018 B1 KR 10189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ok
arm
assembly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군
조주환
홍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8004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방탄조끼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 보호하는 허리밴드와,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와,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탄조끼{bulletproof vest}
본 발명은 방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한 상황에서 원터치 조작으로 방탄조끼를 착용자로부터 신속하게 탈의시킬 수 있는 방탄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탄조끼는 중요 장기가 집중되어 있는 인간의 상체를 탄환 및 포탄 파편으로 인한 부상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명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탄조끼들은 탄력성과 내열·내화성이 뛰어난 합성불소고무(FPM) 재질로 된 탄성 박판과 고강도 알루미나부재 및 유리섬유포지 등으로 구성된 방탄복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고탄성률의 고강력 섬유인 케블러(Kevlar), 고강도 금속판, 세라믹 판재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탄조끼는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등 및 허리를 보호하는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상체에 밀착시키는 웨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웨빙은 전면부와 후면부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해 벨크로 테이프 또는 퀵 릴리즈 버클 등이 사용된다. 즉,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각기 웨빙이 마련되고 이러한 웨빙에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 테이프가 제각기 마련되거나 또는 암버클 및 수버클로 이루어진 퀵 릴리즈 버클이 마련되어 벨크로 테이프 또는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속되는 것에 의해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 및 분리하게 된다.
또한, 암버클과 수버클은 웨빙이 고정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이때 암버클과 수버클 중 어느 한 곳의 연결부는 웨빙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전면부와 후면부가 웨빙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 전면부와 후면부가 착용자의 상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퀵 릴리즈 버클에 의해 전면부와 후면부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종래의 방탄조끼는 다수의 연결부위를 직접 손으로 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훈련 또는 전시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방탄조끼를 쉽게 탈의하기 어려워 활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즉, 방탄조끼를 착용한 사용자가 탄환 및 포탄 파편 등에 피탄되어 부상을 입는 경우 또는 물에 빠진 경우 방탄조끼를 신속하게 탈의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방탄조끼는 다수의 연결부위를 갖기 때문에 이를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탄조끼는 전면부, 후면부에 방탄을 위한 금속판, 세라믹 판재 등이 마련되기 때문에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착용자에게 피로감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해 착용자의 활동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KR, B, 10-1183186, (2012.09.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가 탄환 및 포탄 파편 등에 피탄되어 부상을 입는 긴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원터치 조작으로 방탄조끼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는 방탄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탄조끼의 중량을 분산시켜 착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탄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와,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와,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면 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를 거쳐 상기 전면 보호부를 향하도록 상기 후면 보호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어깨 서스펜더 및 상기 착용자의 옆구리를 거쳐 상기 전면 보호부를 향하도록 상기 후면 보호부의 측면 하부에서 연장되는 허리 서스펜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버클 조립체는 한 쌍의 제1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1수버클과,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체결되는 제1노출 홀이 형성된 제1암버클과, 상기 제1암버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암버클과 체결된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여 제1후크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작동부 및 상기 제1후크를 압박하는 동력을 상기 제1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1작동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를 형성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1후크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 및 상기 제1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1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노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를 압박하여 제1후크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탄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암버클에 형성된 한 쌍의 탄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암 및 상기 암의 타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한 쌍의 암이 서로를 향해 오므라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은 상기 일단과 타단이 제각기 상기 탄지부의 자유단 내측면 및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제1몸체에 진입하여 체결된 제1수버클로부터 멀어지게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 와이어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를 형성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하였을 때 상기 제1후크와 걸림되거나 상기 제1작동부에 의해 상기 제1후크와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턱 및 상기 걸림 턱에 걸림된 제1후크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는 양 끝단에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는 가압 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 턱이 피벗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힌지 결속되는 힌지 핀이 형성된 작동 편 및 상기 작동 편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편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상기 가압 턱이 피벗하여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편은 상기 가압 턱과 힌지 핀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부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바는 호의 형태를 갖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바는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 와이어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한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견인 와이어를 보호하는 중공된 제1프로텍터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텍터 튜브는 상기 제1암버클의 제1몸체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암버클과 체결되는 제1수버클의 진입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제1몸체의 기단으로 인출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작동부 및 제1견인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제1몸체의 일측면을 폐쇄하여 상기 제1작동부 및 제1견인 와이어를 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수버클은 상기 어깨 서스펜더 및 허리 서스펜더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버클 조립체는 제2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제2수버클과,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후크가 진입하는 제2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2수버클의 제2후크가 체결되는 제2노출 홀이 형성된 제2암버클과,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작동부와, 상기 제2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제2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2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견인 와이어 및 상기 제2암버클에 형성된 제2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를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암버클은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후크가 진입하는 제2입구를 형성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가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2후크의 일부를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 홀 및 상기 제2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작동부 및 해제 레버의 피벗을 지지하며 상기 제2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2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2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제1조립부 및 상기 제1조립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는 상기 제2작동부 및 해제 레버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 및 제2힌지블록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노출 홀에 체결된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를 제2노출 홀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암버클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여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상기 가압부가 제2후크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탭퍼는 그 하면에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견인 와이어와 가까워지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노출 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제 레버는 그 기단이 상기 제2암버클에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제2작동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작동부를 향하는 편심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제 레버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가 제2작동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편심 돌기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편심 돌기에 상응하는 안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 돌기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제2작동부가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서 상기 제2후크를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2암버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2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작동부를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암버클은 상기 제2견인 와이어를 보호하는 중공된 제2프로텍터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텍터 튜브는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몸체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의 중공에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지지하는 트리거 하우징 및 그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피벗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고정되어 트리거 하우징으로부터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를 당기는 트리거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거 하우징은 상기 견인 와이어가 관통하여 상기 트리거 레버의 타단으로 안내하는 인입 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거 레버는 그 일단에 상기 트리거 하우징과 피벗 축에 의해 결합되는 피벗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 보스는 그 둘레에 상기 견인 와이어를 매립한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암버클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수버클은 상기 허리밴드의 양 끝단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는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는 그 하단이 상기 허리밴드로부터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후면 보호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에 의하면, 착용자가 탄환 및 포탄 파편 등에 피탄되어 부상을 입는 긴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전면 보호부에 마련된 트리거 유닛의 트리거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전면 보호부, 후면 부호부, 허리밴드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 및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에 의하면 제1버클 조립체의 제1견인 와이어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1수버클과 제1암버클이 해제되기 때문에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착용자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에 의하면 제2버클 조립체의 제2견인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해제 레버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제2암버클에 체결된 복수의 제2수버클이 일시에 해제되기 때문에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에 의하면 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가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따라 착용자가 후면 보호부의 하중을 지지대를 통해 허리밴드로 분산시켜 피로감을 감소시켜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전면 보호부를 후면 보호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탄조끼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의 해제 레버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의 제2견인 와이어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의 해제 레버 또는 제2견인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제2작동부가 제2후크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전면 보호부를 후면 보호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방탄조끼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는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 제1버클 조립체(1000), 제2버클 조립체(2000), 트리거 유닛(3000)으로 구성되어 트리거 유닛(3000)의 조작에 의해 제1버클 조립체(1000) 및 제2버클 조립체(2000)를 일시에 해제시켜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전면 보호부(100)는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할 수 있게 판재의 형태를 갖게 되며, 후면 보호부(200)는 전면 보호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할 수 있게 판재의 형태를 갖는다.
이때, 후면 보호부(200)는 어깨 서스펜더(210) 및 허리 서스펜더(220)를 포함하게 되는데, 어깨 서스펜더(210)는 착용자의 어깨를 거쳐 전면 보호부(100)를 향하도록 후면 보호부(200)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허리 서스펜더(220)는 착용자의 옆구리를 거쳐 전면 보호부(100)를 향하도록 후면 보호부(200)의 측면 하부에서 연장된다.
또한, 허리밴드(300)는 후면 보호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띠의 형태를 갖는다. 이때, 허리밴드(300)와 후면 보호부(200)는 금속판재 또는 합성수지의 판재로 이루어진 지지대(400)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대(400)는 하단이 허리밴드(300)로부터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단이 후면 보호부(200)에 고정되어 지지대(400)의 하단이 허리밴드(300)로부터 피벗되어 착용자의 신체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이때, 허리밴드(300)는 도 3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판재(310)가 마련되어 지지대(400)와 피벗 축에 의해 연결된다.
즉, 지지대(400)는 하단이 허리밴드(300)의 외측면과 피벗 축에 의해 허리밴드(300)의 내부에 마련된 판재(310)와 결합되고, 상단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되어 후면 보호부(200)의 후면에 마련된 웨빙(webbing)이 지지대(400)에 형성된 고리에 결속되어 후면 보호부(200)와 허리밴드(300)가 지지대(400)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400)의 상단과 후면 보호부(200)의 후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마련되어 허리밴드(300)와 후면 보호부(200)가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보호부(200)와 허리밴드(300)가 지지대(4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따라 착용자가 후면 보호부(200)의 하중을 지지대(400)를 통해 허리밴드(300)로 분산시켜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면 보호부(100) 및 후면 보호부(200)는 탄력성과 내열·내화성이 뛰어난 합성불소고무(FPM) 재질로 된 탄성 박판과 고강도 알루미나부재 및 유리섬유포지 등으로 구성된 방탄복지로 마련되거나 또는 고탄성률의 고강력 섬유인 케블러(Kevlar), 고강도 금속판, 세라믹 판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전면 보호부(100)와 후면 보호부(200)에 제각기 마련되어 전면 보호부(100)와 후면 보호부(20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게 되며, 제2버클 조립체(2000)는 전면 보호부(100)와 허리밴드(300)에 제각기 마련되어 전면 보호부(100)와 허리밴드(30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 유닛(3000)은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1000)를 도 4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제1후크(1110)가 형성된 제1수버클(1100), 상기 제1수버클(1100)이 체결되는 제1암버클(1200), 상기 제1암버클(1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암버클(1200)과 결속된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작동부(1220), 상기 제1작동부(1220)와 연결된 상태로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견인 와이어(1230)로 구성된다.
이때, 제1암버클(1200)은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되고, 제1수버클(1100)은 어깨 서스펜더(210) 및 허리 서스펜더(220)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된다.
부연하자면, 제1수버클(1100)은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에 형성된 제1입구(1211)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디가 마련되고 바디의 일측에 한 쌍의 제1후크(1110)가 돌출 형성되고 제1후크(1110)와 대향하는 바디의 타측에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어깨 서스펜더(210) 및 허리 서스펜더(220)에 마련된 웨빙이 결속된다.
이와 같이 제1수버클(1100)에 형성된 제1후크(1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제1후크(111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는 제1암버클(1200)에 체결될 때 제1후크(1110)가 탄성력이 발휘되어 어느 정도 휘어졌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우수한 내열성, 내식성을 갖도록 페놀수지, 에폭시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암버클(1200)은 제1수버클(1100)에 형성된 제1후크(1110)가 진입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암버클(1200)은 제1몸체(1210), 제1노출 홀(1212), 탄지부(1213a)로 구성된다.
즉, 제1암버클(1200)은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1수버클(1100)에 형성된 제1후크(1110)가 진입하는 제1입구(1211)를 형성한 제1몸체(1210)와 상기 제1몸체(1210)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제1수버클(1100)에 형성된 제1후크(1110)가 제1몸체(1210)에 형성된 제1입구(1211)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1후크(111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1212)과 상기 제1몸체(1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노출 홀(1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제1노출 홀(1212)의 단부(1212a)에서 제1후크를 이탈시키는 탄지부(1213a)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입구(1211)와 대향하는 제1몸체(1210)의 타측은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된 웨빙이 결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되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제1암버클(1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탄지부(1213a)를 동시에 누르는 것에 의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가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면서 제1후크(1110)가 제1노출 홀(1212)의 단부(1212a)에서 이탈되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분리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착용자가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 양 측면에 형성된 탄지부(1213a)를 동시에 누르는 조작없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게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 내부에 제1작동부(1220) 및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마련된다.
제1작동부(1220)는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암버클(1200)과 체결된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작동부(1220)는 일단이 제1암버클(1200)에 형성된 한 쌍의 탄지부(1213a)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제1몸체(12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암(1221) 및 상기 암(1221)의 타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설치되는 연결부(1222)로 구성된다.
이렇게 탄지부(1213a)와 일체로 형성된 암(1221)은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한 쌍의 암(1221)이 서로를 향해 오므라들 수 있게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암(1221)은 그 일단과 타단이 제각기 탄지부(1213a)의 자유단 내측면 및 연결부(1222)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때 타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210)에 진입하여 체결된 제1수버클(1100)로부터 멀어지게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암(1221)은 연결부(1222)를 중심으로 대략 "V"자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탄지부(1213a)와 연결부(1222)를 경사지게 연결하게 된다.
연결부(1222)는 암(1221)과 암(1221)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부(1222)는 제1몸체(1210)의 내부 중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축선과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1견인 와이어(1230)가 관통하는 관통 홀(12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 홀(1222a)을 관통한 제1견인 와이어(1230)의 끝단에는 관통 홀(1222a)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1231)가 형성되어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이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스토퍼(1231)가 연결부(1222)를 가압하여 제1견인 와이어(1230)의 축선 방향으로 연결부(1222)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연결부(1222)에 형성되는 관통 홀(1222a)은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 홀(1222a)을 관통한 제1견인 와이어(1230)의 끝단에 스토퍼(1231)가 형성되는데, 이때 스토퍼(1231)는 연결부(1222)와 제1몸체(1210)에 형성된 제1입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1222)를 관통하여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설치되고 스토퍼(1231)가 연결부(1222)와 제1몸체(1210)에 형성된 제1입구(12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게 될 때 스토퍼(1231)가 연결부(1222)에 걸림되어 연결부(1222)를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지만, 이와 반대로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몸체(1210)에 형성된 제1입구(1211)를 향해 이동하게 될 때 스토퍼(1231)가 연결부(1222)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제1작동부(1220)가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암버클(1200)과 제1수버클(1100)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제1견인 와이어(1230)를 보호하는 중공된 제1프로텍터 튜브(12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로텍터 튜브(1250)는 그 선단이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1암버클(1200)과 체결되는 제1수버클(1100)의 진입방향과 대향하는 제1몸체(1210)의 기단으로 인출되어 트리거 유닛(3000)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제1견인 와이어(1230)가 개재된다.
이러한 제1프로텍터 튜브(1250)는 바람직하게 완충력이 발휘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프로텍터 튜브(1250)가 제1암버클(1200)에 마련되면 제1암버클(1200)이 유동하여 제1견인 와이어(1230)가 휘어질 때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암버클(1200)은 제1견인 와이어(1230), 제1프로텍터 튜브(1250)를 편리하게 연결부(1222)에 설치할 수 있게 제1몸체(1210)의 일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제1몸체(1210)의 일측면에 커버(1240)가 설치된다.
즉, 제1암버클(1200)은 제1작동부(1220), 제1견인 와이어(1230), 제1프로텍터 튜브(12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몸체(1210)의 일측면이 개방되며, 이렇게 개방된 제1몸체(1210)의 일측면에 커버(1240)가 설치되어 제1작동부(1220), 제1견인 와이어(1230), 제1프로텍터 튜브(1250)를 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의 작동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체결된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하기 위해 착용자는 제1암버클(1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탄지부(1213a)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탄지부(1213a)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탄지부(1213a)의 자유단 내측면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1110) 간의 거리가 감소하면서 제1후크(1110)가 제1노출 홀(1212)의 단부(1212a)에서 이탈하게 되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착용자에 의한 제1암버클(1200)의 탄지부(1213a)에 대한 누름 조작 이외에 제1견인 와이어(1230)를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연결부(1222)가 제1몸체(1210)의 내부에서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암(1221)과 연결된 탄지부(1213a)가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하게 되며, 탄지부(1213a)가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탄지부(1213a)의 자유단 내측면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1110) 간의 거리가 감소하면서 제1후크(1110)가 제1노출 홀(1212)의 단부(1212a)에서 이탈하게 되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분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에 의하면 전면 보호부(100)와 후면 보호부(200)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착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다.
한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앞서 설명한 도 4 내지 도 6의 제1암버클(1200)과 제1수버클(110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제1암버클(1200)은 탄지부(1213a)가 마련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암버클(1200)에 탄지부(1213a)가 마련되지 않고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착용자가 직접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용자가 제1후크(1110)를 직접 누름 조작하는 구조를 갖는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을 도 7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1버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제1후크(1110)가 형성된 제1수버클(1100), 상기 제1수버클(1100)이 체결되는 제1암버클(1200), 상기 제1암버클(1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암버클(1200)과 결속된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작동부(1220), 상기 제1작동부(1220)와 연결된 상태로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견인 와이어(1230)로 구성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수버클(1100)은 제1후크(1110)가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에 형성된 제1노출 홀(1212)을 통해 착용자가 직접 제1후크(1110)를 누름 조작할 수 있게 제1후크(1110)에 누름부(1111)가 형성되어 착용자가 누름부(1111)를 누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암버클(1200)은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1후크(1110)가 진입하는 제1입구(1211)를 형성한 제1몸체(1210), 상기 제1몸체(1210)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가 제1입구(1211)를 통해 진입하였을 때 제1후크(1110)와 걸림되는 걸림 턱(1213b), 상기 걸림 턱(1213b)에 걸림된 제1후크(1110)의 누름부(111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12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암버클(1200)에 적용되는 제1작동부(1220)는 작동 편(1223)과 연결부(1222)로 구성되는데, 작동 편(1223)은 양 끝단에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는 가압 턱(1223a)이 형성되며 가압 턱(1223a)이 피벗할 수 있게 제1몸체(1210)의 내부에 힌지 결속되는 힌지 핀(1223b)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222)는 작동 편(1223)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연결부(1222)는 작동 편(1223)의 중심에 형성된다.
작동 편(1223)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가압 턱(1223a)이 피벗하여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 턱(1223a)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원활하게 압박할 수 있게 작동 편(1223)은 가압 턱(1223a)과 힌지 핀(1223b)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부(1224)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부(1224)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바(1225)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 바(1225)는 바람직하게 호의 형태를 갖는 곡률을 형성하며 그 중심에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설치되는 연결부(1222)가 형성되어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연결 바(1225)가 탄성 변형되어 회동부(1224)를 힌지 핀(1223b)을 중심으로 피벗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1224)가 피벗하게 되면 가압 턱(1223a)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제1후크(1110)를 제1몸체(1210)에 형성된 걸림 턱(1213b)으로부터 이탈시켜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분리된다.
그리고,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설치되는 연결부(1222)는 제1견인 와이어(1230)가 관통하는 관통 홀(1225a)이 형성되고, 제1견인 와이어(1230)는 관통 홀(1225a)을 관통한 끝단에 스토퍼(1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231)는 관통 홀(1225a)보다 큰 지름을 갖게 되어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이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스토퍼(1231)가 연결부(1222)를 가압하여 제1견인 와이어(1230)의 축선 방향으로 연결부(1222)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암버클(1200)은 제1견인 와이어(1230), 제1작동부(1220)를 편리하게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에 설치할 수 있게 제1몸체(1210)의 일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제1몸체(1210)의 일측면에 커버(1240)가 설치된다.
즉, 제1암버클(1200)은 제1작동부(1220),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몸체(1210)의 일측면이 개방되며, 이렇게 개방된 제1몸체(1210)의 일측면에 커버(1240)가 설치되어 제1작동부(1220), 제1견인 와이어(1230)를 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의 작동을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체결된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하기 위해 착용자는 제1암버클(1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1노출 홀(1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1110)의 누름부(1111)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제1노출 홀(1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1110)의 누름부(1111)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제1후크(1110) 간의 거리가 감소하면서 제1후크(1110)가 걸림 턱(1213b)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제1암버클(1200)의 제1노출 홀(1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1110)의 누름부(1111)에 대한 착용자의 직접적인 누름 조작 이외에 제1견인 와이어(1230)를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견인 와이어(1230)가 제1암버클(1200)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연결 바(1225)의 중심에 형성된 연결부(1222)가 제1몸체(1210)의 내부에서 제1견인 와이어(123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 바(1225)가 탄성 변형하면서 회동부(1224)를 피벗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부(1224)가 피벗하는 것에 따라 회동부(1224)에 형성된 가압 턱(1223a)이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여 제1후크(1110)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제1후크(1110)를 제1몸체(1210)에 형성된 걸림 턱(1213b)으로부터 이탈시켜 제1수버클(1100)과 제1암버클(1200)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가압 턱(1223a)이 형성된 회동부(1224)를 피벗시켜 제1수버클(1100)의 제1후크(1110)를 압박하게 되는 작동 편(1223)이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 내부에 조립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제1견인 와이어(1230)가 과도한 힘에 의해 당겨져 작동 편(1223)이 파손되더라도 제1암버클(1200)의 제1몸체(1210)에 설치된 커버(1240)를 분리한 후 파손된 작동 편(1223)을 새로운 작동 편으로 교체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
한편, 제1버클 조립체(10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프로텍터 튜브(125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버클 조립체에도 제1견인 와이어(1230)를 보호하기 위한 제1프로텍터 튜브(125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2000)를 도 10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제2버클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버클 조립체는 제2후크(2110)가 형성된 복수의 제2수버클(2100), 상기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가 체결되는 제2노출 홀(2212)이 형성된 제2암버클(2200), 제2노출 홀(2212)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암버클(2200)로부터 제2수버클(2100)을 해제시키는 제2작동부(2300), 제2후크(2110)를 가압하는 동력을 제2작동부(2300)에 전달할 수 있게 제2작동부(2300)와 연계된 상태로 제2암버클(2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견인 와이어(24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작동부(2300)를 가압하여 제2후크(2110)를 제2암버클(2200)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2500)로 구성된다.
이때, 제2암버클(2200)은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되고, 제2수버클(2100)은 허리밴드(300)의 양 끝단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된다.
부연하자면, 제2수버클(2100)은 제2암버클(2200)의 제2몸체(2210)에 형성된 제2입구(2211)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디가 마련되고 바디의 일측에 제2후크(211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2수버클(2100)은 제2후크(2110)와 대향하는 바디의 타측에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허리밴드(300)의 양 끝단에 제각기 마련된 웨빙이 결속된다.
제2암버클(2200)은 제2수버클(2100)에 형성된 제2후크(2110)가 진입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된다. 이때, 제2암버클(2200)은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된 웨빙이 결속된다.
이러한, 제2암버클(2200)은 제2몸체(2210), 제2노출 홀(2212), 조립부(2220)로 구성된다.
즉, 제2암버클(2200)은 제2수버클(2100)의 개수에 상응하게 제2후크(2110)가 진입하는 제2입구(2211)가 복수로 형성된 제2몸체(2210)와 상기 제2몸체(22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가 제2몸체(2210)에 형성된 제2입구(2211)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2후크(2110)의 일부를 제2몸체(2210)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 홀(2212) 및 제2몸체(221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작동부(2300) 및 해제 레버(2500)의 피벗을 지지하며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2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립부(2220)의 기단에는 고리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조립부(2220)의 기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는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된 웨빙이 결속된다.
조립부(2220)는 제2몸체(2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조립부(2221) 및 상기 제1조립부(22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부(2222)로 이루어진다.
즉, 제1조립부(2221)는 제2몸체(2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2225)이 형성된다.
이때, 제1조립부(2221)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225)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슬라이드 바(2410)가 위치하여 제2견인 와이어(2400)가 제2암버클(2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슬라이드 바(2410)가 가이드 슬롯(2225)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동부(2300)를 피벗시키게 된다.
또한, 제2조립부(2222)는 제1조립부(22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2221)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게 되는데, 제1조립부(2221) 및 제2조립부(2222)는 나사 고정이 가능하게 제1조립부(2221)에 보스가 형성되고 제2조립부(2222)에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조립부(2221) 및 제2조립부(2222)는 제2작동부(2300) 및 해제 레버(2500)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2223) 및 제2힌지블록(2224)이 마련된다.
제1힌지블록(2223)은 제1조립부(2221) 및 제2조립부(2222)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조립부(2221)와 제2조립부(2222)가 조립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작동부(2300)의 힌지부(2320)에 형성된 힌지축(2321)이 개재된다. 이러한 제1힌지블록(2223)은 제2몸체(2210)와 제1조립부(2221)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제2힌지블록(2224)은 제1힌지블록(2223)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힌지블록(2223)과 제2노출 홀(2212)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제2힌지블록(2224)은 제1힌지블록(2223)에 개재되어 피벗하는 제2작동부(2300)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제1힌지블록(2223)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해제 레버(2500)가 제2작동부(2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힌지블록(2224)은 제1힌지블록(2223)과 마찬가지로 제1조립부(2221) 및 제2조립부(2222)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반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조립부(2221)와 제2조립부(2222)가 조립되었을 때 형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해제 레버(2500)에 형성된 힌지축(2520)이 개재된다.
한편, 제2작동부(2300)는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후크(2110)를 제2노출 홀(2212)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2310), 제2암버클(2200)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2320), 가압부(2310)가 제2후크(2110)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2330)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가압부(2310)는 제2노출 홀(2212)에 체결된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후크(2110)를 제2노출 홀(2212)에서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압부(2310)는 제2암버클(2200)의 제2몸체(2210) 상면에 형성된 제2노출 홀(221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2310)의 일측으로 힌지부(2320)가 마련되는데, 힌지부(2320)는 가압부(2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 앞서 설명한 제1힌지블록(2223)에 개재되는 힌지축(2321)이 형성되어 가압부(2310)가 힌지부(2320)를 중심으로 상하로 피벗된다.
또한, 스탭퍼(2330)는 가압부(2310)와 대향하여 힌지부(2320)의 타측에 마련되는데, 이러한 스탭퍼(2330)는 제2견인 와이어(2400)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가압부(2310)가 제2후크(2110)를 가압할 수 있게 연동된다.
즉, 가압부(2310) 및 스탭퍼(2330)는 힌지부(2320)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어 스탭퍼(2330)가 상향으로 피벗되는 경우 가압부(2310)는 하향으로 피벗하는 시소운동을 하게 되면서 가압부(2310)가 제2노출 홀(2212)에 체결된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후크(2110)를 제2노출 홀(2212)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특히, 스탭퍼(2330)는 그 하면에 제2견인 와이어(2400)가 제2암버클(2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2견인 와이어(2400)와 가까워지는 경사면(2331)이 형성된다.
한편, 제2견인 와이어(2400)는 제2암버클(2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스탭퍼(2330)의 경사면(2331)과 접촉하여 제2견인 와이어(2400)가 제2암버클(2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스탭퍼(2330)를 상하로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2410)가 마련된다.
즉, 슬라이드 바(2410)는 앞서 설명한 제1조립부(22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225)에 설치되어 제2견인 와이어(2400)가 제2암버클(22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가이드 슬롯(2225) 내에서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인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바(2410)가 제1조립부(22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225)을 따라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인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2410)와 접촉된 경사면(2331)에 의해 스탭퍼(2330)는 제2암버클(2200)의 상방으로 피벗된다.
이와 같이, 스탭퍼(2330)가 제2암버클(2200)의 상방으로 피벗하는 것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310)는 힌지부(2320)를 중심으로 제2암버클(2200)의 하방으로 피벗하게 되면서 제2노출 홀(2212)에 체결된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후크(2110)를 제2노출 홀(2212)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한편, 평상시에는 제2작동부(2300)의 가압부(2310)가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가압하지 않도록 제2노출 홀(2212)에는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2340)가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3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제2작동부(2300)에 마련된 가압부(2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압부(2310)를 탄성 지지하게 되며, 제2견인 와이어(2400)의 인출 또는 해제 레버(2500)의 작동에 의해 스탭퍼(2330)가 제2암버클(2200)의 상방으로 피벗되는 것에 따라 압축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340)는 안정적으로 가압부(23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게 가압부(2310)의 하면에 스프링 시트와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해제 레버(2500)는 그 기단이 제2암버클(2200)에 피벗되게 설치되는데, 해제 레버(2500)의 기단 양측면에 앞서 설명한 제2힌지블록(2224)에 개재되는 힌지축(2520)이 형성되어 해제 레버(2500)의 선단이 제2힌지블록(22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피벗된다.
또한, 해제 레버(2500)는 제2작동부(2300)와 마주하는 면에 제2작동부(2300)를 향하는 편심 돌기(2510)가 형성되는데 편심 돌기(2510)는 해제 레버(2500)에 형성된 힌지축(2520)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작동부(2300)를 향해 장축을 형성한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제 레버(2500)에 편심 돌기(2510)가 형성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레버(2500)가 제2힌지블록(2224)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2510)가 제2작동부(2300)를 가압하게 되고, 제2작동부(2300)는 제2노출 홀(2212)에 체결된 제2후크(2110)를 가압하여 제2노출 홀(2212)로부터 제2후크(2110)를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 레버(2500)에 편심 돌기(2510)가 형성될 때 제2작동부(2300)는 편심 돌기(2510)와 마주하는 면에 편심 돌기(2510)에 상응하는 안치 홈(2311)이 마련된다.
이렇게 제2작동부(2300)에 마련되는 안치 홈(2311)은 해제 레버(25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해제 레버(250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해제 레버(2500)가 무단으로 피벗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해제 레버(2500)가 사용자의 의해 조작될 때는 해제 레버(2500)의 피벗에 따라 편심 돌기(2510)의 장축에 해당하는 부분이 안치 홈(2311)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제2작동부(2300)의 가압부(2310)를 제2암버클(2200)의 하방으로 피벗시켜 제2수버클(2100)의 제2후크(2110)를 제2노출 홀(2212)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버클 조립체(2000)는 제2견인 와이어(2400)를 보호하는 중공된 제2프로텍터 튜브(22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로텍터 튜브(2230)는 제2암버클(2200)에 형성된 조립부(222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조립부(2220)의 외부로 인출되어 트리거 유닛(3000)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2견인 와이어(2400)가 개재된다.
이러한 제2프로텍터 튜브(2230)는 바람직하게 완충력이 발휘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2프로텍터 튜브(2230)가 제2암버클(2200)에 마련되면 제2암버클(2200)이 유동하여 제2견인 와이어(2230)가 휘어질 때 제2견인 와이어(2230)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버클 조립체(2000)에 의하면 제2견인 와이어(2400)가 당겨지거나 또는 해제 레버(2500)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제2암버클(2200)에 체결된 복수의 제2수버클(2100)을 동시에 해제할 수 있어 전면 보호부(100)와 허리밴드(300)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를 신속하게 탈의할 수 있다.
한편, 제2버클 조립체(20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제 레버(2500)를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게 제2암버클(2200)의 제2몸체(2210)에는 파지 홈(22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 홈(2215)은 해제 레버(2500)의 선단에 상응하게 제2몸체(2210)에 형성되어 해제 레버(2500)의 선단이 도 10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21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를 갖게 될 때 해제 레버(2500)의 선단 하부에 파지 홈(22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몸체(2210)에 파지 홈(2215)이 형성되면 위급상황 시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 홈(2215)에 삽입하는 것으로 해제 레버(25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암버클(2200)의 제2몸체(2210)에 파지 홈(2215)이 형성될 때 파지 홈(2215)의 내부에는 해제 레버(2500)를 지지하는 격벽(2216)이 형성되는데, 격벽(2216)은 파지 홈(2215)과 제2노출 홀(2212)의 경계에 형성되어 해제 레버(2500)가 도 13과 같이 제2몸체(221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를 갖게 될 때 해제 레버(250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 레버(2500)를 지지하는 격벽(2216)이 파지 홈(2215)의 내부에 형성되면 가압부(2310)가 임의로 눌리지 않게 보호하여 제2수버클(2100)이 의도치 않게 제2암버클(2200)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3000)을 도 18 내지 도 2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조끼 중 트리거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트리거 유닛(3000)은 트리거 하우징(3100) 및 트리거 레버(3200)로 구성되어 트리거 레버(3200)의 조작에 따라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제1견인 와이어(1230) 및 제2견인 와이어(2400)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를 해제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트리거 하우징(3100)은 전면 보호부(100)에 마련되고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제1견인 와이어(1230) 및 제2견인 와이어(24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트리거 하우징(3100)은 제1견인 와이어(1230) 및 제2견인 와이어(2400)가 관통하여 트리거 레버(3200)의 타단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인입 홀(3110)이 형성된다.
이때, 인입 홀(31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 및 제1프로텍터 튜브(1250)와 제2프로텍터 튜브(2230)의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트리거 하우징(3100)의 상면에 조립되는 캡(3400)이 마련되는데, 트리거 하우징(3100)과 캡(3400)은 나사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캡(3400)과 트리거 하우징(3100)이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 및 제1프로텍터 튜브(1250)와 제2프로텍터 튜브(2230)의 외형에 상응하는 함몰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은 캡(3400)과 트리거 하우징(3100)이 조립되었을 때 인입 홀(3110)을 형성하게 된다.
제1프로텍터 튜브(1250)와 제2프로텍터 튜브(2230)는 인입 홀(3110)에 고정되고, 제1프로텍터 튜브(1250)와 제2프로텍터 튜브(2230)에 제각기 개재된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는 인입 홀(3110)을 통해 트리거 레버(3200)의 타단에 고정된다.
한편, 트리거 레버(3200)는 그 일단이 트리거 하우징(3100)에 피벗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가 고정되어 트리거 레버(3200)가 트리거 하우징(3100)으로부터 피벗되는 것에 따라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를 당기게 된다.
이러한 트리거 레버(3200)는 그 일단에 상기 트리거 하우징(3100)과 피벗 축(3300)에 의해 결합되는 피벗 보스(3210)가 형성되고, 피벗 보스(3210)는 그 둘레에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를 매립한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32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피벗 보스(3210)의 둘레에 가이드 홈(3211)이 형성되면 트리거 레버(3200)가 피벗 축(3300)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것에 따라 제1견인 와이어(1230)와 제2견인 와이어(2400)가 가이드 홈(3211)을 통해 당겨지게 되어 제1버클 조립체(1000)와 제2버클 조립체(2000)를 일시에 해제시켜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면 보호부(100)에 트리거 유닛(3000)이 마련되면 착용자가 탄환 및 포탄 파편 등에 피탄되어 부상을 입는 긴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트리거 레버(3200)를 조작하는 것으로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1000) 및 제2버클 조립체(2000)를 일시에 해제시켜 전면 보호부(100), 후면 보호부(200), 허리밴드(300)를 신속하게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전면 보호부 200 : 후면 보호부
210 : 어깨 서스펜더 220 : 허리 서스펜더
300 : 허리밴드 400 : 지지대
1000 : 제1버클 조립체 1100 : 제1수버클
1110 : 제1후크 1111 : 누름부
1200 : 제1암버클 1210 : 제1몸체
1211 : 제1입구 1212 : 제1노출 홀
1212a : 단부 1213a : 탄지부
1213b : 걸림 턱 1220 : 제1작동부
1221 : 암 1222 : 연결부
1222a, 1225a : 관통 홀 1223 : 작동 편
1223a : 가압 턱 1223b : 힌지 핀
1224 : 회동부 1225 : 연결 바
1230 : 제1견인 와이어 1231 : 스토퍼
1240 : 커버 1250 : 제1프로텍터 튜브
2000 : 제2버클 조립체 2100 : 제2수버클
2110 : 제2후크 2200 : 제2암버클
2210 : 제2몸체 2211 : 제2입구
2212 : 제2노출 홀 2220 : 조립부
2221 : 제1조립부 2222 : 제2조립부
2223 : 제1힌지블록 2224 : 제2힌지블록
2225 : 가이드 슬롯 2230 : 제2프로텍터 튜브
2300 : 제2작동부 2310 : 가압부
2311 : 안치 홈 2320 : 힌지부
2321,2520 : 힌지축 2330 : 스탭퍼
2331 : 경사면 2340 : 탄성부재
2400 : 제2견인 와이어 2410 : 슬라이드 바
2500 : 해제 레버 2510 : 편심 돌기
3000 : 트리거 유닛 3100 : 트리거 하우징
3110 : 인입 홀 3200 : 트리거 레버
3210 : 피벗 보스 3211 : 가이드 홈
3300 : 피벗 축 3400 : 캡

Claims (26)

  1.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클 조립체는
    한 쌍의 제1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1수버클;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체결되는 제1노출 홀이 형성된 제1암버클;
    상기 제1암버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암버클과 체결된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여 제1후크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작동부; 및
    상기 제1후크를 압박하는 동력을 상기 제1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1작동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견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 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를 거쳐 상기 전면 보호부를 향하도록 상기 후면 보호부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어깨 서스펜더; 및
    상기 착용자의 옆구리를 거쳐 상기 전면 보호부를 향하도록 상기 후면 보호부의 측면 하부에서 연장되는 허리 서스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를 형성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1후크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 및
    상기 제1작동부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제1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노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후크를 압박하여 제1후크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암버클에 형성된 한 쌍의 탄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암; 및
    상기 암의 타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암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한 쌍의 암이 서로를 향해 오므라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일단과 타단이 제각기 상기 탄지부의 자유단 내측면 및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제1몸체에 진입하여 체결된 제1수버클로부터 멀어지게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를 형성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하였을 때 상기 제1후크와 걸림되거나 상기 제1작동부에 의해 상기 제1후크와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턱; 및
    상기 걸림 턱에 걸림된 제1후크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노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는
    양 끝단에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는 가압 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 턱이 피벗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힌지 결속되는 힌지 핀이 형성된 작동 편; 및
    상기 작동 편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당겨지는 것에 따라 상기 가압 턱이 피벗하여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은
    상기 가압 턱과 힌지 핀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부;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호의 형태를 갖는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암버클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수버클은 상기 어깨 서스펜더 및 허리 서스펜더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4.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버클 조립체는
    제2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제2수버클;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후크가 진입하는 제2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2수버클의 제2후크가 체결되는 제2노출 홀이 형성된 제2암버클;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작동부;
    상기 제2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제2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2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견인 와이어; 및
    상기 제2암버클에 형성된 제2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를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암버클은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후크가 진입하는 제2입구를 형성한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가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2후크의 일부를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 홀; 및
    상기 제2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작동부 및 해제 레버의 피벗을 지지하며 상기 제2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2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2견인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제1조립부; 및
    상기 제1조립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조립부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는 상기 제2작동부 및 해제 레버가 제각기 피벗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블록 및 제2힌지블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노출 홀에 체결된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를 제2노출 홀에서 이탈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암버클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여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하여 상기 가압부가 제2후크를 가압하게 피벗시키는 스탭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스탭퍼는 그 하면에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상기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견인 와이어와 가까워지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노출 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그 기단이 상기 제2암버클에 피벗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제2작동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작동부를 향하는 편심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해제 레버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편심 돌기가 제2작동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편심 돌기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편심 돌기에 상응하는 안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 돌기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제2작동부가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서 상기 제2후크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2암버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2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견인 와이어가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작동부를 피벗시키는 슬라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3.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클 조립체는
    한 쌍의 제1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1수버클;
    상기 제1수버클의 제1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후크가 진입하는 제1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1수버클의 제1후크가 체결되는 제1노출 홀이 형성된 제1암버클;
    상기 제1암버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암버클과 체결된 제1수버클의 제1후크를 압박하여 제1후크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제1작동부; 및
    상기 제1후크를 압박하는 동력을 상기 제1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1작동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견인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지지하는 트리거 하우징; 및
    그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피벗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견인 와이어가 고정되어 트리거 하우징으로부터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를 당기는 트리거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하우징은
    상기 견인 와이어가 관통하여 상기 트리거 레버의 타단으로 안내하는 인입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레버는 그 일단에 상기 트리거 하우징과 피벗 축에 의해 결합되는 피벗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 보스는 그 둘레에 상기 견인 와이어를 매립한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26. 착용자의 가슴 및 복부를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
    상기 전면 보호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등을 보호하는 후면 보호부;
    상기 후면 보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후면 보호부를 연결하는 제1버클 조립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에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전면 보호부와 허리밴드를 연결하는 제2버클 조립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로부터 제각기 인출된 견인 와이어를 당겨 제1버클 조립체와 제2버클 조립체를 일시에 해제시켜 상기 전면 보호부, 후면 보호부, 허리밴드를 착용자로부터 탈의시키는 트리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버클 조립체는
    제2후크가 형성된 복수의 제2수버클;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2후크가 진입하는 제2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진입한 제2수버클의 제2후크가 체결되는 제2노출 홀이 형성된 제2암버클;
    상기 제2암버클의 제2노출 홀에서 피벗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수버클의 제2후크를 가압하여 상기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작동부;
    상기 제2후크를 가압하는 동력을 상기 제2작동부에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제2작동부와 연계된 상태로 상기 제2암버클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견인 와이어; 및
    상기 제2암버클에 형성된 제2노출 홀의 상부에 피벗되도록 설치되어 피벗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2작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후크를 제2암버클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암버클은 상기 전면 보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수버클은 상기 허리밴드의 양 끝단에 마련된 웨빙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조끼.
KR1020180043353A 2018-04-13 2018-04-13 방탄조끼 KR10189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53A KR101892018B1 (ko) 2018-04-13 2018-04-13 방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53A KR101892018B1 (ko) 2018-04-13 2018-04-13 방탄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018B1 true KR101892018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53A KR101892018B1 (ko) 2018-04-13 2018-04-13 방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01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47A (ko) 2019-11-27 2021-06-04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검조끼
KR102318803B1 (ko) 2021-08-09 2021-10-27 우일무역(주) 방탄조끼용 허리조절벨트
KR102338725B1 (ko) 2021-06-02 2021-12-14 주식회사 엔에이치 방탄조끼 착탈 장치 및 이를 채택한 방탄조끼
KR102380555B1 (ko) * 2022-01-13 2022-04-04 주식회사 엔에이치 신속해체가 가능한 방탄복
KR102393358B1 (ko) * 2021-01-22 2022-05-02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방탄조끼
KR102406462B1 (ko) * 2021-11-18 2022-06-08 주식회사 엔에이치 가방 수납식 방탄복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WO2022270965A1 (ko) * 2021-06-24 2022-12-29 (주)나라물산 사용의 확장성을 갖는 조끼.
WO2023241163A1 (zh) * 2022-06-15 2023-12-21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联动快解扣装置及防弹快解背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2329A1 (en) * 2012-12-17 2015-12-03 Rig Equipment Limited V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2329A1 (en) * 2012-12-17 2015-12-03 Rig Equipment Limited Ves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47A (ko) 2019-11-27 2021-06-04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검조끼
KR102393358B1 (ko) * 2021-01-22 2022-05-02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방탄조끼
KR20220155657A (ko) 2021-05-17 2022-11-24 이후윤 끈 작동형 버클
KR102338725B1 (ko) 2021-06-02 2021-12-14 주식회사 엔에이치 방탄조끼 착탈 장치 및 이를 채택한 방탄조끼
WO2022270965A1 (ko) * 2021-06-24 2022-12-29 (주)나라물산 사용의 확장성을 갖는 조끼.
KR102318803B1 (ko) 2021-08-09 2021-10-27 우일무역(주) 방탄조끼용 허리조절벨트
KR102406462B1 (ko) * 2021-11-18 2022-06-08 주식회사 엔에이치 가방 수납식 방탄복
KR102380555B1 (ko) * 2022-01-13 2022-04-04 주식회사 엔에이치 신속해체가 가능한 방탄복
WO2023241163A1 (zh) * 2022-06-15 2023-12-21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联动快解扣装置及防弹快解背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018B1 (ko) 방탄조끼
US5129562A (en) Trigger guard retainer
US8533862B2 (en) Quickly releasable vest
US8196273B2 (en)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6212688B1 (en) Firefighter's glove holder
EP2165147B1 (en) Pistol carrier
US9354023B1 (en) Holder for body mounted armor
US9614332B2 (en) Military vest and quick release buckle with electrical connectors
WO1998031977A1 (en) Handgun holster having a trigger guard retainer latch
US20120030852A1 (en) Multiple buckle release system
US20170211914A1 (en) Quickly releasable vest
KR101878701B1 (ko) 버클 조립체
US9115959B2 (en) Quick release garment
US9752854B1 (en) Holding for body mounted armor
US6651662B2 (en) Alignment and connection mechanism for a mask-mounted regulator
KR101872335B1 (ko) 버클 조립체
US4648138A (en) Retention and quick release mechanism
US9554609B2 (en) Belt closure and chin strap of a protective helmet equipped therewith
JP2016510158A (ja) 照明機器
CZ2007747A3 (cs) Brankárská helma s originálním usporádáním pásku
CN211378070U (zh) 一种多用式手机保护壳
CN211188851U (zh) 一种正压式呼吸器消防安全腰带
CN212109745U (zh) 一种快速伸缩盾牌
KR102393358B1 (ko) 방탄조끼
US20070253207A1 (en) Flashlight m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