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32B1 -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 Google Patents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32B1
KR101878632B1 KR1020180018029A KR20180018029A KR101878632B1 KR 101878632 B1 KR101878632 B1 KR 101878632B1 KR 1020180018029 A KR1020180018029 A KR 1020180018029A KR 20180018029 A KR20180018029 A KR 20180018029A KR 101878632 B1 KR101878632 B1 KR 10187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grip
seat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기
Original Assignee
윤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기 filed Critical 윤재기
Priority to KR102018001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terminal for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rotating unit provided with a rotating plate rotating in one direction at a first temporal interval, and a plurality of seating units radially arranged at an upp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to feed terminals for the circuit breaker, fed from a supply device, in the one direction; a carry-in unit seating the terminals for the circuit breaker, fed from the supply unit, at a seating unit moved to an adjacen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units; a processing unit arranged to surround the rotating unit and processing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arranged at an adjacen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units for a first temporal period when the rotating plate does not rotate; a carry-out unit carrying out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having been completely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from the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a posi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processing unit to sense a position of the seated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ensure a space needed in processing and reduce a moving line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sequentially processed to enhance productivity.

Description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단기용 단자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기 설정 위치에 가동접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차단기용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breaker, comprising: a movable contact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terminal for a breaker transferred from a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a terminal for a breaker; To a terminal process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which is welded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특히 콘덴서(Condensor)와 같이 소자로부터 축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형식의 전자부품에 있어서 그 소자에 접속단자를 용접하게 될 경우 그 소자 및 접속단자의 형상의 특수성 때문에 그 반송, 교환, 유지 등의 취급이 어렵고, 납 딥핑 처리의 자동화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component, particularly a type of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extending from the component to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such as a condenser,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welded to the element,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hape of the element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t is difficult to handle such transportation, exchange, and maintenance, and it is difficult to automate the lead dipping process.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5829호에서는 부품이 결합되는 샤시를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배치하고, 턴테이블의 외주연에 부품삽입기와 가열기 및 냉각기와 절곡기를 방사상으로 구비함으로써,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의 주위로 배치된 부품삽입기와 가열기 및 냉각기와 절곡기 등을 거치면서 샤시의 상부에 부품이 납땜되도록 하여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납땜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납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Due to such a problem,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05829 discloses that a chassis to which components are coupled is arranged radially in a turntable which is intermittently rotated, and a component insertion device, a heater, a cooler and a bending device are radial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rntable , An electronic component solder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oldering an electronic component by soldering a compon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chassis while passing through a component inserting machine disposed around the turntable, a heater, a cooler and a b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hav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부품 납땜장치에는 가열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납땜 시 납을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해줄 수 있는 별도의 납 공급수단이 없었고, 연속적인 납땜으로 인해 인두 팁이 마모되어 교체해야 할 경우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재료비도 많이 들게 되는 여러 가지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 soldering apparatus, there is no separate lead-supplying means for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supplying lead during solder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heater, and the soldering tip is worn out due to continuous soldering, In case of replacing, it was very cumbersome and had a lot of material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용 단자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가동접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차단기용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having a circuit breaker and a circuit breaker which are mounted on a circuit breaker, And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는, 차단기용 단자 -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 고정되기 위해 일단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충간 부분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접촉부가 형성 - 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가동접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차단기용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회전 유닛,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회전 유닛을 포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복수의 안착부 중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가공하는 가공 유닛, 상기 가공 유닛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가공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키는 반출부, 상기 가공 유닛에 설치되어,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에 감지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공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반입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동접점이동부, 상기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부에 대한 상기 가동접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접촉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촉부를 용접하는 용접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to be fixed to a housing by a terminal-screw or the like for a circuit breaker,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 U- In which a movable contact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terminal for a breaker transferred from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movable contact to a terminal for a breaker, A rotating unit having a rotating plate rotating in one direction at a first time interval and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radially arranged on the rotating plate and feeding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fed from the feeding device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transferred terminal for the breaker is connected to an adjacent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eat portions A machining unit for machining a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arranged at an adjacen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parts for the first time period in which the rotating plate is not rotated,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mounted on the processing unit, and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mounted on the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chin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erein the machining unit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fo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carry-in portion, A movable contact portion for allowing the contact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a welding portion for we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contact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a welding portion for we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contact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부, 제2 안착부, 제3 안착부, 제4 안착부, 제5 안착부, 제6 안착부, 제7 안착부 및 제8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 상기 제2 안착부, 상기 제3 안착부, 상기 제4 안착부, 상기 제5 안착부, 상기 제6 안착부, 상기 제7 안착부 및 상기 제8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회전판이 상기 일방향으로 45°만큼 회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of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a second seating portion, a third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which are radi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A fourth seat portion, a fifth seat portion, a sixth seat portion, a seventh seat portion, and an eighth seat portion, wherein the first seat portion, the second seat portion, the third seat portion, Wherein the fifth seating portion, the sixth seating portion, the seventh seating portion, and the eighth seating por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the control portion controls the rotation plate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By 45 [de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반입부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가동시키는 제1 가동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1 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1 위치와 상기 제1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3 위치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4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그립부, 제1-2 그립부 및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서 상기 제1-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3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1 위치에서 상기 제1-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가 상기 차단기용 단자와 그립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arry-in portion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yor portion formed to be directed from the supply device toward the rotating plate and rotating in an endless track toward the rotating plate, A first movabl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veyor portion to place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portion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movabl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portion, And a first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grip terminal, wherein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first-position shifting portion which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and a second grip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shifting portion that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veyor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portions are disposed to be shifted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The first grip portion is reciprocally moved between the first-third position and the first-fourth position that is disposed at a second gap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gap distance, the first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first grip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a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that change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second grip unit and the first-second grip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controls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from the 1-3 position to the 1-4 position in a state of being located at the 1-1 position, When the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1-4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1-1 and 2- And controls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so as to grip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mounted on the first conveyor part by the first and second grip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 parts,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are moved from the first to fourth positions to the first to third positions, And controls the 1-1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1-1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1-1 position to the 1-2 position if the 1-1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1-3 position, And controls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1-3 position to the 1-4 position when the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1-2 position, When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1-4 position, 1-2 may be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grip away to control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s of the first-first grip and said second grip portion 1-2 that the interrupter terminal and the grips rel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상기 접착제가 수용되며,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를 배출하는 접착제수용부, 상기 접착제수용부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압력조절부 및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이동부는,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상기 제2 안착부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2-1 위치와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상기 제2 안착부가 상기 제3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3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1 위치에서 상기 제2-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3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3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접착제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adhesive shroud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through an outlet formed at the lower side, And a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connected to the pressure adjusting unit and the adhesive accommodating unit and disposed i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unit and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eating unit and the second seating unit, Wherein the third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position where the adhesive receptacle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disposed at a third spacing distanc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adhesive receptacle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ourth distance The second position is shift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2-2,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hesive accommodating unit is increased, so that the adhesive To be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가동접점이동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하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를 가동시키는 제2 가동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에 안착시키는 제4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4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가동접점에 흡입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흡입력을 해제하는 흡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4 위치이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3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1 위치와 상기 제3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와 제5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3 위치와 상기 제5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6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4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상기 흡입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흡입편 및 상기 흡입편을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흡입편을 통해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에 상기 가동접점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편에 상기 가동접점이 부착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서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1 위치에서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면 상기 흡입편의 흡입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과 상기 가동접점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vable contact moving portion of the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nveyor portion that rotates from the supplying device of the movable contact to the rotating plate and rotates in an endless track toward the rotating plate, A second moving part for moving the second conveyor part, a fourth position shifting part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veyor part for seating the movable contact point at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part on the contact part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a su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movable portion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nd releasing the suction force, wherein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fourth-position moving portion and a third portion, which are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a fourth-2 position shifting portion which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Is moved in a reciprocating manner between a 4-1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veyor section and a 4-2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eating section, and the 4-2 position shifting section The fourth position being disposed at a fifth gap distance from the conveyor section and the fourth gap position being disposed at a fourth gap distance smaller than the fifth gap distance, And a suction unit for supplying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ie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ction unit such that during the first time, the fourth-1 position shifting unit is positioned at the 4-1 position The fourth 4-2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ourth 4-2 position shifting unit to be moved from the 4-3 position to the 4-4 position, and the 4-2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ourth 4- 4 position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provided through the suction piece, Wherein the movable contact is attached to the suction piece, and when the movable contact is attached to the suction piece, the fourth-2-position moving part moves from the 4-4 position to the 4- And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moves to the fourth 4- 2 position, and when the 4-1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moved to the 4-2 position, the 4-2 position shifting section controls the fourth 4- When the fourth-2-position moving unit is moved to the 4-4 position,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mber is released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released, So that the suction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가동접점이동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5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5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 상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을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2 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5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3 안착부와 제7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1 위치와 상기 제7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8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그립부, 제2-2 그립부 및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6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흡입편과 상기 가동접점이 이격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3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이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이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그립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의 그립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of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late and the movable contact are disposed between the moving portion and the fifth position shifting portion and the fifth position shifting portion, And a second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movable contact that is seated on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seating portion while the fifth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fth position shifting portion, 1 position and an eigh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seventh spacing distance, and the second grip portion is recipr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the second-first grip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nd a sixth position shifting portion for chang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first time, Contact The second posi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six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1 grip unit and the second-2 grip unit becomes closer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econd-1 grip unit is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The grip portion and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grip the movable contact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and the movable contact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by the second grip portion is gripped And to control the sixth position shifting unit to release the grip of the movable contact by the second grip unit when a second time shorter than the first time elap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용접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부, 상기 열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발생부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7 위치이동부, 상기 제5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3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그립부와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8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그립부, 제3-1 그립부 및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9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7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제9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1 위치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9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0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8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제1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1 위치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1 위치에서 상기 제8-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5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3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서 상기 제7-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발생부와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되어 상기 열발생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용접이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열발생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용접이 구현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2 위치에서 상기 제7-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2 위치에서 상기 제8-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welding portion of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generating portion that generates heat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heat generat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third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in the fifth seating portion, and a third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grip portion, the third grip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grip portion, And an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that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grip unit and the fifth mount unit is changed, and the third grip unit includes a third-first grip unit spaced apart from the third- And a ninth position shifting section for changing a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section and the third-second grip section, wherei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shift the fifth seating section to a ninth separation distance And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moved back and forth at a seventh position where the seventh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fth seating portion by a ten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ninth spacing distance, And an eighth position in which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arranged at an eleventh spacing distance and a fifth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fth seating portion and the eighth spacing distance is less than the eleventh spacing distance,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and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shifted from the eighth position to the eighth position,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to the 8-2 position, and when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eighth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3-1 grip unit and the 3-2 grip unit is close And controls the ninth position shifting unit to shift the third- When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third grip por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third grip portion, the seventh position moving portion moves to the seventh positio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so as to be moved to the 7-2 position so that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movable contac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alize welding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by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a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for shifting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from the seventh position to the seventh position when the welding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by the heat generating unit is realized, And controls the nin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unit and the third-second grip unit is distanced whe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Move location To the eighth position from the eighth position to the eighth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반출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0 위치이동부, 상기 제10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4 그립부 및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0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7 안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0-1 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0-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4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1 그립부, 제4-2 그립부 및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1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4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1 위치에서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0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The carry-out portion of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that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plate,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tenth position shift portion, Wherein 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10th-1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venth seating portion and a 10th-1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he fourth grip portion is moved in a reciprocating manner at the position of the fourth grip portion and the fourth grip portion, and the fourth grip portion includes a fourth-first grip portion, a fourth-second grip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ourth-1-grip unit and the fourth-2-grip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tenth position shift unit is located at the 10 < Of Controls the el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seated in the seventh seating portion by the fourth-fourth grip portion and the fourth-fourth grip portion is gripped by the fourth grip portion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tenth position to the tenth position when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mounted on the seventh seat is gripped, When the 10 position moving part is moved to the 10-2 position, the eleventh position moving par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4-1 grip part and the 4-2 grip part is distant, It can be made to fall toward th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반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1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접착제도포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2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가동접점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제3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용접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5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4 감지부 및 상기 반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7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5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unit of the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carrying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unit, And a thir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unit, and a thir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third seating unit, A fourth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weld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fifth seating unit and a fourth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carry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seventh seating unit And a fifth sens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는, 제1-1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착제도포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2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도포부에 의해 가공되고, 상기 제1-2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이동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3 시간 동안 상기 가동접점이동부 및 위치조정부에 의해 가공되며, 상기 제1-3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4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4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용접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5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에 의해 가공되며, 상기 제1-5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6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에 의한 용접 부위가 냉각되고, 상기 제1-6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반출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The terminal for the breaker moun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of the terminal processing device for a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adhesive bead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The movable contact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par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1-2 hours, The moving contact is moved by the moving part and the position adjusting part and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time to allow the adhesive to harden for the first to fourth hours, After the first to fifth time elapses,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welded portion by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is processed by the welded portion for a first time period of 1-5 hours, The welded part is cooled by the welding part during the first 1-6 hours and is moved to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carry-out part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1-6 hours and is taken out through the guide part .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기용 단자의 가공이 일정 공간에서 회전하는 회전판 상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가공에 필요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순차적으로 가공되는 차단기용 단자의 작업 동선을 줄여, 가공 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ing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progressed sequentially on the rotating plate rotating in a certain space, the space required for machining is easily secured, the working line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to be machined sequentially is reduced, ,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접착제의 경화 및 용접 부위 냉각에 따른 체류 시간 확보가 용이하여, 가공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secure the residence time due to the curing of the adhesive and the cooling of the welded portion, so that the defect rate due to processing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반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접착제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가동접점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위치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용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rry-in par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6 to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adhesive par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to FIG. 11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ovable contact moving portion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to 1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elding portion of 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carry-out uni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of 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는, 차단기용 단자(P, 도 3 참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가동접점(Q, 도 9 참조)을 안착시키고, 상기 가동접점(Q)이 상기 차단기용 단자(P)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장치일 수 있다.1 and 2,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for a circuit break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reaker terminal " P), and to weld the movable contact (Q)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Q) from escaping from the terminal (P) for the interrupter.

상기 차단기용 단자(P)는,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 고정되기 위해 일단(P2, 도 3 참조)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중간 부분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접촉부(P1,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one end (P2) (see Fig. 3) to be fixed to the housing by a screw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 U- See Fig. 3)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는, 회전 유닛(10), 반입부(20), 가공 유닛(30), 반출부(40), 위치감지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unit 10, a carry-in unit 20, a machining unit 30, a carry-out unit 40, a position sensing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can do.

상기 회전 유닛(10)은,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 및 상기 회전판(11)의 상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안착부(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rotary unit 10 includes a rotary plate 11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t a first time interval and a terminal P for a circuit breaker which is radi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ry plate 11 and is fed from the feeding device, (Not shown).

상기 복수의 안착부(13)는,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11) 상에서 위치 이동과 멈춤을 반복하며, 위치 이동되지 않은 채, 제1 시간 동안 정지된 상태에서 후술할 가공 유닛(30) 중 인접한 가공 유닛(30)에 의해 안착된 차단기용 단자(P)가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13 repeatedly move and stop on the rotating rotary plate 11 and are stopped from moving for a first time without being moved, The terminal P for a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by the unit 30 can be processed.

또한, 상기 복수의 안착부(13)는, 상기 회전판(1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부(131), 제2 안착부(132), 제3 안착부(133), 제4 안착부(134), 제5 안착부(135), 제6 안착부(136), 제7 안착부(137) 및 제8 안착부(138)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13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131, a second seating portion 132, and a third seating portion which are radial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11 133, a fourth seating portion 134, a fifth seating portion 135, a sixth seating portion 136, a seventh seating portion 137, and an eighth seating portion 138.

상기 제1 안착부(131), 상기 제2 안착부(132), 상기 제3 안착부(133), 상기 제4 안착부(134), 상기 제5 안착부(135), 상기 제6 안착부(136), 상기 제7 안착부(137) 및 상기 제8 안착부(138)는 상기 회전판(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31 and 132 and the third and fourth seating portions 133 and 134 and the fifth and sixth seating portions 135 and 135, The seventh seating portion 137 and the eighth seating portion 138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11. [

후술할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회전판(11)이 상기 일방향으로 45°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판(11)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rotation plate 11 so that the rotation plate 11 is rotated by 45 degrees in the one direction at the first time interval.

상기 반입부(20)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상기 복수의 안착부(13) 중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안착부(13)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carrying unit 20 can seat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supplying device to the seating part 13 moved to the adjacent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arts 13. [

상기 가공 유닛(30)은, 상기 회전 유닛(10)을 포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11)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복수의 안착부(13) 중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가공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3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rotation unit (10), and the processing unit (30) is arranged for the first time during which the rotation plate (11) The terminal P can be machined.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유닛(30)은, 상기 반입부(20)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상기 접촉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31), 상기 가동접점(Q)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동접점이동부(33), 상기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Q)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부에 대한 상기 가동접점(Q)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35, 도 9 참조) 및 상기 가동접점(Q)이 상기 접촉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접점(Q)과 상기 접촉부를 용접하는 용접부(37)를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ing unit 30 includes an adhesive patch cover 31 fo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P for a circuit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carry-in unit 20, (33) which presses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contact (Q)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Q)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oint And a welding portion 37 for welding the movable contact Q and the contact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Q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상기 가공 유닛(3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이하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ocess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8. FIG.

상기 반출부(40)는, 상기 가공 유닛(30)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상기 가공 유닛(30)으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The takeout unit 40 can take out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which has been machined by the machining unit 30 from the machining unit 30 to the outside.

상기 위치감지부(50)는, 상기 가공 유닛(30)에 설치되어,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unit 50 may be installed in the processing unit 30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seated terminal P for the breaker.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감지부(50)는, 상기 반입부(20)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상기 제1 안착부(131)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51), 상기 접착제도포부(311)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상기 제2 안착부(132)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52), 상기 가동접점이동부(33)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제3 안착부(133)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53), 상기 용접부(37)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상기 제5 안착부(135)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4 감지부(54) 및 상기 반출부(40)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상기 제7 안착부(137)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5 감지부(55)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sition sensing unit 50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51 installed in the carrying unit 20 to sense whether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unit 131, A second sensing part 52 provided on the adhesive covering part 311 for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part 132 or the second sensing part 52 mounted on the movable contact moving part 33 A third sensing part 53 installed on the welding part 37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third seating part 133, The fourth sensing unit 54 senses whether the terminal P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135 or not and detects whether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seventh seating part 137, And a fifth sensing unit 55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위치감지부(50)에 감지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공 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process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50. [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반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3 to 5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rry-in par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의 반입부(20)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11)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11)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되는 제1 컨베이어부(21),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를 가동시키는 제1 가동부(미도시),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상기 제1 안착부(131)에 안착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25)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25)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1 그립부(27)를 구비할 수 있다.3 to 5, a carry-in portion 20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plate (not shown) A first moving part (not shown) for moving the first conveyor part 21, a second conveyor part 21 disposed above the first conveyor part 21 to rotate the first conveyor part 21, A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25 and a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25 which ar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portion 21 to seat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131, And a first grip portion 27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상기 제1 위치이동부(25)는, 상기 회전판(11)의 반경 방향(X, 도 1 참조)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251)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Y, 도 3 참조)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25 includes a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251 displaced in the radial direction X of the rotary plate 11 (see FIG. 1) 1-2 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which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Y (see Fig.

상기 제1-1 위치이동부(251)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1 위치(도 3 참조)와 상기 제1 안착부(13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2 위치(도 5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1) position (refer to FIG. 3)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veyor section 21 and a second position (see FIG. 3)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ing section 131 1-2 position (see FIG. 5).

또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3 위치(도 3 참조)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4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3 위치는 제1 그립부(27)가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 상의 차단기용 단자(P)의 상측에 배치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1-4 위치는, 제1 그립부(27)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3 위치에서 높이 방향(Y) 하측에 위치한 위치이다.3) disposed at a first spacing distance from the first conveyor section 21 (see FIG. 3), and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section 253 is disposed at a second spacing distance And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the 1-4 position arranged at the separation distance. The thir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irst grip portion 27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on the first conveyor portion 21, (Y) from the first-third position so that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can be gripped by the breaker (27).

상기 제1 그립부(27)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그립부(271), 제1-2 그립부(272) 및 상기 제1-1 그립부(271)와 상기 제1-2 그립부(272)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grip portion 27 includes a first-first grip portion 271, a first-second grip portion 272, and the first-second grip portion 271 and the first-second grip portion 272, (Not shown) that changes the spacing distance of the first position shifter.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1 위치이동부(251)가 상기 제1-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를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도 3 참조).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first-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253) so that the first-first position shifting unit (251)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to be moved to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see FIG. 3).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271)와 상기 제1-2 그립부(272)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271)와 상기 제1-2 그립부(272)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그립부(27)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가 상기 제1-4 위치에서 상기 제1-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도 4 참조).Next, when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253 is positioned at the 1-4 position,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1-1 second gripping unit 271 and the 1-2 second gripping unit 272, So that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part 21 by the first-first grip part 271 and the first-second grip part 272 controls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first grip portion 27, the 1-2 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is moved from the 1-4 position to the 1-3 position The first-second-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can be controlled to be moved (see Fig. 4).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가 상기 제1-3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위치이동부(251)가 상기 제1-1 위치에서 상기 제1-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251)를 제어하고, 상기 제1-1 위치이동부(251)가 상기 제1-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가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를 제어하며, 상기 제1-2 위치이동부(253)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271)와 상기 제1-2 그립부(272)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271)와 상기 제1-2 그립부(272)가 상기 차단기용 단자(P)와 그립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If the 1-2 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is located at the 1-3 position, the control portion 60 controls the 1-1 position shifting portion 251 to move the first 1-2 position, the first-first-position shifting portion 251 controls the first-second-position shifting portion 251 to be moved to the first-second position, (253) controls the first-second-position-shifting portion (253) so that the first-second-position shifting portion (253) is moved from the first-third position to the firs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the first-second grip unit 271 and the first-second grip unit 272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second grip unit 271 and the first- 2 grip portion 272 can be gripped with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see Fig. 5).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접착제도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6 to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adhesive par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의 접착제도포부(31)는 상기 접착제가 수용되며,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311a)를 통해 상기 접착제를 배출하는 접착제수용부(311), 상기 접착제수용부(311)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압력조절부(313) 및 상기 접착제수용부(311)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안착부(132)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안착부(132)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6 to 8, an adhesive patch cover 31 of the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dhesive 311, A pressure regulating part 313 for changing an internal pressure of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311 and a pressure regulating part 313 connected to the adhesive accommodating part 311, And a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not shown)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shifted in the height direction Y so th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eating unit 132 is changed.

상기 제3 위치이동부는, 상기 접착제수용부(311)와 상기 제2 안착부(132)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2-1 위치(도 6 참조)와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상기 제2 안착부(132)가 상기 제3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2 위치(도 7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위치이동부는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접착제수용부(311) 및 상기 압력조절부(313)를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 시키는 부재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1 위치는 상기 접착제수용부(311) 및 상기 압력조절부(313)를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2-2 위치는 상기 접착제수용부(311) 및 상기 압력조절부(313)를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이다.(See FIG. 6) in which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132 are disposed at a third spacing distance, and a second position 2 seat portion 132 may be moved in a reciprocating manner at a second-2 position (see FIG. 7) arranged at a four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third spacing distance. Here,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a member that moves the adhesive accommodating unit 311 and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313 in the height direction (Y). In other words, the second-1 position is a position for disposing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the pressure regulating portion 313 in the state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The pressure regulating portion 311 and the pressure regulating portion 313 in the state shown in Fig.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3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1 위치에서 상기 제2-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3 위치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도 6 및 도 7참조).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1 position to the second-2 position during the first time (FIGS. 6 and 7) 7).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3 위치이동부(315)가 상기 제2-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접착제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압력조절부(313)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구(311a)를 통해 상기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도 7 참조).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313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hesive receptacle unit when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315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2-2, (See FIG. 7).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3 위치이동부(315)가 상기 제2-2 위치에서 상기 제2-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도 8 참조) 다음 이동되는 안착부(13)에 안착된 차단기용 단자(P)가 접착제수용부(311)에 의해 가공되도록 한다.Next, the controller 60 causes the third position shifting portion 315 to be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2-1 to the second position 1 (see FIG. 8) So that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which is seated on the adhesive receptacle (311), is processed by the adhesive receptacle (311).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가동접점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위치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FIGS. 9 to 11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able contact moving part of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to 14 show a terminal machining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adjustment unit of the apparatus.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의 상기 가동접점이동부(33)는, 상기 가동접점(Q)의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11)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11)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하는 제2 컨베이어부(331), 상기 제2 컨베이어부(331)를 가동시키는 제2 가동부(미도시), 상기 제2 컨베이어부(33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부(331)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동접점(Q)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에 안착시키는 제4 위치이동부(335) 및 상기 제4 위치이동부(335)에 연결된 채, 상기 가동접점(Q)에 흡입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흡입력을 해제하는 흡입부(337)를 구비할 수 있다.9 to 11, the movable contact moving part 33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movable contact Q moves from the supply device of the movable contact Q to the rotating plate 11 A second moving part (not shown) for moving the second conveyor part 331, a second moving part (not shown) for moving the second conveyor part 331, A four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331 to seat the movable contact Q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331 on the contact portion coated with the adhesive, (337)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335) and providing the suction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Q) or releasing the suction force.

상기 제4 위치이동부(335)는, 상기 회전판(11)의 반경 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1 위치이동부(335a) 및 상기 제3 안착부(133)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2 위치이동부(335b)를 구비할 수 있다.The four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a which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X of the rotary plate 11 and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b,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b which is moved in the Y direction.

상기 제4-1 위치이동부(335a)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33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1 위치(도 9 참조)와 상기 제3 안착부(13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2 위치(도 11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4-1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a includes a 4-1 position (see FIG. 9)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veyor portion 331 and a 4-1 position 4-2 position (see Fig. 11).

또한,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331)와 제5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3 위치(도 9 참조)와 상기 제5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6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4 위치(도 10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ourth-position shifting portion 335b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third position (see FIG. 9) disposed at the fifth spacing distance from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331 and the fourth-third position (See Fig. 10) arranged at a spacing distance.

상기 흡입부(337)는, 상기 가동접점(Q)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흡입편(337a) 및 상기 흡입편(337a)을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제공부(337b)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337 may include a suction piece 337a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Q and an inhaler 337b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iece 337a.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4-1 위치이동부(335a)가 상기 제4-1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9 참조)에서,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를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를 제어할 수 있다(도 10 참조).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ourth-position shifting unit 335b in a state where the 4-1 position shifting unit 335a is positioned at the 4-1 position (see FIG. 9) during the first time, 4 position to the fourth-fourth position (see FIG. 10).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흡입편(337a)을 통해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337b)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337a)에 상기 가동접점(Q)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도 10 참조).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inhaler 337b so that a suction force is provided through the inhalation piece 337a when the 4-2 position moving part 335b is located at the 4- So that the movable contact Q can be attached to the piece 337a (see FIG. 10).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흡입편(337a)에 상기 가동접점(Q)이 부착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가 상기 제4-4 위치에서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able contact Q is attached to the suction piece 337a,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fourth-position moving part 335b to move from the 4-4 position to the 4- The fourth-stage moving part 335b can be controlled to move the fourth-stage moving part 335b.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가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위치이동부(335a)가 상기 제4-1 위치에서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1 위치이동부(335a)를 제어할 수 있다(도 11 참조).When the fourth-portion-position shifting portion 335b is moved to the fourth-third position, the control portion 60 controls the fourth-position shifting portion 335a to move from the fourth- The position of the 4-1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a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moved to the -2 position (see FIG. 11).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4-1 위치이동부(335a)가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가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를 제어하며(도 11 참조), 상기 제4-2 위치이동부(335b)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면 상기 흡입편(337a)의 흡입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337b)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337a)과 상기 가동접점(Q)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도 12 참조).When the 4-1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a is moved to the 4-2 position, the control portion 60 controls the 4-2 position shifting portion 335b to move the 4- (See Fig. 11). When the fourth-position moving part 335b is moved to the fourth-fourth position, the suction piece The suction member 337b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ember 337a is released so that the suction member 337a and the movable contact Q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fer to FIG. 12).

한편, 상기 위치조정부(35)는, 상기 회전판(11)과 상기 가동접점이동부(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5 위치이동부(351) 및 상기 제5 위치이동부(351)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P) 상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Q)을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2 그립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35 is disposed between the rotary plate 11 and the moving part 33 and includes a fifth position shifting part 351 and a fifth position shifting part 352 which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Y, And a second grip portion 353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movable contact Q that is seated on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351.

상기 제5 위치이동부(351)는, 상기 제3 안착부(133)와 제7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1 위치(도 12 참조)와 상기 제7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8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2 위치(도 13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f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51 is disposed at a fifth position (see FIG. 12) disposed at a seventh spacing distance from the third seating portion 133 and at an eigh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seventh spacing distance (Refer to FIG. 13).

상기 제2 그립부(353)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그립부(353a), 제2-2 그립부(353b) 및 상기 제2-1 그립부(353a)와 상기 제2-2 그립부(353b)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6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grip portion 353 includes a second-first grip portion 353a, a second-second grip portion 353b, and the second-first grip portion 353a and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353b, (Not shown) for changing the spac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members.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흡입편(337a)과 상기 가동접점(Q)이 이격되어 상기 가동접점(Q)이 상기 제3 안착부(133)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접촉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2-1 그립부(353a)와 상기 제2-2 그립부(353b)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353c)를 제어할 수 있다(도 13 참조).The controller 6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such that the suction piece 337a and the movable contact Q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ring the first tim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Q is seated in the third seating part 133, The six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53c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1 grip portion 353a and the second-2 grip portion 353b becomes close to each other 13).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2-1 그립부(353a)와 상기 제2-2 그립부(353b)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접촉부(P1)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Q)이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그립부(353)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접촉부(P1)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Q)이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그립부(353)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Q)의 그립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353c)를 제어할 수 있다(도 14 참조).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movable contact Q mounted on the contact portion P1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by the 2-1 grip portion 353a and the 2-2 grip portion 353b, And the second grip portion 353 grips the movable contact Q which is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P1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The six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53c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grip of the movable contact Q by the second grip portion 353 is released (see Fig. 14).

상기 위치조정부(35)는,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접촉부와 상기 가동접점(Q)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접촉부에 대한 상기 가동접점(Q)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Q)의 형상은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가동접점(Q)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Q)이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서 이동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위치조정부(35)에 의해 상기 접촉부에 대한 상기 가동접점(Q)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가동접점(Q)의 상기 접촉부에 대한 기설정된 부착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35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point Q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before the adhesive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Q is cured Lt; / RTI >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movable contact Q may b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movable contact Q may be fixed to the contact portion by an adhesive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Q.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Q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can be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35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Q can be moved away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attachment position can be adjusted.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용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15 to 1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elding portion of a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의 상기 용접부(37)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부(371), 상기 열발생부(371)와 연결되며 상기 열발생부(371)와 상기 제5 안착부(135)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7 위치이동부(미도시), 상기 제5 안착부(135)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3 그립부(375) 및 상기 제3 그립부(375)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그립부(375)와 상기 제5 안착부(135)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반경 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8 위치이동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15 to 18, the welding portion 37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generating portion 371 for generating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seventh position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art 371 and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Y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art 371 and the fifth seating part 135, A third grip portion 375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mounted on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and a third grip portion 375 connected to the third grip portion 375, And an eighth position shifting part 373 which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X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unting part 135 and the fifth mounting part 135.

상기 제3 그립부(375)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그립부(375a), 제3-1 그립부(375a) 및 상기 제3-1 그립부(375a)와 상기 제3-2 그립부(375b)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9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grip portion 375 includes a third-first grip portion 375a, a third-first grip portion 375a, and the third-first grip portion 375a and the third-second grip portion 375b, And a ni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not shown) for changing the spacing distance of the ninth portion.

상기 제7 위치이동부(미도시)는, 상기 제5 안착부(135)의 이격거리가 제9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1 위치(도 17 참조)와 상기 제5 안착부(135)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9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0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2 위치(도 18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7 위치이동부는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열방생부(371)를 높이 방향(Y)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7-1 위치는 상기 열방생부(371)를 도 17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7-2 위치는 상기 열발생부(371)를 도 18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이다.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not shown) is disposed at a seventh position (see FIG. 17) in which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is disposed at a ninth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See FIG. 18) in which the spacing distance is arranged at a ten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ninth spacing distance. Here, the seventh position moving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a member for moving the nose nose 371 in the height direction Y. 17, and the 7-2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371 is placed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placed.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는, 상기 제5 안착부(135)의 이격거리가 제1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1 위치(도 15 참조)와 상기 제5 안착부(135)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2 위치(도 16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73 is disposed between the eighth position (see Fig. 15) where the spacing distance of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is arranged at the eleventh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See Fig. 16) disposed at a twelf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eleventh spacing distanc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7 위치이동부(미도시)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가 상기 제8-1 위치에서 상기 제8-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를 제어할 수 있다(도 15 참조).The controller 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during the first time period,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not shown)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and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73 is positioned at the eighth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73 can be controlled to be moved to the eighth position (see Fig. 15).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가 상기 제8-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375a)와 상기 제3-2 그립부(375b)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제3-1 그립부(375a)와 상기 제3-2 그립부(375b)에 의해 상기 제5 안착부(135)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도록 할 수 있다(도 16 참조).When the eighth position 373 is positioned at the eighth positio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portion 375a and the third-second grip portion 375b is (Not shown) so as to come closer to the fifth seating portion 135 by the third-first grip portion 375a and the third-second grip portion 375b, (See Fig. 16).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3 그립부(375)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서 상기 제7-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발생부(371)와 상기 가동접점(Q)이 접촉되어 상기 열발생부(371)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Q)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용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Next, when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third grip portion 375, the controller 60 moves the seventh position moving part from the seventh position to the seventh position The heat generating part 371 and the movable contact Q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part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art 371 contacts the movable contact Q and the terminal So that welding can be realized (see Figs. 17 and 18).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열발생부(371)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Q)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P)의 용접이 구현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2 위치에서 상기 제7-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375a)와 상기 제3-2 그립부(375b)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가 상기 제8-2 위치에서 상기 제8-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373)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welding of the movable contact Q and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by the heat generating part 371 is performed, the control part 60 controls the seventh position moving part to move to the seventh position Whe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the third-first grip unit 375a and the third-seventh position shift unit control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the third- 2 grip portion 375b is distanced from the first grip portion 375a. In addition,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73 so that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373 is moved from the eighth position to the eighth position.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의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19 to 2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carry-out unit of a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의 반출부(40)는, 상기 회전판(11)의 반경 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0 위치이동부(41),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4 그립부(43) 및 상기 차단기용 단자(P)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가이드부(45)를 구비할 수 있다.19 to 22, the carry-out portion 40 of the terminal machining apparatus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th A fourth grip portion 43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circuit breaker terminal P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and 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And a guide portion 45 may be provided.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는, 상기 제7 안착부(137)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0-1 위치(도 20 참조)와 상기 가이드부(45)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0-2 위치(도 19 참조)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is located at a 10-1 position (see FIG. 20) disposed adjacent to the seventh seating portion 137 and at a 10-2 position (See Fig. 19).

상기 제4 그립부(43)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1 그립부(431), 제4-2 그립부(433) 및 상기 제4-1 그립부(431)와 상기 제4-2 그립부(433)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11 위치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ourth grip portion 43 includes a fourth-first grip portion 431, a fourth-second grip portion 433, and the fourth-first grip portion 431 and the fourth-second grip portion 433, (Not shown) that changes the spac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portions 11 and 12.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가 상기 제10-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1 그립부(431)와 상기 제4-2 그립부(433)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4-1 그립부(431)와 상기 제4-2 그립부(433)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137)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fourth-1-grip portion 431 and the fourth-2-grip portion 431 in a state in which 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is positioned at the 10 < 433 are close to each other to control the elev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so that the fourth-first grip portion 431 and the fourth-second grip portion 433 can be positioned in the seventh seating portion 137, So that the terminal P can be gripped.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4 그립부(43)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137)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그립되면,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가 상기 제10-1 위치에서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를 제어할 수 있다(도 19 및 도 20 참조).When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on the seventh seat portion 137 is gripped by the fourth grip portion 43,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The t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41 can be controlled to be moved from the 10-1 position to the 10 < th > -2 position (see Figs. 19 and 20).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0 위치이동부(41)가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그립부(431)와 상기 제4-2 그립부(433)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기용 단자(P)가 상기 가이드부(45)를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도 21 및 도 22 참조).When the tenth position shift unit 41 is moved to the 10-2 positio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4-1 grip unit 431 and the 4-2 grip unit 433 The elev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rminal P for the circuit breaker falls toward the guide portion 45 (see Figs. 21 and 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1)에 의해 가공되는 차단기용 단자(P)의 일련의 가공과정을 정리하면, 상기 제1 안착부(131)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P)는, 제1-1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착제도포부(31)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2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도포부(31)에 의해 가공된다.The process of the terminal P for the breaker to be processed by the terminal processing device 1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P)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adhesive part (31) by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11) after a lapse of the 1-1 second time, .

그리고, 상기 제1-2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이동부(33)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3 시간 동안 상기 가동접점이동부(33) 및 위치조정부(35)에 의해 가공된다.After the lapse of the first 1-2 hours, the movable contact is moved to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part 33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1, and the movable contact moving part 33 and the position And is processed by the adjusting unit 35.

다음, 상기 제1-3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4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4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용접부(37)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5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37)에 의해 가공된다.Next,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1-3 hours, the adhesive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11 so as to cure the adhesive for the first to fourth hours, and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time,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welded portion 37 by the welding portion 37 and is processed by the welded portion 37 for the first time.

그리고, 상기 제1-5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6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37)에 의한 용접 부위가 냉각되고, 상기 제1-6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반출부(40)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부(45)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가공이 완료된다.After the lapse of the first 1-5 hours, the steel plate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1) to cool the welded portion by the welded portion (37) during the first 1-6 hours, And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arry-out part 40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11 and is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part 45 to complete the machining.

또한, 본 발명의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회전판에 형성된 안착부를 제1 안착부, 제2 안착부, 제3 안착부, 제4 안착부, 제5 안착부, 제6 안착부, 제7 안착부 및 제8 안착부로 구분하여 표시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함으로, 회전판에 형성된 안착부 중 회전판에 회전에 의해 반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안착부가 제1 안착부가 되며, 접착제도포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안착부가 제2 안착부가 되고, 가동접점이동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안착부가 제3 안착부가 되며, 용접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안착부가 제5 안착부가 되고, 반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안착부가 제7 안착부가 된다.Further, in describing the terminal machin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ry plate be a first seating portion, a second seating portion, a third seating portion, a fourth seating portion, a fifth seating portion, The seventh and eighth seats, and the seventh and eighth seats.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rotation plate,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ading portion by rotation, The sea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welding portion is the fifth seating portion, the sea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welding portion is the fifth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welding portion is the fifth seating portion, The seventh seating portion is a seventh seating portion.

다시 말해, 회전판에 형성된 안착부는 가공 유닛과의 관계에 따라 제1 내지 제8 안착부가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ry plate is the first to eighth seating portion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cessing unit.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10: 회전 유닛
11: 회전판
13: 안착부
20: 반입부
27: 제1 그립부
30: 가공 유닛
31: 접착제도포부
33: 가동접점이동부
35: 위치조정부
37: 용접부
40: 반출부
45: 가이드부
50: 위치감지부
60: 제어부
1: Terminal process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10: rotation unit
11: Spindle
13:
20:
27: First grip portion
30: Machining unit
31: Adhesive pad
33:
35:
37:
40:
45: guide portion
50:
60:

Claims (10)

차단기용 단자 -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 고정되기 위해 일단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충간 부분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접촉부가 형성 - 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가동접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차단기용 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회전 유닛;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회전 유닛을 포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복수의 안착부 중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가공하는 가공 유닛;
상기 가공 유닛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가공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키는 반출부;
상기 가공 유닛에 설치되어,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에 감지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공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반입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동접점이동부, 상기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부에 대한 상기 가동접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접촉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촉부를 용접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end to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housing by means of a terminal for a breaker-screw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 U-shape to form a horizontal contact portion, And for welding the movable contact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A rotating unit including a rotating plate rotating in one direction at a first time interval, and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radially disposed on the rotating plate,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being configured to feed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supplying device in the one direction;
A carrying part for placing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supplying device in a seating part moved to an adjacen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parts;
A processing unit arranged to surround the rotating unit and for processing the terminals for the circuit breaker disposed at adjacent ones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arts during the first time period in which the rotating plate is not rotated;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terminal for circuit breaker completed by the machining unit from the machining unit to the outside;
A posi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processing unit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mounted there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chin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fo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circuit breaker transferred from the carry-in portion; a movable contact portion for allowing the movable contact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a welding portion for weld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contact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movable contac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for pres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contac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Terminal process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부, 제2 안착부, 제3 안착부, 제4 안착부, 제5 안착부, 제6 안착부, 제7 안착부 및 제8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 상기 제2 안착부, 상기 제3 안착부, 상기 제4 안착부, 상기 제5 안착부, 상기 제6 안착부, 상기 제7 안착부 및 상기 제8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회전판이 상기 일방향으로 45°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at portions comprise:
A second seat part, a third seat part, a fourth seat part, a fifth seat part, a sixth seat part, a seventh seat part, and a seventh seat part which are radial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8 < / RTI >
Wherein the first seat portion, the second seat portion, the third seat portion, the fourth seat portion, the fifth seat portion, the sixth seat portion, the seventh seat por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rotary plate in the one direction by 45 degrees at the first time interv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가동시키는 제1 가동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1 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1 위치와 상기 제1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3 위치와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4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그립부, 제1-2 그립부 및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서 상기 제1-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3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1 위치에서 상기 제1-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3 위치에서 상기 제1-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1 그립부와 상기 제1-2 그립부가 상기 차단기용 단자와 그립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ry-
A first conveyor portion formed to be rotatable in an infinite orbit toward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formed toward the rotating plate from the feeding device, a first movable portion moving the first conveyor portion, a second movable portion disposed above the first conveyor portion, And a first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and the first position shifting portion for seating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at the end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a 1-2 position shifting unit that is moved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1-1 position shifting unit and the first conveying unit,
And the 1-1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moved in a reciprocating manner between a 1-1 posi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veyor portion and a 1-2 posi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The 1-2 position shif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1st-4th position disposed at a first spacing distance from the first conveyor unit and the 1-4th arrangement spaced at a second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spacing distance, ≪ / RTI >
The first grip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for chang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first grip unit, the first-second grip unit, and the first-second grip unit and the first-second grip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from the first-third position to the first-fourth position while the first-first position shifting unit is positioned at the first- When the 1-2 position moving unit is located at the 1-4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1-1 and 2-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controlled to grip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mounted on the first conveyor portion by the first-first grip portion and the first-second grip por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first grip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ers are moved from the first to fourth positions to the first to third positions, 1-3 position, the first-first position shifting unit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e first-first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irst-first position shifting unit to be moved to the first-second position, and when the first-first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first-second position, And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s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when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is distanced so that the first-second grip portion and the first-second grip portion are grip-released from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상기 접착제가 수용되며,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를 배출하는 접착제수용부, 상기 접착제수용부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압력조절부 및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제2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3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이동부는,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상기 제2 안착부가 제3 이격거리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2-1 위치와 상기 접착제수용부와 상기 제2 안착부가 상기 제3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4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3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1 위치에서 상기 제2-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3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3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접착제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dhesive shroud includes:
An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and discharging the adhesive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lower side; a pressure adjusting portion for changing an internal pressure of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pressure adjus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dhesiv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that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such th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eating unit is changed,
Wherein the third position shif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position where the adhesive receptacle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disposed at a third spacing distanc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adhesive receptacle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ourth distance And is reciprocated and moved in the second-2 position arranged at the separation distan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such that the third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1 position to the second-2 position during the first time, And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s controlled to discharge the adhesive through the outlet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dhesive accommodating unit increases when it is positioned at position 2-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이동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을 향해 형성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무한궤도로 회동하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를 가동시키는 제2 가동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접촉부에 안착시키는 제4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4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가동접점에 흡입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흡입력을 해제하는 흡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4 위치이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3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4-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1 위치와 상기 제3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4-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와 제5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3 위치와 상기 제5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6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4-4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가동접점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흡입편 및 상기 흡입편을 통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흡입편을 통해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에 상기 가동접점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편에 상기 가동접점이 부착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서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1 위치에서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4-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3 위치에서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4-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4-2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4-4 위치에 위치 이동되면 상기 흡입편의 흡입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흡입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편과 상기 가동접점이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ving part of the movable contact,
A second conveyor portion formed to be rotatable in an infinite orbit toward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formed toward the rotating plate from the feeding device of the movable contact, a second movable portion for moving the second conveyor portion, a second movable portion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veyor portion, And a suction unit for su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nd releasing the suction for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unit and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unit for placing the movable contact poin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conveyor unit on the contact portion coated with the adhesive In addition,
Wherein the fourth position shifting unit comprises:
And a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that is moved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position shifting unit and the third seating unit, the fourth-position shifting unit being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The 4-1 position shifting portion is moved in a reciprocating manner between a 4-1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veyor portion and a 4-2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eating portion,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fourth-fourth position, which is disposed at a fifth spacing distance from the second conveying unit, and the fourth-fourth position, which is disposed at a six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fifth spacing distance, ≪ / RTI >
The suction unit
A suction member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and an inhaler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ie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to move from the fourth 4- position to the fourth 4- position when the fourth-1 position shift unit is positioned at the 4-1 position during the first time, And controls the fourth in-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fourth in-position shifting unit moves to the fourth-fourth position when the fourth- 4-position to the fourth-3 position when the movable contact is attached to the suction piece, so that the fourth- And the fourth-2 position-shifting unit is moved to the fourth-3 position when the fourth-second-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to the fourth 4- 4-1 position shifting unit, and the 4-1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ourth 2 position,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fourth-2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to the fourth 4- position from the fourth 4-3 position, Wherein when the movable part is moved to the fourth-fourth position, the suction member is controlled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iece is released, so that the suction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가동접점이동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5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5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 상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을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2 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5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3 안착부와 제7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1 위치와 상기 제7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8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5-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그립부, 제2-2 그립부 및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6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흡입편과 상기 가동접점이 이격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3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1 그립부와 상기 제2-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이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접촉부에 안착된 상기 가동접점이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그립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의 그립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6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nd a fifth position shift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ifth position being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wherein the movable contact is positioned on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by gripping or releasing the movable contact, And a second grip portion,
Wherein the fifth position shifting unit reciprocates the fifth position, which is disposed at a seventh spacing distance from the third seating position, and a fifth position, which is disposed at an eigh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seventh spacing distance,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nd a sixth position shifting portion for chang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first grip portion,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and the second-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When the suction piece and the movable contac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moving contact is seat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mounted on the third seat portion during the first time, The sixth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second-second grip portion becomes close to grip the movable contact seat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by the grip portion 2-1 and grip portion 2-2 And the second grip portion grips the movable contact held by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en a second time shorter than the first time elapses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is gripped by the second grip portion, And the sixth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so as to be relea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부, 상기 열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열발생부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7 위치이동부, 상기 제5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3 그립부 및 상기 제3 그립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그립부와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8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1 그립부, 제3-2 그립부 및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9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7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제9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1 위치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9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0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7-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8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5 안착부의 이격거리가 제1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1 위치와 상기 제5 안착부와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1 이격거리보다 작은 제1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8-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1 위치에서 상기 제8-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5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3 그립부에 의해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서 상기 제7-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발생부와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되어 상기 열발생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용접이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열발생부에 의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용접이 구현되면,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2 위치에서 상기 제7-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7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7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7-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3-1 그립부와 상기 제3-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9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8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8-2 위치에서 상기 제8-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8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elding portion
A seventh position shifted in the height direction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changed, a heat generating portion generating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third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ich is seated on the fifth seat portion, and a third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grip portion,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grip portion and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ch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n eighth position shifting portion which is moved in position,
The third grip portion includes:
And a ni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portion, the third-second grip portion, and the third-first grip portion and the third-second grip portion,
And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portion,
And a seventh position where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ninth spacing distance and the seventh seating position where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fth seating portion by a tenth spacing distance smaller than the ninth spacing distance, And is moved back and forth,
Wherein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comprises:
And an eighth position in which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disposed at an eleventh spacing distance and a second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eighth placing portion and the fifth seating portion is less than the eleventh spacing distance, And is moved back and forth,
Wherein,
Wherei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and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section is positioned at the eighth position from the eighth position to the eighth position, And controls the nin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unit and the third-second grip unit becomes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eighth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eighth-2 position, -1 grip por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ich is seated in the fifth seat portion by the grip portion are gripped by the third grip portion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gripped by the third grip portio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controlled to be moved from the seventh position to the seventh position so that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movable contac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tact the movable contact and the circuit breaker terminal So that welding is realized And wherein when the welding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by the heat generating part is performed, the seventh position moving part moves from the seventh position to the seventh position, Controls the nin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hird-first grip unit and the third-second grip unit is distant when the sev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located at the seventh position, And the eighth position moving unit controls the eighth position moving unit so that the eighth position moving unit is moved from the eighth position to the eighth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0 위치이동부, 상기 제10 위치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제4 그립부 및 상기 차단기용 단자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0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7 안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0-1 위치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0-2 위치를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4 그립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1 그립부, 제4-2 그립부 및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는 제1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중에,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4 그립부에 의해 상기 제7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그립되면,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1 위치에서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0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0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0-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4-1 그립부와 상기 제4-2 그립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제11 위치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기용 단자가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ourth grip portion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enth portion, and a guide portion for taking out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to the outside, ,
Wherein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guide member is reciprocated between a 10 < th > -posi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venth seating portion and a 10 < th >
The fourth grip portion includes:
A fourth-1-grip portion, a fourth-2-grip portion, and an eleventh position shifter for chang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ourth-first grip portion and the fourth-
Wherein,
During the first time, the eleventh position mo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4-1 grip unit and the 4-2 grip unit becomes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tenth position moving unit is located at the 10-1 position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in the seventh seat portion by the fourth-fourth grip portion and the fourth-second grip portion is gripped, and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on the seventh seat portion by the fourth grip portion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controls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so that the tenth position shifting unit is moved from the tenth position to the tenth position, The fourt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the fourt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end Ball mechanis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반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1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접착제도포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2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가동접점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제3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용접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5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4 감지부 및 상기 반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용 단자의 상기 제7 안착부로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5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carry-in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unit, and a second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adhesive cover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unit A thir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seated in the third seating unit,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circuit breaker is seated in the third seating unit, And a fifth sensing unit provided at the carry-out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terminal for the breaker is seated in the seventh seat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차단기용 단자는,
제1-1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착제도포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2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도포부에 의해 가공되고, 상기 제1-2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이동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3 시간 동안 상기 가동접점이동부 및 위치조정부에 의해 가공되며, 상기 제1-3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4 시간 동안 상기 접착제가 경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4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용접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제1-5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에 의해 가공되며, 상기 제1-5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6 시간 동안 상기 용접부에 의한 용접 부위가 냉각되고, 상기 제1-6 시간 경과 후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반출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단자 가공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erminal for a circuit breaker,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seat portion,
After the lapse of 1-1 hours, the adhesive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embossed portion by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nd the adhesive is processed by the embossing portion for a first 1-2 hours, The moving contact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par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is processed by the moving part and the position adjusting part during the first to third hours, And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welded portion by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fter the lapse of the first to fourth hours so as to be processed by the welded portion for the first to fifth hours After the elapse of the first 1-5 hours, the welding part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to cool the welding part by the welding part during the first 1-6 hours, Is moved by the rotation position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ortion taken out interrupter termin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s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said guide.
KR1020180018029A 2018-02-13 2018-02-13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KR101878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29A KR101878632B1 (en) 2018-02-13 2018-02-13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29A KR101878632B1 (en) 2018-02-13 2018-02-13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32B1 true KR101878632B1 (en) 2018-08-17

Family

ID=6340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29A KR101878632B1 (en) 2018-02-13 2018-02-13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40B1 (en) 2018-09-03 2018-11-06 임삼규 Apparatus for automatically jointing heat sink
KR101999504B1 (en) * 2019-03-13 2019-07-11 최신남 Manufacturing method for finger module
CN110842437A (en) * 2019-11-19 2020-02-28 许继(厦门)智能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Welding auxiliary structure for circuit breaker mechanism box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68B1 (en) * 2011-07-05 2012-09-19 신영식 The manufacturing machine making connector linking terminal of battery for automob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2491A (en) * 2016-06-29 2018-01-08 조인셋 주식회사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for metal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68B1 (en) * 2011-07-05 2012-09-19 신영식 The manufacturing machine making connector linking terminal of battery for automob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2491A (en) * 2016-06-29 2018-01-08 조인셋 주식회사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for metal c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40B1 (en) 2018-09-03 2018-11-06 임삼규 Apparatus for automatically jointing heat sink
KR101999504B1 (en) * 2019-03-13 2019-07-11 최신남 Manufacturing method for finger module
CN110842437A (en) * 2019-11-19 2020-02-28 许继(厦门)智能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Welding auxiliary structure for circuit breaker mechanism box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32B1 (en) A processing device of Circuit Breakers terminal block
WO2003106177A3 (en) Device for machining the surface of parts
CN109605025B (en)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for heating element in direct-insert heater
CN102689069A (en) Automatic soldering machine
TW2006161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substrate
CN103100777A (en) Heating time automatic auxiliary type self-temperature-control and self-adaption wire feed flame brazing device
TW201802292A (en) Baffle plate and showerhead assemblies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JP2012165574A (en) Resin filling device
US10020209B2 (en) Fine temperature controllable wafer heating system
CN205303922U (en) A device for socket copper sheet automatic riveting
CN105448768A (e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CN205496357U (en) A device for carry out stamping processing to spare part
CN208499498U (en) A kind of intermittent cycle transfer mechanism
CN106624257A (en) Automatic cover plate arranging device
CN104871300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component
KR101941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ller
KR101808124B1 (en) Stone polishing pad making device and polishing pad making method
KR102304203B1 (en) Welding automation system for caterpillar roller
CN106163718A (en) Forced convertion preheater and correlation technique for crest welder
JP5774538B2 (en) Resin sealing device and resin sealing method
JP2010177267A (en) Conveyance tray, and vacuum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conveyance tray
JPH11277348A (en) Production system
CN210778337U (en) Assembly device of temperature controller switch box
JP2012235697A (en) Resin filling apparatus
CN113385785A (en) Intelligent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vehicl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