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990B1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990B1
KR101877990B1 KR1020120049654A KR20120049654A KR101877990B1 KR 101877990 B1 KR101877990 B1 KR 101877990B1 KR 1020120049654 A KR1020120049654 A KR 1020120049654A KR 20120049654 A KR20120049654 A KR 20120049654A KR 101877990 B1 KR101877990 B1 KR 10187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fitting
mat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4005A (en
Inventor
요시토모 마스타니
도시히로 데라시마
미츠히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염가로 한다.
<해결수단> 전기커넥터(9)는 선상 또는 축상의 제1 컨택트(11)와, 제2 컨택트(12)와, 이들 컨택트(11, 12)를 유지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에 배치되고, 또한 회로기판(2)에 실장된다. 제2 컨택트(12)의 제2 접속부(12g)는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실장면(2a) 측에 배치된다.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2 접속부(12g)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 회로기판(2)에 실장된다.
[PROBLEM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is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in whic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the housing is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Make the cost low.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cludes a first contact (11), a second contact (12), and a housing (10) holding these contacts (11, 12).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 1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nd is also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of the second contact 12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of the first contact 11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

Figure R1020120049654
Figure R1020120049654

Description

전기커넥터 {ELECTRIC CONNECTOR}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실장(實裝)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의 전기회로와 전선을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board to wire) 타입의 전기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선에 접속된 암커넥터와, 이 암커넥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회로기판에 고정된 수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커넥터는 하우징과, 침상(針狀)의 수단자금구(雄端子金具)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가로방향(회로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 가운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반대 측의 벽(상하로 연장하는 세로벽)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은 하우징에서 상하 2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폭방향(회로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있다. 각 구멍에 침상의 수단자금구가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known a board-to-wire type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ic circuit of a circuit board to a wir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ale connector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and a male connect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fixed to a circuit board.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and a needle-like tool hole (male terminal fitting). The housing has a box-like shape that opens in the later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n the housing,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wall opposite to a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vertical wall extending vertically). These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in the housing, and are arranged in plura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a needle-like tool hole is inserted and passed through each hole.

각 수단자금구의 일단 측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에 삽입되는 암커넥터의 암단자금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수단자금구의 타단 측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로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단자금구는 하우징 내에서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외측에서는 각 수단자금구가 가로 일렬로 늘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tool apertures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female terminal fitting of the femal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ool apertures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stitutes a fixed portion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ool apertures are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in the housing,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the respective tool apertures are aligned in a row and fixed to the circuit boar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97035호 공보([0011] 단락, 도 8)[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97035 (paragraph [0011], Fig. 8)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구성에서는, 모든 수단자금구는 하우징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하우징의 1변 측에서만 수단자금구를 통하여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수커넥터에 암커넥터를 삽입할 때, 또는, 수커넥터로부터 암커넥터를 당겨 뺄 때, 수커넥터의 각 부에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각 수단자금구 중 회로기판과의 고정부 및 회로기판에서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 변위가 억제된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ll the tool apertures project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housing. Therefore,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through-hole only at one side of the housing. In such a fixing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or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pulled out from the female connector, a force acts on each portion of the male connector. This force is received at the fixing portion with the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board among the respective means funding means. Thus, displacement of the housing is suppressed.

그렇지만, 하우징이 수단자금구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1면 측에서만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구성에서는, 하우징의 변위를 억제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착탈시킬 때 등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수단자금구 중 회로기판 측의 고정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수단자금구가 변형하며, 이것에 의해, 수단자금구에 연결된 하우징이 변위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using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only on one surface side of the housing by using the tool housing, it is not sufficient to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Specifically, by the force acting wh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each other, the means of the means is deformed with the fixed portion on the circuit board side of the means means being the fulcrum,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sphere may be displaced.

따라서, 하우징에 큰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수단자금구가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반대 측의 위치에 보강금구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보강금구는 회로기판에 고정된다. 보강금구를 마련하면, 각 단자금구와 보강금구와의 협동에 의해서, 하우징을 강고하게 회로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보강금구가 필요하여, 부품비용의 증가와, 단자금구와는 별도로 보강금구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공정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부품비용의 증대 및 조립효율의 저하에 수반하는 조립비용의 증대를 통해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증대해 버린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housing from being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even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housing, it is necessary to fix the reinforcing metal to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ircuit board fixed to the circuit board. The reinforcing metal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When the reinforcing bracket is provided, the housing can be firmly fixed to the circuit board by cooperation of the respective terminal brackets and the reinforcing bracket. However, in this case, a reinforcing metal is requir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parts cost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eps of assembling the reinforcing metal to the housing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metal.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or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assembly cost due to an increase in the component cost and a decrease in the assembly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can reliably suppress displacement of a housing relative to a circuit board and which is inexpensive to manufactur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전기커넥터의 단자(컨택트)는 상기한 침상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판금(板金)을 프레스 가공한 판금인 것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판금의 컨택트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판금의 컨택트의 장착위치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 하우징에 상대 측 커넥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상대 측 커넥터와 접촉한 판금의 컨택트는 휘어질 수 없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에 상대 측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판금의 컨택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조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컨택트를 하우징에 조립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제조효율이 나쁘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특히, 하우징의 상단 측에 배치되는 판금의 컨택트는 상하로 긴 형상이다. 그 결과, 하우징의 상단 측에 배치되는 판금의 컨택트는 하우징과의 사이의 위치차이가 크게 되기 쉽고, 이 위치차이에 기인하는 상대 측 커넥터와의 접촉불량이 생기기 쉬워져 버린다. 게다가, 전기커넥터의 단자를 모두 판금부재로 하면, 제조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의 지견(知見)을 얻어, 본원 발명을 생각해 내기에 이르렀다.The terminal (contac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bed, and there is also a sheet metal which is formed by pressing a sheet metal. However, since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is high in rigidity, it can not be easily deformed. Therefore, whe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with respect to the housing deviates from the regular position,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can not be bent i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unterpart connector can not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ntacts made of sheet metal,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contacts to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s are precis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it takes time to assemble the contacts into the housing. Therefor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poor.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increased. Particularly,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has a vertically long shape. As a result, the contact of the sheet meta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ends to have a large difference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the contact failure with the mating connector tends to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In addition, if all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re made of sheet metal member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btained the above knowledge and came up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선상(線狀) 또는 축상(軸狀)의 제1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2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끼워맞춤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관하여, 상기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실장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고 있다.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fitted wit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along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 housing which forms a fitting space in which the plug is fitted, a first contact which is linearly or axially held by the housing, and a second contact which is held by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includes a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mating connector, And a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ard and is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The second contact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surface,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nd a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at can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맞춤공간 내에서,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제1 컨택트의 거리는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제2 컨택트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 제1 컨택트는 끼워맞춤공간 내에서 상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컨택트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는 플러그와의 접촉시에, 플러그와의 접촉에 의해서 휘어져, 플러그에 대해서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를 플러그의 도전부재에 대해서 확실히 접촉시켜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시에, 제1 컨택트를 하우징에 조립할 때에, 제1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하우징으로의 제1 컨택트의 장착작업의 속도(효율)를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시간당의 전기커넥터의 조립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선상의 제1 컨택트는 고가의 프레스 성형이 아니어도 선재(線材) 등에 의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 제1 기판 측 실장부와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끼워맞춤공간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양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은 제1 및 제2 컨택트를 통하여 하우징을 끼워맞춤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와 회로기판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힘이 하우징을 회로기판에 대해서 넘어뜨리는 힘으로서 하우징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우징이 회로기판상에서 넘어지는 것을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의 협동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의 상기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보강금구 등)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저감을 통해서 제조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tting space, the distance of the first contact from the circuit board is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second contact from the circuit board. The first contac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in the fitting space. As a result of the first contact being formed on a line or an axis, the first contact is easily bent. Therefore, when the first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plug, the first contact can be bent by the contact with the plug and can be aligned with the plug. Therefore, the first contact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of the plug to achieve an electrical connection. As a resul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al connector, there is no need to precisely align the first contact with the housing when assembling the first contact to the housing. Therefore, the speed (efficiency) of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tact to the housing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number of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s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on the lin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a wire or the like without expensive press forming.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tting space. Thereby, the circuit board can support the housing from both sides in the fitt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circuit board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 for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may act on the housing as a force to tilt the housing against the circuit boar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housing from falling on the circuit board by co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s.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a reinforcing metal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housing from falling down.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can reliab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relative to the circuit board, and which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제2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is formed by using a part of a wir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컨택트는 선재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선재로 하면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제1 컨택트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와 하우징이 전체로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tact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wire memb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ire can be made thinner, the first contact can be made short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first contact and the hous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as a whole can be shortened. Therefor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achieved.

제3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중간부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 측을 향하여 상기 높이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당해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위치와 겹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is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first contact has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has a portion bent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side towar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verlaps the posi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기판 측 실장부와 제1 기판 측 실장부는 끼워맞춤방향으로 이격(離隔)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기판 측 실장부는 제1 기판 측 실장부의 배치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하우징의 보다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간부도 하우징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의 근방에 제1 중간부 및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의 협동에 의한 전기커넥터의 넘어짐 방지효과를 높이면서,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전기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를 상승(相乘)하여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a fitting direction (spaced apart). Thereby, the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Therefore, the first substrate-side mounting portion can be disposed closer to the housing. Therefore,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can also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Since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ar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due to the co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s is enhanced, Other effects that the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can be exhibited in an integrated manner.

제4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제2 컨택트는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컨택트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고, 회로기판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2 컨택트는 회로기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므로 소형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제2 컨택트의 위치가 정규인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어도, 하우징으로의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의 삽입을 제2 컨택트가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의 조립시에, 제2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결정하는 수고(시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컨택트를 고속으로 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의 제조효율을 높여 전기커넥터의 제조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ontact formed by press working can increase the moment of moment of inertia, the rigid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and the coupling strength with the circuit board can be increased. The second contact is small since the height from the circuit board is low. Therefore,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s shifted slightly from the regular pos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sertion of the plug of the mating connector into the housing by the second contact. Therefore, during assembl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t is unnecessary to labor (time) to accurately position the second cont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the contacts can be assembled to the housing at a high spe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be further reduced.

제5 발명에 관한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방향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2 컨택트의 일부가 상기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i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invention, the housing is opened to the end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and a part of the second contact exten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And a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slit and fixes the second housing fix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릿에 제2 컨택트를 삽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2 컨택트를 하우징의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향해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컨택트의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는 하우징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작업을 생략하면서, 하우징에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선상의 제1 컨택트와 비교해서 하우징에의 고정속도를 높이기 어려운 판상의 제2 컨택트에 대해서도 고속으로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can be guided toward the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of the housing by inserting and passing the second contact through the slit. Thereby,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to the housing while omitting the precise position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s a result, the plate-shaped second contact, which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fixing speed to the housing as compared with the first contact on the line, can be fastened to the housing at high speed.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can reliably suppress displacement of the housing relative to the circuit board, and which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전기커넥터의 평면도이며, (b)는 전기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전기커넥터를 끼워맞춤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및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단면도, 상대 측 커넥터의 측면도 및 회로기판의 단면도이며, 전기커넥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전기커넥터와 상대 측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대 측 커넥터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대 측 커넥터를 인발(引拔)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는 상대 측 커넥터의 저면도로서, 높이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lan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Fig. 2 (b) is a bottom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3 is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viewed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a sid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and a 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or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are combined;
Fig. 6A is a front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partially omitt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drawing direction, Fig. 6B is a bottom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As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 타입의 전기커넥터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로 넓게 적용할 수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ard-to-wire type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ic wire and a circuit board, and can be widely applied for various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적 접속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기적 접속장치(1)는 회로기판(2)과, 제1 및 제2 피복전선(3, 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회로기판(2)은,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이다. 회로기판(2)은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으로서의 실장면(2a)에 복수의 도전부(2b) 및 복수의 도전부(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도전부(2b, 2c)는 금속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등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1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2 and the first and second coated electric wires 3 and 4. The circuit board 2 i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ircuit board 2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b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c are formed in the mounting surface 2a as one side surface.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2b and 2c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miconductor or the like not shown.

전기적 접속장치(1)는 전기커넥터(9)와, 이 전기커넥터(9)에 접속되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9 and a mating connector 29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전기커넥터(9)는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상에 실장되어 있으며, 회로기판(2)의 복수의 도전부(2b) 및 복수의 도전부(2c)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다. 상대 측 커넥터(29)는 복수의 제1 피복전선(3)의 전선 및 복수의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에 전기적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b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2c of the circuit board 2 . The mating connector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rality of first covered electric wires 3 and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vered electric wires 4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ctric connector 9 .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접속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실장면(2a)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D1)을 향하여 맞춘다. 그리고, 상대 측 커넥터(29)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전기커넥터(9)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플러그(39)는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하고, 이들 커넥터(9, 29)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접속이 달성된다.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mating connector 29 is align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D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T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isplaced toward the electrical connector 9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s a result, the plug 39 described later of the mating connector 29 is f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connectors 9, 29 are achieved.

한편,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의 방향인 인발방향(D2)을 따라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커넥터(29)는 전기커넥터(9)로부터 떼어내지고, 이들 커넥터(9, 29)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접속 및 기계적인 접속이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etach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mating connector 29 is pulled out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 the pulling direction D2, which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 Thereby, the mating connector 29 is detach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connectors 9, 29 are released.

다음으로, 전기커넥터(9)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기커넥터(9)가 실장면(2a)에 실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기커넥터(9)는 다극(多極)(본 실시형태에서는, 2 × 10 = 20극)의 커넥터이다. 전기커넥터(9)는 하우징(10)과, 복수의 제1 컨택트(11)와, 복수의 제2 컨택트(12)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복수의 제1 컨택트(11) 및 복수의 제2 컨택트(12)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하우징(10)은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플러그(39)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electrical connector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The electrical connector 9 is a multi-pole connector (2x10 = 20 poles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cludes a housing 10,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The housing 10 is provided as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The housing 10 is configured to form a fitting space 13 in which a plug 39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mating connector 29 is fitted.

하우징(10)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실장면(2a)상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인발방향(D2)을 향해서 개방된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X1),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다. 또한, 깊이방향(Y1)은 끼워맞춤방향(D1) 및 인발방향(D2)과 평행한 방향이다. 높이방향(Z1)은 깊이방향(Y1)에 직교하고 또한 실장면(2a)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폭방향(X1)은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하우징(10)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깊이방향(Y1)의 길이 및 높이방향(Z1)의 길이와 비교해서 폭방향(X1)의 길이가 크다.The housing 1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box shape opened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The depth direction Y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height direction Z1 is orthogonal to the depth direction Y1 and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2a. The width direction X1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has a larger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X1 than the length in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Z1.

도 2의 (a)는 전기커넥터(9)의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전기커넥터(9)의 저면도이다. 또, 도 3은 전기커넥터(9)를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및 회로기판(2)의 단면도이다.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하벽(下壁)(14)과, 상벽(上壁)(15)과, 좌우 한 쌍의 측벽(側壁)(16, 17)과, 오벽(奧壁)(18)과, 중벽(中壁)(19)을 포함하고 있다.Fig. 2 (a) is a plan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Fig. 2 (b) is a bottom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viewed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2.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10 includes a lower wall 14, an upper wall 15,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walls 16, 17, an inner wall 18, and a middle wall 19. As shown in FIG.

하벽(14)은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또한 깊이방향(Y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장면(2a)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벽(15)은, 도 2의 (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고, 또한 깊이방향(Y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벽(15)은 하벽(14)과는 높이방향(Z1)으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6, 17)은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으며, 폭방향(X1)에서의 상벽(15) 및 하벽(14)의 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The lower wall 14 i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depth direction Y1 and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2a. As shown in Fig. 2A and Fig. 3, the upper wall 15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that elongates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upper wall 15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wall 14 in a height direction Z1. The pair of side walls 16 and 17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1 and connect the ends of the upper wall 15 and the lower wall 14 in the width direction X1.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전기커넥터(9)의 단면도 및 상대 측 커넥터(29)의 일부 측면도 및 회로기판(2)의 단면도이며, 전기커넥터(9)를 폭방향(X1)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벽(18)은 폭방향(X1) 및 높이방향(Z1)으로 연장해 있다. 이 오벽(18)은 하벽(14), 상벽(15) 및 측벽(16,17)의 각각과, 깊이방향(Y1)의 일단(끼워맞춤방향(D1) 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벽(18)은 하우징(10) 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의 끼워맞춤공간(13)을 깊이방향(Y1)의 일단 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오벽(18)의 외측면 가운데, 높이방향(Z1)의 중간부는 인발방향(D2) 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4 is a 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a partial sid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a sectional view of the circuit board 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long wall 18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The long wall 18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wall 14, the upper wall 15 and the side walls 16 and 17 at one end in the depth direction Y1 (end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As a result, the long wall 18 covers the fitting space 13 as a space formed in the housing 10 from one end side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middl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1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ong wall 18 is concave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하우징(10)은 하벽(14), 상벽(15), 측벽(16, 17) 및 오벽(18)에 의해 둘러싸인 끼워맞춤공간(13)을 형성하고 있다. 끼워맞춤공간(13)은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긴 블록 모양의 공간이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변위되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플러그(39)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공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 가운데, 오벽(18)이 마련되어 있는 것과 반대 측의 단부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공간(13) 내에 배치된 중벽(19)이 드러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using 10 forms the fitting space 13 surrounded by the lower wall 14, the upper wall 15, the side walls 16, 17, and the wall 18. The fitting space 13 is a block-shaped spac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is a fitting space for fitting with the plug 39 of the mating connector 29 displac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Consists of. An opening 10a opened toward the mating connector 2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using 10 opposite to the end on which the wall 18 is provided and the middle wall 19 ) Is revealed.

중벽(19)은 끼워맞춤공간(13)으로 향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플러그(39)의 삽입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중벽(19)은 하벽(14) 및 상벽(15)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판상 부분이며,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해 있다. 폭방향(X1)에서의 중벽(19)의 양단은 측벽(16, 17)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높이방향(Z1)에서 중벽(19)은 끼워맞춤공간(1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The middle wall 19 is provided a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39 of the mating connector 29 toward the fitting space 13. The middle wall 19 is a plate-like portion arrang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lower wall 14 and the upper wall 15, and i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Both ends of the middle wall 19 in the width direction X1 are disposed apart from the side walls 16, Further, in the height direction Z1, the middle wall 19 is disposed substantially at the center of the fitting space 13.

또, 도 2의 (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보호벽(20, 2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호벽(20, 21)은, 제1 컨택트(11) 가운데,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보호벽(20, 21)은 한 쌍의 측벽(16, 17)으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 측으로 향하여 돌출해 있으며, 높이방향(Z1)의 길이가 측벽(16, 17)과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b) and Fig. 4, a pair of protection walls 20, 21 are formed in the housing 10. [ The pair of protection walls 20 and 21 are provided to protect the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11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0. The pair of protection walls 20 and 21 protrude from the pair of side walls 16 and 17 toward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Z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

제1 컨택트(11)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b)에 도통 가능하게 실장(고정)되며,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접촉 가능한 도전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방향(D1) 측(깊이방향(Y1)의 일단 측)으로부터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제1 실장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는 실장면(2a)과 평행한 폭방향(X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 10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제1 컨택트(11)는 각각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 11 is electrically conductive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b of the circuit board 2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ating contact 31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is provided as a conductive member. The first contact 11 is provided as a first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housing 10 on the circuit board 2 from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one end side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first contacts 11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10 in this embodiment) lattic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Each of the first contacts 11 is held in the housing 10.

각 제1 컨택트(11)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컨택트(11) 중 하나의 제1 컨택트(11)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른 제1 컨택트(1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s of the first contacts 11 are the same.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of the first contacts 11 of the first contacts 11 having the sam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irst contacts 11 will be omitt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의 오벽(18)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으로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을 향하여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4, the first contact 11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toward the pull-out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long wall 18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contact 11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toward the upstream side.

제1 컨택트(11)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택트(11)는 금속재료 등으로 구성된,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는, 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컨택트(11)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도금 또는 금도금 등의 도금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또, 상기의 선재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환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컨택트(11)의 재료에는 굽힘가공이 시행되어 있으며, 제1 컨택트(11)는 일부가 굴곡(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first contacts 11 are formed linearly or axially.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using a part of a wire material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the like. The first contact 11 is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alloy.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11 is plated with, for example, tin plating or gold plat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re is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ing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tact 11 is subjected to a bending process, and the first contact 11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contact 11 is bent (curved).

제1 컨택트(11)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매끄럽게 굴곡한 크랭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끼워맞춤방향(D1)으로 곧게 연장하는 부분,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변화하는 부분 및 끼워맞춤방향(D1)으로 곧게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 컨택트(11)는 일단부(11a)와, 제1 접속부(11b)와,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제1 중간부(11d)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 타단부(11f)를 포함하고 있다.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in a crank shape that is smoothly bent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11 has a portion extending straightly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 portion where the position of the height direction Z1 changes, and a portion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has a portion extending straight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contact 11 includes an end portion 11a, a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a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a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And the other end 11f.

제1 컨택트(11)의 일단부(11a)는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의 오벽(18)에 삽입할 때의 삽입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일단부(11a)는 인발방향(D2)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된 선예(先銳) 부분이다. 일단부(11a)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개구부(10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One end 11a of the first contact 11 is provided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irst contact 11 when the first contact 11 is inserted into the wall 18 of the housing 10. The one end portion 11a is a leading end portion which is tapered as it proceeds along the pulling direction D2. The one end 11a is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13 and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10a of the housing 10. [

제1 접속부(11b)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접촉 가능하게(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11b)는 일단부(11a)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다. 이 제1 접속부(11b)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일단부(11a)와 함께, 하우징(10)의 중벽(19)과 상벽(1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11b)는 가늘고 길게 연장해 있으며,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휘어짐 변위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b is configured to be contactable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first mating contact 31 of the mating connector 29.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extends straight from the one end 11a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is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13 between the middle wall 19 and the upper wall 15 of the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one end portion 11a.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is elongated and elongated, and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serves as a fulcrum,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can be easily deformed.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제1 접속부(11b)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다. 이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는 오벽(18)을 끼워맞춤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제1 고정부(18a)에 압입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컨택트(11)는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부(18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의 가장자리에는 모따기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부(18a)로의 제1 컨택트(11)의 삽입(일단부(11a)의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is provided 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10.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extends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is press-fitted into a tubular first fixing portion 18a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long wall 18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contact 11 is fixed to the housing 10. A chamf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8a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is makes it easy to insert the first contact 11 (insert one end 11a) into the first fixing portion 18a.

제1 중간부(11d)는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다른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제1 접속부(11b))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중간부(11d)는 제1 접속부(11b)와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 기판 측 실장부(11e) 측을 향하여 굴곡(만곡)하고 있다. 제1 중간부(11d)의 도중부(11h)는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고,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또, 제1 중간부(11d)의 타단부(11j)는 도중부(11h)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서 굴곡(만곡)하고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provided for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different in the height direction Z1 from the first housing side mounting portion 11e have.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b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and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 One end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and bent (curved)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The midway portion 11h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is inclin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as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other end 11j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curved (curved) from the midway portion 11h towar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중간부(11d)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제1 접속부(11b) 측으로부터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향하여 높이방향(Z1)의 위치가 변화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중간부(11d)는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에 관한 적어도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부(11g) 및 도중부(11h))의 위치가 하우징(10)의 보호벽(20, 21)의 위치와 겹쳐져 있다(도 4에서는, 보호벽(21)은 도시하지 않음). 즉, 끼워맞춤방향(D1)과 직교하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제1 중간부(11d)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부(11g) 및 도중부(11h))의 위치가 하우징(10)의 보호벽(20, 21)의 위치와 겹쳐져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has a part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height Z1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side towar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changes.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ne end portion 11g and the middle portion 11h in this embodiment) of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is the position of the housing 10 Is overlapped with the position of the protection walls 20 and 21 (in FIG. 4, the protection wall 21 is not shown).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one end portion 11g and the midway portion 11h in this embodiment) in the widthwise direction X1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protective walls 20, 21 of the housing 10.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는 하우징(10)에 고정된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의 바로 근방에서 또한 굴곡한 형상이며, 끼워맞춤공간(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단부(11g)는 이물과 접촉했을 때에 높은 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이물과의 접촉에 의해서 높은 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제1 중간부(11d)의 일단부(11g)를 보호벽(20, 21)으로 보호함으로써, 제1 컨택트(11)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One end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is bent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c fixed to the housing 1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fitting space 13 . For this reas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high stress is generated when the one end 11g comes into contact with foreign matter. As described above, the one end 11g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which may cause high stress due to contact with the foreign object, is protected by the protection walls 20 and 21 to securely protect the first contact 11 .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실장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제1 중간부(11d)의 타단부(11j)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해 있으며,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b)에 납땜(도시생략)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컨택트(11)는 회로기판(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컨택트(11)의 타단부(11f)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된 선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is provided a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extends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other end portion 11j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and extends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down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is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b of the circuit board 2 by using solder (not shown) or the like. With the above arrangement, the first contacts 11 are fixed to the circuit board 2. [ The other end 11f of the first contact 11 is formed in a linear shape whose tip is tapered as it procee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의 도전부(2c)에 도통 가능하게 실장(고정)되며,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접촉 가능한 도전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3 and 4, the second contact 12 is conductively mounted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c of the circuit board 2, and the second contact 12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is provided as a conductive member capable of contacting the mating contact 32. [

또,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과 반대 측(깊이방향(Y1)의 타단 측)으로부터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실장하기 위한 제2 실장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실장면(2a)과 평행한 폭방향(X1)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 10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제2 컨택트(12)는 각각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2 컨택트(12)는 복수의 제1 컨택트(11)가 늘어서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contact 12 is provided as a second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housing 10 on the circuit board 2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other end side in the depth direction Y1) . The second contacts 12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10 in this embodiment) lan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2a. Each of the second contacts 12 is held in the housing 10.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are arranged.

이들 복수의 제2 컨택트(12)는, 각각, 복수의 제1 컨택트(11)와는 폭방향(X1)에 관한 위치가 가지런히 되어 있다. 또한, 폭방향(X1)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와 제2 컨택트(12)가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폭방향(X1)에 관한 제1 컨택트(11)의 위치와 제2 컨택트(12)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12 is align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X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tact 11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X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X1, As shown in FIG.

각 제2 컨택트(12)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컨택트(12) 중 하나의 제2 컨택트(12)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컨택트(1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hapes of the second contacts 12 are the same.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cond contact 12 of one of the second contacts 12 having the sam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other second contact 12 will be omitted.

제2 컨택트(12)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컨택트(1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주석도금 또는 금도금 등의 도금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판두께)는 대략 일정하다.The second contact 12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and is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alloy.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12 is plated with, for example, tin plating or gold plating. The second contact 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thickness (plate thickness) is substantially constant.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변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컨택트(12)는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컨택트(11)와 회로기판(2)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의 도중부가 제2 컨택트(1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높이방향(Z1)으로 높게 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한 자세로 하우징(10)에 유지되어 있다. 제2 컨택트(12)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배치된 제1 부분(12a)과, 제2 부분(12b)과,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contact 12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y being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second contacts 12 are arrang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first contacts 11 and the circuit board 2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The second contact 12 has a shap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of the fitting direction D1 is heightened in the height direction Z1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contact 12. The second contact 12 is held in the housing 10 in a standing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 The second contact 12 includes a first portion 12a, a second portion 12b and a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arrang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제2 컨택트(12)의 제1 부분(12a)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높이방향(Z1)의 높이가 대략 일정한 부재이다. 또, 이 제1 부분(12a)은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실장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12a)은 일부가 하우징(10)의 개구부(10a)로부터 인발방향(D2)으로 돌출해 있으며, 나머지의 일부는 하우징(10)의 하벽(14)에 형성된 슬릿(14a)에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portion 12a of the second contact 12 is a member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Z1. The first portion 12a is provided a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 The first part 12a protrudes from the opening 10a of the housing 10 in the pulling direction D2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part 12a is fitted into the slit 14a formed in the lower wall 14 of the housing 10 Are inserted and arrang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슬릿(14a)은 하벽(14)의 내측면을 끼워맞춤방향(D1)에 따라서 노치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14a) 가운데, 개구부(10a)의 주변 부분은 하벽(14)을 높이방향(Z1)으로 관통하고 있다. 하벽(14)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서의 개구부(10a)에 슬릿(14a)이 개방되어 있다. 제1 부분(12a) 가운데, 회로기판(2)의 실장면(2a)에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를 구성하고 있다.The slit 14a is formed by notching the inner side face of the lower wall 14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10a among the slits 14a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lit 14a is opened in the opening 10a as an end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mong the lower wall 14. [ The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2a facing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is formed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constitutes the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12d have.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후술하는 제2 접속부(12g)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과 반대 측(인발방향(D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도시하지 않은 납땜 등을 이용하여 실장면(2a)의 도전부(2c)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1 컨택트(11)의 일단부(11a)와 높이방향(Z1)으로 늘어서 있다. 또, 제1 부분(12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하류 측의 단부에는 계지부(係止部)(12e)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제2 컨택트(12)가 하우징(10)에 대해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하벽(14)의 외측면에 대향하고 있으며, 이 외측면에 맞물려 있다.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D1 (on the pull-out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described later. The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12d is fixed to the conductive portion 2c of the mounting surface 2a by soldering or the like (not shown).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i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Z1 with one end portion 11a of the first contact 11. An engaging portion 12e is form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first portion 12a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The locking portion 12e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contact 12 from floating against the housing 10. [ The engaging portion 12e is op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wall 14 and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제2 부분(12b)은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14a)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12f)와, 제2 접속부(12g)를 포함하고 있다. 끼워맞춤부(12f)는 슬릿(14a)에 끼워맞춤함으로써, 하벽(14)에 폭방향(X1)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끼워맞춤부(12f)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제1 부분(12a)에 연속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2 컨택트(12) 가운데, 제1 부분(12a)의 일부와, 제2 부분(12b)의 끼워맞춤부(12f)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슬릿(14a)에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 제2 부분(12b)과 오벽(18)과의 사이에는 미소한 틈새(C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부분(12b)과 오벽(18)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제2 컨택트(12)의 위치 차이(정규의 위치로부터의 차이)가 억제되고 있다.The second portion 12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and includes a fitting portion 12f to be fitted to the slit 14a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The fitting portion 12f is fitted to the lower wall 14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X1 by fitting the slit 14a.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12f on the opening 10a side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portion 12a.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2a and the fitting portion 12f of the second portion 12b of the second contact 12 are engaged with the slit 14a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s shown in Fig. A minute gap C1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12b and the long wall 18. As a result, the positional difference (difference from the normal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12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ortion 12b and the obturator 18 is suppressed.

제2 접속부(12g)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후술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접속부(12g)는 끼워맞춤부(12f)로부터 중벽(19) 측을 향하여 높이방향(Z1)으로 돌출해 있으며, 끼워맞춤방g향(D1)으로 연장해 있다. 제2 접속부(12g)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인발방향(D2)을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접속부(12g) 가운데, 개구부(10a) 측의 일단부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를 제2 접속부(12g)에 끼워맞춤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2 접속부(12g)는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에 대해서 회로기판(2)의 실장면(2a)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12g)는 제1 접속부(11b)와 높이방향(Z1)으로 늘어서 있다.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of the mating connector 2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protrudes from the fitting portion 12f toward the middle wall 19 in the height direction Z1 and extends in the fitting direction D1.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on the side of the opening 10a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hape along the pulling direction D2. As a resul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on the side of the opening 10a has a function as a guide when fitting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2a of the circuit board 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of the first contact 11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Z1.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i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Z1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제2 부분(12b)의 끼워맞춤부(12f)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대략 곧게 연장해 있으며, 폭방향(X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오벽(18)을 끼워맞춤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 모양의 제2 고정부(제2 컨택트용 고정부)(18b)에 압입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제2 고정부(18b)의 내주면에 강고하게 결합하고 있다.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is provided 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10.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extends substantially straight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from the fitting portion 12f of the second portion 12b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X1 have.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is press-fitted into a tubular second fixing portion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18b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long wall 18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is firmly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제2 고정부(18b)는 슬릿(14a)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높이방향(Z1)에 관해서,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실장면(2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 측 고정부(11c)와 늘어서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lit 14a in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contact 12 is fixed to the housing 10.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12c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and the mounting surface 2a, and the first housing-side fixing portion 11c and the second housing- And so on.

다음으로, 상대 측 커넥터(29)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대 측 커넥터(29)에 대해서는 전기커넥터(9)에 접속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폭방향(X1), 깊이방향(Y1) 및 높이방향(Z1)은, 각각, 상대 측 커넥터(29)의 깊이방향, 높이방향 및 폭방향이기도 하다.Next, the mating connector 29 will be described. The mating connector 2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tate when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 Therefore, the width direction X1, the depth direction Y1, and the height direction Z1 are also the depth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ting connector 29, respectively.

도 5는 전기커넥터(9)와 상대 측 커넥터(29)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대 측 커넥터(29)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상대 측 커넥터(29)를 인발방향(D2)의 상류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는 상대 측 커넥터(29)의 저면도이며, 높이방향(Z1)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커넥터(29)는 상대 측 하우징(30)과, 복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와, 복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와, 로크판(33)을 포함하고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mating connector 29 are engaged. 6 (a)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29, with the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29 omitted,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29 is viewed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pulling direction D2. 6B is a bottom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29, and shows the state viewed from the height direction Z1. As shown in Figs. 5 and 6A, the mating connector 29 includes a mating housing 30, a plurality of first mating contacts 31, a plurality of second mating contacts 32 , And a lock plate (33).

상대 측 하우징(30)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대 측 하우징(30)은 제1 수용체(34)와, 제2 수용체(35)와, 제1 수용체(34) 및 제2 수용체(35) 사이에 배치된 끼워맞춤 오목부(36)를 포함하고 있다. 높이방향(Z1)을 따라서, 제1 수용체(34), 끼워맞춤 오목부(36) 및 제2 수용체(35)의 순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The mating housing 3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he mating housing 30 includes a first receptacle 34, a second receptacle 35 and a fitting recess 36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34 and the second receptacle 35 have. The first receiver 34, the fitting recess 36 and the second receiver 35 are arranged in this ord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Z1.

제1 수용체(34)는 복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체(34)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편평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체(34)에는 복수의 제1 수용실(3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은 전기커넥터(9)의 제1 컨택트(11)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은 폭방향(X1)을 따라서 제1 컨택트(11)의 배치피치와 동일한 배치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수용실(37)은, 각각, 제1 수용체(34)를 깊이방향(Y1)으로 관통하고 있다.The first receiver (34) is provided as a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first mating contacts (31). The first receiver 3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1 so as to be elongated.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chambers (37) are formed in the first receiver (34).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contacts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first accommodating chambers 37 are arranged at the same pitch as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first contacts 11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s 37 penetrates the first receiver 34 in the depth direction Y1.

각 제1 수용실(37)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수용실(37) 중 하나의 제1 수용실(37)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1 수용실(37)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 수용실(37)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 중 하나의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른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storage chambers 37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of the first containing chambers 37,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containing chambers 37,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first containing chamber 37 will be omitted . The shape of the first mating contact 31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is the same.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of the first mating contacts 31 of the same first mating contact 31 will be described, and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other first mating contact 31 .

제1 수용실(37)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통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수용실(37) 내에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가 수용되어 있다. 또, 제1 수용실(37)에는 제1 컨택트용 삽통(揷通)구멍(37a), 제1 돌출용 구멍(37b) 및 제1 빠짐방지부(37c)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housing chamber 37 is provided as a tubular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In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a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 first projection hole 37b, and a first stopper prevention portion 37c are formed.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은 전기커넥터(9)의 제1 컨택트(11)를 제1 수용실(37) 내에 도입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은 제1 수용실(37) 중 끼워맞춤방향(D1) 측의 단부(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수용실(37)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있다.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주연부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컨택트(11)를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에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is provided for introducing the first contact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37. [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is formed in an end portion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37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and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7a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37 It is communicating. A chamfer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on the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to facilitate introduction of the first contact 11 into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제1 돌출용 구멍(37b)은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후술하는 제1 빠짐방지 돌기(31d)를 제1 수용실(37)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돌출용 구멍(37b)은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높이방향(Z1)의 한쪽(도 5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The first projection hole 37b is provided to protrude the first stopper projection 31d of the first mating contact 31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 The first projecting hole 37b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through hole 37a in the pull-out direction D2 and is opened in one of the height directions Z1 (downward in Fig. 5) have.

제1 빠짐방지부(37c)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가 제1 수용실(37)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편(小片) 부분이며, 제1 돌출용 구멍(37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빠짐방지부(37c)는 끼워맞춤 오목부(36)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missing portion 37c is a small piece portion for preventing the first mating contact 31 from escaping from the first containing chamber 37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rojecting hole 37b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lipping-off preventing portion 37c is disposed in the fitting recess portion 36. [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제1 수용체(34)와 제2 수용체(35)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전기커넥터(9)의 중벽(19)과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6)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결합시킬 때, 끼워맞춤 오목부(36)와 중벽(19)이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 오목부(36)는 상대 측 하우징(30)을 전기커넥터(9)의 하우징(10)에 끼워맞춤할 때의 안내부로서 기능한다.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ceptor 34 and the second receptor 35.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middle wall 19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defines a spac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and the middle wall 19 are fitted to each other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functions as a guide portion when the mating housing 30 is fitted to the housing 10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제2 수용체(35)는 복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체(35)는 폭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편평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체(35)에는 복수의 제2 수용실(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은 전기커넥터(9)의 제2 컨택트(12)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은 폭방향(X1)을 따라서 제2 컨택트(12)의 배치 피치와 동일한 배치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수용실(38)은, 각각, 제2 수용체(35)를 깊이방향(Y1)으로 관통하고 있다.The second receiver (35) is provided as a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second mating contacts (32). The second receiver (35)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X1). A plurality of second containing chambers (38) are formed in the second receptor (35).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econd contacts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accommodating chambers 38 are arranged at the same pitch as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second contacts 12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Each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38 penetrates the second receiver 35 in the depth direction Y1.

각 제2 수용실(38)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수용실(38) 중 하나의 제2 수용실(38)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수용실(38)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2 수용실(38)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 중 하나의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econd storage chambers 38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cond containing chamber 38 of one of the second containing chambers 38 is constructed similarly,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second containing chamber 38 is omitted . The shape of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housed in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is the same. For this reas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of one of the second mating contacts 32, which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other second mating contact 32 .

제2 수용실(38)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는 통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실(38) 내에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가 수용되어 있다. 또, 제2 수용실(38)에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 및 제2 빠짐방지부(38b)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is provided as a tubular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nd a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38b.

도 5 및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전기커넥터(9)의 제2 컨택트(12)를 제2 수용실(38) 내에 도입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제2 수용실(38) 중 끼워맞춤방향(D1)의 선단으로부터 기단 측을 향하여(인발방향(D2)을 따라서) 연장해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은 제2 수용실(38)을 높이방향(Z1)의 한쪽(도 5에서 하측)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제2 수용실(38)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있다.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의 위치에 제2 빠짐방지부(38b)가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is provided for introducing the second contact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38 as shown in Figs. 5 and 6 (b) .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extends from the tip end of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in the fitting direction D1 toward the base end side (along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slit 38a for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opens the second containing chamber 38 to one side (the lower side in FIG. 5) in the height direction Z1, Respectively. The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38b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pull-out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slit 38a for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제2 빠짐방지부(38b)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가 제2 수용실(3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 소편 부분이며,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falling prevention portion 38b is a small piece portion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from coming off from the second containing chamber 38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lit 38a for second contact insertion have.

도 5 및 도 6의 (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수용실(37)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피복전선(3)의 전선과 제1 컨택트(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피복전선(3)은 동선(銅線) 등의 전선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피복의 일단으로부터 전선이 노출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컨택트(11)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전부재이다.Referring to Figs. 5 and 6A,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and the first contact 11. The first coated wire 3 has a constitution in which wires such as copper wires are covered with a coat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wires are exposed from one end of the coated wire.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a conductive member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tact 11.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제1 압접부(31b)와, 제2 압접부(31c)와, 제1 빠짐방지 돌기(31d)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제1 컨택트(11)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제1 컨택트(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mating contact 31 includes a first mating contact 31a, a first mating contact 31b, a second mating contact 31c and a first mating contact protrusion 31d. The first relative-side connecting portion 31a is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first contact 11 by making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11.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제1 수용실(37)에서 끼워맞춤방향(D1) 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폭방향(X1)을 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부 중 한쪽의 탄성편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의 한 쌍의 탄성편부는 이들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에 삽입된 제1 컨택트(11)를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의 기단부(인발방향(D2) 측의 단부)는 제1 압접부(31b)에 지지되어 있다.The first relative-side connecting portion 31a is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first counterpart side connecting portion 31a has a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facing the width direction X1. In Fig. 5, only one elastic piece portion of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is shown.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of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1a are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 (contact) the first contacts 11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The base end (the end on the pull-out direction D2 side) of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1a is supported by the first pressure-contacting portion 31b.

제1 압접부(31b)는 제1 피복전선(3)의 전선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압접부(31b)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1 피복전선(3)의 전선을 끼우고 있어, 제1 압접부(31b)에 의한 전선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 제1 압접부(31b)에 대해서 인발방향(D2) 측에 제2 압접부(31c)가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press-contact portion 31b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lectric wire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The first pressure-contacting portion 31b has a pair of piece portions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of the pair of piece portion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pieces are bent.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sandwich the electric wire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and the electric wire is fixed by the first pressed portion 31b. And the secon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1c is disposed on the pull-out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ssure-contacting portion 31b.

제2 압접부(31c)는 제1 피복전선(3)의 피복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압접부(31c)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1 피복전선(3)의 피복을 끼우고 있어, 제2 압접부(31c)에 의한 제1 피복전선(3)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The second press-contacting portion 31c is provided for engaging with one end of the covering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The secon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1c has a pair of piece portions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of the pair of piece portion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pieces are bent.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sandwich the covering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and the fixing of the first covered electric wire 3 by the second pressed portion 31c is achieved.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제1 압접부(31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제1 빠짐방지 돌기(31d)는 제1 수용실(37)의 제1 돌출용 구멍(37b)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제1 빠짐방지부(37c)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제1 상대 측 컨택트(31)에 인발방향(D2)을 향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1 빠짐방지 돌기(31d)가 제1 빠짐방지부(37c)에 받게 되어,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변위가 규제된다.The first slip prevention protrusion 31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on portion 31a and the first pressure contact portion 31b. The first slip-off preventing protrusion 31d has a pair of side pieces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piece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side pieces are bent . The first slip prevention protrusion 31d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sion hole 37b of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slip prevention portion 37c. Therefore, when a force directed toward the pull-out direction D2 acts on the first mating contact 31 with respect to the mating housing 30, the first slipping prevention protrusion 31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lipping prevention portion 37c, And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regul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수용실(3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1 상대 측 컨택트(3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같은 부품을 제1 상대 측 컨택트(31) 또는 제2 상대 측 컨택트(32)로서 이용할 수 있어, 상기 부품의 범용성의 향상을 통해서 전기적 접속장치(1)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disposed in the second containing chamber 38.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mating contact 31. As a result, the same component can be used as the first mating contact 31 or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1 can be reduced 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component have.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와, 제3 압접부(32b)와, 제4 압접부(32c)와, 제2 빠짐방지 돌기(32d)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제2 컨택트(12)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제2 컨택트(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제2 수용실(38)에서 끼워맞춤방향(D1) 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폭방향(X1)을 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한 쌍의 탄성편부 중 한쪽의 탄성편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의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는 이들 한 쌍의 탄성편부 사이에 삽입된 제2 컨택트(12)를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의 기단부(인발방향(D2) 측의 단부)는 제3 압접부(32b)에 지지되어 있다.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ncludes a second mating contact 32a, a third mating contact 32b, a fourth mating contact 32c and a second mating contact protrusion 32d. The second mating contact portion 32a is provided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12 by making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12. The second relative-side connecting portion 32a is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second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2a has a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facing the width direction X1. In Fig. 5, only one elastic piece portion of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is shown. And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of the second relative-side connecting portion 32a is elastically pressed (contacted) with the second contact 12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 portions. The base end portion (the end on the pull-out direction D2 side) of the second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2a is supported by the thir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b.

제3 압접부(32b)는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피복전선(4)은 동선 등의 전선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피복의 일단으로부터 전선이 노출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3 압접부(32b)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2 피복전선(4)의 전선을 끼우고 있어, 제3 압접부(32b)에 의한 전선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 제3 압접부(32b)에 대하여 인발방향(D2) 측에 제4 압접부(32c)가 배치되어 있다.The third pressure-contacted portion 32b is provided for coupling to one end of the electric wire of the second covered electric wire 4. The second coated wire (4)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wires such as copper wire are covered with a coat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wire is exposed from one end of the coated wire. The thir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b has a pair of piece portions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of the pair of piece portion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piece portions are bent.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sandwich the electric wire of the second covered electric wire 4, and the electric wire is fixed by the third pressed portion 32b. And the fourth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c is disposed on the drawing-out direction D2 side with respect to the thir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b.

제4 압접부(32c)는 제2 피복전선(4)의 피복의 일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4 압접부(32c)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편부가 제2 피복전선(4)의 피복을 끼우고 있어, 제4 압접부(32c)에 의한 제2 피복전선(4)의 고정이 달성되고 있다.The fourth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c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covering of the second covered electric wire 4. [ The fourth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c has a pair of piece portions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of the pair of piece portion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pieces are bent. As a result, the pair of single piece portions sandwich the covering of the second covered electric wire 4, and the securing of the second covered electric wire 4 by the fourth pressed portion 32c is achieved.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와 제3 압접부(32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폭방향(X1)으로 늘어선 한 쌍의 편부를 가지고 있으며(도 5에서는, 한 쌍의 편부 중 한쪽의 편부만을 도시), 이들 한 쌍의 편부가 절곡가공되어 있다. 제2 빠짐방지 돌기(32d)는 제2 수용실(38)의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며, 제2 빠짐방지부(38b)에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제2 상대 측 컨택트(32)에,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하여 인발방향(D2)을 향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2 빠짐방지 돌기(32d)가 제2 빠짐방지부(38b)에 받게 되어,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변위가 규제된다.And the second slip prevention protrusion 32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lative-side connecting portion 32a and the third pressure-contacting portion 32b. The second falling prevention protrusion 32d has a pair of side piece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X1 (only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pieces is shown in Fig. 5), and these pair of side pieces are bent . The second slip prevention protrusion 32d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of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38b. Therefore, when a force toward the pull-out direction D2 acts on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with respect to the mating housing 30, the second mating protrusion 32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mating preventing portion 38b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regulated.

상대 측 커넥터(29)는 플러그(39)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39)는 제1 수용실(37)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와, 끼워맞춤 오목부(36)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2 수용실(38) 중 끼워맞춤방향(D1) 가까이의 일부와,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제2 상대 측 접속부(32a)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39)는 상대 측 커넥터(29) 가운데, 전기커넥터(9)의 끼워맞춤공간(13)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요소로서 마련되어 있다.The mating connector 29 includes a plug 39. The plug 39 has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first mating side connecting portion 31a of the first mating contact 31 and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A part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of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and a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38 near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second mating connection 32a of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 The plug 39 is provided as a fitting element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space 13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mong the mating connector 29.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장치(1)는 로크기구(40)를 포함하고 있다. 로크기구(40)는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로크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로크기구(40)는 상대 측 하우징(30)에 마련된 로크판(33)과, 하우징(10)에 마련된 로크용 돌기(22)를 포함하고 있다.1 and 5,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1 includes a lock mechanism 40. [ The lock mechanism 40 is provided for releasably locking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lock mechanism 40 includes a lock plate 33 provided on the mating housing 30 and a lock projection 22 provided on the housing 10.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에 일체 성형되며, 또한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요동 변위 가능한 가동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의 제1 수용체(34)의 일측면에 배치된 지주(支柱)(41)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판(33)은 폭방향(X1)으로 폭 넓게 연장하고, 또한 지주(41)로부터 끼워맞춤방향(D1)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판(33) 가운데, 끼워맞춤방향(D1) 측의 선단에는 로크 클로(claw)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클로부(42)는 로크판(33)으로부터 높이방향(Z1)을 따라서 하우징(10) 측으로 돌출하는 소편부이다.The lock plate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ting housing 30 and is provided as a movable member capable of oscillating with respect to the mating housing 30. The lock plate 33 is connected to a support 4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ceiver 34 of the mating housing 30. The lock plate 33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at extends widely in the width direction X1 and extends from the support post 41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 locking claw portion 42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lock plate 33 on the fitting direction D1 side. The lock claw portion 42 is a small piece portion projecting from the lock plate 33 toward the housing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Z1.

로크용 돌기(22)는 로크 클로부(42)와 맞물림함으로써, 인발방향(D2) 측으로의 상대 측 하우징(30)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22)는 하우징(10) 상벽(15)의 외측면에서, 인발방향(D2) 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용 돌기(22)는 1 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으며, 폭방향(X1)을 따라서 연장해 있다. 로크용 돌기(22)의 표면은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상벽(1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가지고 있다. 로크 클로부(42)는 이 면을 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projection 22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lock claw portion 42 so as to regulate the displacement of the mating housing 30 toward the drawing direction D2. The lock projection 22 is disposed at the end on the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D2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5 of the housing 10. One or a plurality (four in this embodiment) of the lock projections 22 are provided and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X1. The surface of the lock projection 22 has an inclined por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wall 15 as it proceeds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e lock claw portion 4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ross this surface.

또, 전기적 접속장치(1)는 하우징(10)에 대한 상대 측 하우징(30)의 변위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측 하우징(30) 가운데, 제1 수용체(34)의 일측면에 한 쌍의 안내 볼록부(43, 44)가 마련되며, 또한, 하우징(10) 상벽(15)의 내측면에 한 쌍의 안내 오목부(23, 24)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 볼록부(43, 44)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볼록 조(條) 부분이며, 로크판(33)을 폭방향(X1)으로 끼우도록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23, 24)는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는 오목 모양 부분이며, 대응하는 안내 볼록부(43, 44)에 끼워맞춤 가능하다.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1 further includes a mechanism for guiding the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mating housing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 Specifically, a pair of guide convex portions 43 and 44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ceiver 34 among the mating housing 30, and a pair of guide projections 43 and 44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wall 15 of the housing 10 A pair of guide recesses 23 and 24 are provided. The guide convex portions 43 and 44 are convex portions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are provided with a pair so as to sandwich the lock plate 33 in the width direction X1. The guide recesses 23 and 24 are concave portions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are fittable to the corresponding guide convex portions 43 and 44. [

다음으로, 전기적 접속장치(1)에서의 전기커넥터(9)와 상대 측 커넥터(29)와의 사이의 착탈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2)에 실장된 전기커넥터(9)에 상대 측 커넥터(29)를 결합할 때는, 우선,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와 서로 마주 보게 한다. 다음으로, 상대 측 커넥터(29)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전기커넥터(9)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대 측 하우징(30)의 한 쌍의 안내 볼록부(43, 44)는 한 쌍의 안내 오목부(23, 24)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측 하우징(30)의 플러그(39)의 끼워맞춤 오목부(36)는 하우징(10)의 중벽(19)과 끼워맞춤한다. 또한, 플러그(39)의 제1 수용체(34) 및 제2 수용체(35)는 끼워맞춤공간(13)에 끼워맞춰진다.Nex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mating connector 29 in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1,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 the mating connector 29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9 do. Next, the mating connector 29 is displaced toward the electrical connector 9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s a result, the pair of guide convex portions 43, 44 of the mating housing 30 are fitted to the pair of guide concave portions 23, 24, and as shown in Fig. 5,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of the plug 39 of the housing 30 is fitted with the middle wall 19 of the housing 10. The first receptacle 34 and the second receptacle 35 of the plug 39 are fitted into the fitting space 13.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11)의 제1 접속부(11b)는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을 통과하여 제1 수용실(37)에 들어가고, 제1 상대 측 컨택트(31)의 제1 상대 측 접속부(31a)에 끼워지면서 접촉한다. 또, 제2 컨택트(12)의 제2 접속부(12g)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을 통과하여 제2 수용실(38)에 들어가며, 제2 상대 측 컨택트(32)의 제2 상대 측 접속부(32a)에 끼워지면서 접촉한다.As a resul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b of the first contact 11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nd enters the first housing chamber 37, and the first contact 11b of the first contact 11 Side contact portion 31a.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g of the second contact 12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nd enters the second housing chamber 38.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g of the second contact 12, Side contact portion 32a.

이 때, 로크판(33)은 상대 측 하우징(30)에 대해서 지주(4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로크 클로부(42)는 로크용 돌기(22)를 타고 넘는다. 그 후, 로크 클로부(42)는 로크용 돌기(22)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 측에서 로크용 돌기(22)에 맞물려, 상대 측 하우징(30)의 빠짐방지가 달성된다.At this time, the lock plate 33 rocks with respect to the mating housing 30 with the support 41 as a fulcrum, and the lock claw portion 42 rides over the locking projection 22. Thereafter, the lock claw portion 4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22 on the side of the fitting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jection 22, thereby preventing the mating housing 30 from slipping out.

한편, 전기커넥터(9)로부터 상대 측 커넥터(29)를 떼어낼 때는, 로크판(33)을 손가락 등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판(33)은 지주(4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여, 로크 클로부(42)가 들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로크 클로부(42)와 로크용 돌기(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대 측 하우징(30)을 하우징(10)에 대해서 인발방향(D2)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39)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발방향(D2) 측으로 인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detach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lock plate 33 is pressed with a finger or the like. As a result, the lock plate 33 rocks about the support 41 as a fulcrum, and the lock claw portion 42 is lifted. As a result, engagement between the lock claw portion 42 and the locking projection 22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mating housing 30 is pulled toward the housing 10 in the pulling direction D2. Thereby, the plug 39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10 toward the pull-out direction D2.

이 때, 제1 상대 측 컨택트(31)는 제1 컨택트용 삽통구멍(37a)으로부터 인발되며,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제2 컨택트 삽통용 슬릿(38a)으로부터 인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상대 측 컨택트(31) 및 제2 상대 측 컨택트(32)는, 각각,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 이 때, 상대 측 하우징의 끼워맞춤 오목부(36)와 중벽(19)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대 측 커넥터(29)가 전기커넥터(9)로부터 인발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커넥터(9, 29)의 결합이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ating contact 31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contact insertion hole 37a, and the second mating contact 32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contact insertion slit 38a.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mating contacts 31 and 32 are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tting concave portion 36 of the mating housing and the middle wall 19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mating connector 29 is pulled out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9, whereby the engagement of these connectors 9 and 29 is released as shown in Fig.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에 결합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로부터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방향(D1)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전기커넥터(9)의 복수의 제1 컨택트(11)에 전해져, 이들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에서 받게 된다.5,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coupl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 force is applied from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is received by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s 11. [

한편, 상대 측 커넥터(29)를 전기커넥터(9)로부터 인발될 때에는, 상대 측 커넥터(29)로부터 전기커넥터(9)에 인발방향(D2)에 따른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제2 컨택트(12)에 전해져, 이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에서 받게 된다. 즉, 전기커넥터(9)에 끼워맞춤방향(D1)의 힘이 작용했을 때와 인발방향(D2)의 힘이 작용했을 때의 어느 경우도, 하우징(10)에 유지된 컨택트(11, 12)에 의해서 하우징(10)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29 is pulled ou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a force is applied from the mating connector 29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long the pulling direction D2. 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act 12 and is received at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 That is, in any case when a force in the fitting direction D1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when a force in the drawing direction D2 is applied, the contacts 11 and 12, So that the housing 10 can be reliably suppor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제1 컨택트(11)의 거리는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제2 컨택트(12)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 제1 컨택트(11)는 끼워맞춤공간(13) 내에서 상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컨택트(11)는 선상 또는 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과,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11)는 플러그(39)와의 접촉시에, 플러그(39)와의 접촉에 의해서 휘어져 플러그(39)에 대해서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컨택트(11)를 플러그(39)의 제1 컨택트(11)에 대해서 확실히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제조시에,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에 조립할 때에, 제1 컨택트(11)를 하우징(10)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따라서, 하우징(10)으로의 제1 컨택트(11)의 장착작업의 속도(효율)를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시간당의 전기커넥터(9)의 조립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The distance of the first contact 11 from the circuit board 2 in the fitting space 13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1 from the circuit board 2, Is longer than the distance of the contact 12.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1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fitting space 13. As a result of the first contact 11 being formed in a line or an axis, it is liable to be bent. The first contact 11 can be bent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ug 39 by contact with the plug 39 when the plug contacts the plug 39. [ Therefore, the first contact 1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11 of the plug 39 reliably.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precisely align the first contacts 1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when assembling the first contacts 11 to the housing 10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al connector 9 . Therefore, the speed (efficiency) of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tacts 11 to the housing 10 can be increased. Thus, the number of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s 9 per unit time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reduced.

또, 선상의 제1 컨택트(11)는 고가의 프레스 성형이 아니라도 선재 등에 의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와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를 끼워맞춤공간(13)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D1)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양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2)은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를 통하여 하우징(10)을 끼워맞춤방향(D1)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와 회로기판(2)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힘이 하우징(10)을 회로기판(2)에 대해서 넘어뜨리는 힘으로 하여 하우징(10)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우징(10)이 회로기판(2) 위에서 넘어지는 것을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의 협동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s 11 on the lin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wire rods or the like, without expensive press forming.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are fitted to the fitting space 13 in the fitting direction D1, On both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The circuit board 2 can support the housing 10 from both sides of the fitting direction D1 through the first contacts 11 and the second contacts 12. [ Therefore,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or 9 and the circuit board 2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a for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may act on the housing 10 as a force to tilt the housing 10 against the circuit board 2.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ousing 10 from falling on the circuit board 2 by the cooperation of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게다가, 하우징(10)의 상기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보강금구 등)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의 저감을 통해서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이 회로기판에 대해서 변위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염가인 전기커넥터(9)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reinforcement metal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housing 10 from falling down.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further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to provide the electric connector 9 with a low manufacturing cost.

또, 전기커넥터(9)에서, 제1 컨택트(11)는 선재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선재로 하면 가늘게 할 수 있으므로, 끼워맞춤방향(D1)과 평행한 방향에 관해서, 제1 컨택트(11)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컨택트(11)와 하우징(10)이 전체적으로 끼워맞춤방향(D1)에 차지하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since the first contacts 11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wire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ire can be made thinner, the first contact 11 can be made short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D1. Thus, the length of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housing 10 in the fitting direction D1 as a whole can be shortened. Therefore, th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achieved.

또한, 전기커넥터(9)에서, 제2 컨택트(12)의 제2 기판 측 실장부(12d)와, 제1 컨택트(11)의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는 끼워맞춤방향(D1)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기판 측 실장부(12d)는 제1 기판 측 실장부(11e)의 배치에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하우징(10)의 보다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간부(11d)도 하우징(10)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근방에 제1 중간부(11d) 및 제1 기판 측 실장부(11e)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판 측 실장부(11e, 12d)의 협동에 의한 전기커넥터(9)의 넘어짐 방지 효과를 높이면서, 끼워맞춤방향(D1)에 관해서 전기커넥터(9)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다른 효과를 상승하여 발휘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of the second contact 12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of the first contact 1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fitting direction D1. Respectively. Thereby,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d is not interfer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Therefore,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can be disposed closer to the housing 10 than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1e. Therefore,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can also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10. [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d an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11e ar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ors 9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with respect to the fitting direction D1.

또, 전기커넥터(9)에서, 제2 컨택트(12)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제2 컨택트(12)는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컨택트(11)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고, 회로기판(2)과의 결합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2 컨택트(12)는 회로기판(2)으로부터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소형이다. 이 때문에,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컨택트(12)의 위치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어도, 하우징(10)으로의 플러그(39)의 삽입을 제2 컨택트(12)가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커넥터(9)의 조립시에, 제2 컨택트(12)를 하우징(10)에 대해서 엄밀하게 위치결정하는 수고(시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제2 컨택트(12)를 고속으로 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제조효율을 높여 전기커넥터(9)의 제조비용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contact 12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contact 12 formed by press working can have a larger moment of inertia in cross section, the rigid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ircuit board 2 is increased . The second contact 12 is small because the height from the circuit board 2 is low. This prevents the second contact 12 from interfering with the insertion of the plug 39 into the housing 10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slightly deviates from the regular position can do. Therefore, in assembling the electrical connector 9, labor (time) for precisely positioning the second contact 12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s unnecessary. Therefore, the second contacts 12 can be assembled to the housing at a high spe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be further reduced.

또,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하우징(10)의 슬릿(14a)에 제2 컨택트(12)를 끼워맞춤방향(D1)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2 컨택트(12)를 하우징(10)의 제2 고정부(18b)를 향해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컨택트(12)의 제2 하우징 측 고정부(12c)는 하우징(10)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작업을 생략하면서, 하우징(10)에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선상의 제1 컨택트(11)와 비교해서 하우징(10)으로의 고정속도를 높이기 어려운 판상의 제2 컨택트(12)에 대해서도 고속으로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second contact 12 is inserted into the slit 14a of the housing 10 along the fitting direction D1, and the second contact 1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8b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8b. The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c of the second contact 12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to the housing 10 while omitting the accurate position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 As a result, the plate-shaped second contact 12, which is less likely to increase the fixing speed to the housing 10 as compared with the first contact 11 on the line, can be fastened to the housing at high speed.

또, 전기커넥터(9)에 의하면,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는 하우징(10)에 대해서 깊이방향(Y1)의 양측(인발방향(D2) 측 및 끼워맞춤방향(D1) 측)으로부터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작은 형상(예를 들면, 폭방향(X1)의 길이가 20㎜ 정도)의 하우징(10)에 대해서, 제1 컨택트(11)를 조립하는 장치 및 제2 컨택트(12)를 조립하는 장치를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깊이방향(Y1)의 양측에서 하우징(10)에 제1 컨택트(11) 및 제2 컨택트(12)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어, 그 결과, 전기커넥터(9)의 조립속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9, the first contact 11 and the second contact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in the depth direction Y1 (the pulling direction D2 side and the fitting direction D1 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having a generally small shape (for example,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X1 is about 20 mm), the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first contacts 11 and the second contacts 12 The devices to be assembled can be arrang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ultaneously assemble the first contacts 11 and the second contacts 12 to the housing 10 on both sides of the depth direction Y1 and consequently to increase the assembling spee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9 can do.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For example, the following changes may be made.

(1)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를 각각 복수 마련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는 각각 1개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re provided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ly one of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may be provided.

(2)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의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하우징의 위치와 겹쳐 있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컨택트의 제1 하우징 측 고정부로부터 직선 모양으로 연장한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하우징의 제1 중간부의 위치가 하우징의 위치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하류 측이라도 된다.(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s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tting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posi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may be the down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housing as viewed from the width direction by providing a portion extending linearly from the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

(3)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컨택트가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컨택트는 제1 컨택트와 마찬가지로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by pressing the metal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second contact may be formed by using a part of the wire material separate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contact.

(4)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의 제1 중간부는 하우징의 오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의 후벽의 외측면에 하우징의 제1 고정부에 연속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제1 중간부의 일부를 수용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 오벽에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커넥터가 끼워맞춤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of the hous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groove continuous to the first fixing portion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and a part of the first middle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As a resul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can be received in the wall of the housing, so that the length occupied by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can be further shortened.

(5)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가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는,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 타입의 전기커넥터의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가 회로기판의 쓰루홀(through hole)에 끼워 넣어지는 DIP(Dual Inline Package) 커넥터 등의 삽입실장 타입의 전기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5)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surface mount type (SMT) type in which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s described as an example, Do no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insertion-mount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such as a DIP (Dual Inline Package) connector in which a first contact and a second contact ar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a circuit board.

(6)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속장치가 회로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와이어 타입의 접속장치인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보드·투·보드 타입의 전기적 접속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is a board-to-wire type connecting devic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 wi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board-to-board type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in which circuit boar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7)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가 높이방향으로 2단으로 배열된 전기커넥터의 형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컨택트가 높이방향으로 3단 이상으로 배열된 전기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가장 아래의 단의 컨택트는 본 발명의 제2 컨택트로서 구성되며, 하우징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상류 측에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또한, 가장 위의 단의 컨택트는 본 발명의 제1 컨택트로서 구성되며, 하우징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의 하류 측에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7)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two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three or mor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is case, at least the contact at the lower end is configured as the second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t the up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Further, the uppermost contact is configured as the first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t the downstream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8) 하우징, 제1 컨택트, 제2 컨택트 및 플러그의 각각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예시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8) The shape of each of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the second contact, and the plug is not limited to the shape exemplifi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실장면상에 배치되고,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넓게 적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as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is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in which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along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a mounting surface.

2 회로기판 2a 실장면
9 전기커넥터 10 하우징
11 제1 컨택트 11b 제1 접속부
11c 제1 하우징 측 고정부 11d 제1 중간부
11e 제1 기판 측 실장부 12 제2 컨택트
12c 제2 하우징 측 고정부 12d 제2 기판 측 실장부
12g 제2 접속부 13 끼워맞춤공간
14a 슬릿 18b 제2 고정부(제2 컨택트용 고정부)
29 상대 측 커넥터 39 플러그
D1 끼워맞춤방향 Z1 높이방향
2 circuit board 2a room scene
9 electrical connector 10 housing
11 first contact 11b first connection portion
11c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1d First intermediate portion
11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12 Second contact
12c Second housing side fixing portion 12d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12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
14a Slit 18b Second fixing portion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29 Mating connector 39 Plug
D1 fitting direction Z1 height direction

Claims (5)

회로기판의 실장면(實裝面)상에 배치되고,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소정의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상대 측 커넥터의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선상(線狀) 또는 축상(軸狀)의 제1 컨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제2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끼워맞춤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와, 당해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하우징 측 고정부와, 상기 실장면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관해서, 상기 제1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실장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대 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와, 당해 제2 접속부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2 기판 측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택트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제2 기판 측 실장부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실장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을 수용하는 계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a plug of a mating connector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fitting in a predetermined fit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 housing defining a fitting space in which the plug is fitted,
A linear or axial first contact held in the housing,
And a second contact held in the housing,
The first contact includes a first housing sid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disposed in the fit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mating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a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and is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second contact is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surface, the second contact-side fixing portion being fixed to the housing, And a second board side mounting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is mountable on the circuit board,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further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which is adjacent to the second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and accommodate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ich faces the mounting surface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단면이 일정한 형상의 선재의 일부를 분리한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act is formed using a part of a wir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중간부는 일부가 굴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측 실장부 측을 향하여 상기 높이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부터 보아, 당해 제1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위치와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contact has a first intermedi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substrate side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has a portion bent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side toward the first board side mounting portion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The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overlaps the position of the housing.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는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방향과는 반대 측의 단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2 컨택트의 일부가 상기 끼워맞춤방향을 따라서 삽입하여 통과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해서 상기 끼워맞춤방향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측 고정부를 고정하는 제2 컨택트용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using is open to an end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and a part of the second contact is inserted and passed along the fitting direction, and a slit which is arranged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slit, And a second contact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housing-side fixing portion.
KR1020120049654A 2011-05-31 2012-05-10 Electric connector KR1018779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2134 2011-05-31
JP2011122134A JP5694057B2 (en) 2011-05-31 2011-05-31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05A KR20120134005A (en) 2012-12-11
KR101877990B1 true KR101877990B1 (en) 2018-07-12

Family

ID=4752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654A KR101877990B1 (en) 2011-05-31 2012-05-10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4057B2 (en)
KR (1) KR101877990B1 (en)
TW (1) TWI57581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3567B2 (en) * 2018-10-22 2020-07-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JP7439608B2 (en) 2020-03-26 2024-02-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Card edge connectors and circuit boar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975U (en) * 1989-07-19 1991-03-19
JPH08250167A (en) * 1995-03-08 1996-09-27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pc card
US6652294B1 (en) * 2002-06-20 2003-1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securely retained contacts
JP2007141532A (en) * 2005-11-15 2007-06-07 Jst Mfg Co Ltd Dip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945Y2 (en) * 1988-04-27 1993-04-05
JPH04174979A (en) * 1990-11-07 1992-06-23 Canon Inc Printed wiring board
US20050075008A1 (en) * 2003-10-01 2005-04-07 Spink William E. Power connector having latch devices on opposite sides and an anti-mismating structure
JP2009117218A (en) * 2007-11-07 2009-05-28 Jst Mfg Co Ltd Elastic body hook-partition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975U (en) * 1989-07-19 1991-03-19
JPH08250167A (en) * 1995-03-08 1996-09-27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pc card
US6652294B1 (en) * 2002-06-20 2003-1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securely retained contacts
JP2007141532A (en) * 2005-11-15 2007-06-07 Jst Mfg Co Ltd Dip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94057B2 (en) 2015-04-01
KR20120134005A (en) 2012-12-11
TW201310791A (en) 2013-03-01
TWI575818B (en) 2017-03-21
JP2012252780A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51B2 (en) connector
CN110800169B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KR10156735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KR101655208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electric connector mounting body
KR101646793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012619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28873B2 (en) Connector mountable on a circuit board and connectable with a mating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rows of contacts with fixed portions extending into an opening of a housing
KR101695409B1 (en) Shield case,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58180B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US7575487B2 (en) Electric connector
KR20110066847A (en) Electric connector
JP2007115575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5683284B2 (en) Board connection terminal
KR102157636B1 (en) Connector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07115576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7379025B2 (en) sockets and electronic equipment
JP6069008B2 (en) Connector device
KR101877990B1 (en) Electric connector
JP5787081B2 (en) Connector device
KR101625691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CN114514657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794289B1 (en)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