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344B1 -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344B1
KR101877344B1 KR1020170038689A KR20170038689A KR101877344B1 KR 101877344 B1 KR101877344 B1 KR 101877344B1 KR 1020170038689 A KR1020170038689 A KR 1020170038689A KR 20170038689 A KR20170038689 A KR 20170038689A KR 101877344 B1 KR101877344 B1 KR 101877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unit
guide unit
fastening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291A (ko
Inventor
김경학
서기남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서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케어 filed Critical (주)서한케어
Publication of KR2017011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61F2002/0823Modular anch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e parts
    • A61F2002/0835Modular anch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e parts with deformation of anchor parts, e.g. expansion of dowel by set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61F2002/0841Longitudinal channel for insertion tool running through the whole tendon anchor, e.g. for accommodating bone drill, guide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47Mode of fixation of anchor to tendon or ligament
    • A61F2002/0858Fixation of tendon or ligament between anchor and bone, e.g. interference screws,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76Position of anchor in respect to the bone
    • A61F2002/0882Anchor in or on top of a bone tunnel, i.e. a hole running through the entir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76Position of anchor in respect to the bone
    • A61F2002/0888Anchor in or on a blind hole or on the bone surface without formation of a tu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7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sutured, ligatured or stitched, retained or tied with a rope, string, thread, wire or c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86Pyramidal, tetrahedral, or wedg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다면체의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각 모서리에 제1슬릿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슬리브가 형성된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슬리브의 내면을 가압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이 매식재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그 하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첨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그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가이드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은 제각기 그 축선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은 상기 슬리브와 슬리브를 연결하는 형상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상유지부는 슬리브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가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Implant for fixing a tendon}
본 발명은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 관절의 십자인대의 재건술에서 사용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십자인대 재건술은 경골과 대퇴골상에 손상된 십자인대를 제거하고, 제거한 십자인대와 일치하는 경골과 대퇴골에 터널을 천공한 다음, 천공된 터널에 자가(autogenous graft) 또는 인공인대(allogenous graft)를 삽입한 후에 인대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소정의 긴장력을 가지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재건술에 필요한 치료기구를 살펴보면, 신축이 가능한 인대의 양단에 와이어가 수 가닥으로 연결된 매식재와, 경골과 대퇴골에 표면에 부착되어 터널에 삽입된 매식재를 소정의 긴장력을 가지게 유지하면서 정 위치에 고정하는 인대 고정장치로 구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인대 고정장치는 골 표면에 부착력과 와이어와 연결(매듭)되는 정도에 따라 수술과정은 물론, 수술결과와 재활에 상당한 영향을 초래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따라서 인대를 뼈에 고정하는 연결재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 기술 중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대 고정장치로는 행잉(Hanging) 타입, 스테이플러(Staples) 타입, 나사 타입 등이 있다.
행잉 타입의 인대 고정장치는 버튼이나 로드(Rod)에 인대를 거는 타입으로 고정 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고 인대 손상이 적으나, 대퇴골 터널 이외에 버튼이나 로드를 삽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개가 필요하며, 재활 치료 시 대퇴골 터널 내부에서 인대가 쉽게 흔들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테이플러 타입의 인대 고정장치는 고정 강도가 좋으나, 골막에 고정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유발시킬 수 있고, 수술 후 재활 치료시 인대가 대퇴골 터널 내에서 흔들리므로 대퇴골과 인대와의 접합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사 타입의 인대 고정장치는 대퇴골 터널에 인대를 삽입한 후 억지끼움 식으로 대퇴골 터널과 인대 사이에 끼워 넣어 인대를 대퇴골에 고정하게 된다.
즉, 나사 타입의 인대 고정장치를 이용한 재건술은 인대 고정장치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수술용 드릴을 이용하여 뼈에 터널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대 고정장치와 함께 매식재를 삽입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매식재는 인대 고정장치의 외면과 터널의 내면 사이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사 타입의 인대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인대 고정장치가 터널에 박히는 과정 중에 매식재가 날카로운 나사산에 찢어지는 손상을 입는 등으로 인하여 결국 매식재가 원치않게 뼈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KR, B, 10-1164488(2012.07.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대 고정장치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매식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뼈에 형성된 터널과 인대 고정장치 사이에 위치한 매식재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매식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뼈에 형성된 터널에 인대 고정장치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 수술의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다면체의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각 모서리에 제1슬릿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슬리브가 형성된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슬리브의 내면을 가압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이 매식재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그 하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첨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그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가이드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은 제각기 그 축선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은 상기 슬리브와 슬리브를 연결하는 형상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상유지부는 슬리브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가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그 일부분이 파여져 절개되는 부분을 설정하는 절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그 내면에 상기 체결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슬리브의 내면에서 가이드유닛의 축선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결속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결속 홈에 상기 스토퍼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서 상기 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뼈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유닛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부는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외측을 향해 벌어질 수 있게 제2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부는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첨부가 연결되는 경계와 상기 관통 홀 사이에 테이퍼 구간이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 구간은 상기 첨부의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 구간은 상기 체결유닛의 하단 직경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굽힘부 및 상기 체결유닛의 하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체결유닛의 삽입에 의해 제각기 4방향으로 벌어지는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그 내면에 상기 체결유닛에 형성된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암나사는 상기 슬리브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과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첨부와 상기 제1슬릿이 만나는 경계는 상기 슬리브가 외측으로 벌어질 때 발생하는 응력이 보강되도록 곡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뼈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인대 또는 인공 대체물의 매식재가 체결유닛에 형성된 수나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슬리브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매식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식재와 접하게 되는 슬리브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매식재와 슬리브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매식재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매식재와 접촉하는 슬리브의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매식재와 슬리브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매식재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리브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요철과 암나사가 형성될 때 요철과 암나사가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슬리브의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슬리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과 체결유닛은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제각기 형성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유닛과 체결유닛을 용이하게 터널로 삽입시킬 수 있어 수술의 공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제1슬릿에 형상유지부가 마련되어 체결유닛을 가이드유닛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형상유지부가 절개되는 순간 뜯어지는 조작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삽입되는 것을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 수술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의 내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가이드유닛과 체결유닛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이드유닛에 조립된 체결유닛이 스토퍼에 걸림되기 때문에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서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스토퍼에 의해 조작감이 발생하여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조립되는 것을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 수술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가이드유닛이 뼈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취선을 따라 슬리브의 일부를 절개할 수 있어 슬리브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첨부에 제2슬릿이 형성되어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조립되는 것에 따라 제2슬릿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구조를 갖게 되어 첨부(130)에 의해 뼈에 형성된 터널에 가이드유닛을 삽입하기 용이하며, 체결유닛이 첨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것에 의해 매식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가 뼈의 터널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가 뼈의 터널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가 뼈의 터널로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요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절취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제2슬릿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제2슬릿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제2슬릿에 의해 첨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는 다면체의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각 모서리에 제1슬릿(120)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슬리브(110)가 형성된 가이드유닛(100) 및 가이드유닛(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슬리브(11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슬리브(110)의 내면을 가압하는 체결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가이드유닛(100)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 관의 형상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100)은 그 외면이 다면체의 형상을 갖고 각 모서리에 제1슬릿(120)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슬리브(110)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유닛(100)에 형성된 제1슬릿(120)은 가이드유닛(100)의 상단에서 가이드유닛(100)의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평면이 대략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면과 면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에 제1슬릿(120)이 형성되어 제1슬릿(120)과 제1슬릿(120) 사이에 슬리브(110)가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유닛(100)에 제1슬릿(120)이 형성되어 슬리브(110)가 형성되면 슬리브(110)와 슬리브(110) 사이에 체결유닛(200)이 삽입되는 것에 따라 슬리브(110)가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제1슬릿(120)은 상기 슬리브(110)와 슬리브(110)를 연결하는 형상유지부(121)가 형성되어, 체결유닛(200)을 가이드유닛(100)의 개방된 상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00)의 형상을 유지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형상유지부(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0)와 슬리브(110) 사이에 형성된 제1슬릿(120)에 마련되어 슬리브(110)와 슬리브(110)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유지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리브(110)가 가이드유닛(100)의 축선을 향해 오므라들지 않게 방지하여 슬리브(110)와 슬리브(110)가 제1슬릿(120)만큼 그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형상유지부(121)에 의해 슬리브(110) 간의 간격이 유지되면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200)을 가이드유닛(100)의 개방된 상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수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유닛(100)의 제1슬릿(120)에 형상유지부(121)가 형성되면,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형상유지부(121)가 절개되는 순간 뜯어지는 조작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되는 것을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 수술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상유지부(121)는 슬리브(110)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형상유지부(121)가 용이하게 절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유닛(100)에 체결유닛(200)이 삽입될 때 형상유지부(121)가 더욱 원활하게 절개되며 형상유지부(121)의 절개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형상유지부(121)에는 절개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 홈(122)은 도 1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121)의 상단에 "V"자 형태의 절개 홈(122)을 형성함으로써,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될 때 절개 홈(122)이 찢어지면서 슬리브(110)와 슬리브(110)가 분리되기 때문에 형상유지부(121)의 절개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110)는 그 외면이 매식재(A)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하게 형성된 슬리브(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닛(100)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어 슬리브(110)의 외면과 터널의 벽면 사이에 매식재(A)가 위치하였을 때 슬리브(110)와 매식재(A)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매식재(A)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슬리브(110)의 외면에는 매식재(A)와 접촉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매식재(A)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요철(112)이 형성된다. 슬리브(110)에 요철(112)이 형성되면 슬리브(110)의 외면과 터널의 벽면 사이에 매식재(A)가 위치하게 될 때 슬리브(110)에 형성된 요철(112)이 매식재(A)를 가압하여 매식재(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슬리브(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요철(112)이 슬리브(110)의 외면에 형성되고 뼈(B)에 형성된 터널의 벽면 사이에 매식재(A)가 위치하게 되면, 요철(112)의 끝단이 매식재(A)를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어 매식재(A)와 요철(112)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매식재(A)가 슬리브(110)의 외면과 터널의 벽면 사이에서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을 갖는 요철(112)은 필요에 따라 매식재(A)가 손상되지 않도록 요철(112)의 끝단에 곡율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요철(1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삼각형, 둔각삼각형, 예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슬리브(110)는 그 내면에 체결유닛(200)과 나사산 결합되는 암나사(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암나사(114)는 바람직하게 슬리브(110)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112)과 엇갈리게 형성되어 슬리브(110)의 전체 두께를 일정하게 한다.
즉, 슬리브(110)의 외면에 요철(112)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112)과 동일한 높이로 암나사(114)가 형성되는 경우 요철(112)과 암나사(114) 사이의 두께가 슬리브(110)의 다른 부분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해져 체결유닛(200)을 가이드유닛(100)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철(112)과 암나사(114)가 슬리브(110)의 내면과 외면에 엇갈리게 형성되면 슬리브(110)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슬리브(11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10)는 그 내면에 체결유닛(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16)가 형성된다. 이를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브(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토퍼(116)는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되었을 때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으로부터 무단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으로, 스토퍼(116)는 슬리브(110)의 내면에서 가이드유닛(100)의 축선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0)의 상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0)의 상단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16)는 슬리브(110)의 상단에서 가이드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첨부(130)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스토퍼(116)에 경사면이 형성되면, 가이드유닛(100)에 체결유닛(200)을 조립할 때 체결유닛(200)의 끝단이 경사면에 안내되어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의 축선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된 체결유닛(200)이 스토퍼(116)에 걸림되기 때문에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서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16)가 슬리브(110)의 상단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체결유닛(200)에 스토퍼(116)에 대응하는 결속 홈(230)을 형성하여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되었을 때 결속 홈(230)에 스토퍼(116)가 위치하여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의 결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토퍼(116)가 슬리브(110)의 내면에 형성되면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조작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되는 것을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 수술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부연하자면, 체결유닛(20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닛(100)의 내부에 완전하게 조립될 때 체결유닛(200)의 머리가 스토퍼(116)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슬리브(110)는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갖게 되며, 체결유닛(200)의 머리가 스토퍼(116)를 지나 가이드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될 때 최대로 벌어진 슬리브(11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므라들게 되면서 조작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유닛(200)에 결속 홈(230)이 형성된 경우에도 스토퍼(116)가 결속 홈(230)에 위치하면서 조작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스토퍼(116)에 의한 조작감의 발생은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되는 것을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어 수술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한편, 슬리브(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18)은 가이드유닛(10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 일부분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110)에 절취선(118)이 형성되면 가이드유닛(100)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취선(118)을 따라 슬리브(110)의 일부를 절개할 수 있어 슬리브(1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뼈(B)에 형성된 터널의 깊이에 비해 가이드유닛(100)의 전체 길이가 긴 경우 터널로부터 삐져나온 슬리브(110)를 절취선(118)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수술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유닛(100)의 하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첨부(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유닛(100)의 하부에 첨부(130)가 형성되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가이드유닛(100)을 삽입할 때 첨부(130)에 의해 가이드유닛(100)이 용이하게 터널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한 첨부(130)와 제1슬릿(120)이 만나는 경계(1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10)가 외측으로 벌어질 때 발생하는 응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곡율을 형성하게 된다. 즉, 가이드유닛(100)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110)가 터널의 벽면을 향해 벌어지도록 체결유닛(200)이 삽입되는 경우 첨부(130)와 제1슬릿(120)이 만나는 경계(150)에 스트레스가 집중된다.
이때, 첨부(130)와 제1슬릿(120)이 만나는 경계(150)가 직각의 코너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스트레스가 직각의 코너에 집중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첨부(130)와 제1슬릿(120)이 만나는 경계(150)에 곡율을 형성하게 되면 응력이 보강되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체결유닛(200)은 가이드유닛(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유닛(100)의 슬리브(11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슬리브(110)의 내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유닛(200)은 볼트와 같은 수나사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체결유닛은 그 상단에 둥근머리의 형태를 갖는 헤드부와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다. 이때, 체결유닛(200)의 몸체는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100)의 하부로 갈수록 슬리브(110)의 내면을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뿔 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체결유닛(200)의 몸체 중 가장 큰 직경은 가이드유닛(100)에 형성된 대면하는 한 쌍의 슬리브(11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100)의 하부로 진행하는 것에 따라 슬리브(110)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슬리브(110)가 뼈(B)에 형성된 터널의 벽면을 향해 벌어질 때 무리한 압력에 의해 터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유닛(200)의 헤드부는 가이드유닛(100)에 체결유닛(200)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조작될 수 있게 렌치와 같은 수술용 도구에 맞물리는 회전 조작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조작부(220)는 그 평단면의 형상이 사각, 육각형과 같은 다각의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체결유닛(200)에 형성된 회전 조작부(220)에 수술용 도구를 물려 체결유닛(2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은 뼈에 형성된 터널에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가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140)(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에 제각기 형성되는 관통 홀(140)(210)은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의 축선을 따라 형성된다. 즉, 가이드유닛(100)에 형성된 관통 홀(140)은 첨부(130)의 내부에서 축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유닛(200)에 형성된 관통 홀(210)은 체결유닛(200)의 상단과 하단을 연통하여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에 관통 홀(140)(210)이 형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릴로 뼈(B)에 터널을 형성한 후 터널에 가이드 와이어(P)를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P)를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에 형성된 관통 홀(140)(210)에 관통시키게 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P)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을 용이하게 터널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인대 또는 인공 대체물의 매식재(A)가 체결유닛(200)에 형성된 수나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슬리브(110)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매식재(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식재(A)와 접하게 되는 슬리브(11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매식재(A)와 슬리브(11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매식재(A)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매식재(A)와 접촉하는 슬리브(110)의 외면에 요철(112)이 형성되어 매식재(A)와 슬리브(110)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매식재(A)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리브(110)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요철(112)과 암나사(114)가 형성될 때 요철(112)과 암나사(114)가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슬리브(110)의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슬리브(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은 가이드 와이어(P)가 관통하는 관통 홀(140)(210)이 제각기 형성되어 가이드 와이어(P)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유닛(100)과 체결유닛(200)을 용이하게 터널로 삽입시킬 수 있어 수술의 공수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리브(110)는 도 1,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릿(120)에 의해 구획될 때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리브(110)는 체결유닛(200)의 삽입에 따라 제각기 4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슬리브(110)가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면 매식재(A)의 고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슬리브(110)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면, 슬리브(110)가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때보다 매식재(A)와 슬리브(110)의 접촉 면적은 증가시킬 수 있지만, 슬리브(110)가 체결유닛(200)의 삽입에 따라 벌어질 때 첨부(130)와 제1슬릿(120)이 만나는 경계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증가하여 슬리브(110)가 용이하게 벌어지지 않아 매식재(A)를 뼈(B)에 형성된 터널에 밀착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따라서 매식재(A)의 고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슬리브(110)가 5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면 매식재(A)와 슬리브(110)의 접촉 면적이 4개의 부분으로 실시될 때보다 감소하게 되어 매식재(A)의 고정에 어려움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110)는 체결유닛(200)의 삽입에 의해 제각기 4방향으로 벌어지는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리브(110)가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면 과도하게 긴 매식재의 길이를 절단하지 않고, 적당한 길이를 갖도록 매식재(A)를 중첩시켜 4가닥의 매식재가 슬리브(110)에 제각기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술 중에 매식재(A)를 절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대 재건술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첨부(130)는 체결유닛(200)이 첨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외측을 향해 벌어질 수 있게 제2슬릿(131)이 형성된다. 이를 도 1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제2슬릿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가이드유닛에 형성된 제2슬릿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중 제2슬릿에 의해 첨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첨부(130)는 체결유닛(200)이 첨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첨부(130)가 외측을 향해 벌어져 매식재(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제2슬릿(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슬릿(131)은 첨부(130)의 끝단에서 슬리브(110)에 형성된 제1슬릿(120)을 향해 형성된다. 이때, 첨부(130)는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가이드 와이어(P)가 관통하는 관통 홀(210)이 형성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0)와 첨부(130)가 연결되는 경계와 관통 홀(210) 사이에 테이퍼 구간(H)이 형성되어 체결유닛(200)의 끝단이 테이퍼 구간(H)으로 진입하는 것에 따라 첨부(130)가 외측을 향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테이퍼 구간(H)은 첨부(130)의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테이퍼 구간(H)은 체결유닛(200)의 하단 직경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굽힘부(L1)와 체결유닛(200)의 하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 접촉부(L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첨부(130)의 내부에 테이퍼 구간(H)이 형성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유닛(200)이 테이퍼 구간(H)에 진입하는 것에 따라 체결유닛(200)의 하부 외경이 접촉부(L2)와 접촉한 상태를 갖게 되고,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더욱 깊게 삽입되는 것에 따라 체결유닛(200)의 하부 외경이 접촉부(L2)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유닛(200)의 하부 외경이 접촉부(L2)를 가압하는 것에 따라 굽힘부(L1)을 중심으로 첨부(13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첨부(130)의 외면과 뼈(B)에 형성된 터널의 벽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첨부(130)의 외면이 매식재(A)를 가압하여 터널의 벽면에 밀착시켜 매식재(A)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첨부(130)에 제2슬릿(131)이 형성되고 체결유닛(200)이 가이드유닛(100)에 조립되는 것에 따라 제2슬릿(131)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구조를 갖게 되면 뾰족한 형태의 첨부(130)에 의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가이드유닛(100)을 삽입하기 용이하며, 체결유닛(200)이 첨부(130)를 외측으로 벌리는 것에 의해 매식재(A)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첨부(130)에 제2슬릿(131)이 형성되어 첨부(13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구조를 갖게 될 때 첨부(130)의 외면에 돌기와 같은 형태의 스파이크를 형성함으로써 스파이크가 매식재(A)를 가압하여 매식재(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첨부(130)에 제2슬릿(131)이 형성되고, 테이퍼 구간(H)이 형성되어 체결유닛(200)의 끝단이 테이퍼 구간(H)으로 진입하는 것에 따라 첨부(130)가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구조를 갖게 될 때 4방향으로 벌어지는 첨부가 균일하게 벌어질 수 있게 체결유닛(200)에 로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유닛(200)에 형성되는 로드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체결유닛(200)의 로드가 테이퍼 구간(H)에 진입하여 접촉부(L2)와 접촉될 때 로드의 외경과 접촉부(L2)가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면서 첨부(130)를 균일하게 외측으로 벌리게 되며, 이에 의해 가이드유닛(100)이 뼈(B)에 형성된 터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100 : 가이드유닛 110 : 슬리브
112 : 요철 114 : 암나사
116 : 스토퍼 118 : 절취선
120 : 제1슬릿 121 : 형상유지부
122 : 절개 홈 130 : 첨부
131 : 제2슬릿 140, 210 : 관통 홀
200 : 체결유닛 220 : 회전 조작부
230 : 결속 홈 A : 매식재
B : 뼈 L : 테이퍼 구간
L1 : 굽힘부 L2 : 접촉부
P : 가이드 와이어

Claims (10)

  1. 다면체의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각 모서리에 제1슬릿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슬리브가 형성된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게 슬리브의 내면을 가압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이 매식재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는 그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그 하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첨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그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가이드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은 제각기 그 축선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은
    상기 슬리브와 슬리브를 연결하는 형상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상유지부는 슬리브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상기 형상유지부가 절개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뼈에 형성된 터널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유닛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가이드유닛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 일부분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그 일부분이 파여져 절개되는 부분을 설정하는 절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내면에 상기 체결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슬리브의 내면에서 가이드유닛의 축선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결속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결속 홈에 상기 스토퍼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서 상기 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부는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외측을 향해 벌어질 수 있게 제2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첨부는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와 첨부가 연결되는 경계와 상기 관통 홀 사이에 테이퍼 구간이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 구간은
    상기 첨부의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구간은
    상기 체결유닛의 하단 직경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굽힘부; 및
    상기 체결유닛의 하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KR1020170038689A 2016-03-30 2017-03-27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KR101877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8339 2016-03-30
KR1020160038339 2016-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291A KR20170113291A (ko) 2017-10-12
KR101877344B1 true KR101877344B1 (ko) 2018-07-11

Family

ID=5996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89A KR101877344B1 (ko) 2016-03-30 2017-03-27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7344B1 (ko)
WO (1) WO201717115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17A (ja) * 1991-09-20 1993-11-16 Yoshiomi Kuriwaka 靭帯等の端部固定具
JP2005013740A (ja) * 2003-06-27 2005-01-20 Depuy Mitek Inc 柔軟な脛骨シース
JP2006501003A (ja) * 2002-10-02 2006-01-12 リンバテック・バイオマテリアルズ・エルティーディー 軟組織固定用インプラント
KR20110114031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알로텍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40B1 (ko) * 2012-12-17 2014-03-14 ㈜ 이트리온 강도와 분해속도가 서로 다른 부위를 갖는 뼈 및 인대고정용 고정체
KR101529615B1 (ko) * 2014-04-01 2015-06-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인대 고정용 앵커 및 인대 고정용 앵커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17A (ja) * 1991-09-20 1993-11-16 Yoshiomi Kuriwaka 靭帯等の端部固定具
JP2006501003A (ja) * 2002-10-02 2006-01-12 リンバテック・バイオマテリアルズ・エルティーディー 軟組織固定用インプラント
JP2005013740A (ja) * 2003-06-27 2005-01-20 Depuy Mitek Inc 柔軟な脛骨シース
KR20110114031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알로텍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291A (ko) 2017-10-12
WO2017171152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308A (en) Suture anchor
US5718706A (en) Surgical screw and washer
JP2004500954A (ja) 骨接合装置用の脊柱インプラント
US9750583B2 (en) Fixture remover for implant
US9492157B2 (en) Bone anchor apparatus and method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WO201702428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bone tissue
KR101877344B1 (ko) 인대 고정용 임플란트
KR101626083B1 (ko) 수술용 앵커
JP3218621U (ja) 骨孔内で少なくとも1つの軟質材料からなる束の端部を捕捉するための装置
KR101429354B1 (ko) 의료용 앵커 삽입장치
JPH0910224A (ja) 骨固定要素および骨固定器具
US20200214828A1 (en) Bone Anchor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4335147B2 (ja) 特にアキレス腱のような腱や靭帯等といったような生物学的組織を修復するための装置
JP2016152861A (ja) 大腿骨骨折用の治療具
KR101529615B1 (ko) 인대 고정용 앵커 및 인대 고정용 앵커 체결장치
TW201617039A (zh) 一種利於纜線穿設之骨螺釘
KR200309570Y1 (ko) 골절 치료용 골수내 금속정
KR200474229Y1 (ko) 봉합사 앵커 삽입장치
CA3184885A1 (en) Soft tissue implant systems,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WO2016157852A1 (ja) 外科用ケーブルの締結器及びその製造方法
AU680258B2 (en) Surgical screw and washer
KR101228097B1 (ko) 작은 골편 골절의 고정에 사용되는 정형외과용 골절 치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