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68B1 -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 Google Patents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768B1 KR101876768B1 KR1020170023986A KR20170023986A KR101876768B1 KR 101876768 B1 KR101876768 B1 KR 101876768B1 KR 1020170023986 A KR1020170023986 A KR 1020170023986A KR 20170023986 A KR20170023986 A KR 20170023986A KR 101876768 B1 KR101876768 B1 KR 101876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s
- container
- post
- food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2—Apparatus for compressing sauerkrau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속의 식품을 눌러주는 누름판을 신속 간단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면서 청결한 위생관리까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생산성 역시 보장케 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ing plate for pressing food in a container,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raised and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ensuring clean sanitation and ensuring productivity And to a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일반적으로 식품용기는 배추나 무와 같은 김치, 그리고 오이 마늘 따위의 야채를 간장이나 소금물에 담가 놓았다가 조금씩 꺼내 오래 두고 먹는 식품, 더 나아가 각종 과일을 술과 함께 숙성시켜 먹는 과실주 등을 보관하는 하는 데 사용된다.Generally, food containers are made by storing vegetables such as cabbage, radish, and vegetables such as cucumber and garlic in soy sauce or salt water, taking out food for a long time and then eating food for a long time, and furthermore, Is used.
그런데, 김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김칫국이나 간장 소금물 또는 술 등의 표면 위로 노출될 경우 공기와 접촉되어 부패되거나 곰팡이가 발생되곤 한다.However, when kimchi, vegetables, or fruits are exposed to the surface of kimchi, soy sauce, salt water, or alcohol, they may come into contact with air and become corrupted or moldy.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김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을 김칫국 간장 소금물 또는 술 속으로 침수될 수 있도록 눌러주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In order to eliminate this phenomenon, there is a demand for a means for pressing kimchi, vegetables or fruits such that they can be submerged in salt water or alcohol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7310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Prior Ar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7310; aging vessel having a plug for preventing injury)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ging vessel having an anti-floating cap according to the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키는 마개(20)로 구성되고,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마개(20)의 내측에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마개(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망(30)과, 누름망(30)에 관통되고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유출방지링(3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aging container having a flap-preventing stopper according to th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는 누름망(30)의 높이가 일정하여 내용물의 용량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내용물의 용량에 맞추어 별도의 높이를 갖는 누름망(30)을 별도로 마련하여야만 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According to the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4909호; 밀폐용기)Prior Ar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34909; sealed container)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2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with some incisions, FIG. 2C is a cross- And Fig. 2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control port applied to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As shown in Fig.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1)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장기간 변질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 및 이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하면서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잠기도록 하는 누름판(30)을 포함한다.The closed
몸체(10)는 국물과 음식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 일종의 통(桶)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이러한 몸체(10)의 상부는 덮개(20)에 의해 밀폐되어 음식물을 보관토록 하고, 누름판(30)은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고, 음식물을 누르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의해 수표면이 상승하는 국물을 수용공간(11)의 상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31)를 갖는다.The upper part of the
누름판(30)의 상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32)가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덮개(20)의 하부에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어 음식물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 circular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 역시 덮개(20)의 하부에 누름판(30)의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음식물의 양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문헌 2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대용량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고, 덮개(20)에는 손잡이(22) 및 통상의 결속수단(23)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대용량 밀폐용기가 체결되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32)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구(40)를 구비한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sadvantage, the prior art document 2 has a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는 높이조절구(40)가 위치고정부(32)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김치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 이동시킬 때 나사방식으로 풀거나 조여줘야만 하여 누름판(30)의 승강동작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특히 높이조절구(40)와 위치고정부(32) 상호간을 나사방식으로 치합시키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어려워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나 김칫국물이 나사홈 사이로 찌들어 오랜 기간 사용시 그 찌든 때를 벗겨낼 수가 없어 한 해만 사용하고 버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in th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the
도 2e는 선행기술문헌 2의 다른 실시예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2E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선행기술문헌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보조높이조절구(42)는 결합 가능한 범위 내에 그 수를 늘려 적층하여 사용하게 되며, 각각의 보조높이조절구(42)의 상부에는 높이조절구(40)와 같이 요철(41)을 돌출형성하되, 이 요철(41)들은 정면에서 볼 때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돌출시키게 된다. The auxiliary height adjuster 42 applied to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s stacked and u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따라서, 보조높이조절구(42)를 더 포함하는 선행기술문헌 2는 장독대와 같이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더라도 누름판(30)의 높낮이 조절이 자유로워 음식물을 국물에 완전하게 잠기도록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document 2 further including the auxiliary height adjuster 42, even if th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역시 높이조절구(40)를 비롯한 보조높이조절구(42)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하 이동시킬 때 나사방식으로 풀거나 조여줘야만 하여 누름판(30)의 승강동작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특히 높이조절구(40)를 비롯한 보조높이조절구(42) 및 위치고정부(32) 상호간을 나사방식으로 치합시키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어려워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다수의 복잡한 나사홈 사이로 찌들어 오랜 기간 사용시 그 찌든 때를 벗겨낼 수가 없어 해를 넘겨 사용하기가 더욱 어려운 한계점을 안고 있다.
However, th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also has a plurality of arrangements such as the height adjuster 40 and the auxiliary height adjuster 42, so that it must be screwed or tightened when moving up and down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선행기술문헌 3(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6-0002609호; 식품 보관용 누름판)Prior Ar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6-0002609;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촬영한 평면 대용 사진이며, 도 4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용기를 촬영한 사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3B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and FIG. 3C is a plan view showing the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4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container for describing a pressboard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도면 중 부호 B는 설탕 및 매실을 혼합하여 매실 진액(엑기스)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를 나타낸 것이고, 이러한 용기(B) 이외에 각종 과실주 또는 김치 등과 같은 용도의 보관통 역시 용기(B)로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character B denotes a container for extracting plum juice by mixing sugar and plum. In addition to such a container (B), various containers such as fruit wine or kimchi can also be defined as container (B) Of course.
매실, 과실 또는 김치 등과 같은 식품은 숙성 또는 발효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숙성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진액은 중력에 의해 하향하는 대신 매실이나 과실 또는 김치 등은 역으로 부상하게 된다.Foods such as plum, fruit or kimchi should be aged or fermented.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 the juice is lowered by gravity, but plums, fruits, and kimchi float upside down.
이때, 부상된 매실 등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곰팡이가 피거나 진액이 잘 빠져나오지 못한다.At this time, when the wounded plums are left untouched, molds can not be bloomed or the liquid can not escap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 보관용 누름판이 활용되는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용기(B) 입구의 직경과 용기(B) 속의 직경이 서로 다르더라도 선행기술문헌 3에서는 자유롭게 용기(B) 입구를 경유하여 용기(B) 속으로 진입시킨 후 식품을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is used. As shown in the figure, even if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B) is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container (B) So that the food can be pressed after entering the container (B).
도 5a 내지 도 5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사용 상태도로서, 도 5a는 용기(B) 위에 선행기술문헌 3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위치시킨 모습이고, 도 5b는 선행기술문헌 3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가압하여 용기(B)의 입구 속으로 들어간 모습이고, 도 5c 및 도 5c는 선행기술문헌 3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이 용기(B) 속으로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및 도면이다.5A and 5C are photographs and use stat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bringing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into the container. FIG.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which is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5B is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which is the prior art document 3, is pressed in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B, and FIGS. 5C and 5C ar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for storing food, ) And the like.
도 6a 및 도 6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6a는 용기(B)를 손으로 잡고 매실 진액을 빼내기 위하여 기울인 모습이고, 도 6b는 도 6a의 모습을 세워놓고 촬영한 사진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releasing the food hol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FIG. 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 is tilted by hand for pulling out the plum juice, Is a picture taken with the figure of Fig.
도 7a 및 도 7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7a는 용기(B)로부터 선행기술문헌 3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빼내는 초기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b는 용(B)로부터 선행기술문헌 3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의 완전 이탈시킨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7A and 7B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cess of releasing the food hol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rom the container. FIG. 7A shows an initial view of removing the food holding plate, which is the prior art document 3, from the container B FIG. 7B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for storing food, which is the prior art document 3,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ontainer (B).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 그리고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를 이어주는 루프형 힌지라인(30)을 포함한다.3 to 6B, the push plat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includes an
루프형 힌지라인(30)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B) 입구로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20)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B)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20)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B)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B)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20)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고, 반면 용기(B)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10)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20)가 루프형 힌지라인(30)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가능토록 한다.The
이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용기(B)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루프형 힌지라인(30)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20)가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이때, 외부 플레이트(20)는 방사상 슬릿(21)을 구비하여 식품의 누름시 예를 들면 매실 진액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루프형 힌지라인(30)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pressbo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may further include a
루프형 힌지라인(30)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힌지구멍(40)은 그 기능을 훨씬 더 수월하게 보장케 한다는 측면에서 더욱 유용하게 된다.The loop-shaped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와,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들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er plat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힌지구멍(40)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B) 입구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20)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B)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20)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B)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B)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20)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반면 용기(B)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10)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20)가 힌지구멍(40)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가능토록 한다.The
이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용기(B)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힌지구멍(40)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20)가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실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allows th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식품을 눌러줄 수 있어야 하지만 자체 무게가 가벼워 매실, 과실 또는 김치 등과 같은 식품이 부상할 경우 진액 또는 국물 속으로 깊게 가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However,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should be able to press the food,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pressed deep into the juice or broth when the food such as plum, fruit, or kimchi is injured due to its light weight .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속의 식품을 눌러주는 누름판을 신속 간단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면서 청결한 위생관리까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생산성 역시 보장케 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foodstuff which can easily raise and lower a pushing plate for pressing food in a container so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hile ensuring clean hygienic management while ensuring productivity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홈과 수평홈이 만나는 교차홈을 곡선으로 제작하여 돌기가 수직홈을 따라 승강되면서 수평홈으로 회전될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교차홈으로의 진입을 훨씬 더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의 높낮이에 따라 상위의 교차홈과 하위의 교차홈 사이에 누름판이 위치되어야 할 경우 돌기들을 사선홈을 따라 간단히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foodstuff which can raise and lower the protrusions along the diagonal grooves when the push plate should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intersecting grooves and the lower intersecting groov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ood.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판의 돌기들을 연속 사선홈들을 따라 신속 간단하게 하강시키거나 상승시켜 식품의 보관력을 보장케 하면서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청결한 위생관리까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생산성 역시 보장케 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and easily lowering or raising the protrusions of a presser plate along continuous oblique groove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hile ensuring the storage capacity of food, In which 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is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판의 돌기들이 계단형 수평홈들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식품의 보관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foodstuffs, which allows the protrusions of the pushing plate to be placed in the stepwise horizontal grooves, thereby enabling more robust food storage.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소재의 절약으로 생산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누름판의 상승 및 하강을 보다 빠르게 실현케 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foodstuff which can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post and ensure productivity by saving the materia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품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파인 수직홈들을 각각 중심에 두고서 그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서로 다른 높낮이의 수평홈들을 지닌 포스트와,A post which is upright in the container while being pressed by the lid and has horizontal grooves at different eleva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포스트를 받아들이는 센터홀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홈들에 각각 끼워져 승강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홈들에 걸쳐지는 돌기들을 가지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And a pressing plate which protrudes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hole for receiving the posts and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s and is raised and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Is made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품을 담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 사선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연속 사선홈들을 지닌 포스트와,A post which is pressed into the lid and is erected in the container and has continuous oblique grooves continuous in the upper and lower oblique directions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포스트를 받아들이는 센터홀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속 사선홈들에 각각 끼워져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돌기들을 지니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And a pressing plate which protrudes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s on both sides of the center hole for receiving the post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and is raised and lowered by rotation while pressing the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ood. .
본 발명은 용기 속의 식품을 눌러주는 누름판을 신속 간단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면서 청결한 위생관리까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생산성 역시 보장케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raise and lower the press plate for pressing the food in the contain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hile ensuring clean hygiene and ensuring productivity.
본 발명은 수직홈과 수평홈이 만나는 교차홈을 곡선으로 제작하여 돌기가 수직홈을 따라 승강되면서 수평홈으로 회전될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교차홈으로의 진입을 훨씬 더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groove with which a vertical groove meets a horizontal groove is formed as a curved line so that the projection can be made much more easily and quickly when it is lifted along the vertical groove and rota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It is effective.
본 발명은 식품의 높낮이에 따라 상위의 교차홈과 하위의 교차홈 사이에 누름판이 위치되어야 할 경우 돌기들을 사선홈을 따라 간단히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sh plate i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intersecting groove and the lower intersecting groov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ood, the protrusions can be easily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diagonal grooves.
본 발명은 누름판의 돌기들을 연속 사선홈들을 따라 신속 간단하게 하강시키거나 상승시켜 식품의 보관력을 보장케 하면서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청결한 위생관리까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생산성 역시 보장케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method of ensuring the custody of foods by rapidly lowering or raising the pushing plate protrusions along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along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ensuring clean sanitary management, It is effective.
본 발명은 누름판의 돌기들이 계단형 수평홈들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식품의 보관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rotrusions of the presser plate to be placed in the stepwise horizontal grooves, thereby enabling the storage of more robust food.
본 발명은 뚜껑의 밀폐시 뚜껑과 압력판의 면 접촉으로 뚜껑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가 용기의 바닥에 닿지 않더라도 뚜껑에 면 접촉된 압력판에 의해 포스트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id by surface contact between the lid and the pressure plate when the lid is closed and to prevent the post from being tilted by the pressure plate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d even if the post does not tou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압력판과 포스트 상호간의 조립 및 분해로서 세척의 용이함을 더불어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ease of cleaning b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between the pressure plate and the post.
본 발명은 포스트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소재의 절약으로 생산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누름판의 상승 및 하강을 보다 빠르게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post, and at the same time, the productivity can be ensured by saving the material, and in particular, the rise and fall of the press plate can be realized more quickly.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e는 선행기술문헌 2의 다른 실시예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촬영한 평면 대용 사진.
도 4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용기를 촬영한 사진.
도 5a 내지 도 5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사용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b는 선행기술문헌 3의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적용하여 용기로부터 매실 진액을 빼내기 위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7a 및 도 7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 및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 및 누름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 및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ture container having an anti-floating stopper according to th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turing vessel to which an anti-floatation stopper according to the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ly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applied to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 (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applied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E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 plat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Fig. 3B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 plat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Fig. 3C is a photograph of a flat plate taken on a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Fig. 4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container for describing a press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FIGS. 5A to 5C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rocess of bringing the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into the container and the state of use. FIG.
Figs. 6A and 6B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er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is applied to extract plum juice from a container. Fig.
7A and 7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food hol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rom the container.
FIG. 8 is a state of use showing a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and a press plate applied to a press apparatus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and a press plate applied to the press apparatus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applied to a pushing devic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ost applied to a pushing devic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and a press plate applied to a press apparatus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applied to the food 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becomes understandabl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FIG.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했던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실시예로서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식품 보관용 누름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누름판을 도면 부호 80으로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pushing devic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pushing plate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3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structure of the pushing plate for storing food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pressing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을 담는 용기(B)와, 이 용기(B)를 덮는 뚜껑(C)을 포함하며, 뚜껑(C)은 용기(B)에 밀폐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8, the food press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C covering the container B, And can be designed to be hermetically opened and closed.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 및 누름판(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 및 누름판(8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도 8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C)에 눌려지면서 용기(B)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파인 수직홈(71)들을 각각 중심에 두고서 그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서로 다른 높낮이의 수평홈(72)들을 지닌 포스트(70)와, 이 포스트(70)를 받아들이는 센터홀(81)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포스트(70)의 수직홈(71)들에 각각 끼워져 승강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수평홈(72)들에 걸쳐지는 돌기(82)들을 가지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80)을 포함한다.8 to 9B, 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set in the container B while being pressed by the lid C, and vertically gro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reof, A
예를 들어, 설탕 및 매실을 혼합하여 매실 진액(엑기스)을 추출하고자 할 때 용기(B) 속에 채워진 매실은 설탕과 함께 숙성되면서 진액을 배출함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진액 위로 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매실 알맹이가 부상하는 것을 진액 속으로 잠길 수 있도록 누름판(80)을 정밀하지 않더라도 신속 간단하게 하강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밀함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돌기(82)들을 수직홈(71)들에 맞춰 하강시킨 후 매실 알맹이가 진액 속으로 잠길 정도로 누름판(80)으로 누르면서 돌기(82)들을 수평홈(72)들에 걸쳐지도록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름판(80)의 조작 편의성을 보장케 한 것이다.For example, when mixing the sugar and the plum to extract the plum juice (extract), the plum filled in the container (B) is aged with the sugar and discharges the juice and gradually floats on the juice. At this time, The pushing
이렇게 누름판(80)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누름판(80)의 돌기(82)들과 포스트(70)의 수직홈(71)들 및 수평홈(72)들은 간단한 세척(간단한 칫솔질로서 청결한 위생)까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누름판(80) 및 포스트(7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또한 복잡하지 않고 나아가 누름판(80) 및 포스트(70)의 구성 역시 단 2개의 부품으로 간소하여 생산성까지 보장케 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수직홈(71)과 수평홈(72)이 만나는 교차홈(73)을 곡선으로 제작하여 돌기(82)가 수직홈(71)을 따라 승강되면서 수평홈(72)으로 회전될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교차홈(73)으로의 진입을 훨씬 더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70)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홈(71) 및 수평홈(72)이 만나는 상위의 교차홈(73)과 하위의 교차홈(73)을 사선방향으로 이어주는 사선홈(74)들을 더 포함하여 식품의 높낮이에 따라 상위의 교차홈(73)과 하위의 교차홈(73) 사이에 누름판(80)이 위치되어야 할 경우 돌기(82)들을 사선홈(74)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예를 들어, 매실 알맹이가 진액 위로 부상하려는 힘이 발휘되고 나아가 매실 알맹이가 누름판(80)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돌기(82)들이 사선홈(74)들의 중간에 걸쳐지더라도 그 위치에서 누름판(80)은 움직이지 않고(상승되지 않고) 식품의 누름 위치를 정확하게 지켜낼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even though the
이에 따라, 수평홈(72)들의 높낮이 간격을 선행기술문헌 2의 나사식 결합과 같이 정밀하게 하지 않고 자유롭게 벌릴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도 금형의 정밀 설계 역시 요하지 않아 생산성까지 더불어 보장케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S.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C)에 눌려지면서 용기(B)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 사선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연속 사선홈(75)들을 지닌 포스트(70)와, 포스트(70)를 받아들이는 센터홀(81)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속 사선홈(75)들에 각각 끼워져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돌기(82)들을 지니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80)을 포함한다.11A, 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ood pressing device is erected in the container B while being pressed by the lid C and is provided with continuous continuous oblique grooves And a
김장김치와 같은 식품일 경우 한 포기 두 포기 등을 빼내어 먹을 때마다 누름판(80)이 하강할 수 있어야 하고, 반면 김장김치를 채울 경우 다시 누름판(80)을 상승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돌기(82)들을 연속 사선홈(75)들을 따라 신속 간단하게 하강시키거나 상승시켜 그 보관력을 보장케 한다.In the case of a food such as kimchi kimchi, the
마찬가지로, 김장김치가 국물 위로 부상하려는 힘이 발휘되고 나아가 김장김치가 누름판(80)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 발휘되기 때문에 돌기(82)들이 연속 사선홈(75)들의 중간에 걸쳐지더라도 그 위치에서 누름판(80)은 움직이지 않고 김장김치의 누름 위치를 정확하게 지켜낼 수 있게 된다.Likewise, even if the
이에 따라, 연속 사선홈(75)이 포스트(70)의 양측에 사선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더라도 누름판(80)의 누름압력을 보장케 하여 간단 구성에 의한 세척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형의 정밀 설계를 요하지 않아 생산성까지 더불어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if the
한편, 연속 사선홈(75)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사선방향으로 파이면서 중간중간에 계단형 수평홈(76)들을 더 가지도록 하여 김장김치로의 누름압력을 더욱 강하게 줘야할 경우 누름판(80)의 돌기(82)들이 계단형 수평홈(76)들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식품의 보관기능을 보장케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B,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는 포스트(70)의 상단에 고정되어 뚜껑(C)의 누름압력을 받는 압력판(90)을 더 포함하여 주로 얇은 플라스틱으로 된 뚜껑(C)의 밀폐시 압력판(90)을 통한 뚜껑(C)과의 면 접촉으로 뚜껑(C)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70)가 용기(B)의 바닥에 닿지 않더라도 뚜껑(C)에 면 접촉된 압력판(90)에 의해 포스트(70)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ushing device for sto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이때, 압력판(90)은 포스트(70)의 상단 테두리에 깎여진 걸림턱(77)에 의해 솟아오른 돌출턱(78)의 외곽으로 끼워지는 원홀(91)을 가지도록 하여 상호간의 조립 및 분해로서 세척의 용이함까지 더불어 보장케 한다.At this time, the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 및 누름판(8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에 적용된 포스트(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스트(70)는 수직홈(71)들 및 수평홈(72)들을 따라 돌출된 돌출띠(79a)에 의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살빼기 홈(79b)을 가져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재의 절약으로 생산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누름판(80)이 살빼기 홈(79b)에 의해 승강저항을 적게 받아 보다 빠른 상승 및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배추나 무와 같은 김치, 그리고 오이, 마늘 따위의 야채를 간장이나 소금물에 담가 놓았다가 조금씩 꺼내 오래 두고 먹는 김치, 더 나아가 각종 과일을 술과 함께 숙성시켜 먹는 과실주 또는 매실 엑기스 등을 보관하는 하는 데 사용되는 주방용품인 식품용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kimchi such as Chinese cabbage or radish, and vegetables such as cucumber and garlic are soaked in soy sauce or salt water, and then picked out for a long time to eat, and furthermore, a fruit or a fruit Which can be used in the food container field, which is a kitchen utensil to be used for cooking.
B : 용기 C : 뚜껑
70 : 포스트 71 : 수직홈
72 : 수평홈 73 : 교차홈
74 : 사선홈 75 : 연속 사선홈
76 : 계단형 수평홈 77 : 걸림턱
78 : 돌출턱 79a : 돌출 띠
79b : 살빼기 홈 80 : 누름판
81 : 센터홀 82 : 돌기
90 : 압력판 91 : 원홀B: container C: lid
70: post 71: vertical groove
72: horizontal groove 73: intersecting groove
74: oblique groove 75: continuous oblique groove
76: stepwise horizontal groove 77:
78: protruding
79b: Draining groove 80:
81: center hole 82: projection
90: Pressure plate 91: Holes
Claims (8)
상기 뚜껑(C)에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B)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파인 수직홈(71)들을 각각 중심에 두고서 그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서로 다른 높낮이의 수평홈(72)들을 지닌 포스트(70)와, 상기 포스트(70)를 받아들이는 센터홀(81)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홈(71)들에 각각 끼워져 승강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홈(72)들에 걸쳐지는 돌기(82)들을 가지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80)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7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C)의 누름압력을 받는 압력판(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판(90)은 상기 포스트(70)의 상단 테두리에 깎여진 걸림턱(77)에 의해 솟아오른 돌출턱(78)의 외곽으로 끼워지는 원홀(9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CLAIMS 1. A food h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B)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C) covering the container (B)
The vertical grooves 71 are vertically oriented on the both sides of the container B while being pressed by the lid C so that the horizontal grooves 72, And a center hole 81 which receives the post 70 and is project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y on both sides of the post 70 and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s 71 and elevated and lowered, (72), and a pressing plate (80) having protrusions (82) spanning over the upper and lower plates (72)
And a pressure plate (90)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post (70) and receiving a pressing pressure of the lid (C)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plate (90) has a circular hole (91)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a protruding protuberance (78) rising by the engaging protuberance (77) on the upper edge of the post (70) Device.
상기 수직홈(71)과 수평홈(72)이 만나는 교차홈(73)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secting groove (73) where the vertical groove (71) and the horizontal groove (72) meet is curved.
상기 포스트(7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수직홈(71) 및 수평홈(72)이 만나는 상위의 교차홈(73)과 하위의 교차홈(73)을 사선방향으로 이어주는 사선홈(74)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agonal grooves 73 connecting the vertical grooves 71 and the horizontal grooves 7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st 70 and the diagonal grooves 74 connecting the lower intersecting grooves 73 in the diagonal direction Wherein the food holding device comprises:
상기 뚜껑(C)에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B) 속으로 직립되며 양측에 상하 사선방향으로 연속하여 파인 연속 사선홈(75)들을 지닌 포스트(70)와, 상기 포스트(70)를 받아들이는 센터홀(81)의 양측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속 사선홈(75)들에 각각 끼워져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돌기(82)들을 지니면서 식품의 높낮이에 맞추어 눌러주는 누름판(80)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7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C)의 누름압력을 받는 압력판(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판(90)은 상기 포스트(70)의 상단 테두리에 깎여진 걸림턱(77)에 의해 솟아오른 돌출턱(78)의 외곽으로 끼워지는 원홀(9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CLAIMS 1. A food h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B)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C) covering the container (B)
A post 70 which is held in the container B while being pressed by the lid C and has continuous oblique line grooves 75 which are continuous on both sides in a vertical oblique direction; (80) projecting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81) and having protrusions (82) inserted into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75) and lifted and lowered by rotation, ,
And a pressure plate (90)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post (70) and receiving a pressing pressure of the lid (C)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plate (90) has a circular hole (91)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a protruding protuberance (78) rising by the engaging protuberance (77) on the upper edge of the post (70) Device.
상기 연속 사선홈(75)은 상하 사선방향으로 파이면서 중간중간에 계단형 수평홈(76)들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inuous oblique grooves (75) are pierced in the upper and lower diagonal directions and further have stepwise horizontal grooves (76) in the middle.
상기 포스트(70)는 상기 수직홈(71)들 및 수평홈(72)들을 따라 돌출된 돌출띠(79a)에 의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살빼기 홈(79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 (70) has a depressed groove (79b) relatively recessed by a protruding band (79a) protruding along the vertical grooves (71) and the horizontal grooves (72)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986A KR101876768B1 (en) | 2017-02-23 | 2017-02-23 |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986A KR101876768B1 (en) | 2017-02-23 | 2017-02-23 |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6768B1 true KR101876768B1 (en) | 2018-07-10 |
Family
ID=6291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3986A KR101876768B1 (en) | 2017-02-23 | 2017-02-23 |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676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2625A (en) * | 2004-11-02 | 2006-03-10 | 민광옥 | Pusher for food preserve |
KR20080112728A (en) * | 2007-06-22 | 2008-12-2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Kimchi box |
KR20100006162U (en) * | 2008-12-09 | 2010-06-17 | 이경숙 | Pressing device for being salted food |
KR101314305B1 (en) * | 2012-09-26 | 2013-10-02 | 오성준 | Vegetables pickling vessel |
JP5888745B2 (en) * | 2010-03-30 | 2016-03-22 | 株式会社明治 | Cylindrical food and cylindrical food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same |
-
2017
- 2017-02-23 KR KR1020170023986A patent/KR1018767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2625A (en) * | 2004-11-02 | 2006-03-10 | 민광옥 | Pusher for food preserve |
KR20080112728A (en) * | 2007-06-22 | 2008-12-2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Kimchi box |
KR20100006162U (en) * | 2008-12-09 | 2010-06-17 | 이경숙 | Pressing device for being salted food |
JP5888745B2 (en) * | 2010-03-30 | 2016-03-22 | 株式会社明治 | Cylindrical food and cylindrical food container for containing the same |
KR101314305B1 (en) * | 2012-09-26 | 2013-10-02 | 오성준 | Vegetables pickling vess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23942B2 (en) |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 |
US8998022B2 (en) | Food storage insert | |
JPS6058099B2 (en) | Storage and serving containers | |
KR101495610B1 (en) | A storing container and the storing method with cover having one-touch type vacuum press button for fermented food | |
KR200465164Y1 (en) | inner lid of airtight container | |
KR20120020814A (en) | Cover of airtight container | |
KR101450181B1 (en) | Cup lid for mounting of the capsule | |
KR20090084992A (en) | Threaded food container with presser | |
KR101876768B1 (en) | Pushing apparatus for storing food | |
US3004657A (en) | Packing of edible commodities | |
KR102034693B1 (en) | Container for ripening food | |
KR101400076B1 (en) | Fermentor for preserved food | |
CN208616549U (en) | A kind of Food preserving container | |
KR101261708B1 (en) | Anti-floating apparatus of content in a pottery | |
KR101622918B1 (en) | Multi-layer sealed container | |
KR20160002609U (en) | Pushing plate for storing food | |
KR20050081348A (en) | 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 |
KR860001471Y1 (en) | Floating apparatus for salting food | |
KR101801634B1 (en) | Sealing container improved sealing function | |
KR20140053495A (en) | Ripening containers having pressing meats to prevent rising the content | |
US8578848B2 (en) | Food processing apparatus | |
JP3204938U (en) | Double container | |
CN210054968U (en) | Lunch box for dinner | |
JP6621070B2 (en) | kitchenware | |
KR102111649B1 (en) | Storage vessel for fruit syr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