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422B1 - 농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422B1
KR101876422B1 KR1020170017735A KR20170017735A KR101876422B1 KR 101876422 B1 KR101876422 B1 KR 101876422B1 KR 1020170017735 A KR1020170017735 A KR 1020170017735A KR 20170017735 A KR20170017735 A KR 20170017735A KR 101876422 B1 KR101876422 B1 KR 10187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rying chamber
dehumidif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7001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들이 투입된 망상 수납조에 열풍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농산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특히 농산물의 건조량에 따라 건조실의 건조공간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열손실을 억제하고, 농산물의 건조과정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습하여 농산물의 건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장치{Dry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들이 투입된 망상 수납조에 열풍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농산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특히 농산물의 건조량에 따라 건조실의 건조공간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열손실을 억제하고, 농산물의 건조과정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습하여 농산물의 건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한약재, 버섯, 나물 등과 같은 농산물의 품질을 유지시키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산물을 건조한다.
농산물 건조기는 수확된 농산물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하기 위해 발열기에서 발생된 열풍을 농산물에 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농가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을 날씨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언제든지 편안하게 말릴 수 있는 기계이다. 농산물의 건조에는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어야 농산물 건조의 품질이 우수하다.
종래에는 건조기의 상단부에 히터와 P.T.C가 장착되어있고 하단부에 송풍을 시킬 수 있는 송풍기를 장착하여 건조기 내부로 바람을 순환시키는 방식으로써, 건조기 내부의 좌, 우 벽면에 채반걸이가 있고 채반걸이 위에 타공을 하여 그 구멍을 통해서 열풍이 통하게 한다.
각 채반마다 농산물을 담아 건조시키는데 채반 위로 타공구멍에서 열풍이 나오게 되므로 농산물이 건조된다. 이때에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건조기 상단부에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건조기 하단부보다 상단부의 농산물이 더 빨리 건조되고 하단부는 늦게 마르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농산물 건조기는 날씨가 흐려지거나 비가 오게 되면, 사용자가 마음이 다급해져 채반에 적당량의 농산물을 넣지않고 지나치게 많은 양의 농산물을 넣고 건조기를 동작시키게 되어 건조기 상단부 채반의 농산물에 비해 건조기 하단부 채반에 있는 농산물은 덜 마른 고추가 나오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 농산물 건조기는 설정된 건조공간 내에 열풍을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이 소량일 경우에도 건조공간 내부에 다량의 열기를 제공하여 건조공간 전체를 가열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열량의 손실에 의해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기도 하고, 농산물의 건조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농산물의 건조과정에 발생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구조가 제공되지 아니한 관계로, 열풍의 재순환시 다량의 습기가 포함된 열풍이 건조공간 내로 공급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량의 습도가 함유된 열풍이 건조공간 내로 공급되면, 농산물의 건조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건조되는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KR 10-0615795 B1 KR 20-0143159 Y1 KR 10-1300636 B1 KR 20-0397401 Y1 KR 10-0897593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의 건조량에 따라 건조실의 체적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열손실을 억제하여,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하고, 건조실의 순환을 마친 열풍을 회수 및 재가열시켜 건조실 내에 재공급함에 있어, 상기 회수된 열풍에 잔류된 습기를 제거하여서, 건조된 열풍이 건조실 내에 투입시켜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효율성이 배가되도록 한 농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는,
농산물의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에 열풍을 강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 및 상기 건조실을 순환하여 상부로 이동한 열풍을 회수하여 열풍 공급부 내로 공급하는 열풍 재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 재순환부는, 건조실 내에 순환을 마친 열풍을 흡기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흡입관을 통해 열풍을 강제 흡기하여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는 순환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 내에는, 건조실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건조실의 건조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실건조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획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열풍 재순환부의 흡입관이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실의 외측에 복층구조로 형성된 열간챔버와; 상기 열풍 재순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외측벽에는 열간챔버와 연통하는 복수의 급기공들이 형성되어서, 열풍 공급부를 통해 열간챔버를 따라 유입된 열풍은 급기공들을 통해 건조실 내로 강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배기덕트와 연통하는 배기관이 형성되어, 농산물의 건조시 증숙과정에 생성된 증기를 배기관과 연통하는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흡기관과 연통하는 직립 제습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는 승강 구획부재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축관형의 하부 제습관 부재와, 상기 하부 제습관 부재를 동심구조로 수용하는 상부 제습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들 하부 제습관 부재와 상부 제습관 부재 사이에는 집수부와 연통하는 집수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직립 제습관로를 구성하는 상부 제습관 부재 내에는 부양 제습부재가 부양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상기 직립 제습관로를 따라 흡기관으로 흡기되는 열풍에 잔류된 수분은 부양 제습부재와의 충돌에 의해 상부 제습관 부재의 내벽에 응결되고, 상기 상부 제습관 부재의 내벽에 응결된 응결수는 하부로 이동하여 집수로를 따라 집수부 내에 집수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농산물의 건조량에 따라 건조실 내 건조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건조공간의 형성에 의한 열손실이 억제되고, 또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신속성이 확보되어 향상된 생산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독특한 제습구조를 마련하여 회수되는 열풍에 잔류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건조실 내에 재공급되는 열풍은 저습도 상태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건조공간 내 저습도 상태가 형성되어서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효율성이 확보되는 한편, 다량의 습도에 의해 건조되는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양질의 건조 농산물을 신속하게 건조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 승강 구획부재의 승강에 의한 건조공간의 증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도 4에서 A-a 부분과 A-b 부분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 승강 구획부재의 승강에 의한 건조공간의 증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도 4에서 A-a 부분과 A-b 부분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산물의 건조공간(S)이 형성된 건조실(10)과; 상기 건조실(10)의 건조공간(S) 내로 열풍을 강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20); 및 상기 건조공간(S)을 순환하여 상부로 이동한 열풍을 회수하여 열풍 공급부(20) 내로 공급하는 열풍 재순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10)은, 전방에 농산물이 수납된 망상 수납조(T)의 진출입을 도모하는 개폐도어(11)가 형성되고, 양측 내벽에 복수의 랙 가이드(12)들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어 건조공간(S) 내로 진입된 망상 수납조(T)들은 랙 가이드(12)를 통해 양단을 견착하여 건조공간(S) 내에 상하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부(20)는 상기 건조실(10)의 외측에 복층구조로 형성된 열간챔버(21)와; 상기 열풍 재순환부(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10)의 외측벽에는 열간챔버(21)와 건조공간(S)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급기공(13)들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10)의 측벽 하반부에 급기공(13)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실(10)에 한 쌍의 열풍 공급부(20)를 좌우 대칭되게 배치하여, 건조실(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풍 재순환부(30)는 건조실(10)의 건조공간(S) 내에 순환을 마친 열풍을 흡기하는 흡입관(31)과; 상기 흡입관(31)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흡입관(31)을 통해 열풍을 강제 흡기하여 열풍 공급부(20)로 재순환시키는 순환팬 유닛(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부(20)를 통해 열간챔버(21)를 따라 유입된 열풍은 급기공(13)들을 따라 건조실(10)의 측벽 하반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열풍은 건조공간(S)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각 망상 수납조(T)에 전개된 농산물을 가열 및 건조를 도모한 다음, 열풍 재순환부(30)를 통해 열풍 공급부(20)로 유입되어 재가열 및 건조공간(S) 내로 재순환 공급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1)는 열풍 공급부(20)가 전열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건조실(10) 내로 공급하면, 상기 건조실(10) 내에 공급된 열풍은 상향 이동하면서 각 망상 수납조(T) 내에 수납된 농산물을 건조하고, 상기 건조실(10)의 순환을 마친 열풍은 열풍 재순환부(30)의 흡입관(31)을 통해 열풍 공급부(20)로 회수된 다음, 전열히터(22)에 의해 재가열되어 건조실(10) 내로 재투입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농산물 건조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건조실(10) 내에 형성된 건조공간(S)을 조절하는 건조공간 조절구조를 마련하여, 작업자는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의 량에 따라 건조공간(S)을 조절하여서 불필요한 열량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농산물의 신속한 건조가 도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실(10) 내에, 건조공간(S)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건조실(10)의 건조공간(S)을 상하로 구획하여, 승강 구획부재(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실 건조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획부재(40)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 구획부재(40)의 가장자리에는 밀폐밴드(40a)가 형성된 역깔대기 형상의 포집 구조체로 이루어져,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건조실(10) 내에서 승강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한 승강 구획부재(40)는 밀폐밴드(40a)를 통해 맨상부에 배치된 망상 수납조(T)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건조실(10) 내에 형성된 건조공간(S)을 상하로 구획하여 실건조공간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구획부재(40)의 중앙부에는 직립 제습관로(41)가 직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40)에는 열풍 재순환부(30)의 흡입관(31)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구획부재(40)에는 배기덕트(50)와 연통하는 배기관(51)이 연통되어, 농산물의 건조시 증숙과정에 생성된 증기를 배기관(51)과 연통하는 배기덕트(5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의 건조량에 따라 승강 구획부재(40)를 상하로 승강시켜 승강 구획부재(40)의 하부에 구획하여 형성된 건조공간(S) 즉, 실건조공간을 조절하여서, 건조를 요하는 농산물 건조량에 적합한 실건조공간을 확보하여 농산물의 효율적인 건조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구획부재(40)를 통해 포집되어 열풍 재순환부(30)를 통해 회수되는 열풍에 포함된 습기를 응결시켜 제거하는 제습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습구조에 의해 열풍 재순환부(30)로 흡입되는 열풍에 잔류된 습기는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건조실(10) 내에 잔류된 습도가 저감되어 농산물의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립 제습관로(41)에 부양 제습부재(43)를 부양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41)를 따라 흡기관(31)으로 흡기되는 열풍에 잔류된 수분은 부양 제습부재(43)와의 충돌에 의해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에 응결되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에 응결된 응결수는 하부로 이동하여 직립 제습관로(41)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부(60)를 통해 집수되거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양 제습부재(43)는 와이어(44)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직립 제습관로(41) 내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어, 직립 제습관로(41) 내로 흡기되는 열풍과의 충돌에 의해 직립 제습관로(41) 내에서 유동하여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을 타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에는 나선의 코일 스프링(42)이 내접하여 배치되어,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에 응결된 응결수는 직립 제습관로(41)를 따라 상향 이동하는 열풍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형성된 나선의 유도경로를 따라 신속히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41)의 표면에는 냉각수가 충진된 냉각포켓(45)이 형성되어, 상기 직립 제습관로(41)는 냉각포켓(45)에 저장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립 제습관로(41)는 승강 구획부재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축관형의 하부 제습관 부재(41A)와, 상기 하부 제습관 부재(41A)를 동심구조로 수용하는 상부 제습관 부재(41B)를 포함하고, 이들 하부 제습관 부재(41A)와 상부 제습관 부재(41B) 사이에는 집수부(60)와 연통하는 집수로(61)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로(10)에 공급되어 건조공간(S)을 상향 이동하면서 다량의 습기가 잔류된 열풍은, 도 7과 같이 승강 구획부재(40)에 형성된 직립 제습관로(41)를 통과하면서, 직립 제습관로(41) 내 부양된 상태로 배치된 부양 제습부재(43)와 충돌하면서 응결 및 열풍의 이동경로가 변경되고 또 냉각수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냉각된 직립 제습관로(41) 내벽에 응결된다.
이때, 상기 직립 제습관로(41)의 내벽에는 코일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나선의 유도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직립 제습관로(41) 즉, 상부 제습관 부재(41B)의 내벽에 응결된 응결수는 상향 이동하는 열풍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하부로 신속히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집수로(61)를 통해 집수부(60)에 집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1)는 건조공간(S)의 내부 순환을 마친 열풍을 회수하는 과정에 열풍에 잔류된 다량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다량의 습기가 제거된 열풍을 재가열시켜 건조공간(S) 내로 재공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건조실(10) 내에 형성된 건조공간(S)에는 저습도의 열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농산물의 건조에 따른 효율성이 확보되고 또 다량의 습도에 의해 건조되는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억제되므로, 양질의 건조 농산물을 신속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농산물 건조장치
10. 건조실 11. 개폐도어
12. 랙 가이드 13. 급기공
20. 열풍 공급부 21. 열간챔버
22. 전열히터
30. 열풍 재순환부 31. 흡입관
32. 순환팬 유닛
40. 승강 구획부재 41. 직립 제습관로
41A. 하부 제습관 부재 41B. 상부 제습관 부재
42. 코일 스프링 43. 부양 제습부재
44. 와이어 45. 냉각포켓
50. 배기덕트 51. 배기관
60. 집수부 61. 집수로

Claims (4)

  1. 농산물의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에 열풍을 강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 및 상기 건조실을 순환하여 상부로 이동한 열풍을 회수하여 열풍 공급부 내로 공급하는 열풍 재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농산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 재순환부는, 건조실 내에 순환을 마친 열풍을 흡기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흡입관을 통해 열풍을 강제 흡기하여 열풍 공급부로 공급하는 순환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 내에는, 건조실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건조실의 건조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실건조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획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열풍 재순환부의 흡입관이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상기 건조실의 외측에 복층구조로 형성된 열간챔버와; 상기 열풍 재순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외측벽에는 열간챔버와 연통하는 복수의 급기공들이 형성되어서, 열풍 공급부를 통해 열간챔버를 따라 유입된 열풍은 급기공들을 통해 건조실 내로 강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배기덕트와 연통하는 배기관이 형성되어, 농산물의 건조시 증숙과정에 생성된 증기를 배기관과 연통하는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획부재에는 흡기관과 연통하는 직립 제습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직립 제습관로는 승강 구획부재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축관형의 하부 제습관 부재와, 상기 하부 제습관 부재를 동심구조로 수용하는 상부 제습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들 하부 제습관 부재와 상부 제습관 부재 사이에는 집수부와 연통하는 집수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직립 제습관로를 구성하는 상부 제습관 부재 내에는 부양 제습부재가 부양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상기 직립 제습관로를 따라 흡기관으로 흡기되는 열풍에 잔류된 수분은 부양 제습부재와의 충돌에 의해 상부 제습관 부재의 내벽에 응결되고, 상기 상부 제습관 부재의 내벽에 응결된 응결수는 하부로 이동하여 집수로를 따라 집수부 내에 집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KR1020170017735A 2017-02-08 2017-02-08 농산물 건조장치 KR10187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35A KR101876422B1 (ko) 2017-02-08 2017-02-08 농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35A KR101876422B1 (ko) 2017-02-08 2017-02-08 농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422B1 true KR101876422B1 (ko) 2018-07-09

Family

ID=6291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735A KR101876422B1 (ko) 2017-02-08 2017-02-08 농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4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90A (ko) * 2018-11-09 2020-05-19 김용갑 곶감 건조 시스템
KR20200126070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농수산품 건조기 진공 시스템
CN112205648A (zh) * 2020-09-04 2021-01-12 江门市御广陈皮茶业有限公司 一种陈皮干制方法及陈皮
KR102341485B1 (ko) 2021-07-19 2021-12-20 이수균 자동 온습도 제어방식과 음압 연동 시스템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418826B1 (ko) 2022-03-11 2022-07-07 이수균 모듈형 스마트 건조장치
KR200497509Y1 (ko) * 2022-07-13 2023-11-30 허춘옥 고효율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47Y1 (ko) * 2002-09-10 2002-12-12 윤용자 건조장치
KR20030071393A (ko) * 2002-02-28 2003-09-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산물 건조기의 배풍열 회수장치
KR200422795Y1 (ko) * 2006-05-03 2006-08-02 강종욱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000309U (ko) * 2007-07-06 2009-01-12 신영조 농수산물 건조기의 유익물질 부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393A (ko) * 2002-02-28 2003-09-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농산물 건조기의 배풍열 회수장치
KR200297847Y1 (ko) * 2002-09-10 2002-12-12 윤용자 건조장치
KR200422795Y1 (ko) * 2006-05-03 2006-08-02 강종욱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000309U (ko) * 2007-07-06 2009-01-12 신영조 농수산물 건조기의 유익물질 부착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90A (ko) * 2018-11-09 2020-05-19 김용갑 곶감 건조 시스템
KR102124262B1 (ko) * 2018-11-09 2020-06-17 김용갑 곶감 건조 시스템
KR20200126070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농수산품 건조기 진공 시스템
KR102206878B1 (ko) * 2019-04-29 2021-01-25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농수산품 건조기 진공 시스템
CN112205648A (zh) * 2020-09-04 2021-01-12 江门市御广陈皮茶业有限公司 一种陈皮干制方法及陈皮
KR102341485B1 (ko) 2021-07-19 2021-12-20 이수균 자동 온습도 제어방식과 음압 연동 시스템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418826B1 (ko) 2022-03-11 2022-07-07 이수균 모듈형 스마트 건조장치
KR200497509Y1 (ko) * 2022-07-13 2023-11-30 허춘옥 고효율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22B1 (ko) 농산물 건조장치
US10928132B2 (en) Food dehydrator
CN203088793U (zh) 用于制备食物的装置
US10383182B2 (en) Oven for heating and frying food
US20070245587A1 (en) Drying and/or Cooling Conveyor
CN103906874A (zh) 具有热泵的衣物处理设备
KR102344874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KR101914012B1 (ko) 대용량 고품질 건조고추 생산설비
WO2014070972A2 (en) Oven for heating food
IL42389A (en) Garment heating device
US20080134907A1 (en) Recirculated, cooled, airflow system for a roaster
SE531708C2 (sv) Torkskåp
KR101516669B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925759B1 (ko)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KR200415582Y1 (ko) 농산물 건조기
TWM465019U (zh) 咖啡豆烘焙機
CN211722381U (zh) 一种药品保存箱
JP3619203B2 (ja) 乾燥装置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CN213604355U (zh) 一种烟叶炕房烘干装置
KR101834932B1 (ko) 튀김기
KR101670714B1 (ko) 식품건조기
CN213819814U (zh) 一种烟叶烘干用炕房
CN212809921U (zh) 一种线缆风干装置
KR10150964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