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37B1 -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37B1
KR101875737B1 KR1020170000134A KR20170000134A KR101875737B1 KR 101875737 B1 KR101875737 B1 KR 101875737B1 KR 1020170000134 A KR1020170000134 A KR 1020170000134A KR 20170000134 A KR20170000134 A KR 20170000134A KR 101875737 B1 KR101875737 B1 KR 10187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ldehyde
sheet
group
zirconium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표
강필현
구동현
이영주
김선영
이유준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0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2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는 고분자 기재에 포름알데히드를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제거할 수 있는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고정함에 따라서, 이 시트의 재활용시에도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이 감소하지 않고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Sheets for eliminating formaldehy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의 장소에서 악취를 흡착/탈취하고,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고, 유해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소재로서 여러 가지의 흡착 소재가 제조되고 있다.
악취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또는 황화메틸 등의 유황 화합물,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또는 질소 화합물, 프로피온산, 낙산 또는 초산 등의 지방산,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있다. 유해물질에는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많고, "악취방지법"으로는 생활환경을 망가뜨릴 우려가 있는 22종류의 물질을 특정 악취물질로서 지정하고, 규제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종래에 포름알데히드 흡착용 시트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는데 그칠뿐이라 시간이 경과하면 제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분자 기재에 포름알데히드를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제거할 수 있는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고정한 시트를 개발하고, 이 시트의 재활용시에도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이 감소하지 않고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46797
본 발명의 목적은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이용하여, 기체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상기 기재의 하이드록시기에 비닐기가 그라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량체;
상기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개환반응으로 도입되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착물로서 도입되는 지르코늄(Zr);
을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에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를 혼합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하이드록시기에 상기 비닐기를 그라프트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에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여, 상기 단계 1의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을 개환반응으로 도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결과물에 수산화지르코늄(Zr(OH)4)을 첨가하여,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이용하여, 기체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는 고분자 기재에 포름알데히드를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제거할 수 있는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고정함에 따라서, 이 시트의 재활용시에도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이 감소하지 않고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르코늄(Zr)이 착물로 고정화된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포름알데히드 기준용액을 처리한 후에, 열추출 챔버에서 10분 단위로 포집한 기체에서의 포름알데히드 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를 재활용하였을 경우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서 포름알데히드가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상기 기재의 하이드록시기에 비닐기가 그라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량체;
상기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개환반응으로 도입되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착물로서 도입되는 지르코늄(Zr);
을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는 나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면부직포, 마이크로 피브릴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0.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디에틸렌트리아민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에틸렌트리아민이 도입된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지르코늄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에서, 디에틸렌트리아민의 아민기에 의해 포름알데히드가 흡착되는 효율이 올라가고, 상기 지르코늄은 포름알데히드 2 분자와 결합하여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에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를 혼합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하이드록시기에 상기 비닐기를 그라프트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에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여, 상기 단계 1의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을 개환반응으로 도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결과물에 수산화지르코늄(Zr(OH)4)을 첨가하여,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에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를 혼합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하이드록시기에 상기 비닐기를 그라프트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단계 1의 구성 요소를 용기(폴리에틸렌 지퍼백 등)에 함께 담은 다음, 10-100 kGy 조사선량으로 방사선을 조사한 후, 알코올, THF 등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단계 2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기재 및 단량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X-선, 전자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조사선량은 10-100 kGy, 바람직하게는 25-75 kGy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0.5-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가 나노셀룰로오스일 경우 단량체에 포함된 하이드록시기가 6개 포함되어 있으므로, 나노셀룰로오스 단량체 1개 대비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1-6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에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여, 상기 단계 1의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을 개환반응으로 도입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 2에서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에 용액 상태의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약 1-10시간 반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환반응은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는 것만으로도 에폭시기의 반응성이 높아 잘 진행되나, 전자선 조사를 통해 반응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인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디에탈렌트리아민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고분자 기재에서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의 개수에 비례하여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결과물에 수산화지르코늄(Zr(OH)4)을 첨가하여,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디에틸렌트리아민이 도입된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 대비 지르코늄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입된 디에틸렌트리아민 개수에 비례하여 수산화 지르코늄을 사용할 수 있다.
기체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이용하여, 기체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트에 고정된 지르코늄은 포름알데히드 2 분자와 결합하여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도 4 참조).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의 제조
Figure 112017000130242-pat00001
단계 1: 나노셀룰로오스의 수산화기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도입
20% 농도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메탄올 용액 (200 mL)과 나노셀룰로오스 (4000 mg)를 폴리에틸렌 지퍼백에 담고, 50 kGy 조사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한 다음, THF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나노셀룰로오스의 수산화기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도입하였다.
단계 2: 에폭시기에 디에틸렌트리아민의 도입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도입한 나노셀룰로오스 (1000 mg)에 디에틸렌트리아민 용액 (20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반응한 후 에탄올로 수 회 세척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의 개환반응으로 에틸렌디아민을 도입한 시트를 제조하였다.
단계 3: Zr 착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에틸렌디아민을 도입한 시트에 수산화지르코늄(Zr(OH)4) (20 mL)을 첨가하여, 아민기와 Zr 이온이 착물을 형성한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르코늄(Zr)이 착물로 고정화된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 비교예 1> 포름알데히드 흡착용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단계 2까지만 실시하여, 포름알데히드 흡착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재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트의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포름알데히드 1.485 ㎍/mL 농도의 기준용액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각각 처리한 후에, 처리한 시트를 열추출 챔버를 이용하여 기체 샘플을 DNPH(2,4-dinitrophenylhydrazone)로 코팅된 카트리지에 포집한 후에, HPLC 분석을 통해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히드 검출량 (㎍/mL)
기준용액 1.485
비교예 1 0.021
실시예 1 0.00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은 약 4배 이상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포름알데히드 제거 시간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포름알데히드 1.485 ㎍/mL 농도의 기준용액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처리한 후에, 처리한 시트를 열추출 챔버를 이용하여 0, 10, 20, 30, 40분 마다 기체 샘플을 DNPH 카트리지에 포집한 후에, HPLC 분석을 통해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포름알데히드 기준용액을 처리한 후에, 열추출 챔버에서 10분 단위로 포집한 기체에서의 포름알데히드 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는 10분 이내에 포름알데히드를 대부분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거 시간이 상당히 빠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재활용 효율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는 아민기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기도 하지만, 착물로서 도입된 지르코늄(Zr)에 의해 메틸포르메이트(HC(=O)OCH3)로 변환하여 제거하기도 한다. 이에, 흡착만 작용하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트는 재활용시에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점차 감소할 수 밖에 없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는 재활용시에도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재활용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트를 재활용하였을 경우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초 1회에 비해 2회 및 3회 사용에도 포름알데히드 제거량은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상기 기재의 하이드록시기에 비닐기가 그라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량체;
    상기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개환반응으로 도입되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착물로서 도입되는 지르코늄(Zr);
    을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은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고,
    상기 지르코늄(Zr)은 포름알데히드 2 분자와 결합하여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는 나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면부직포, 또는 마이크로 피브릴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
  4. 삭제
  5.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에 비닐기 및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를 혼합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하이드록시기에 상기 비닐기를 그라프트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결과물에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첨가하여, 상기 단계 1의 단량체의 에폭시기에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을 개환반응으로 도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결과물에 수산화지르코늄(Zr(OH)4)을 첨가하여,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의 2개의 아민기에 지르코늄을 착물로서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렌트리아민은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고,
    상기 지르코늄(Zr)은 포름알데히드 2 분자와 결합하여 메틸포르메이트로 변환시켜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고분자 기재는 나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면부직포, 또는 마이크로 피브릴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의 포름알데히드 흡착 및 제거용 시트를 이용하여, 기체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방법.
  9. 삭제
KR1020170000134A 2017-01-02 2017-01-02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34A KR101875737B1 (ko) 2017-01-02 2017-01-02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34A KR101875737B1 (ko) 2017-01-02 2017-01-02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737B1 true KR101875737B1 (ko) 2018-07-09

Family

ID=6291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134A KR101875737B1 (ko) 2017-01-02 2017-01-02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4760A (zh) * 2022-07-21 2022-11-08 中南大学 一种聚胺甲醛吸附材料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285A (ja) * 2007-04-02 2007-09-13 Bio Carrier Technology:Kk 多孔質セルロース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の選択的分離方法
US20080135060A1 (en) * 2006-12-08 2008-06-12 Thauming Kuo Aldehyde removal
JP2013103207A (ja) *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イオン吸着材、イオン吸着材の製造方法、吸着システム、及び吸着材の使用方法
WO2015046417A1 (ja) * 2013-09-27 2015-04-02 東洋紡株式会社 アルデヒド類除去材
JP2015086294A (ja) * 2013-10-30 2015-05-07 株式会社クラレ 多孔質グラフト共重合体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5060A1 (en) * 2006-12-08 2008-06-12 Thauming Kuo Aldehyde removal
JP2007231285A (ja) * 2007-04-02 2007-09-13 Bio Carrier Technology:Kk 多孔質セルロース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の選択的分離方法
JP2013103207A (ja) * 2011-11-16 2013-05-30 Toshiba Corp イオン吸着材、イオン吸着材の製造方法、吸着システム、及び吸着材の使用方法
WO2015046417A1 (ja) * 2013-09-27 2015-04-02 東洋紡株式会社 アルデヒド類除去材
JP2015086294A (ja) * 2013-10-30 2015-05-07 株式会社クラレ 多孔質グラフト共重合体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4760A (zh) * 2022-07-21 2022-11-08 中南大学 一种聚胺甲醛吸附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5304760B (zh) * 2022-07-21 2023-09-26 中南大学 一种聚胺甲醛吸附材料及其制备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go-Lug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natural, formaldehyde-treated and copolymer-grafted orange peel for Pb (II) adsorption under batch and continuous mode
KR101967005B1 (ko) 키토산계 미세다공성 복합물질의 제조 및 이의 응용
Xu et al. Efficient adsorption of 1-alk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ionic liquids onto modified cellulose microspheres
JP2014148738A (ja) 希土類元素を含有した溶液から希土類元素及び酸の分離回収方法
KR101875737B1 (ko)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ka et al. A fully bio-sourced adsorbent of heavy metals in water fabricated by immobilization of quinine on cellulose paper
JP2006026588A (ja) 温泉水に溶存する有用・有害金属を回収および除去する方法
CN106589168A (zh) 一种β‑环糊精复合物及其制备方法与在水处理中的应用
CN104689802B (zh) 一种高选择性金吸附树脂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614083A (zh) 一种聚乙烯亚胺改性木屑重金属吸附剂及其制备方法
CN110577662A (zh) 一种聚乳酸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1187809A (ja) 有機高分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から構成される重金属イオン除去剤
Wang et al. Purification of Pb (II)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camphor leaf modified with succinic anhydride
CN105268417A (zh) 一种具有吸附分离重金属离子功能的复合膜的制备方法
CN110681356A (zh) 一种新型放射性废气吸附材料的制备方法及其碘吸附应用
JP5733703B2 (ja) 布状の放射性物質吸着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smet et al. Double protein functionalized poly-ε-caprolactone surfaces: in depth ToF–SIMS and XPS characterization
JP5024876B2 (ja) 有害物質捕集材、その製造方法及び有害物質処理方法
Wongsawaeng et al. Innovative seawater uranium recovery agent based on low-cost polyacrylonitrile fibers
Misra et al. CellUSorb: A high-performance, radiation functionalized cellulose based adsorbent for Uranium (VI) remediation in ground water
RU2243027C2 (ru) Хелатообразующая мембрана из пористого полого 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оксида герм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й мембраны
JP3823283B2 (ja) ハロゲン化アルキルの除去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79858B (zh) 一种三嗪类双模版分子印迹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5154973A (ja) 金を吸着回収する吸着材の合成方法及び排水処理
KR102272587B1 (ko) 금속이온 제거용 표면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