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201B1 -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201B1
KR101875201B1 KR1020160157912A KR20160157912A KR101875201B1 KR 101875201 B1 KR101875201 B1 KR 101875201B1 KR 1020160157912 A KR1020160157912 A KR 1020160157912A KR 20160157912 A KR20160157912 A KR 20160157912A KR 101875201 B1 KR101875201 B1 KR 10187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eadrest
pressing arm
main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944A (ko
Inventor
유선웅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15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0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hats, clothes or clothes 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차량 운행 중의 흔들림에도 이탈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물품의 거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부와, 힌지 회동에 따라 좌측 지지축을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과 힌지 회동에 따라 우측 지지축을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으로 구성된 가압암부와,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어 기어이로 맞물린 가압암부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는 중앙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automotive headrest}
본 발명은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차량 운행 중의 흔들림에도 이탈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물품의 거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운전시 또는 장시간의 여행시 목의 피로를 경감시켜주는 일종의 편의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시에 목의 과도한 젖힘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안전장치이기도 한다.
한편, 근래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뒷자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물품, 예들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를 거치한다거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재를 거치한다거나 또는 옷걸이와 같은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대부분 상기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에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후방으로 단말기 거치대 또는 수납부재 등 뒷자석 착석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고정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주행시에는 차량의 급정거나 안전방지턱 또는 도로상황에 따라 많은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상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물품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는 대부분 이러한 흔들림 시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헤드레스트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특허문헌 0001)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7-0000916호 '자동차용 옷걸이 거치대' 와 (특허문헌 0002)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03065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에서는 차량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을 관통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장치에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보조적 거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을 관통하는 고정장치 부분의 구조는 뒷자석의 착석자가 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 헤드레스트 자체를 운전석에서 분리하여야만 이탈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량 주행시에는 안전을 위해 이러한 분리를 할 수 없고 차량 정지시에만 고정장치 부분의 분리가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상기 고정장치를 헤드레스트에 고정함에 있어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그 설치와 탈착이 매우 어려웠고, 차량 주행 시 흔들림에 따라 결합부재가 서서히 흔들려 그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헤드레스트의 분리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차량 주행시에도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7-0000916호(2007.08.20. 공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03065호(2005.12.0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헤드레스트 지지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는, 좌측 지지축과 우측 지지축을 가지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고정된다.
크게,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고,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좌측 지지축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과,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우측 지지축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으로 구성된 가압암부와;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어 기어이로 맞물린 가압암부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는 중앙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체부의 일측에 물품 또는 물품이 거치된 외부 장치가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축부는,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축과, 양측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고정축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이동축과, 고정축을 관통하면서 이동축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이동축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조정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중앙축부는 필요에 따라 일단이 고정축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축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탄성부재는 인장 스프링이다.
한편, 고정축은 전방에 조정나사가 관통되게 나사안착홀이 구비된 전단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동축은 전방에 조정나사가 나사산 결합되면서 관통되는 나사홀이 구비된 조임벽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또한 고정축은 이동축의 조임벽이 걸려 수평이동됨이 제한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는 이동제한홀을 더 형성한다.
한편, 조정나사는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 헤드부와, 헤드부의 후단이 연장되고 고정축의 나사안착홀을 관통하여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후단이 연장되고 이동축의 나사홀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암부의 좌측 가압암과 우측 가압암은, 후단부에 힌지축이 관통되는 힌지홀과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면서 전단부에 헤드레스트의 지지축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와,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커버와, 가압골을 형성한 주축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커버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결합으로 구성되되, 중앙축부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과, 가압암부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기어이 맞물림 구조를 이용한 가압암부가 지지축을 가압하면서 지지하여 차량 주행 중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 지지축에 고정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정나사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가압암부의 지지축에 대한 가압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후방에 다양한 거치물품을 위한 구조를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앙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의 헤드레스트 고정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를 활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단부와 전방은 고정장치가 헤드레스트에 장착되었을 때 헤드레스트의 지지축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단부와 후방은 상기 전단부 및 전방에 대하여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는, 조정나사(34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중앙축부(300)의 일부 부재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되는 부재와 기어이 맞물림 구조를 가지는 가압암부(20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켜 가압암부(200)가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밀어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는, 크게 본체부(100)를 구성하고 본체부(100)의 내부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압암부(200)와, 가압암부(200)와 기어이 맞물림 구조를 가지면서 나사 조임에 따라 수평이동되는 부재를 구비한 중앙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또는 중앙축부(300)의 일측에는 단말기, 태블릿pc 등의 물품 또는 이러한 물품이 거치된 장치가 결합되는 거치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400)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1)에 나사결합, 탈착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품의 거치가 용이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그 모양과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는, 좌측 지지축(21)과 우측 지지축(22)을 가지는 차량의 헤드레스트(2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면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가압암부(200)가 힌지 회동 가능한 공간과 구조를 가지며 중앙축부(300)와 가압암부(200)의 일단이 기어이 맞물림 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부 본체(100a)와 하부 본체(100b)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암부(200)는 본체부(100)에 구비되고, 일측의 힌지 회동에 따라 타측이 헤드레스트의 좌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200a)과, 일측의 힌지 회동에 따라 타측이 헤드레스트의 우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20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축부(300)는, 나사 조임과 풀림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어 기어이로 맞물린 가압암부(20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중앙축부(300)는 가압암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축에 대한 강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축부(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중앙축부(100)는 크게 고정축(310)과 이동축(320) 그리고 조정나사(340)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310)은, 본체부(300)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의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에 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317)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후방 양측에 상기 가압암부(200)가 힌지축(201)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힌지홀(312)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축(310)의 전방에는 조정나사(340)가 관통되는 나사안착홀(311)을 구비한 전단벽(315)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벽(315)의 후방에 후술될 이동축(320)의 조임벽(324)이 걸려 수평이동됨이 제한되도록 이동제한홀(316)을 형성한다.
또한, 후술될 탄성부재(330)가 이동축(320)의 후방에 형성된 핀홀(323)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핀(301)이 관통된 장공의 중앙홀(31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동축(320)은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양측 바람직하게는 후방 양측에 랙기어(322)가 형성되고, 고정축(310)의 일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게 구성된다.
도시에서 상기 이동축(320)은 고정축(310)의 상면에 슬라이딩 수평이동가능하게 구비됨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고정축(31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동축(320)은 전방에 고정축(310)의 전단벽(315)을 관통하여 안착된 조정나사(340)가 나사산 결합되면서 관통위치되는 나사홀(321)이 형성된 조임벽(32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조임벽(324)의 단부는 상술된 고정축(310)에 형성된 이동제한홀(316)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혹시 모를 조정나사(340)의 본체부(100) 외부로의 완전 분리시 이동축(320)이 튕겨져 완전 이탈됨과 분리를 방지하여 랙기어(322)에 맞물린 가압암부(200)가 튕겨지거나 분리됨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제한홀(316)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조임벽(324)을 형성함에 따라 나사안착홀(311)에 대응되는 이동축(320)의 나사홀(321)이 가공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
상술된 고정축(310)의 전단벽(315)에 형성된 나사안착홀(311)과 이동축(320)의 조임벽(324)에 형성된 나사홀(321)은 동일 중심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조정나사(340)의 나사산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이동축(320)은 고정축(310)을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수평이동된다.
한편, 이동축(320)의 후방에는 후술될 탄성부재(330)가 핀 고정 결합되는 핀홀(323)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조정나사(340)는, 고정축(310)의 나사안착홀(311)을 관통하면서 이동축(320)의 나사홀(321)의 내주면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이동축(320)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조정나사(340)는, 결합시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헤드부(341)와, 헤드부(341)의 후단이 연장되고 고정축(310)의 나사안착홀(311)을 관통하여 안착되는 안착부(342)와, 안착부(342)의 후단이 연장되고 이동축(32) 나사홀(32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부(343)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헤드부(341)를 이용해 조임과 풀림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헤드부(341)의 전면에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조정홈(34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정홈(341a)을 이용해 사용자는 드라이버, 드릴 비트 혹은 동전을 이용해 손쉽게 조임과 풀림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된 고정축(310)과 이동축(320) 및 조정나사(340)로 구성된 중앙축부(300)는, 본체부(100)에 고정축(310)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나사(34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이동축(320)을 강제적으로 정해진 구간 안에서 수평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평이동되는 이동축(320)은 랙기어(322)에 피니언기어(211)가 맞물린 가압암부(200)를 강제적으로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힌지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축부(300)는 일단이 고정축(310)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축(320)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탄성부재(330)는 이동축(320)을 전방으로 잡아당김으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밀어 가압하는 가압암부(200)에 가압력을 더하게 된다.
이는, 랙기어(322)와 피니언기어(211)가 잦은 동작에 따라 일부 마모되어 손상되었을 때도 이동축(3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고정장치(1)가 정상적인 고정동작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330)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축(320)은 고정축(310)의 상면에 안착되게 도시하였으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330)는 고정축(310)의 저면측에 구비되어, 일단은 고정핀(301)에 의해 고정축(310)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핀(301)이 중앙홀(313)을 관통하여 이동축(320)의 후방에 형성된 핀홀(323)에 끼워짐으로 고정된다.
재차,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가압암부(20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가압암부(200)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 좌측 지지축(21)을 가압하여 미는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지지축(22)을 가압하여 미는 우측 가압암(200b)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에서 가압암부(200)는 좌측과 우측 각각 1개씩 한 쌍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좌측 가압암(200a)은, 중앙축부(300)의 이동축(320) 후방 양측에 형성된 랙기어(322) 중 일측에 후단부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축(320)의 수평이동에 따라 강제적으로 힌지회동되면서 전단부가 좌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가압암(200a)의 후단부에는 상기 랙기어(322)와 기어 맞물림 되는 피니언기어(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가압암(200b)은 좌측 가압암(200a)과 동일 구조와 형상을 가지며 대칭되는 위치로 구성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측 가압암(200b)은 좌측 가압암(200a)과 동시에 강제적으로 힌지회동되면서 전단부가 우측 지지축(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암부(200)는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구체적으로는 주축바(210)와 상부커버(220) 및 하부커버(230)로 구성된다.
상기 주축바(210)는 실질적으로 힌지축(201)에 의해 중앙축부(300)의 고정축(310)에 형성된 힌지홀(312)에 고정되어 힌지회동되는 것으로, 힌지홀(312)이 형성된 후단부에 이동축(320)의 랙기어(32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단부에는 헤드레스트(20)의 지지축(21, 22)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212)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가압골(212)은 'U'자 형상으로 고정장치(1)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상기 가압골(212)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220)와 하부커버(230)는 가압골(212)을 형성한 주축바(2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골(212)과 동일 형상의 골을 형성하고 직접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밀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과 직접 맞닿는 부분에는 바람직하게 고무패드(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미끌어짐을 방지한다.
이어서, 이와 같은 가압암부(200)와 중앙축부(300)를 포함하여 보호하면서 이들을 지지하고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부(100)를 재차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체부(100)는, 가압암부(200)가 힌지축(201)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중앙축부(100)의 고정축(310)을 고정하며 이동축(320)이 정해진 구간 안에서 수평이동되게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부(3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뒷자석에 앉는 사용자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후방측에 단말기 등의 다양한 물품 거치를 위한 장치가 결합되는 거치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400)는 본체부(300)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구성되거나, 도시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중앙축부(300)의 고정축(310) 후방에 높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된 거치판(314)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재(400)는 도시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가지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체부(100)는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는 내부에 구비된 중앙축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축(31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11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는 가압암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하 축부지지벽(110)과 상.하 암 지지벽(12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의 동작시 흔들림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며 중앙축부(300)와 가압암부(200)를 지지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의 헤드레스트 고정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4의 (a)와 (b)에서와 같이, 일 예로 사용되기 전 상기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1)는 조정나사(340)의 회전에 따라 중앙축부(300)의 이동축(320)이 최대한 전방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이동축(320)의 랙기어(322)와 맞물린 피니언기어(211) 구조에 의해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강제적으로 힌지회동되어 벌려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압암부(200)의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을 헤드레스트의 좌측 지지축(21)과 우측 지지축(22) 사이 내부에 밀어넣을 수 있도록 조정나사(340)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5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정장치(1)의 사용을 위해 조정나사(340)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자가 조정나사(340)를 조이면 나사산부(343)와 나사산 맞물린 나사홀(321)에 의해 이동축(320)의 조임벽(324)은 강제로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축(320) 전체는 강제적으로 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에 따라,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랙기어(322)와 맞물린 피니언기어(211)에 의해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강제적으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된다.
그리고, 충분히 가압암부(200)가 좁혀지면 사용자는 고정장치(1)를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 사이에 밀어넣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고정장치(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정나사(340)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조정나사의 나사산부(343)와 나사산 맞물린 나사홀(321)에 의해 이동축(320)의 조임벽(324)은 강제로 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축(320) 전체는 강제적으로 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에 따라,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랙기어(322)와 맞물린 피니언기어(211)에 의해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강제적으로 다시 넓혀지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된다.
그리고, 가압암부(200)의 좌측 가압암(200a)은 헤드레스트의 좌측 지지축(21)을 밀어 가압하게 되고, 우측 가압암(200b)은 헤드레스트의 우측 지지축(22)을 밀어 가압하게 되면서 고정장치(1)는 지지축(21, 22)을 가압하여 밀면서 사이에 위치고정된다.
이때, 중앙축부(300)에 구비된 탄성부재(330)는 이동축(320)을 고정축(310) 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안정적으로 가압암부(200)가 각각의 지지축(21, 22)을 밀어 가압하는데 힘을 더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고정장치(1)의 후방으로 거치부재(400)를 이용해 단말기 등의 다양한 물품 거치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량 헤스레스트용 고정장치(1)는, 가압암부(200)가 차량 헤드레스트(20)의 지지축(21, 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면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완전히 고정결합된다.
사용자는 조정나사(340)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가압암부(200)의 가압력을 조절하면서 손쉽게 헤드레스트에 탈착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 후방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거치를 위한 장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거치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400)는 물품이 직접 거치되거나 거치되는 물품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로 도시에서는 태블릿 PC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500)를 예로 제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에 의해 상기 장치(500)는 안정되게 헤드레스트(20)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20 : 헤드레스트 21, 22 : 좌, 우측 지지축
100 : 본체부 100a : 상부본체
100b : 하부본체 110 : 측부 지지벽
120 : 암 지지벽 200 : 가압암부
200a : 좌측 가압암 200b : 우측 가압암
201 : 힌지축 210 : 주축부
211 : 피니언기어 212 : 가압골
220 : 상부커버 230 : 하부커버
300 : 중앙축부 301 : 고정핀
310 : 고정축 311 : 나사안착홀
312 : 힌지홀 313 : 중앙홀
314 : 거치판 315 : 전단벽
316 : 이동제한홀 317 : 고정홀
320 : 이동축 321 : 나사홀
322 : 랙기어 323 : 핀홀
330 : 탄성부재 340 : 조정나사
341a : 조정홈 341 : 헤드부
342 : 안착부 343 : 나사산부
400 : 거치부재 500 : 태블릿 PC 거치장치

Claims (10)

  1. 좌측 지지축(21)과 우측 지지축(22)을 가지는 차량의 헤드레스트(20)에 고정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고,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상기 좌측 지지축(21)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좌측 가압암(200a)과, 후단부의 힌지 회동에 따라 전단부가 상기 우측 지지축(22)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우측 가압암(200b)으로 구성된 가압암부(200)와; 나사 조임에 따라 강제적으로 수평이동되는 부분에 의해 기어이로 맞물린 상기 가압암부(200)를 강제적으로 힌지 회동시키는 중앙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앙축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고정축(310)과, 양측에 랙기어(3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이동축(320)과, 상기 고정축(310)을 관통하면서 상기 이동축(320)에 나사산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축(320)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조정나사(3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또는 중앙축부(300)의 일측에 물품 또는 물품이 거치된 장치가 결합되는 거치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부(300)는,
    일단이 상기 고정축(310)에 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축(320)에 핀 고정된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10)은 전방에 상기 조정나사(340)가 관통되게 나사안착홀(311)이 구비된 전단벽(315)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축(320)은 전방에 상기 조정나사(340)가 나사산 결합되면서 관통되는 나사홀(321)이 구비된 조임벽(3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10)은, 상기 이동축(320)의 조임벽(324)이 걸려 수평이동됨이 제한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길이를 가지는 이동제한홀(316)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340)는,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헤드부(341)와, 상기 헤드부(341)의 후단이 연장되고 상기 고정축(310)의 나사안착홀(311)을 관통하여 안착되는 안착부(342)와, 상기 안착부(342)의 후단이 연장되고 상기 이동축(320)의 나사홀(32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부(3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암부(200)의 좌측 가압암(200a)과 우측 가압암(200b)은,
    후단부에 힌지축(201)이 관통되는 힌지홀(213)과 피니언기어(211)를 형성하고, 전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축(21, 22)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가압골(212)을 형성한 주축부(210)와,
    상기 가압골(212)을 형성한 주축부(210)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커버(220)와,
    상기 가압골(212)을 형성한 주축부(210)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커버(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의 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앙축부(30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축부 지지벽(110)과,
    상기 가압암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본체(100a)와 하부본체(100b)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상.하 암 지지벽(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KR1020160157912A 2016-11-25 2016-11-25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KR10187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12A KR101875201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12A KR101875201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44A KR20180058944A (ko) 2018-06-04
KR101875201B1 true KR101875201B1 (ko) 2018-07-05

Family

ID=6262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12A KR101875201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0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94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내부포켓이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91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내부포켓이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80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220163198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플라스틱커버가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97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플라스틱커버가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87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812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3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5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4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40055568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탑시스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부재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40055569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탑시스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용 걸이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00Y1 (ko) 2008-07-21 2008-10-10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US20120047711A1 (en) * 2010-08-26 2012-03-01 Meyer Paul W Portable visual display panel mou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3184493A (ja) 2012-03-06 2013-09-19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座席用グリ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65Y1 (ko) 2005-09-23 2005-12-07 설정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70000916U (ko) 2007-07-30 2007-08-20 김태운 자동차용 옷걸이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00Y1 (ko) 2008-07-21 2008-10-10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US20120047711A1 (en) * 2010-08-26 2012-03-01 Meyer Paul W Portable visual display panel mou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3184493A (ja) 2012-03-06 2013-09-19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座席用グリップ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94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내부포켓이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91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내부포켓이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80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220163198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플라스틱커버가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97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플라스틱커버가 구비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187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장치
KR20220163812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3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5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20163814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탑시스템 차량 헤드레스트용 걸이대
KR20240055568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탑시스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부재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40055569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탑시스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용 걸이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44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201B1 (ko) 차량 헤드레스트용 다기능 고정장치
US5004133A (en) Detachable article carrier assembly
CA2440335C (en) Headres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seat
US8888187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US7275787B1 (en) Combined second seat, backrest and luggage rack for a motorcycle
US5839713A (en) Support for entertainment equipment
US20120091177A1 (en) Fastening device
US4219142A (en) Bicycle rack for autos
US9545891B2 (en) Airbag module-mounting side fram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U2006268268B2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ies for vehicles
KR101956688B1 (ko) 전동 접이식 유아용 안전시트
US8272547B1 (en) Motorcycle carrier apparatus
US20110043021A1 (en) Backrest safety mechanism for car seat
US20140153123A1 (en) Pipe mountable mirror with bracket
CN204055537U (zh) 一种撑货器
US10618442B2 (en) Automobile seat and automobile side back cushion
US2685331A (en) Child safety device
NO20101537A1 (no) Nakkestotte
US3948561A (en) Head rest mounting
JP2007000049A (ja) 自動車用ペット席
JP200829058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EP3575152B1 (en) Load carrier, in particular bicycle carrier
US6764056B1 (en) Rearview mirror structure
CN218085357U (zh) 车载显示装置
CN216300877U (zh) 一种智能设备夹持装置及多功能汽车颈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