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20B1 -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 Google Patents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20B1
KR101874620B1 KR1020120020399A KR20120020399A KR101874620B1 KR 101874620 B1 KR101874620 B1 KR 101874620B1 KR 1020120020399 A KR1020120020399 A KR 1020120020399A KR 20120020399 A KR20120020399 A KR 20120020399A KR 101874620 B1 KR101874620 B1 KR 10187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layer
security
paper
layer
security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82A (ko
Inventor
정택용
정창우
최애경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20B1/ko
Priority to US13/778,329 priority patent/US20130221655A1/en
Priority to EP13157139.0A priority patent/EP26343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9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4Latent security elements, i.e. detectable or becoming apparent only by use of special verification or tampering devices or metho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02Metal coatings
    • D21H19/06Metal coatings applied as liquid or powd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32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및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검출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금속탐지기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우수한 백색도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개시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은 매우 우수한 품질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함유량이 낮다.

Description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Security paper for being detectable by metal detectors}
본 개시는 보안용지(security pap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탐지기(metal detector)로 검출이 가능한 보안용지에 관한 것이다.
정보 유출 방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다양한 데이타 기록매체의 반출을 통제하기 위한 보안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문서와 같은 기록매체는, 그 재질의 속성으로 인하여, 반출을 통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에 따라, 문서의 반출 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안용지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효율적인 문서 관리를 위하여, 프린터 제조업자들은, 90년대부터, 인쇄 상황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프린터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많은 기업체는 MPS(Management of Printing System)를 도입하고 있다. 나아가, 프린터 제조업자 및 프린터 사용자는, MPS와 더불어 보안용지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보안용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은선을 사용하는 방법, 형광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 금속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보안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금속탐지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탐지기에 의하여 검출이 가능한 보안용지의 제조가 고려되고 있다.
금속탐지기는,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와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물질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금속 물질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다. 교류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면, 이 자기장에 의해 금속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금속에 형성된 와전류는 다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금속탐지기는 이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탐지하여 금속의 존재를 확인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금속탐지기는 지뢰 제거, 공항 검색대에서의 무기 탐지, 고고학 발굴, 보물 사냥, 지질 탐사, 식품의 이물질 감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형태를 갖는 다양한 용지(paper)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7977호 (2008.12.11)는, 접착수단에 의하여 일면이 서로 접착되는 제 1원지와 제 2원지; 그리고, 제 1원지와 제 2원지의 접착면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검출용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안용 인쇄용지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이 개시하는 바에 따르면, 상기 검출용 태그는 비결정질의 연자성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원지와 상기 제 2원지의 접착면 사이에 형성되는 금속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원지 또는 상기 제 2원지는, 금속이 일면에 진공증착 되거나 또는 전사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층을 합지(laminating)하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합지 과정에서 용지의 휨(cur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합지 공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를 통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용지에 과량 함유될 수 있다.
용지에 함유된 VOC는, 인쇄과정에서의 가열에 의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인쇄과정에서의 VOC 방출량은, 친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규격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용지로부터의 VOC의 방출량이 많으면 불리하다. 특히, 레이저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 정착과정의 온도가, 예를 들어, 약 120 ℃ 내지 약 200 ℃와 같은 고온이기 때문에, VOC가 매우 심각하게 방출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7977호에서와 같이 금속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태그의 은폐를 위한 흑색잉크층의 추가가 필요할 수 있다. 용지가 흑색잉크층을 포함하게 되면, 용지의 백색도(brightness)가 저하될 수 있다. 백색도는 용지의 가장 중요한 품질항목 중의 하나이다. 용지의 백색도가 저하되면, 용지에 인쇄된 화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개시에서는, 우수한 백색도를 가지며 VOC 함유량이 낮을 뿐만아니라 금속탐지기로 검출이 가능한 보안용지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는,
한 장의 기재(a sheet of substrate);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검출층(detectable layer)으로서,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및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검출층;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층의 평량은 5 g/m2 내지 10 g/m2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기재와 상기 검출층 사이에 위치하는 언더코팅층(under-coating layer)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은,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수용성 바인더 수지 및 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 제조방법은,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본 개시에 따른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 제조방법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도포 단계 이전에, 상기 기재 위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금속탐지기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우수한 백색도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개시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은 매우 우수한 품질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함유량이 낮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는, 한 장의 기재(a sheet of substrate);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검출층(detectable layer)으로서,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및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검출층;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층의 평량은 5 g/m2 내지 10 g/m2이다.
상기 기재는, 예를 들면, 종이(paper) 또는 수지필름(resin-film)일 수 있다. 종이는, 예를 들면, 수지로 코팅된 종이 또는 수지로 코팅되지 않은 종이일 수 있다. 수지로 코팅되지 않은 종이는, 예를 들면, 백상지(wood-free paper) 또는 박엽지(thin paper)일 수 있다. 수지로 코팅된 종이는, 예를 들면, 아트지(art paper or coated paper), 캐스트 코팅지(cast coated paper) 또는 인화지(resin coated paper)일 수 있다. 수지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상기 검출층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전체 영역에 코팅될 수도 있다.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만 코팅될 수도 있다. 검출층의 면적은, 금속탐지기의 검출력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보안용지의 검출성능(detect-a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검출층은 기재의 양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전체 영역 및 기재의 타면의 전체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전체 영역 및 기재의 타면의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 및 기재의 타면의 전체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검출층은 기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 및 기재의 타면의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검출층이 기재의 일면 또는 타면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검출층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그에 따라, 검출층은 인쇄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고, 비인쇄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인쇄영역과 비인쇄영역에 양다리 걸쳐서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층은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만약, 금속 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비록 검출성능(detect-ability)은 가장 우수할 수 있으나, 보안용지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검출층을 기재에 도포하는 과정이 어려울 수 있다. 금속 분말과 유기규소화합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안용지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과 검출층을 기재에 도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안용지에 매우 우수한 검출성능(detect-ability)을 부여할 수 있다.
금속 분말은, 예를 들면, 금속탐지기에 검출되는 임의의 금속일 수 있다. 금속 분말은, 구체적인 예를 들면, 철, 코발트, 니켈, 망간, 은, 동, 지르코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는, 금속 분말은,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철, 코발트, 니켈, 망간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강자성체일 수 있다. 강자성체 금속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양으로도 우수한 검출성능(detect-ability)을 얻을 수 있다.
금속 분말의 입자크기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금속 분말의 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검출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크면 코팅액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약 0.1 ㎛ 내지 약 100 ㎛ 의 범위일 수 있다.
유기규소화합물(organosilanes)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가 규소 원자로 치환된 유기화합물을 의미한다. 나아가, 유기규소화합물은, 유기화합물의 모든 탄소 원자가 규소 원자로 치환된 형태를 갖는 무기화합물도 포괄한다. 유기규소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보안용지의 검출성능을 유지하면서 금속 분말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코팅액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규소화합물은, 예를 들면, 할로게노실란(halogenosliane), 알콕시실란(alkoxysilanes), 아미노실란(aminosilanes), 실란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s), 불소알킬실란(fluoroalkylsilanes), 반응성실록산올리고머(reactive siloxane oligomer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할로게노실란 (halogenosliane)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클로로실란 (chlorosilane),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메틸디클로로실란 (methyldichlorosilane), 페닐디클로로실란 (phenyldichlorosilane), 등이 있다.
알콕시실란(alkoxysilanes)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디에톡시실란 (methyldiethoxysilane), 메틸디메톡시실란 (methyldimethoxysilane), 페닐디메톡시실란 (phenyldimethoxysilane), 트리메톡시실란 (trim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 (triethoxysilane), 등이 있다.
아미노실란 (aminosilanes)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디아미노실란 (methyldiaminosilane), 트리아미노실란 (triaminosilane), 등이 있다.
아미녹시실란 (aminoxysilanes)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디아미녹시실란 (methyldiaminoxysilane), 트리아미녹시실란 (triaminoxysilane), 등이 있다.
아실록시실란 (acyloxysilanes)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디아세톡시실란 (methyldiacetoxysilane), 페닐디아세톡시실란 (phenyldiacetoxysilane), 트리아세톡시실란 (triacetoxysilane),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바인더 수지는 금속 분말과 유기규소화합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기재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수용성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 폴리에스터, 라텍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검출층에 있어서, 금속 분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검출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금속 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비록 보안용지의 검출성능(detect-ability)은 높아지지만, 보안용지의 제조를 위한 재료비가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층 중의 금속 분말의 함량은, 상기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wt% 내지 약 10 wt%일 수 있다.
금속 분말의 함량을 약 10 wt% 이하로 하더라도, 본 개시의 보안용지는 매우 우수한 검출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유기규소화합물의 경우도, 검출성능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코팅액 분산성이 우수하여 검출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검출층에 있어서, 유기규소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제조원가가 증가하거나 코팅액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유기규소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검출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층 중의 유기규소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wt% 내지 약 50 wt%일 수 있다. 유기규소화합물은 금속 분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 대비 약 50 wt% 에 달하는 높은 함량으로 사용하더라도, 보안용지의 제조비용의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 검출층에 있어서, 수용성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검출층 전체 중량으로부터 금속 분말 및 유기규소화합물의 중량을 뺀 잔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층 중의 수용성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상기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를 기준으로 하여, 약 50 wt% 내지 약 95 wt%일 수 있다. 수용성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약 50 wt%와 같은 낮은 값이더라도, 검출층과 기재 사이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기능 및 검출층 내에서 금속분말과 유기규소화합물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검출층의 두께가 클수록 보안용지의 검출성능은 증가한다. 그러나, 검출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커지면, 보안용지를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할 경우에는, 잉크 흡수력의 저하 및 잉크 건조 속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보안용지를 레이저프린터에 사용할 경우에는, 토너의 정착성 저하 및 토너의 전사효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검출층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보안용지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검출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검출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층의 두께는 약 1 ㎛ 내지 약 10 ㎛ 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시하는 검출층은 일반 복사용지와 동일한 수준의 백색도(brightness)를 가질 수 있다. 용지의 백색도는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백색도가 떨어지는 경우는 인쇄된 화상의 채도나 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형상 및 넓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안용지의 일면에, 보안용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된 약 1 mm 폭의 세로줄 형태의 검출층 3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보안용지의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검출성능을 보였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기재와 상기 검출층 사이에 위치하는 언더코팅층(under-coating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코팅층은 기재와 검출층 사이의 부착력(adhesion)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만약, 부착력이 약한 경우에는, 프린터에서 인쇄시 기재와 검출층의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은 기재가 수지필름인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언더코팅층은 기재가 소수성 수지필름인 경우에 더더욱 유용하다.
언더코팅층은, 예를 들면, 임의의 접착제층일 수 있다. 또는, 언더코팅층은, 보안용지의 VOC 함량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수지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에 사용되는 수용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올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은 무기 충진제(inorganic fill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무기 충진제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클레이,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언더코팅층의 두께가 너무 크면 잉크젯프린터에서는 잉크 흡수력이 저하될 수 있고 레이저프린터에서는 정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너무 낮으면 기재와 검출층 사이의 부착력 상승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5 ㎛ 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이 형성되는 영역은, 예를 들면, 적어도 검출층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은,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수용성 바인더 수지 및 물을 포함한다.
물은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위한 용매의 기능, 유기규소화합물을 위한 용매 또는 분산매의 기능, 및 금속 분말을 위한 분산매의 기능을 한다. 물을 사용함으로써, 보안용지에 코팅된 검출층이 함유할 수 있는 VOC함량을 극소화할 수 있다.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은,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이 추후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선택되는 도포방법에 적합한 점도를 갖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만,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분산성이나 코팅성이 떨어질 수 있고, 너무 크면 검출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은, 검출층 성분을 모두 합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00 중량부 내지 약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또는,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약 100 cP 내지 약 5000 cP 일 수 있다.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은, 금속 분말의 더욱 효과적인 분산을 위한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산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금속 분말의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5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안용지 제조방법은,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본 개시에 따른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예를 들면, 한 장의 쉬트(sheet) 또는 롤(roll)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포 단계는, 예를 들면, 스프레이법, 페인팅법, 프린팅법과 같은 다양한 도포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도포 단계는, 블레이드코터(blade coater), 바코터(bar coater), 그라비아코터(gravure coater), 에어나이프코터(air-knife coater), 롤투롤코터(roll-to-roll coater),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예를 들면, 자연건조(natural drying), 냉동건조(freeze drying) 또는 가열건조(hot drying)와 같은 통상적인 건조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안용지 제조방법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도포 단계 이전에, 상기 기재 위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코팅층 형성 단계는, 수용성 수지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도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건조는, 상기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 건조 단계에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언더코팅층 형성 단계는, 수용성 수지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위에 도포한 후, 도포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또는 건조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및 건조에서 사용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은, 선택된 도포방법에 적합한 점도를 갖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코팅성이 떨어지고, 너무 크면 건조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물의 함량은, 수용성 바인더 수지의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500 중량부 내지 약 10000 중량부일 수 있다. 또는,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약 10 cP 내지 약 1000 cP 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폴리비닐알콜 (대한민국 OCI社제, P-224) 18.0 중량부, 코발트 분말 (대한민국 세종소재社제, 평균입자크기 5 ㎛) 1.0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대한민국 실텍社제, TSL8311) 1.0 중량부, 분산제 (대한민국 정우정밀화학社제, Kosant A-40) 0.1 중량부 및 물 80.0 중량부를 볼밀로 혼합하여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대한민국 삼성정밀화학社제, Anycoat-C) 15.3 중량부, 철 분말 (대한민국 세종소재社제, 평균입자크기 10 ㎛) 1.0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대한민국 실텍社제, TSL8380) 1.0 중량부, 분산제 (대한민국 정우정밀화학社제, Kosant TT-400) 0.1 중량부 및 물 80.0 중량부를 볼밀로 혼합하여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폴리비닐알콜 (대한민국 OCI社제, P-224) 18.0 중량부, 지르코늄 분말 (대한민국 세종소재社제, 평균입자크기 5 ㎛) 1.0 중량부, 알콕시실란 (대한민국 실텍社제, TSL8124) 1.0 중량부, 분산제 (대한민국 정우정밀화학社제, Kosant TT-400) 0.1 중량부 및 물 80.0 중량부를 볼밀로 혼합하여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보안용지의 제조
한솔제지 80 g/m2 백상지의 일면의 전체를 바코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백상지를 100 ℃에서 1 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평량(weight)은 90 g/m2 이었으며, 검출층의 평량과 두께는 10 g/m2 및 10 ㎛ 이었다.
실시예 5 --- 보안용지의 제조
한솔제지 80 g/m2 백상지의 일면의 전체를 바코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의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백상지를 100 ℃에서 1 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평량(weight)은 90 g/m2 이었으며, 검출층의 평량과 두께는 10 g/m2 및 10 ㎛ 이었다.
실시예 6 --- 보안용지의 제조
한솔제지 80 g/m2 백상지의 일면의 전체를 바코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3의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백상지를 100 ℃에서 1 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평량(weight)은 90 g/m2 이었으며, 검출층의 평량과 두께는 10 g/m2 및 10 ㎛ 이었다.
실시예 7 --- 보안용지의 제조
한솔제지 80 g/m2 백상지의 일면의 전체를 바코터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검출층 형성용 조성물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백상지를 100 ℃에서 1 분 동안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평량(weight)은 85 g/m2 이었으며, 검출층의 평량과 두께는 5 g/m2 및 5 ㎛ 이었다.
실시예 8 --- 보안용지의 제조
기재로서 SKC사의 107 ㎛ PET(SH6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안용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검출층의 두께는 10 ㎛ 이었다.
비교예 1 --- 보안용지의 제조
건조 후 검출층의 평량이 0.5 g/m2 이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안용지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검출층의 두께는 0.5 ㎛ 이었다.
비교예 2 --- 보안용지의 제조
건조 후 검출층의 평량이 12 g/m2 이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안용지를 얻었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용지의 검출층의 두께는 12 ㎛ 이었다.
비교예 3 --- 상용 보안용지의 입수
코발트계 금속칩이 두 장의 종이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코레이트社제 보안용지(10-2008-0108063, 10-2008-0107977)를 구입하였다.
<평가결과>
실시예 4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보안용지에 대하여, 백색도, 인쇄화상의 광학밀도, 잉크 흡수력, 토너 정착성, 인쇄시 TVOC 방출량 및 금속탐지기 검출성능을 평가하였다.
- 백색도 : 측색계(colorimetry) (미국 "McBeth"社 "SpectroEye")로 보안용지의 백색도를 10회 측정하여 얻은 평균치이다. 더 높은 값이 더 우수한 백색도를 나타낸다.
- 인쇄화상의 광학밀도 : 보안용지에 대한민국 삼성社제 CLP-315 프린터로 옐로우 블록 화상을 인쇄한 후, 측색계(미국 "McBeth"社 "SpectroEye")로 옐로우 블록 화상의 광학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더 높은 값이 더 높은 선명함을 나타낸다.
- 잉크 흡수력 : 보안용지에 일본 EPSON社 stylus915 잉크젯 프린터로 블랙 블록 화상을 인쇄한 30초 후, 100g의 추로 블랙 블록 화상을 3회 문지른 다음, 블랙 블록 화상이 번진 정도를 5점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번진 정도가 작을수록 잉크 흡수력이 우수하다.
- 토너 정착성 : 보안용지에 대한민국 삼성社제 CLP-315 칼라 레이저프린터로 블랙 블록 화상을 인쇄한 후, 미국 McBeth社 SpectroEye 측정기로 1차 광학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60초 후, 블랙 블록 화상에 3M 테이프를 붙인 후 500g의 추로 10회 문지른 다음, 다시 테이프를 제거한 후, 블랙 블록 화상의 2차 광학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2차 광학밀도 대 1차 광학밀도의 비가 잔존율이다. 잔존율이 높을수록 토너 정착성이 우수하다.
- 인쇄시 TVOC 방출량 : 독일연방재료시험연구소(BAM)이 제정한 "Blue Angel"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프린터 : 대한민국 삼성社제 모노 레이저프린터 SCX-6545N, 시험방법 : RAL-UZ 122).
- 금속탐지기 검출성능 : 금속탐지기(미국 Dokscom社 AD-2600S)가 보안용지를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였다. 검사결과를 "검출" 또는 "비검출"로 표시하였다. 금속탐지기와 보안용지 사이의 거리는 5 cm 이었다.
실시예 4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보안용지에 대한 평가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구분 백색도(%) 인쇄화상
광학밀도
잉크
흡수력
토너
정착성(%)
TVOC
(mg/h)
검출성능
실시예 4 90 1.25 1 95 9 검출
실시예 5 88 1.21 1 93 8 검출
실시예 6 90 1.23 1 94 10 검출
실시예 7 91 1.27 1 95 8 검출
실시예 8 90 1.23 2 88 10 검출
비교예 1 90 1.23 1 92 7 비검출
비교예 2 89 1.22 3 80 10 검출
비교예 3 80 1.05 1 85 21 검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는 88% 내지 91%의 백색도를 나타낸 반면 비교예 3의 보안용지는 80%의 백색도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는 비교예 3의 보안용지에 비하여 10% 이상 향상된 백색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은 1.21 내지 1.27의 광학밀도를 갖는다, 비교예 3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은 1.05의 광학밀도를 갖는다. 즉,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은 비교예 3의 보안용지에 인쇄된 화상에 비하여 15% 이상 향상된 광학밀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보안용지는 93% 내지 95%의 토너 정착성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3의 보안용지는 85%의 토너 정착성을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보안용지는 비교예 3의 보안용지에 비하여 9% 이상 향상된 토너 정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는 8 내지 10 mg/h의 TVOC 방출량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3의 보안용지는 21 mg/h의 TVOC 방출량을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는 비교예 3의 보안용지에 비하여 52% 이상 감소된 TVOC 방출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의 보안용지는 인쇄용지로서의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매우 우수한 금속탐지기 검출성능을 보였다.

Claims (17)

  1. 한 장의 기재(a sheet of substrate);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검출층(detectable layer)으로서, 금속 분말, 유기규소화합물 및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검출층;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층의 평량은 5 g/m2 내지 10 g/m2인 보안용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수지로 코팅된 종이, 수지로 코팅되지 않은 종이 또는 수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금속 분말은 철, 코발트, 니켈, 망간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강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금속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0.1 ㎛ 내지 1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유기규소화합물은, 할로게노실란(halogenosliane), 알콕시실란(alkoxysilanes), 아미노실란(aminosilanes), 실란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s), 불소알킬실란(fluoroalkylsilanes), 반응성실록산올리고머(reactive siloxane oligomers),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수용성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 폴리에스터, 라텍스,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금속 분말의 함량은, 상기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를 기준으로 하여, 1 wt% 내지 1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유기규소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검출층 전체 중량 100 wt%를 기준으로 하여, 1 wt% 내지 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층의 두께는 1 ㎛ 내지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검출층 사이에 위치하는 언더코팅층(under-coating lay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코팅층은 수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020399A 2012-02-28 2012-02-28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KR10187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99A KR101874620B1 (ko) 2012-02-28 2012-02-28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US13/778,329 US20130221655A1 (en) 2012-02-28 2013-02-27 Security paper that is detectable by metal detectors
EP13157139.0A EP2634310B1 (en) 2012-02-28 2013-02-28 Security Paper that is Detectable by Metal Detec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99A KR101874620B1 (ko) 2012-02-28 2012-02-28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82A KR20130098682A (ko) 2013-09-05
KR101874620B1 true KR101874620B1 (ko) 2018-07-05

Family

ID=4775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399A KR101874620B1 (ko) 2012-02-28 2012-02-28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21655A1 (ko)
EP (1) EP2634310B1 (ko)
KR (1) KR101874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9843B (zh) * 2020-11-03 2021-12-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資訊安全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174A (ja) * 2000-08-02 2002-02-15 Kyocera Corp Micrプリンター用現像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17340A1 (en) * 2007-11-02 2009-05-07 Xerox Corporation Substrate,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encod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6333A (en) * 1939-07-12 1942-07-08 Warren S D Co Metallic coated paper
US3053676A (en) * 1958-03-31 1962-09-11 Higbee William Edward Surface coating compositions
US5004643A (en) * 1988-03-14 1991-04-02 Sili-Tex, Inc. Silicone polymer-internally coated webs
CA2006007A1 (en) * 1988-12-21 1990-06-21 Hiroshi Kawahara Waterproof recording material having ground patter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A52804C2 (uk) * 1997-12-02 2003-01-15 Текнікал Графікс Сек'Юріті Продактс, Ллс Магнітний/металевий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його виготовлення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встановлення його автентичності і металевий захисний пристрій
ES2282496T3 (es) * 2002-11-12 2007-10-16 Fabriano Securities S.R.L. Metodo de fabricacion de un hilo de seguridad que tiene un microchipincrustado, un hilo de seguridad y un documento que comprende el hilo.
JP2008303522A (ja) 2007-06-08 2008-12-18 Koreit Co Ltd 保安用印刷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3008B2 (ja) * 2007-07-10 2010-03-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用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174A (ja) * 2000-08-02 2002-02-15 Kyocera Corp Micrプリンター用現像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17340A1 (en) * 2007-11-02 2009-05-07 Xerox Corporation Substrate,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en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1655A1 (en) 2013-08-29
KR20130098682A (ko) 2013-09-05
EP2634310B1 (en) 2014-11-26
EP2634310A1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192B2 (ja) 記録方法、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識別方法
EP3757179B1 (en) Ink composition for ink jet printing,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ed material
WO1998004640A1 (en) A jet ink composition
EP0890449A1 (en) Process for applying protective overcoat on printed media
EP3720915B1 (en) Layer sequence with colour flop effect including platelet-shaped effect pigments
JP2011500986A (ja) オフセット紙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コート紙
KR20130099925A (ko) 고불투명도의 레이저 인쇄 가능한 원단
JP2002258525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プリントの耐光性を改善するべく調合された無色トナー
US5759727A (en) Method of generating simulated photographic quality images on luminescent, mirror coated, melt-formed backing substrates
EP2912122A1 (en) Metallic printing
KR101874620B1 (ko) 금속탐지기 검출용 보안용지
KR101743823B1 (ko) 보안용지
KR101341164B1 (ko) 보안용 기록매체
US5795696A (en) Laminatable backing substrates containing paper desizing agents
US8986818B2 (en) Recording material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ethods
EP2812190B1 (en)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EP2662488A1 (en) Security paper that is detectable by metal detectors
CN114829511B (zh) Uv-led辐射固化性胶版印刷墨及印刷方法
JP2015000954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WO2011100188A1 (en) Self-primed coating formulation and universal,printable,plastic media coated with the formulation
EP2671723B1 (en) Recording medium
JP200017723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および記録物
JP5618110B2 (ja) 記録方法、記録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識別方法
CN208777076U (zh) 安全用记录介质
JP2918240B2 (ja) 熱転写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