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95B1 -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95B1
KR101873895B1 KR1020170032038A KR20170032038A KR101873895B1 KR 101873895 B1 KR101873895 B1 KR 101873895B1 KR 1020170032038 A KR1020170032038 A KR 1020170032038A KR 20170032038 A KR20170032038 A KR 20170032038A KR 101873895 B1 KR101873895 B1 KR 10187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rotecting
head protecting
shoulder
pro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석
현영환
Original Assignee
현영환
허진석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영환, 허진석, 재이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영환
Priority to KR102017003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41D31/00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로서, 일 측으로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에어가 자동으로 충전되어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는 전면이 오픈 형성되는 머리 보호 본체; 상기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양 측 어깨 부위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보호 본체에 일체로 연장되는 어깨 보호부; 및 상기 대피자의 목 뒤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보호부의 양 측면이 연결되도록 봉재 되는 뒷목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에 따르면,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 및 뒷목 보호부를 구비하는 두부 보호 장비를 구성하되, 머리 보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공기 주입구의 밸브를 돌려 열어주는 것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되고,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 보호 본체의 오픈 형성된 전면으로 투명 재질의 안면 보호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재난대피의 상황에서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대피자의 안면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어깨 보호부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부에 구비되는 물수건을 통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통해 대피자가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머리 보호 본체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방독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접어서 보관되는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용성이 뛰어나고, LED 점등부의 점등을 통해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대피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A HEAD PROTECTION EQUIPMENT HAVING SELF INFLATING AIR 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에어가 자동으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건물이나 시설물 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은 비상구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여야 한다. 이때, 화재가 발생한 건물이나 시설물에서는 화재로 인한 낙하물과 화염이 발생하게 되고, 실내 공기 중에 화재로부터 발생하는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가스와 많은 양의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붕괴에 따른 낙하물과 화염 및 유독가스와 많은 양의 연기는 대피 중인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평상시에 재난대피 교육 및 훈련은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급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요령을 제공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난대피 교육 및 훈련 상황을 보면, 재난대피 상황 시에 학생들이 교사의 지시 하에 책상의 아래에 몸을 숨기고, 이어 손수건 등으로 입을 막아 화재로 인해 발생한 유독가스 및 연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입을 막은 상태에서 차례로 건물이나 시설물에서 대피하는 방식으로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국내 초/중/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안전교육 방식은 대부분이 강의식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체험적인 재난대피 교육 및 훈련 상황 또한 형식적으로 그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재난대피 교육 및 훈련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발생되는 붕괴에 따른 낙하물과, 화염 및 유독가스 등으로부터 인명이 보호되기 위해서는 보호 장비의 착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보호 장비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4969호는 일회용 구명 건을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문헌과 같은 일회용 구명 건 또는 통상의 방독면의 경우 개인이 구매하여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 및 연기의 질식을 막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뿐, 붕괴에 따른 낙하물이 대피자의 머리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보호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 및 뒷목 보호부를 구비하는 두부 보호 장비를 구성하되, 머리 보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공기 주입구의 밸브를 돌려 열어주는 것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되고,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 보호 본체의 오픈 형성된 전면으로 투명 재질의 안면 보호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재난대피의 상황에서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대피자의 안면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어깨 보호부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부에 구비되는 물수건을 통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통해 대피자가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머리 보호 본체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방독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접어서 보관되는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용성이 뛰어나고, LED 점등부의 점등을 통해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대피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로서,
일 측으로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에어가 자동으로 충전되어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는 전면이 오픈 형성되는 머리 보호 본체;
상기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양 측 어깨 부위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보호 본체에 일체로 연장되는 어깨 보호부; 및
상기 대피자의 목 뒤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보호부의 양 측면이 연결되도록 봉재 되는 뒷목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 보호 본체는,
직사각 형상의 부재를 반으로 접어 사용되는 형태로,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낙하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 보호 본체는,
상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안면이 보호될 수 있도록 오픈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안면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상기 머리 보호 본체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대피자가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가 상기 머리 보호 본체와 상기 어깨 보호부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보호 장비는,
대피자의 머리와 어깨 및 뒷목 부위가 재난대피 상황에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 및 뒷목 보호부의 외피를 불연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 보호 본체는,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외부의 대피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대피자의 귀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여 양 측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이어부;
상기 이어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뒤쪽에 위치하는 대피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LED 점등부; 및
상기 머리 보호 본체의 일 측 표면에 형성되는 지진시 대피요령 안내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어깨 보호부의 내측 면에 수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유해가스 흡입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수건이 수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 보호 장비는,
평상시에는 장비 주머니에 상기 두부 보호 장비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머리 보호 본체에 에어가 공급된 상태에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에 따르면,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 및 뒷목 보호부를 구비하는 두부 보호 장비를 구성하되, 머리 보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공기 주입구의 밸브를 돌려 열어주는 것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되고,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 보호 본체의 오픈 형성된 전면으로 투명 재질의 안면 보호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재난대피의 상황에서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대피자의 안면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어깨 보호부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부에 구비되는 물수건을 통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통해 대피자가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머리 보호 본체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방독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접어서 보관되는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용성이 뛰어나고, LED 점등부의 점등을 통해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대피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정면 측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측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변형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다른 변형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가 평상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정면 측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후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측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100)는, 머리 보호 본체(110), 어깨 보호부(120), 및 뒷목 보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손잡이(140), 및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머리 보호 본체(110)는, 일 측으로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111)가 형성되고, 공기 주입구(111)를 통해 에어가 자동으로 충전되어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는 전면이 오픈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머리 보호 본체(110)는 직사각 형상의 부재를 반으로 접어 사용되는 형태로, 공기 주입구(111)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낙하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머리 보호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안면이 보호될 수 있도록 오픈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안면 보호 필름(11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 보호 필름(112)은 대피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 보호 본체(110)는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외부의 대피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대피자의 귀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여 양 측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이어부(113)와, 이어부(113)의 뒤쪽에 배치되어,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뒤쪽에 위치하는 대피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LED 점등부(114)와, 머리 보호 본체(110)의 일 측 표면에 형성되는 지진시 대피요령 안내문(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어깨 보호부(120)는,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양 측 어깨 부위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머리 보호 본체(110)에 일체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어깨 보호부(120)의 내측 면에는 수납부(121)가 더 형성되고, 수납부(121)에는 유해가스 흡입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수건(122)이 수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뒷목 보호부(130)는, 대피자의 목 뒤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어깨 보호부(120)의 양 측면이 연결되도록 봉재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뒷목 보호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어깨 보호부(120)에 봉재로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두부 보호 장비(100)에 구비되는 머리 보호 본체(110)와 어깨 보호부(120) 및 뒷목 보호부(130)는 외피를 불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대피자의 머리와 어깨 및 뒷목 부위가 재난대피 상황에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140)는, 두부 보호 장비(100)의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머리 보호 본체(110)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대피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한 쌍의 손잡이(140)는 머리 보호 본체(110)와 어깨 보호부(12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변형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다른 변형 일례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0)의 변형 일례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두부 보호 장치(100)와 동일 구성 및 기능을 갖는 형태로 구성하되, 고정수단(150)을 추가로 구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 4의 두부 보호 장비(10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150)은, 머리에 뒤집어 쓴 머리 보호 본체(110)가 대피하는 이동 중에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대피자의 턱 부위에 체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머리 보호 본체(110)의 내측 면에 양단이 각각 봉재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신축성 재질의 밴드와, 밴드의 중심에 체결되어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두부 보호 장비(10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150)은, 머리에 뒤집어 쓴 머리 보호 본체(110)의 내측 면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벨크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0)는 한 쌍의 손잡이(140)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밴드 및 버클의 구성 또는 한 쌍의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150)이 더 추가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150)은 대피 중에 머리에 뒤집어 쓴 머리 보호 본체(110)가 대피자의 턱 부위에 간단한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고, 끈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가 평상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대피자가 두부 보호 장비(100)의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한 쌍의 손잡이(140)를 잡고 대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평상시에 장비 주머니(101)에 두부 보호 장비(100)가 수용된 상태로 머리 보호 본체(110)에 에어가 공급된 상태에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는,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 및 뒷목 보호부를 구비하는 두부 보호 장비를 구성하되, 머리 보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에서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공기 주입구의 밸브를 돌려 열어주는 것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되고,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며, 머리 보호 본체의 오픈 형성된 전면으로 투명 재질의 안면 보호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재난대피의 상황에서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대피자의 안면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깨 보호부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부에 구비되는 물수건을 통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머리 보호 본체와 어깨 보호부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통해 대피자가 머리 보호 본체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머리 보호 본체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독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접어서 보관되는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용성이 뛰어나고, LED 점등부의 점등을 통해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대피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
101: 장비 주머니
110: 머리 보호 본체
111: 공기 주입구
112: 안면 보호 필름
113: 이어부
114: LED 점등부
115: 대피요령 안내문
120: 어깨 보호부
121: 수납부
122: 물수건
130: 뒷목 보호부
140: 한 쌍의 손잡이
150: 고정수단

Claims (8)

  1.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100)로서,
    일 측으로 자충식 에어 충전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111)를 통해 에어가 자동으로 충전되어 지진이나 화재 등의 재난대피 상황의 비상시에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는 전면이 오픈 형성되는 머리 보호 본체(110);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양 측 어깨 부위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에 일체로 연장되는 어깨 보호부(120); 및
    상기 대피자의 목 뒤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보호부(120)의 양 측면이 연결되도록 봉재 되는 뒷목 보호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는,
    상기 대피자의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시야가 확보되면서도 안면이 보호될 수 있도록 오픈되는 전면에 형성되는 안면 보호 필름(11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두부 보호 장비(100)는,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대피자의 손이 보호되면서도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대피자가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140)가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와 상기 어깨 보호부(120)의 연결 부위의 내측에 더 형성되며,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는,
    머리에 뒤집어 쓴 상태에서 외부의 대피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대피자의 귀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여 양 측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이어부(113)와, 상기 이어부(113)의 뒤쪽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를 머리에 뒤집어 쓴 대피자의 뒤쪽에 위치하는 대피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LED 점등부(114)와,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의 일 측 표면에 형성되는 지진시 대피요령 안내문(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는,
    직사각 형상의 부재를 반으로 접어 사용되는 형태로, 상기 공기 주입구(111)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낙하물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두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장비(100)는,
    대피자의 머리와 어깨 및 뒷목 부위가 재난대피 상황에서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와 어깨 보호부(120) 및 뒷목 보호부(130)의 외피를 불연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장비(100)는,
    상기 어깨 보호부(120)의 내측 면에 수납부(1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1)에는 유해가스 흡입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수건(122)이 수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장비(100)는,
    평상시에는 장비 주머니(101)에 상기 두부 보호 장비(10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머리 보호 본체(110)에 에어가 공급된 상태에서 방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170032038A 2017-03-14 2017-03-14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KR10187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38A KR101873895B1 (ko) 2017-03-14 2017-03-14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38A KR101873895B1 (ko) 2017-03-14 2017-03-14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895B1 true KR101873895B1 (ko) 2018-07-11

Family

ID=6291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38A KR101873895B1 (ko) 2017-03-14 2017-03-14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47B1 (ko) * 2018-08-24 2019-11-18 이주현 재난 안전 망토
KR102277304B1 (ko) 2020-12-03 2021-07-15 강민성 휴대용 재난 안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421U (ja) * 1983-09-29 1985-04-26 旭フアイバ−グラス株式会社 防災頭巾
JP2006305247A (ja) * 2005-04-27 2006-11-09 Toyoko Kumagai 防災ずきん枕
KR100934969B1 (ko) * 2008-02-15 2010-01-06 이종원 일회용 구명건
KR20110118898A (ko) * 2010-04-26 2011-11-02 백종태 비상시 공기를 공급하는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및 접이식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JP3181565U (ja) * 2012-11-30 2013-02-14 ダイトウ株式会社 防災用具
JP5349549B2 (ja) * 2011-07-15 2013-11-20 株式会社たまき 防災頭巾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421U (ja) * 1983-09-29 1985-04-26 旭フアイバ−グラス株式会社 防災頭巾
JP2006305247A (ja) * 2005-04-27 2006-11-09 Toyoko Kumagai 防災ずきん枕
KR100934969B1 (ko) * 2008-02-15 2010-01-06 이종원 일회용 구명건
KR20110118898A (ko) * 2010-04-26 2011-11-02 백종태 비상시 공기를 공급하는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및 접이식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JP5349549B2 (ja) * 2011-07-15 2013-11-20 株式会社たまき 防災頭巾
JP3181565U (ja) * 2012-11-30 2013-02-14 ダイトウ株式会社 防災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47B1 (ko) * 2018-08-24 2019-11-18 이주현 재난 안전 망토
KR102277304B1 (ko) 2020-12-03 2021-07-15 강민성 휴대용 재난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524B1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US20070113845A1 (en) Emergency hood and respirator device
KR101873895B1 (ko) 셀프 충전 방식 구조를 갖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193221B1 (ko) 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US3621841A (en) Foldable protective head enclosure
US5411017A (en) Twin collar protective enclosure
KR102003259B1 (ko) 생명구호를 위한 비닐 마스크
KR20100001153U (ko)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KR20220033392A (ko) 재난대피시 유독가스 차단 및 불연기능을 구비한 건식/습식마스크
US20060042628A1 (en) Portable face protector for protecting human being from poisonous gas and securing visibility
KR20050104851A (ko) 화재대피를 위한 휴대용 방연마스크(후드형)
KR200263300Y1 (ko) 초미니 비상용 간이 안경타입 방독면
GB2364886A (en) Fire cloak
KR200324177Y1 (ko) 재난대피를 위한 초소형 휴대용 후드
JPS607750Y2 (ja) 防煙頭巾
TWM564355U (zh) Disaster prevention hood
JP3021457U (ja) 防災マスク
CN213964880U (zh) 一种多功能消防面具
KR20220060959A (ko) 재난대피시 유독가스 차단 및 불연기능을 구비한 건식/습식마스크
KR101924803B1 (ko) 화재용 고글 마스크
KR200356414Y1 (ko) 휴대용방연마스크를 일체화한 안전가방
KR102196434B1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