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72B1 -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72B1
KR101873872B1 KR1020170027164A KR20170027164A KR101873872B1 KR 101873872 B1 KR101873872 B1 KR 101873872B1 KR 1020170027164 A KR1020170027164 A KR 1020170027164A KR 20170027164 A KR20170027164 A KR 20170027164A KR 101873872 B1 KR101873872 B1 KR 10187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late
slider
fixing groov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규
김옥기
Original Assignee
이흥규
김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김옥기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7002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에 착탈되는 손잡이가 되는 몸체;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REMOVABLE HANDLE}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조리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나 가스 렌지 등의 가열 기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에 냄비, 후라이팬 등의 다양한 조리 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 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 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 용기에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과, 세척시 손잡이에 이물질이 끼어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착탈식 손잡이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뚝배기와 같은 조리 용기는 아예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집게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게는 조리 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하기 힘들어서, 조리 용기의 그립력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도 있다.
다양한 두께의 조리 용기를 파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착탈식 손잡이가 요구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내구성과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열원의 화염으로 인해 유발되는 훼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0108호에는 다양한 두께의 조리 용기를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되고 있으나, 내구성과 생산성의 개선 방안 및 열원에 의한 훼손 방지 방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0108호
본 발명은 안전성, 내구성, 생산성이 개선되고, 열원의 화염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에 착탈되는 손잡이가 되는 몸체;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고정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홀더를 덮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 제조 방법은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가 형성된 몸체,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가 구비된 방열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판부 또는 상기 날개부를 탄성적으로 벌려서 상기 슬라이더, 상기 레버와의 조립이 완료된 상기 몸체의 밑면에 상기 방열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열원의 화염에 대면되는 부위를 금속 재질의 방열 플레이트로 덮을 수 있다. 생산성 개선을 위해 방열 플레이트는 다른 부재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몸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는 조립된 몸체에 쉽게 설치되면서, 설치된 후에는 분리가 어려운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이용해서 조리 용기를 향하는 방열 플레이트의 전방 부위가 확실하게 몸체에 밀착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의 전방 부위가 몸체에 밀착되므로, 열원의 화염 또는 조리물이 방열 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로 인해 열원의 화염에 의해 몸체가 녹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플레이트는 간소한 방식으로 몸체에 결합되는 동시에 몸체에 확실하게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 및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방열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방열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클로즈 위치', '클로즈 상태', '클로즈 방향'은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조리 용기(10)를 파지하는 위치, 방향, 상태를 말한다. '오픈 위치', '오픈 상태', '오픈 방향'은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10)의 파지를 해제하는 위치, 상태, 방향을 말한다.
일 예로, 도 1에 개시된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는 서로 가까워지면 조리 용기(10)를 파지하고, 서로 멀어지면 조리 용기(10)로부터 이탈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에서 고정 홀더(110)가 고정되고 이동 홀더(210)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오픈 방향 ⓞ는 양의 x축 방향이고, 클로즈 방향 ⓒ는 음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x축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 기준축일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레버(300)는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몸체(100) 쪽으로 레버(300)가 눌려지면, 이동 홀더(210) 또는 슬라이더(200)가 클로즈 방향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300)가 움직이면, 이동 홀더(210) 또는 슬라이더(200)는 오픈 방향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는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인 착탈식 손잡이의 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가 고정 홀더(11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됨으로써 조리 용기(10) 및 착탈식 손잡이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는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가 끝까지 눌려졌을 때 레버(300)는 도 1의 (a)와 같이 클로즈 상태가 될 수 있다. 클로즈 상태에서 이동 홀더(210)는 고정 홀더(110)를 향해 이동하고, 조리 용기를 집을 수 있는 간격 d를 만족시킬 수 있다.
레버(300)의 돌출부(330)는 언로킹 버튼(610)의 버튼 홈(611)에 밀착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언로킹 버튼(610)을 몸체(100)를 향해 누르면, 레버(300)의 오픈 방향을 따라 버튼 홈(611)이 돌출부(330)를 밀어낼 수 있다. 몸체의 외부로 밀려난 돌출부(330)에 의해 캠부(310) 역시 몸체로부터 이탈하므로, 레버(300)의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00)는 도 1의 (b)와 같이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오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착탈식 손잡이는 몸체(100) 및 슬라이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200)에는 조리 용기(10)에서 고정 홀더(110)에 의해 받쳐지는 제1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를 잡아당기는 이동 홀더(21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의 제2 위치에는 이동 홀더(21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걸림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13)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에 대면되는 조리 용기(10)의 내면일 수 있다. 또는 걸림부(13)는 조리 용기(10)의 측면에 돌출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 용기(10)의 내면 또는 고리에는 수용 공간에 대면되는 대향면이 형성되며, 이때의 대향면이 이동 홀더(210)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걸림부(13)가 될 수 있다. 대향면은 이동 홀더(210)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걸림부(13)에 걸리도록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더(2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홀더(210)의 말단부는 슬라이더(20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꺾인 상태일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걸림부(130)에 끼워지거나, 아래로부터 위로 걸림부(130)에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용기(10)의 제1 위치를 밀고, 제1 위치보다 높은 조리 용기(10)의 제2 위치를 잡아당기면서 착탈식 손잡이가 조리 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가 조리 용기(10)를 향해 접근하면, 도 2의 (b)와 같이 스토퍼(191)와 이동 홀더(210) 사이에는 걸림부(13)가 끼워질 수 있는 골(20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가 조리 용기(10)로부터 멀어지면, 이동 홀더(210), 몸체(100), 고정 홀더(110), 커버(190)의 사이에는 걸림부(13)가 관통 설치될 수 있는 통공(203)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통공(203)에 관통 삽입된 걸림부(13)는 사방이 막힌 상태가 되므로, 절대로 통공(203)을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조리 용기(10)가 고정 홀더(110)에 미끄러지는 여부에 상관없이 조리 용기(10)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조리 용기(10)의 이탈은 오로지, 오픈 방향을 따라 이동 홀더(210)를 움직이는 레버(300) 또는 언로킹 버튼(610)의 조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을 집을 수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에서 휘어진 판 형상의 측벽(11)을 집기 위해, 측벽(11)의 외면에 접촉되는 고정 홀더(110)와 측벽(11)의 내면에 접촉되는 이동 홀더(2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의 사이에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이 개재된 상태에서, 이동 홀더(210)가 고정 홀더(110)를 향해 움직이면 조리 용기(10)가 집어질 수 있다.
착탈식 손잡이는 화상이나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하여 조리 용기(10)에 확실하게 결합되어야 하지만,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의 직경 변화, 곡률 변화나 두께 변화에 따라 일정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조리시의 온도 상승이나 홀더 부분의 변형 발생시 착탈식 손잡이 및 조리 용기(10)의 접촉 조건 또는 마찰 조건이 변동되므로 결합력이 일정치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으로 홀더 부분에 이물질이나 녹이 끼어 있는 경우에도, 초기 설계시의 접촉 조건이 변동되므로 착탈식 손잡이와 조리 용기(10)의 결합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리 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10)와 함께 가스 레인지 등의 열원 상에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조리 용기(10)로부터 전달된 열 또는 열원의 화염 f에 의한 열이 몸체(100)로 전파된다면, 몸체(100)를 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몸체(100)는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이 낮은 몸체(100)라 하더라도 열원의 화염에 직접 닿는 부분은 열에 의해 타거나 훼손될 수 있다. 화염 등으로부터 몸체(100)를 보호하기 위해 방열 플레이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다양한 조리 용기(10)에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몸체(100), 슬라이더(200), 레버(300), 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는 일방향을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11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를 잡기 위해서는 착탈식 손잡이에 의해 잡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점이 필요하다.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를 지지하는 지지점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에서 측벽(11)의 내면 또는 외면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는 접촉되는 조리 용기(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조리 용기(10)를 잡기 위한 지지점 중 다른 하나가 될 수 있다. 몸체(100)에 고정된 고정 홀더(110)를 대신해서 이동 홀더(210)는 몸체(10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고정 홀더(110)를 향해 접근하거나, 고정 홀더(110)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10)를 파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일측 단부에 이동 홀더(2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는 손으로 누르면 몸체(100)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버(300)에는 캠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의 제1 운동과 가압부(400)의 제2 운동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캠부(310)는 레버(300)의 제1 운동에 의해 가압부(400)가 제2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는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운동되게 형성된 경우, 레버(300)는 힌지(350)에 의하여 몸체(100)에 힌지(350) 결합될 수 있다. 레버(300)는 힌지(350)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가압부(4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는 슬라이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두께 또는 다양한 곡률을 갖는 조리 용기(10)에 대응되도록, 클로즈 스프링(630)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400)와 슬라이더(200)는 클로즈 스프링(630)에 의해 서로 연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캠부(310)는 힌지(3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소정의 스윙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레버(300)의 회동시 캠부(310)가 가압부(400)를 직선 이동시키고, 가압부(400)는 클로즈 스프링(630)을 통하여 클로즈 위치를 향하는 가압력을 슬라이더(200)에 작용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슬라이더(200)를 움직이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에는 캠부(310)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49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는 레버(300)를 누르면 캠부(310)에 접촉된 접촉 수단(49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움직일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를 가정할 때, 캠부(310)에 의해 가압부(400)가 밀려나도록 캠부(310)는 가압부(4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홀더(210)는 몸체(100)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홀더(210)에 연결된 슬라이더(200)는 가압부(400)까지 연장되기 위해 캠부(310)를 지나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길어질 수밖에 없다. 긴 슬라이더(200)는 가공 또는 운반 조립 과정에서 쉽게 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슬라이더(200) 또는 이동 홀더(210)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더(200)의 길이는 최대한 짧은 것이 좋다. 슬라이더(200)의 길이가 줄어들면 슬라이더(200)의 생산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200) 및 가압부(4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더(20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압부(400)에는 슬라이더(200)에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410), 접촉 수단(490),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의 사이에서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30)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430)에는 레버(300)가 눌려지면 캠부(310)가 통과하는 통과 홀(439)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에서 가이드 수단(410)은 이동 홀더(210)와 캠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통과 홀(439)을 덮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 홀더(210)로부터 가이드 수단(4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00)는 캠부(310)를 넘어서 접촉 수단(490)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으며, 캠부(310)를 넘지 않고 가이드 수단(410)까지만 연장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슬라이더(200)의 길이가 현저하게 짧아질 수 있다. 짧은 길이를 갖는 슬라이더(200)는 휨 염려가 적으므로, 이동 홀더(210)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가압부(400)와 슬라이더(20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200)를 가압부(400)와 연동시키는 클로즈 스프링(630)이 마련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가압부(400)가 클로즈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면서 슬라이더(200)를 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에는 가압부(400)에 형성된 가이드 수단(410)에 끼워지는 가이드 홀(208)이 마련될 수 있다. 내구성 개선을 위해 슬라이더(2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부(400)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00)보다 가공성이 우수한 가압부(400)에 슬라이더(200)에 끼워지는 돌출된 가이드 수단(410)이 형성되고, 슬라이더(200)에 통공에 해당하는 가이드 홀(208)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가이드 홀(208)에 끼워지면, 가이드 수단(410)은 가이드 홀(208)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더(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가이드 홀(208)의 길이는 가이드 홀(208)에 끼워진 가이드 수단(410)의 길이보다 설정값 K만큼 길 수 있다.
설정값 K는 다양한 조리 용기(10)의 두께 또는 곡률에 따라 결정되는 여유분에 해당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평소 설정값 K만큼 가이드 수단(410)과 가이드 홀(208)이 이격되게 복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클로즈 상태에서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얇은 두께의 조리 용기(10) 또는 큰 곡류 반경을 갖는 조리 용기(10)가 파지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의 두께가 두껍거나 곡류 반경이 작은 경우 레버(300)를 클로즈 상태로 누를 경우,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멀어져야만 한다.
레버(300)의 클로즈 상태에서, 레버(300)의 추가 조작없이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따라 조절되도록 클로즈 스프링(630)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얇은 두께의 조리 용기(10)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캠부(310)에 형성된 가압 구간을 이용해 클로즈 스프링(630)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굴복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로즈 스프링(630)은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적응적으로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410)에는 클로즈 스프링(630)이 삽입되는 클로즈 설치 홈(41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410)에 대해 슬라이더(200)를 몸체(100)의 후방측으로 밀어내게 클로즈 스프링(630)이 설치되도록, 클로즈 설치 홈(419)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클로즈 설치 홈(419)에 삽입된 클로즈 스프링(630)의 일단은 몸체(100)의 전방을 향해 가이드 수단(410)을 밀어내게 클로즈 설치 홈(419)에 지지되고, 클로즈 스프링(630)의 타단은 몸체(100)의 후방을 향해 슬라이더(200)를 밀어내게 가이드 홀(208)의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레버(300)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레버(300)를 오픈 상태로 복귀시키는 오픈 스프링(650)이 마련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은 슬라이더(200) 및 몸체(100) 사이에 개재되며 슬라이더(200)를 오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에는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가이드 수단(410)으로부터 이격된 접촉 수단(490),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30)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430)에는 캠부(310)가 통과하는 통과 홀(439)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수단(490)에는 오픈 스프링(650)이 삽입되는 오픈 설치 홈(499)이 형성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은 몸체(100)를 기준으로 가압부(400) 또는 슬라이더(200)를 몸체(100)의 전방 측으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기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픈 설치 홈(499)에 삽입된 오픈 스프링(650)의 일단은 접촉 수단(490)을 전방측으로 밀어내게 오픈 설치 홈(499)에 지지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의 타단은 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커버(190)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의 일면에는 슬라이더(200), 레버(300), 가압부(400) 등이 삽입되거나 설치되는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90)는 홈 등이 형성된 몸체(100)의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커버(190)는 슬라이더(200) 등의 각종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다른 부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190)는 슬라이더(2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에는 이동 홀더(210)와 가이드 홀(208) 사이에 장홀(20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홀(209)의 연장 방향은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장홀(209)에 대면되는 커버(190)의 일면에는 장홀(209)에 끼워지는 제1 기둥부(19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는 몸체(1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에 커버(190)가 결합되면 제1 기둥부(199)는 슬라이더(200)의 장홀(209)을 관통해서 몸체(100)의 제1 기둥 홀(109)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기둥 홀(109)에 삽입된 제1 기둥부(199)는 몸체(100)에 고정되고, 제1 기둥부(199)는 장홀(209)의 이동 기준이 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만 마련되면, 제1 기둥부(199)를 회전 중심으로 슬라이더(200)가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90)에는 제2 기둥부(198)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는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제1 기둥부(199)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는 제2 기둥부(198)가 삽입되는 제2 기둥 홀(108)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둥 홀(108)에 삽입된 제2 기둥부(198)는 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는 커버(19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제2 기둥부(198) 간의 간격은 슬라이더(20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에 의해 장홀(209)이 가이드되고, 제2 기둥부(198)에 의해 슬라이더(200)의 측부가 가이드되므로 슬라이더(200)는 자연스럽게 직선 이동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몸체(100) 또는 고정 홀더(100)의 밑면 또는 외주면에는 방열 플레이트(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방열 플레이트(500)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방열 플레이트(500)의 배면도이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열원에 대면되는 몸체의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열원에 대면되는 몸체의 일면은 고정 홀더(110)가 구비된 몸체(100)의 외주면, 밑면, 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에서 열을 받는 조리 용기(10)에 가장 가까운 요소는, 조리 용기(10)를 향해 돌출되고 조리 용기(1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홀더(110)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의 열 또는 열원의 화염 f를 가장 많이 받는 부위에 해당되므로, 높은 열에 의해 변형 등이 발생하기 쉽다. 일단 변형이 발생되면, 외관이 악화되며 끼어있는 음식물을 닦아내기 어려운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한 내구성 약화로 인해 고정 홀더(110) 부분이 파손될 염려도 있다.
열로부터 고정 홀더(110)를 보호하기 위해, 방열 플레이트(500)는 고정 홀더(110)를 덮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열원의 화염 f로부터 고정 홀더(110) 및 몸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동 홀더(2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조리 용기(10)의 일 지지점이 되도록,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 중 하측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 플레이트(500)는 판부(590), 연장부(560), 날개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부(590)는 고정 홀더(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을 포함할 수 있다. 판부(59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홀더(110)를 넘어 몸체(1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60)는 고정 홀더(110)를 넘어 몸체(100)까지 연장된 판부(590)의 단부로부터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날개부(580)는 판부(590) 또는 연장부(560)로부터 몸체(100)를 향해 돌출되고 몸체(100)에 형성된 고정 홈(150)에 끼워질 수 있다.
판부(590)는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몸체(1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날개부(580)가 끼워지는 고정 홈(150)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150)은 커버(190)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0)은 날개부(580), 연장부(560), 판부(590)에 의해 감싸진 상태가 되므로, 방열 플레이트(500)의 설치는 고정 홈(150)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0)의 외면에 간단하게 끼우는 방식을 통해 방열 플레이트(5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합성 수지 재질의 몸체(100)를 덮는 외피가 될 수 있다. 이때, 외피의 일부가 들리면 외피와 몸체(100) 사이의 틈 사이로 화염이 진입해서 몸체(100)가 훼손될 수 있다. 또는 외피와 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음식물이 유입되어 몸체(100)가 오염될 수 있다. 일 예로, 외피와 몸체(100) 사이로 유입된 음식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쉽게 ?을 수 있다.
몸체(100)의 훼손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는 몸체(100)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몸체(100)의 외면에 방열 플레이트(500)를 끼우는 조립 방식에 따르면, 방열 플레이트(500) 전체를 몸체(100)에 밀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화염 또는 음식물의 유입이 예상되는 방열 플레이트(500)의 전방 부위를 유격없이 확실하게 몸체(100)에 밀착시키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의 전방 부위를 몸체(100)에 밀착시키기 위해 날개부(580)가 이용될 수 있다.
날개부(580)에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홈 형상의 고정 홈(150)에 함께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는 서로 다른 고정 홈(150)에 각각 끼워져도 무방하다.
제1 날개(510)는 제2 날개(520)보다 고정 홀더(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날개(520)는 제1 날개(510)보다 위로 들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하나의 고정 홈(150)이 마련된 경우를 가정한다.
고정 홈(150)에 날개부(580)에 설치된 경우 제2 날개(520)보다 아래로 내려진 제1 날개(510)는 고정 홈(150)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1 날개(510)는 고정 홈(150)에 대면되는 고정부(19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날개(150)보다 위로 들린 제2 날개(520)는 고정 홈(150)에 대면되는 고정부(193)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2 날개(520)는 고정 홈(150)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0)에 밀착된 제1 날개(510)는 몸체(100)의 밑면으로부터 윗면을 향하는 제1 방향(중력의 반대 방향, z축의 양의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게 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510)에는 제1 방향을 따라 탄성력 F1이 작용한다.
고정부(193)에 밀착된 제2 날개(520)는 몸체(100)의 윗면으로부터 밑면을 향하는 제2 방향(중력 방향, z축의 음의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게 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날개(520)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탄성력 F2가 작용한다.
제1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는 제1 날개(510) 및 제2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는 제2 날개(520)에 의해 방열 플레이트(500)의 전단부는 몸체(100)의 밑면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홈(150)에 설치된 날개부(580)는 고정부(193)에 의해 고정 홈(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홈(150)에 밀착된 제1 날개(510)는 F1에 의해 위로 들릴 수 있다. 반대로, 고정부(193)에 밀착된 제2 날개(520)는 F2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제1 날개(510)와 제2 날개(520) 사이의 중심 m을 가정할 때, m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회전 모멘트는 방열 플레이트(500) 또는 판부(590)의 앞부분을 몸체(100)를 향해 밀어올리고, 방열 플레이트(500) 또는 판부(590)의 뒷부분을 아래로 내리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510), 제2 날개(520), 고정 홈(150), 고정부(193)에 따르면, 방열 플레이트(500)의 앞부분은 확실하게 몸체(100)에 밀착될 수 있다.
몸체(100)의 윗면에 결합되는 커버(190)가 마련될 때, 방열 플레이트(500)의 날개부(580)가 끼워지는 고정 홈(150)은 커버(190)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0)에 대면되는 커버의 일면에는 고정 홈(150)을 덮는 고정부(193)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93)는 커버(190)로부터 고정 홈(150)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고정 홈(150)에 대면되는 고정부(193)의 일면은 고정 홈(150)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몸체(100)에 커버(190)가 결합되거나, 커버(190)가 몸체(100)를 덮은 상태에서 고정부(193)는 고정 홈(150)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와 커버(190)가 서로 결합된 상태라 하더라도, 방열 플레이트(500)는 고정 홈(150)과 고정부(193) 사이의 틈에 해당하는 결합 구멍(101)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날개부(580)는 판부(590)의 단부에 대해 예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판부(590)에 대해 예각으로 구부러진 날개부(580)의 단부는 결합 구멍(101)의 입구 등에 걸리기 쉬우므로, 외력을 가해 판부(590)를 벌리더라도 결합 구멍(101) 또는 고정 홈(150)에 날개부(580)를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용이한 설치를 위해 날개부(580)의 단부에는 판부(590)에 대해 날개부(580)가 구부러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 가이드부(501)가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580)는 탄성적으로 벌려진 판부(590)에 의해 고정 홈(150)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 홈(150)은 판부(590)의 단부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외벽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580)가 진입하는 입구에 해당하는 고정 홈(150)의 단부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02)는 고정 홈(150)의 형성을 위해 몸체(100)의 외면에 대해 예각으로 꺾여진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가공된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501) 및 제2 가이드부(102)에 의하면, 날개부(580)의 단부는 쉽게 미끄러지면서 고정 홈(150)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도 4와 같이 조립 공정 및 장착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조립 공정은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110)가 형성된 몸체(100), 고정 홀더(110)를 향해 접근하거나 고정 홀더(110)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10)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210)가 형성된 슬라이더(200), 손으로 누르면 몸체(100)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더(200)를 이동시키는 레버(300)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공정을 통해 방열 플레이트(500)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조립 공정의 결과물에 해당하는 조립체는 조리 용기(10)를 파지하는 기능면에서 완제품과 동일할 수 있다.
장착 공정은 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590), 판부(590)의 양 단부로부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580)가 구비된 방열 플레이트(500)를 마련하고, 판부(590) 또는 날개부(580)를 탄성적으로 벌려서 슬라이더(200), 레버(300)와의 조립이 완료된 몸체(100)의 밑면에 방열 플레이트(500)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에 방열 플레이트(500)를 장착하는 공정은 몸체(100)의 조립 과정 중에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100)의 조립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열 플레이트(500)의 설치 작업이 배제된 몸체(100)의 조립 과정에 매우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나사를 이용한 체결 공정 대신 커버(190)가 결합된 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 구멍(101)에 날개부(580)를 삽입하는 간소한 장착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를 마련하는 단계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를 형성하고, 제2 날개(520)보다 고정 홀더(110)에 가깝게 제1 날개(510)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100)의 밑면으로부터 윗면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몸체(100)에 탄성 바이어스되게 제1 날개(510)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100)의 윗면으로부터 밑면을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몸체(100)에 탄성 바이어스되게 제2 날개(520)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립 공정을 거쳐 조립이 완료된 몸체(100)에는 날개부(580)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101)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구멍(101)을 형성하는 하측 내벽을 형성하는 고정 홈(150)과 상측 내벽을 형성하는 고정부(193)가 정의될 때, 고정 홈(150)에 제1 날개(51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고정 홈(150) 또는 제1 날개(510)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193)에 제2 날개(52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고정부(193) 또는 제2 날개(520)를 형성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결합 구멍(101)에 설치된 방열 플레이트(500)의 앞단은 몸체(10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조리 용기 11...측벽
13...걸림부
100...몸체 101...결합 구멍
102...제2 가이드부 108...제2 기둥 홀
109...제1 기둥 홀 110...고정 홀더
150...고정 홈 190...커버
193...고정부 198...제2 기둥부
199...제1 기둥부 200...슬라이더
201...골 203...통공
208...가이드 홀 209...장홀
210...이동 홀더 300...레버
307...벽부 309...삽입 홈
310...캠부 330...돌출부
350...힌지 400...가압부
410...가이드 수단 419...클로즈 설치 홈
430...연결 수단 439...통과 홀
490...접촉 수단 491...돌기
499...오픈 설치 홈 500...방열 플레이트
501...제1 가이드부 510...제1 날개
520...제2 날개 560...연장부
580...날개부 590...판부
610...언로킹 버튼 611...버튼 홈
630...클로즈 스프링 650...오픈 스프링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리 용기에 착탈되는 손잡이가 되는 몸체;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부는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날개부가 끼워지는 고정 홈이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상기 고정 홈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보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고정 홀더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고정 홈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 홈에 대면되는 고정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착탈식 손잡이.
  7. 조리 용기에 착탈되는 손잡이가 되는 몸체;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의 밑면을 덮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체에 끼워지는 날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보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고정 홀더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몸체의 밑면으로부터 윗면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게 상기 몸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몸체의 윗면으로부터 밑면을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게 상기 몸체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되는 상기 제2 날개에 의해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전단부는 상기 몸체의 밑면에 밀착되는 착탈식 손잡이.
  8. 조리 용기에 착탈되는 손잡이가 되는 몸체;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판부의 단부에 대해 예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는 상기 판부에 대해 상기 날개부가 구부러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날개부가 끼워지는 고정 홈이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는 탄성적으로 벌려진 상기 판부에 의해 상기 고정 홈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판부의 단부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외벽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가 진입하는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 홈의 단부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착탈식 손잡이.
  9. 삭제
  10. 삭제
  11.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가 형성된 몸체,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가 구비된 방열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판부 또는 상기 날개부를 탄성적으로 벌려서 상기 슬라이더, 상기 레버와의 조립이 완료된 상기 몸체의 밑면에 상기 방열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날개보다 상기 고정 홀더에 가깝게 상기 제1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밑면으로부터 윗면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탄성 바이어스되게 상기 제1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윗면으로부터 밑면을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탄성 바이어스되게 상기 제2 날개를 형성하는 착탈식 손잡이 제조 방법.
  12.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가 형성된 몸체,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레버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가 구비된 방열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판부 또는 상기 날개부를 탄성적으로 벌려서 상기 슬라이더, 상기 레버와의 조립이 완료된 상기 몸체의 밑면에 상기 방열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를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날개보다 상기 고정 홀더에 가깝게 상기 제1 날개를 형성하며,
    조립이 완료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 구멍을 형성하는 하측 내벽을 형성하는 고정 홈과 상측 내벽을 형성하는 고정부가 정의될 때,
    상기 고정 홈에 상기 제1 날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 홈 또는 상기 제1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기 제2 날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날개를 형성하는 착탈식 손잡이 제조 방법.
KR1020170027164A 2017-03-02 2017-03-02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KR10187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64A KR101873872B1 (ko) 2017-03-02 2017-03-02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64A KR101873872B1 (ko) 2017-03-02 2017-03-02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872B1 true KR101873872B1 (ko) 2018-07-05

Family

ID=6292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64A KR101873872B1 (ko) 2017-03-02 2017-03-02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87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608A (en) Cooking vessel handle
US11399665B2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US9155426B2 (en) Removable gripping device for a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11957277B2 (en) Grilling tool
US8267277B2 (en)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KR101399364B1 (ko) 락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냄비
EP0769263A1 (fr) Dispositif de préhension amovible pour récipient
WO1996001070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et de la fermeture des machoires de verrouillage pour un recipient sous pression
US3474486A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ware
KR101873872B1 (ko)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US20070199958A1 (en) Pivoting handle retention mechanism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5727681B2 (ja) 調理器具における着脱可能な取手装置
KR101873865B1 (ko)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KR20060108597A (ko)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KR101842049B1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홀딩 장치
KR101873868B1 (ko)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US20160095467A1 (en) Handle and Container with Handle
KR101596210B1 (ko)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KR100883903B1 (ko)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CN108826377B (zh) 隔热旋钮和具有其的燃气灶
EP0852924B1 (fr) Dispositif de préhension pour ustensile de cuisson
JP2008148863A (ja) 調理用鍋蓋
KR101931554B1 (ko) 보호 마개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