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65B1 -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865B1 KR101873865B1 KR1020170020605A KR20170020605A KR101873865B1 KR 101873865 B1 KR101873865 B1 KR 101873865B1 KR 1020170020605 A KR1020170020605 A KR 1020170020605A KR 20170020605 A KR20170020605 A KR 20170020605A KR 101873865 B1 KR101873865 B1 KR 101873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lever
- section
- contact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캠부가 형성된 레버; 상기 캠부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면 상기 캠부에 접촉된 상기 접촉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움직이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조리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나 가스 렌지 등의 가열 기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에 냄비, 후라이팬 등의 다양한 조리 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 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 용기에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과, 세척시 손잡이에 이물질이 끼어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착탈식 손잡이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뚝배기와 같은 조리 용기는 아예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집게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게는 조리 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하기 힘들어서, 조리 용기의 그립력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도 있다.
다양한 두께의 조리 용기를 파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착탈식 손잡이가 요구되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내구성과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열원의 화염으로 인해 유발되는 훼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0108호에는 다양한 두께의 조리 용기를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되고 있으나, 내구성과 생산성의 개선 방안 및 열원에 의한 훼손 방지 방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안전성, 내구성, 생산성이 개선되고, 열원의 화염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캠부가 형성된 레버; 상기 캠부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면 상기 캠부에 접촉된 상기 접촉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움직이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손으로 누르면 움직이는 레버에 의해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버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이동 홀더를 움직이는 요소로 캠부가 적용되며, 캠부로 인해 레버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간소화된 레버로 인해 내구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부의 경사 구간을 복수로 구분해서 적어도 레버가 손으로 눌려지는 마지막 구간에서는 적은 악력으로도 조리 용기를 단단하게 잡을 수 있는 강한 파지력이 확실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두께 또는 다양한 곡률의 조리 용기를 파지하기 위해 마련된 클로즈 스프링의 강한 탄성력을 복수로 구분된 캠부의 경사 구간을 이용해서 적은 악력만으로 용이하게 굴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부에 접촉되는 가압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돌기, 레버에 형성된 삽입 홈으로 인해 별도의 언로킹 버튼이 눌려지기 전까지 언로킹 동작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손잡이가 되는 몸체와 함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레버가 형성되면, 적어도 손잡이에 해당하는 몸체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는 조리 용기가 그랩된 로킹 상태가 절대로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가능한 비정상적 언로킹 상태는 슬라이더의 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가 짧은 길이로 형성되므로 슬라이더의 휨 현상이 발생되기 어렵다. 슬라이더의 휨 현상이 방지되므로, 조리 용기의 로킹 상태가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가압부를 이용해서 슬라이더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가압부에는 이동 홀더가 마련된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 캠부가 통과하는 통과 홀이 마련된 연결 수단, 캠부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이 순서대로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이동 홀더와 캠부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수단까지만 연장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개선되고 슬라이더의 휨 현상 등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조리 용기를 지지하는 이동 홀더 역시 외력에 의한 변형이 확실하게 방지되므로, 조리 용기를 잡는 파지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열원의 화염에 대면되는 부위를 금속 재질의 방열 플레이트로 덮을 수 있다. 생산성 개선을 위해 방열 플레이트는 다른 부재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몸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는 조립된 몸체에 쉽게 설치되면서, 설치된 후에는 분리가 어려운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이용해서 조리 용기를 향하는 방열 플레이트의 전방 부위가 확실하게 몸체에 밀착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의 전방 부위가 몸체에 밀착되므로, 열원의 화염 또는 조리물이 방열 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 및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방열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방열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 및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방열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방열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오픈 위치', '오픈 상태', '오픈 방향'은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조리 용기(10)를 파지하는 위치, 방향, 상태를 말한다. '클로즈 위치', '클로즈 상태', '클로즈 방향'은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10)의 파지를 해제하는 위치, 상태, 방향을 말한다.
일 예로, 도 1에 개시된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는 서로 가까워지면 조리 용기(10)를 파지하고, 서로 멀어지면 조리 용기(10)로부터 이탈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에서 고정 홀더(110)가 고정되고 이동 홀더(210)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오픈 방향 ⓞ는 양의 x축 방향이고, 클로즈 방향 ⓒ는 음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x축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 기준축일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레버(300)는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몸체(100) 쪽으로 레버(300)가 눌려지면, 이동 홀더(210) 또는 슬라이더(200)가 클로즈 방향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300)가 움직이면, 이동 홀더(210) 또는 슬라이더(200)는 오픈 방향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 및 이동 홀더(210)는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인 착탈식 손잡이의 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가 고정 홀더(11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됨으로써 조리 용기(10) 및 착탈식 손잡이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는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을 집을 수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에서 휘어진 판 형상의 측벽(11)을 집기 위해, 측벽(11)의 외면에 접촉되는 고정 홀더(110)와 측벽(11)의 내면에 접촉되는 이동 홀더(2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의 사이에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이 개재된 상태에서, 이동 홀더(210)가 고정 홀더(110)를 향해 움직이면 조리 용기(10)가 집어질 수 있다.
착탈식 손잡이는 화상이나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하여 조리 용기(10)에 확실하게 결합되어야 하지만,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의 직경 변화, 곡률 변화나 두께 변화에 따라 일정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조리시의 온도 상승이나 홀더 부분의 변형 발생시 착탈식 손잡이 및 조리 용기(10)의 접촉 조건 또는 마찰 조건이 변동되므로 결합력이 일정치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으로 홀더 부분에 이물질이나 녹이 끼어 있는 경우에도, 초기 설계시의 접촉 조건이 변동되므로 착탈식 손잡이와 조리 용기(10)의 결합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다양한 조리 용기(10)에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몸체(100), 슬라이더(200), 레버(300), 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는 일방향을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일측 단부에 고정 홀더(11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를 잡기 위해서는 착탈식 손잡이에 의해 잡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점이 필요하다.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를 지지하는 지지점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홀더(110)는 조리 용기(10)에서 측벽(11)의 내면 또는 외면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고정 홀더(110)는 접촉되는 조리 용기(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조리 용기(10)를 잡기 위한 지지점 중 다른 하나가 될 수 있다. 몸체(100)에 고정된 고정 홀더(110)를 대신해서 이동 홀더(210)는 몸체(10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홀더(210)는 고정 홀더(110)를 향해 접근하거나, 고정 홀더(110)로부터 멀어지면서 조리 용기(10)를 파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일측 단부에 이동 홀더(2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는 손으로 누르면 몸체(100)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버(300)에는 캠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의 제1 운동과 가압부(400)의 제2 운동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캠부(310)는 레버(300)의 제1 운동에 의해 가압부(400)가 제2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는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운동되게 형성된 경우, 레버(300)는 힌지(350)에 의하여 몸체(100)에 힌지(350) 결합될 수 있다. 레버(300)는 힌지(350)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가압부(4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는 슬라이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두께 또는 다양한 곡률을 갖는 조리 용기(10)에 대응되도록, 클로즈 스프링(630)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400)와 슬라이더(200)는 클로즈 스프링(630)에 의해 서로 연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캠부(310)는 힌지(3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소정의 스윙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레버(300)의 회동시 캠부(310)가 가압부(400)를 직선 이동시키고, 가압부(400)는 클로즈 스프링(630)을 통하여 클로즈 위치를 향하는 가압력을 슬라이더(200)에 작용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슬라이더(200)를 움직이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에는 캠부(310)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49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00)는 레버(300)를 누르면 캠부(310)에 접촉된 접촉 수단(49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움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캠부(310)의 일면은 가압부(400)에 형성된 접촉 수단(490)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접촉 수단(490)에 대면되는 캠부(310)의 일면에는 접촉 수단(490)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경사진 슬라이딩 구간 ①, 가압 구간 ②, 저지 구간 ③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레버(300)가 눌리면, 접촉 수단(490)은 슬라이딩 구간 ①, 가압 구간 ②, 저지 구간 ③의 순서대로 캠부(310)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가압부(400)를 몸체(100)의 후방으로 밀어낸다.
슬라이딩 구간 ①은 접촉 수단(490)이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이는 경사 구간일 수 있다.
가압 구간 ②는 접촉 수단(490)이 가압되면서 움직이는 경사 구간일 수 있다. 가압 구간은 슬라이딩 구간과 비교하여 경사가 급한 구간일 수 있다. 가압 구간은 레버(300)부가 움직인 거리당 가압부(400)가 움직인 거리가 슬라이딩 구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구간에 접촉된 접촉 수단(490)은 슬라이딩 구간에 접촉될 때와 비교하여, 이동 속도를 작지만 높은 가압력을 가압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저지 구간 ③은 접촉 수단(490)의 움직임이 저지되는 경사 구간일 수 있다. 레버가 클로즈 위치까지 눌리면, 저지 구간은 가압부에 대면하게 배치되면서 가압부의 진행을 가로 막을 수 있다.
접촉 수단(490)이 저지 구간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레버(300)가 움직이더라도 가압부(400)는 정지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가압부(400)의 움직임 역시 저지 구간에 의해 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저지 구간은 레버(300)부가 움직인 거리당 가압부(400)가 움직인 거리가 0에 수렴하도록 경사진 구간일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에서 저지 구간은 접촉 수단(490)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접촉 수단(490)의 단부에는 가압부(400)의 이동 방향에 기울어지게 돌출된 돌기(49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수단(490)에 대면되는 레버(300)의 일면 또는 저지 구간에는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에서 접촉 수단(490)에 형성된 돌기(491)가 삽입되는 삽입 홈(309)이 형성될 수 있다. 저지 구간에 진입한 접촉 수단(490)의 돌기(491)가 삽입 홈(309)에 삽입되면, 원하지 않게 접촉 수단(490)이 저지 구간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가압부(40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클로즈 스프링(630)이 압축 또는 복원되며 가압부(400) 및 슬라이더(200)의 상대 위치에 따라 클로즈 스프링(630)의 가압력은 레버(300)의 회동량과 별개로 조절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의 측벽(11)이 두껍거나 곡률 반경 R이 작아서 슬라이더(200)의 이동이 규제된 경우에도, 클로즈 스크링의 압축 변형에 따라 레버(300)를 클로즈 방향으로 계속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캠부(310)는 조리 용기(10)의 두께나 곡률에 상관없이 저지 구간으로 넘어갈 수 있다. 가압부(400)의 접촉 수단(490)이 저지 구간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저지 구간의 수직 반력이 오픈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레버(300)는 로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레버(300)는 몸체(100)를 쥐는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평소, 레버(300)는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300)와 함께 몸체(100)를 쥐게 되면 레버(300)는 자연스럽게 몸체(100)를 향해 움직이며, 움직임의 최종 상태는 클로즈 방향을 따라 이동한 가압부(400)의 접촉 수단(490)이 캠부(310)의 저지 구간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체(100)를 쥔 후에 몸체(100)의 쥠 상태를 해제하더라도, 가압부(400)는 저지 구간에 막혀서 이동하지 못하므로 조리 용기(10)가 파지된 클로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언로킹 버튼(610)에는 한 변이 개방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버튼 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에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330)가 버튼 홈(611)에 대면되게 마련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리면 돌출부(330) 및 버튼 홈(611)이 접촉 간섭되면서 언로킹 버튼(610)이 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300)가 끝까지 눌려졌을 때 저지 구간 및 접촉 수단(490)이 접촉되고, 레버(300)는 도 1의 (a)와 같이 로킹 상태가 될 수 있다. 레버(300)의 돌출부(330)는 언로킹 버튼(610)의 버튼 홈(611)에 밀착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언로킹 버튼(610)을 몸체(100)를 향해 누르면, 레버(300)의 오픈 방향을 따라 버튼 홈(611)이 돌출부(330)를 밀어낼 수 있다. 밀려난 돌출부(330)에 의해 캠부(310)의 저지 구간이 접촉 수단(490)을 이탈하므로, 레버(300)의 로킹은 해제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00)는 도 1의 (b)와 같이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오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캠부(310)에 접촉된 접촉 수단(490)은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200) 및 가압부(400)의 직선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레버(300)의 양측에는 가압 구간 및 저지 구간으로부터 레버(3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벽부(307)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400)의 접촉 수단(490)은 양 벽부(307)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벽부(307) 사이의 골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저지 구간의 단부에 연결된 레버(300)의 바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를 가정할 때, 캠부(310)에 의해 가압부(400)가 밀려나도록 캠부(310)는 가압부(4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홀더(210)는 몸체(100)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홀더(210)에 연결된 슬라이더(200)는 가압부(400)까지 연장되기 위해 캠부(310)를 지나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길어질 수밖에 없다. 긴 슬라이더(200)는 가공 또는 운반 조립 과정에서 쉽게 휘거나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슬라이더(200) 또는 이동 홀더(210)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더(200)의 길이는 최대한 짧은 것이 좋다. 슬라이더(200)의 길이가 줄어들면 슬라이더(200)의 생산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200) 및 가압부(4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부(4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슬라이더(200)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압부(400)에는 슬라이더(200)에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410), 접촉 수단(490),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의 사이에서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30)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430)에는 레버(300)가 눌려지면 캠부(310)가 통과하는 통과 홀(439)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진 상태에서 가이드 수단(410)은 이동 홀더(210)와 캠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통과 홀(439)을 덮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 홀더(210)로부터 가이드 수단(4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00)는 캠부(310)를 넘어서 접촉 수단(490)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으며, 캠부(310)를 넘지 않고 가이드 수단(410)까지만 연장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슬라이더(200)의 길이가 현저하게 짧아질 수 있다. 짧은 길이를 갖는 슬라이더(200)는 휨 염려가 적으므로, 이동 홀더(210)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가압부(400)와 슬라이더(20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200)를 가압부(400)와 연동시키는 클로즈 스프링(630)이 마련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가압부(400)가 클로즈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면서 슬라이더(200)를 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에는 가압부(400)에 형성된 가이드 수단(410)에 끼워지는 가이드 홀(208)이 마련될 수 있다. 내구성 개선을 위해 슬라이더(2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부(400)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00)보다 가공성이 우수한 가압부(400)에 슬라이더(200)에 끼워지는 돌출된 가이드 수단(410)이 형성되고, 슬라이더(200)에 통공에 해당하는 가이드 홀(208)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가이드 홀(208)에 끼워지면, 가이드 수단(410)은 가이드 홀(208)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더(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가이드 홀(208)의 길이는 가이드 홀(208)에 끼워진 가이드 수단(410)의 길이보다 설정값 k만큼 길 수 있다.
설정값 k는 다양한 조리 용기(10)의 두께 또는 곡률에 따라 결정되는 여유분에 해당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평소 설정값 k만큼 가이드 수단(410)과 가이드 홀(208)이 이격되게 복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클로즈 상태에서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얇은 두께의 조리 용기(10) 또는 큰 곡류 반경을 갖는 조리 용기(10)가 파지될 수 있다.
조리 용기(10)의 두께가 두껍거나 곡류 반경이 작은 경우 레버(300)를 클로즈 상태로 누를 경우,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멀어져야만 한다.
레버(300)의 클로즈 상태에서, 레버(300)의 추가 조작없이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 d가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따라 조절되도록 클로즈 스프링(630)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은 얇은 두께의 조리 용기(10)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캠부(310)에 형성된 가압 구간을 이용해 클로즈 스프링(630)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굴복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로즈 스프링(630)은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적응적으로 이동 홀더(210)와 고정 홀더(1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410)에는 클로즈 스프링(630)이 삽입되는 클로즈 설치 홈(41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410)에 대해 슬라이더(200)를 몸체(100)의 후방측으로 밀어내게 클로즈 스프링(630)이 설치되도록, 클로즈 설치 홈(419)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클로즈 설치 홈(419)에 삽입된 클로즈 스프링(630)의 일단은 몸체(100)의 전방을 향해 가이드 수단(410)을 밀어내게 클로즈 설치 홈(419)에 지지되고, 클로즈 스프링(630)의 타단은 몸체(100)의 후방을 향해 슬라이더(200)를 밀어내게 가 가이드 홀(208)의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레버(300)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레버(300)를 오픈 상태로 복귀시키는 오픈 스프링(650)이 마련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은 슬라이더(200) 및 몸체(100) 사이에 개재되며 슬라이더(200)를 오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가압부(400)에는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가이드 수단(410)으로부터 이격된 접촉 수단(490), 가이드 수단(410)과 접촉 수단(49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30)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수단(430)에는 캠부(310)가 통과하는 통과 홀(439)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수단(490)에는 오픈 스프링(650)이 삽입되는 오픈 설치 홈(499)이 형성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은 몸체(100)를 기준으로 가압부(400) 또는 슬라이더(200)를 몸체(100)의 전방 측으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기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픈 설치 홈(499)에 삽입된 오픈 스프링(650)의 일단은 접촉 수단(490)을 전방측으로 밀어내게 오픈 설치 홈(499)에 지지될 수 있다. 오픈 스프링(650)의 타단은 몸체(100)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커버(190)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의 일면에는 슬라이더(200), 레버(300), 가압부(400) 등이 삽입되거나 설치되는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90)는 홈 등이 형성된 몸체(100)의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커버(190)는 슬라이더(200) 등의 각종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다른 부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190)는 슬라이더(2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에는 이동 홀더(210)와 가이드 홀(208) 사이에 장홀(20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홀(209)의 연장 방향은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장홀(209)에 대면되는 커버(190)의 일면에는 장홀(209)에 끼워지는 제1 기둥부(19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는 몸체(1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0)에 커버(190)가 결합되면 제1 기둥부(199)는 슬라이더(200)의 장홀(209)을 관통해서 몸체(100)의 제1 기둥 홀(109)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기둥 홀(109)에 삽입된 제1 기둥부(199)는 몸체(100)에 고정되고, 제1 기둥부(199)는 장홀(209)의 이동 기준이 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만 마련되면, 제1 기둥부(199)를 회전 중심으로 슬라이더(200)가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90)에는 제2 기둥부(198)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는 슬라이더(200)의 이동 방향 상으로 제1 기둥부(199)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는 제2 기둥부(198)가 삽입되는 제2 기둥 홀(108)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둥 홀(108)에 삽입된 제2 기둥부(198)는 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98)는 커버(19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제2 기둥부(198) 간의 간격은 슬라이더(20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둥부(199)에 의해 장홀(209)이 가이드되고, 제2 기둥부(198)에 의해 슬라이더(200)의 측부가 가이드되므로 슬라이더(200)는 자연스럽게 직선 이동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의 동작은 도 7을 이용해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조리 용기(10)의 측벽(11)에 고정 홀더(110)와 이동 홀더(210) 사이의 틈을 끼우고, 레버(300)를 몸체(100)를 향해 누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으로 몸체(100)의 상부를 감싸쥔 후,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해서 몸체(100)를 향하는 클로즈 방향 ⓒ를 따라 레버(300)를 잡아당길 수 있다.
몸체(100)를 향해 눌려진 레버(300)는 힌지(350)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레버(300)와 함께 회동되는 캠부(310)는 경사 구간 ①, 가압 구간 ②, 저지 구간 ③의 순서대로 가압부(400)의 접촉 수단(490)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다.
접촉 수단(490)에 접촉된 경사 구간 ①은 가압부(400)를 몸체(10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후방으로 밀려난 가압부(400)에 의해 슬라이더(200) 역시 몸체(100)의 후방을 향해 직선 이동되고, 이동 홀더(210)는 고정 홀더(110)에 가까워지는 클로즈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압부(400)의 후방 이동은 몸체(100)의 전방을 향해 가압부(400)를 밀어내는 오픈 스프링(650)의 탄성력을 굴복시키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400)가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오픈 스프링(650)의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증가된 오픈 스프링(650)의 탄성력은 캠부(310)의 가압 구간 ②에 의해 용이하게 굴복될 수 있다.
레버(300)가 몸체(100)를 향해 완전히 눌려진 클로즈 상태가 되면, 접촉 수단(490)은 저지 구간 ③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 수단(490)이 저지 구간 ③으로 접어들면, 가압부(400)는 더 이상 레버(300)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고, 저지 구간 ③에 의해 전방으로도 이동되지 않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저지 구간 ③으로 진입되면, 접촉 수단(49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491)가 레버(300)의 삽입 홈(309)에 삽입되므로, 레버(300)가 불필요하게 오픈되는 현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언로킹 버튼(610)이 눌려지면, 레버(300)의 돌출부(330)가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 돌출부(330)가 밀려나면 비로소 가압부(400)의 돌기(491)에 삽입된 삽입 홈(309)이 빠지게 되고, 레버(300)가 오픈 방향 ⓞ를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레버(300)가 몸체(100)를 향해 눌려진 클로즈 상태에서 캠부(310) 및 가압부(400)의 위치는 조리 용기(10)의 규격(두께 또는 곡률)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양한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대응하기 위해, 고정된 레버(300), 몸체(100), 캠부(310), 가압부(400)에 대해 슬라이더(200)가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클로즈 스프링(630)을 이용해서 가압부(40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클로즈 스프링(630) 구조는 이동 홀더(210)의 이동 가능 거리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부(400)에 대해 슬라이더(200)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는 가이드 수단(410)의 길이와 가이드 홀(208)의 길이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k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캠부(310)는 슬라이더(200)에 직결되지 않고 가압부(400)에 직결되며, 가압부(400) 및 슬라이더(200) 사이에는 클로즈 스프링(630)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즈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시켰다 하더라도 이동 홀더(210)를 오픈 방향으로 강제로 잡아당기면 레버(300)의 회동 여부와 무관하게 이동 홀더(210)를 잡아뺄 수 있다. 또한, 조리 용기(10) 대한 결합력 또는 파지력이 레버(300)를 누르는 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부(400) 및 슬라이더(200)의 상대 변위에 따른 클로즈 스프링(630)의 탄성 변위에 비례하며, 레버(300)의 악력이나 이동 홀더(210)의 유격과 상관없이 일정값 이상의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을 유발한다.
이는 두께가 두꺼운 조리 용기(10)에 있어서, 레버(300)의 회동각에 상관없이 클로즈 방향을 향하는 가압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클로즈 스프링(630)이 없다면, 일부 조리 용기(10)를 집을 때 두께 또는 곡률에 따라 접촉 수단(490)이 저지 구간까지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레버(300)가 완전하게 클로즈 위치까지 회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실상 해당 조리 용기(10)의 손잡이로 이용될 수 없다. 클로즈 스프링(630)이 마련되면, 조리 용기(10)의 규격에 상관없이 레버(300)는 클로즈 위치까지 확실하게 눌려질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200)의 로킹 상태가 보장되고 몸체(100)는 다양한 조리 용기(10)의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조리 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10)와 함께 가스 레인지 등의 열원 상에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조리 용기(10)로부터 전달된 열 또는 열원의 화염 f에 의한 열이 몸체(100)로 전파된다면, 몸체(100)를 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기 쉽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몸체(100)는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이 낮은 몸체(100)라 하더라도 열원의 화염에 직접 닿는 부분은 열에 의해 타거나 훼손될 수 있다. 화염 등으로부터 몸체(100)를 보호하기 위해 방열 플레이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열 플레이트(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방열 플레이트(500)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방열 플레이트(500)의 배면도이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열원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밑면 또는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590), 판부(590)의 양측 단부로부터 몸체(100)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부(590)는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판부(590)가 몸체(100)에 설치되면 날개부(580)가 끼워지는 고정 홈(150)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150)은 커버(190)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0)은 날개부(580)와 판부(590)에 의해 감싸진 상태가 되므로, 방열 플레이트(500)의 설치는 고정 홈(150)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0)의 외면에 간단하게 끼우는 방식을 통해 방열 플레이트(5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는 합성 수지 재질의 몸체(100)를 덮는 외피가 될 수 있다. 이때, 외피의 일부가 들리면 외피와 몸체(100) 사이의 틈 사이로 화염이 진입해서 몸체(100)가 훼손될 수 있다. 또는 외피와 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음식물이 유입되어 몸체(100)가 오염될 수 있다. 몸체(100)의 훼손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는 몸체(100)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몸체(100)의 외면에 방열 플레이트(500)를 끼우는 방식에 따르면, 방열 플레이트(500) 전체를 몸체(100)에 밀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화염 또는 음식물의 유입이 예상되는 방열 플레이트(500)의 전방 부위를 확실하게 몸체(100)에 밀착시키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500)의 전방 부위를 몸체(100)에 밀착시키기 위해 날개부(580)가 이용될 수 있다.
날개부(580)에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510) 및 제2 날개(52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홈 형상의 고정 홈(150)에 함께 끼워질 수 있다.
제1 날개(510)는 제2 날개(520)보다 고정 홀더(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날개(510)는 고정 홈(150)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520)는 고정 홈(150)에 대면되는 고정부(193)에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0)은 커버(190)에 대면되는 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93)는 몸체(100)를 덮는 커버(19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90)가 몸체(100)를 덮은 상태에서 고정부(193)는 고정 홈(150)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와 커버(190)가 서로 결합된 상태라 하더라도, 방열 플레이트(500)는 고정 홈(150)과 고정부(193) 사이의 틈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홈(150)에 설치된 날개부(580)는 고정부(193)에 의해 고정 홈(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홈(150)에 밀착된 제1 날개(510)는 위로 들릴 수 있다. 반대로, 고정부(193)에 밀착된 제2 날개(520)는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제1 날개(510)와 제2 날개(520) 사이의 중심 m을 가정할 때, m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회전 모멘트는 방열 플레이트(500)의 앞부분을 몸체(100)를 향해 밀어 올리고, 방열 플레이트(500)의 뒷부분을 아래로 내리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510), 제2 날개(520), 고정 홈(150), 고정부(193)에 따르면, 방열 플레이트(500)의 앞부분은 확실하게 몸체(10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조리 용기 11...측벽
100...몸체 108...제2 기둥 홀
109...제1 기둥 홀 110...고정 홀더
150...고정 홈 190...커버
193...고정부 198...제2 기둥부
199...제1 기둥부 200...슬라이더
208...가이드 홀 209...장홀
210...이동 홀더 300...레버
307...벽부 309...삽입 홈
310...캠부 330...돌출부
350...힌지 400...가압부
410...가이드 수단 419...클로즈 설치 홈
430...연결 수단 439...통과 홀
490...접촉 수단 491...돌기
499...오픈 설치 홈 500...방열 플레이트
510...제1 날개 520...제2 날개
580...날개부 590...판부
610...언로킹 버튼 611...버튼 홈
630...클로즈 스프링 650...오픈 스프링
100...몸체 108...제2 기둥 홀
109...제1 기둥 홀 110...고정 홀더
150...고정 홈 190...커버
193...고정부 198...제2 기둥부
199...제1 기둥부 200...슬라이더
208...가이드 홀 209...장홀
210...이동 홀더 300...레버
307...벽부 309...삽입 홈
310...캠부 330...돌출부
350...힌지 400...가압부
410...가이드 수단 419...클로즈 설치 홈
430...연결 수단 439...통과 홀
490...접촉 수단 491...돌기
499...오픈 설치 홈 500...방열 플레이트
510...제1 날개 520...제2 날개
580...날개부 590...판부
610...언로킹 버튼 611...버튼 홈
630...클로즈 스프링 650...오픈 스프링
Claims (9)
- 조리 용기의 측벽 일면에 대면 접촉되는 고정 홀더가 일측 단부에 고정 형성된 몸체;
상기 고정 홀더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고정 홀더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조리 용기를 파지하는 이동 홀더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수납되는 슬라이더;
손으로 누르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캠부가 형성된 레버;
상기 레버를 누르면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 상기 캠부에 접촉되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 수단,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접촉 수단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접촉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홀더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마련된 상기 가이드 수단, 상기 연결 수단, 상기 접촉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연결 수단에는 상기 레버가 눌려지면 상기 캠부가 통과하는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 홀을 통과하는 상기 캠부는 상기 연결 수단에 연결된 상기 접촉 수단에 접촉되고,
상기 레버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동 홀더와 상기 통과 홀을 통과한 상기 캠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동 홀더로부터 상기 가이드 수단까지 연장되는 착탈식 손잡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형성된 상기 접촉 수단에 대면되는 상기 캠부의 일면에는 상기 접촉 수단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경사진 슬라이딩 구간, 가압 구간, 저지 구간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면 상기 접촉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구간, 상기 가압 구간, 상기 저지 구간의 순서대로 상기 캠부에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 구간은 상기 접촉 수단이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이는 경사 구간이며,
상기 가압 구간은 상기 접촉 수단이 가압되면서 움직이는 경사 구간이고,
상기 저지 구간은 상기 접촉 수단의 움직임이 저지되는 경사 구간이며,
상기 접촉 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저지 구간은 상기 레버가 움직인 거리당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가 움직인 거리가 0에 수렴하도록 상기 접촉 수단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착탈식 손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의 이동 방향에 기울어지게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수단에 대면되는 상기 레버의 일면 또는 상기 저지 구간에는 상기 레버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접촉 수단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착탈식 손잡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압부와 연동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클로즈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클로즈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 수단에 끼워지는 가이드 홀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끼워지면,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가이드 홀의 범위 내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클로즈 스프링이 삽입되는 클로즈 설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로즈 설치 홈에 삽입된 상기 클로즈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클로즈 설치 홈에 지지되고, 상기 클로즈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홀의 단부에 지지되는 착탈식 손잡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몸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오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오픈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수단에는 상기 오픈 스프링이 삽입되는 오픈 설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픈 설치 홈에 삽입된 상기 오픈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오픈 설치 홈에 지지되고, 상기 오픈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몸체에 지지되는 착탈식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열원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밑면 또는 측면을 덮는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 재질의 판부, 상기 판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부는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판부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면 상기 날개부가 끼워지는 고정 홈이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제8항에 있어서,
각 날개부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날개 및 제2 날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상기 고정 홈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보다 상기 고정 홀더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고정 홈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고정 홈에 대면되는 고정부에 밀착되게 형성된 착탈식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605A KR101873865B1 (ko) | 2017-02-15 | 2017-02-15 |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605A KR101873865B1 (ko) | 2017-02-15 | 2017-02-15 |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3865B1 true KR101873865B1 (ko) | 2018-07-05 |
Family
ID=6292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605A KR101873865B1 (ko) | 2017-02-15 | 2017-02-15 |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386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211B1 (ko) * | 2010-07-06 | 2013-08-26 | 주식회사 패트론 |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KR101671826B1 (ko) * | 2008-10-16 | 2016-11-16 | 뗄레-쇼삥 |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
-
2017
- 2017-02-15 KR KR1020170020605A patent/KR101873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826B1 (ko) * | 2008-10-16 | 2016-11-16 | 뗄레-쇼삥 |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
KR101300211B1 (ko) * | 2010-07-06 | 2013-08-26 | 주식회사 패트론 |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83129B2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 |
KR101671826B1 (ko) |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 |
US11118383B2 (en) | Clamping device | |
RU2126224C1 (ru) |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и закрытием запирающих зажимов для сосуд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сосуд, содержащий это устройство | |
JP2011513025A (ja) |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 |
EP4085802B1 (en) | Removable cookware handle | |
KR101037656B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KR101248661B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KR101085764B1 (ko) |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 |
KR101300211B1 (ko) |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KR101312368B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 |
US6318776B1 (en) |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 |
KR101873865B1 (ko) | 캠부가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 | |
JP2018134391A (ja) | 枢動ボタン付きの開放システムを備える脱着可能なハンドル | |
US3474486A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ware | |
KR101873868B1 (ko) |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 |
KR101873872B1 (ko) |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 |
CN111491869B (zh) | 瓶盖中设有锁定装置的瓶子 | |
KR20060108597A (ko) |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 |
KR101596210B1 (ko) |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 |
JP5635197B2 (ja) | 着脱式ハンドル | |
KR101931554B1 (ko) | 보호 마개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 |
US11744408B2 (en) | Removable handle for cookware | |
JP6067546B2 (ja) | 調理器 | |
KR20120126483A (ko) | 탈부착식 손잡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