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969B1 -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 Google Patents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969B1
KR101872969B1 KR1020180013476A KR20180013476A KR101872969B1 KR 101872969 B1 KR101872969 B1 KR 101872969B1 KR 1020180013476 A KR1020180013476 A KR 1020180013476A KR 20180013476 A KR20180013476 A KR 20180013476A KR 101872969 B1 KR101872969 B1 KR 10187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fixing
block
fixed block
gener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최준성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8001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블록재; 경사면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과 고정블록재를 연결시켜 고정블록재가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재; 고정블록재의 주변 경사면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집광 또는 집열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용패널; 및 발전용패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커버하면서 고정블록재에 조인트되어 발전용패널이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Generating structure for slope supp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발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에 고정블록과 발전용패널이 설치 구성되어 경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변이나 하천 및 바닷가 등의 경사면에는 토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 보강 구조물이 설치된다.
여기서, 경사면 보강 구조물은, 공개특허 제10-2009-008184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이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거나, 자연 경관과의 조화를 위하여 식생블록에 다양한 식물이 심겨져 식생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태양광 또는 태양열 발전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의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반면에 전력생산량이 일조량에 의존하고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초기 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경사지에 태양광 또는 태양열 발전을 위한 구성부들이 설치될 경우, 등록실용신안 제20-045882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른 토목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평탄화 작업 후 별도로 집열판 또는 집광판을 설치하기 위한 포스트와 프레임 등의 구조물 설치 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집열판이나 집광판의 열이 대기 중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방열 기능이 저하되어 발전 효율까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경사면을 보강하면서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에 고정블록과 발전용패널이 설치 구성되어 경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블록재; 경사면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과 고정블록재를 연결시켜 고정블록재가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재; 고정블록재의 주변 경사면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집광 또는 집열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용패널; 및 발전용패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커버하면서 고정블록재에 조인트되어 발전용패널이 경사면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고정블록재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경사면에 설치되는 고정블록; 고정블록의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되어 고정재의 일단부가 관통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 및 고정블록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커버체가 조인트되도록 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재는, 경사면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블록의 고정공에 타단이 관통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타단과 고정공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속부재는, 고정부재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블록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편; 고정부재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밀착편의 상측면에 일단부가 접촉되는 가압용스프링; 및 가압용스프링의 타단부에 관통된 고정부재의 타단에 결속되면서 가압스프링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가압스프링이 수축되도록 하는 결속용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체는, 사각틀 구조를 가지고 상면과 측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발전용패널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과;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커버프레임의 상면, 측면 및 발전용패널의 하면이 결속되도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에 고정블록과 발전용패널이 설치 구성되어 경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에 발전용패널의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발전용패널의 열이 지면으로 직접 전달되어 열분산 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발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의 구성을 측면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및
도 5와 도 6은 도 1의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는, 경사면(S)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블록재(110), 경사면(S)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G)과 고정블록재(110)를 연결시켜 고정블록재(110)가 경사면(S)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재(120), 고정블록재(110)의 주변 경사면(S)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집광 또는 집열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용패널(130) 및 사각틀 구조를 가지고 발전용패널(130)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커버하면서 고정블록재(110)에 일부분이 조인트되어 발전용패널(130)이 경사면(S)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140) 등을 포함한다.
고정블록재(110)는, 경사면(S)에 설치되어 경사면(S)의 토사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랫한 패널 형상을 가지고 경사면(S)에 바닥면이 접촉 설치되는 고정블록(111), 고정블록(111)의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되어 고정재(120)의 일단부가 관통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112) 및 고정블록(11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커버체(140)의 일부분이 조인트되도록 하는 조인트부(11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블록재(11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또는 강관의 재질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발전용패널(130)이 커버체(140)를 통해 지지되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인트(113)를 통해 커버체(140)의 일부분 즉, 모서리 부위가 용접 및 볼팅 상태로 결속됨으로써, 후술된 바와 같이, 경사면(S)의 내부 공간에 그라우팅블록(G)을 구성하고 그라우팅블록(G)에 고정재(120)를 통해 고정블록(111)들이 고정되는 과정이 경사면(S)의 중심 또는 국부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토목공사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재(120)는, 고정블록(111)이 경사면(S)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사면(S)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G)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블록(111)의 고정공(112)에 타단이 관통되는 소일네일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고정부재(121)와, 고정부재(121)의 타단과 고정공(112)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2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속부재(122)는, 고정부재(121)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공(112)이 형성된 고정블록(111)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22a), 고정부재(121)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밀착편(122a)의 상측면에 일단부가 접촉되는 가압용스프링(122b) 및 가압용스프링(122b)의 타단부에 관통된 고정부재(121)의 타단에 결속되면서 가압스프링(122b)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가압스프링(122b)이 수축되도록 하는 결속용너트(122c) 등을 포함한다.
이에, 결속부재(122)를 통해 고정부재(121)의 타단과 고정공(112)의 결속시, 가압용 스프링(122b)에 의해 밀착편(122a)이 지속적으로 고정블록(111)을 가압하는 상태를 가지게 되어 고정블록(111)의 이탈이 억제된다.
발전용패널(130)은, 고정블록(111)의 주변 경사면(S)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집광 또는 집열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태양광을 집광하거나 태양열을 집열하는 발전패널(131)과, 복수개의 발전패널(131)을 일정한 면적으로 조립하고 고정블록(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3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전용패널(130)들로부터 집광 또는 집열딘 빛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는 발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며, 이에 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체(140)는, 고정블록재(110)의 조인트(113)에 모서리 부위가 조인트된 상태로 발전용패널(130)의 상측면을 커버하여 발전용패널(130)이 고정블록(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각틀 구조를 가지고 상면과 측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상면과 측면이 각각 발전용패널(130) 결합프레임(132)의 상면과 측면에 대면되도록 발전용패널(130)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141)과,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커버프레임(141)의 상면, 측면 및 결합프레임(132)의 하면이 대면되도록 발전용패널(130)과 커버프레임(141)을 결속시키는 클램프(14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프레임(141)은, 합성수지 또는 강관의 재질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발전용패널(130)이 고정블록재(110)에 지지되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프레임(141)은 고정블록재(110)의 조인트(113)와 함께 금속재질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호간 대면 부위가 용접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호간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볼팅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체(140)에 의하면, 고정블록(111)의 모서리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면서 경사면(S)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된 발전용패널(130)이 고정블록(111)에 조인트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발전용패널(130)이 경사면(S)에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발전용패널(130)의 열이 지면으로 직접 방열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향상된 방열 효과가 제공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전용패널(130)의 바닥면이 경사면(S)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발전용패널(130)의 하중에 의해 경사면(S)이 보강되어 토사 방지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과 발전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사면(S)의 표면이 경사진 상태로 평탄하게 작업되고, 고정블록재(110)와 발전용패널(130) 또는 커버체(140)가 설치될 부분이 해당 크기로 구획된다.
이후, 고정블록재(110)의 크기로 구획된 경사면(S)의 중심부를 천공하여 천공홀(H)을 형성시킨다.
이후, 천공홀(H)을 통해 경사면(S)의 내부에 그라우팅 작업이 실시되어 그라우팅블록(G)이 형성되고 이때, 그라우팅블록(G)에 고정부재(121)의 일단 또는 경사면(S)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는, 일예로 고정부재(121)가 네일소일인 경우에는 먼저, 천공홀(H)에 네일소일이 삽입된 후 그라우팅 작업이 실시되어 네일소일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그라우팅블록(G)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고정부재(121)가 와이어일 경우에는, 먼저, 천공홀(H)의 단부에 소정 크기의 그라우팅블록(G)이 형성된 후 와이어의 일단에 구성된 결합블록이 공지의 방식에 의해 그라우팅블록(G)에 고정되는 것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 하면, 고정부재(121)의 일단 또는 일부분은 그라우팅블록(G)에 의해 경사면(S)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경사면(S)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 고정된 고정부재(121)의 타단이 고정블록(111)의 고정공(112)에 관통되도록 고정블록(111)이 천공홀(H)이 천공된 경사면(S)에 위치되고, 고정블록(111)의 고정공(112) 상측면에 밀착편(122a)이 밀착된 후, 밀착편(122a)의 상측면에 가압용스프링(122b)의 일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결속용너트(122c)가 고정부재(121)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에 의해 고정블록(111)이 경사면(S)에 밀착 고정된다.
이후, 발전용패널(130) 또는 커버체(140)의 크기로 구획된 경사면(S)에 발전용패널(130)이 배열되고, 이때, 발전용패널(130)의 바닥면은 경사면(S)에 접촉된 상태를 가진다.
이후, 커버체(140)의 커버프레임(141)에 의해 발전용패널(130)의 상측면이 커버되고, 커버체(140)의 클램프(142)에 의해 발전용패널(130)과 커버프레임(141)이 상호간 결속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프레임(141)의 모서리 부위가 고정블록(111)의 조인트(113)에 용접 또는 볼팅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발전용패널(130)의 바닥면이 경사면(S)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블록(111)에 지지된다.
이후, 발전부(미도시)에 의해 발전용패널(130)들로부터 집광 또는 집열된 빛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발전이 이루어지며, 이때, 발전용패널(1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지면으로 직접 방출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경사면(S) 중 발전용패널(130)과 고정블록(111)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별도로 콘크리트 작업이 실시되어 이동로가 완성되고, 이에, 상기 이동로가 발전패널(131)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자의 이동 공간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S)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경우, 경사면(S)의 중앙 부분에만 그라우팅블록(G)에 고정된 고정블록(111)만을 설치 구성하고, 경사면(S)의 중앙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는 발전용패널(130)에 결속된 상태의 커버프레임(141)이 고정블록(111)에 조인트되도록 함으로써, 토목 공사를 최소화하면서 경사면(S)을 보강하여 토사 침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발전용패널(130)의 열이 지면으로 직접 방출되도록 하여 방열 효과 향상에 따른 발전 효율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경사면(S)의 해당 부위에 위치되는 고정블록재(110); 경사면(S)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G)과 고정블록재(110)를 연결시켜 고정블록재(110)가 경사면(S)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재(120); 고정블록재(110)의 주변 경사면(S)에 바닥면이 접촉된 상태로 배열되고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집광 또는 집열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전용패널(130); 및 발전용패널(130)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커버하면서 고정블록재(110)에 조인트되어 발전용패널(130)이 경사면(S)으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140)를 포함하고,
    고정블록재(110)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경사면(S)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11);
    고정블록(111)의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되어 고정재(120)의 일단부가 관통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공(112); 및
    고정블록(111)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커버체(140)가 조인트되도록 하는 조인트(113)를 포함하며,
    고정재(120)는,
    경사면(S)의 내부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블록(G)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블록(111)의 고정공(112)에 타단이 관통되는 고정부재(121)와;
    고정부재(121)의 타단과 고정공(112)을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22)를 포함하고,
    결속부재(122)는,
    고정부재(121)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공(112)이 형성된 고정블록(111)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22a);
    고정부재(121)의 타단을 관통한 상태에서 밀착편(122a)의 상측면에 일단부가 접촉되는 가압용스프링(122b); 및
    가압용스프링(122b)의 타단부에 관통된 고정부재(121)의 타단에 결속되면서 가압스프링(122b)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가압스프링(122b)이 수축되도록 하는 결속용너트(122c)를 포함하며,
    커버체(140)는,
    사각틀 구조를 가지고 상면과 측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발전용패널(130)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141)과;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커버프레임(141)의 상면, 측면 및 발전용패널(130)의 하면이 결속되도록 하는 클램프(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13476A 2018-02-02 2018-02-02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KR10187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76A KR101872969B1 (ko) 2018-02-02 2018-02-02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76A KR101872969B1 (ko) 2018-02-02 2018-02-02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969B1 true KR101872969B1 (ko) 2018-06-29

Family

ID=6278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76A KR101872969B1 (ko) 2018-02-02 2018-02-02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60B1 (ko) * 2018-08-22 2019-02-15 주식회사 누리플랜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CN112982452A (zh) * 2021-02-26 2021-06-18 王宏 一种太阳能发电式水循环公路护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960A (ja) * 1993-11-19 1995-05-30 Raito Kogyo Co Ltd 法面の安定化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866073B1 (ko) * 2008-03-28 2008-10-30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식생 호안 블록
KR20130116085A (ko) * 2012-04-12 2013-10-23 주식회사대영금속 지붕고정형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JP2014095281A (ja) * 2012-10-10 2014-05-22 Sanyo Road Industries 太陽光パネルの架台及びその設置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960A (ja) * 1993-11-19 1995-05-30 Raito Kogyo Co Ltd 法面の安定化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866073B1 (ko) * 2008-03-28 2008-10-30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식생 호안 블록
KR20130116085A (ko) * 2012-04-12 2013-10-23 주식회사대영금속 지붕고정형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JP2014095281A (ja) * 2012-10-10 2014-05-22 Sanyo Road Industries 太陽光パネルの架台及びその設置工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60B1 (ko) * 2018-08-22 2019-02-15 주식회사 누리플랜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CN112982452A (zh) * 2021-02-26 2021-06-18 王宏 一种太阳能发电式水循环公路护坡
CN112982452B (zh) * 2021-02-26 2022-06-07 王宏 一种太阳能发电式水循环公路护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69B1 (ko)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CA2561431A1 (en) Method for erecting a tower
CN108442618A (zh) 一种防水光伏建筑一体化屋顶
KR101939060B1 (ko) 경사면 보강 설치용 발전 구조체
JP2011125233A (ja) 農産物生産建屋構造
KR20160042830A (ko)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0648419B1 (ko) 전주 지지 구조물
CN107859078B (zh) 建筑桩基的加固方法
KR101863265B1 (ko) 길이 가변형 토류판
JP4785156B1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2038314B1 (ko) 태양광 발전설비 강관 지주의 상하 구조물 고정장치
CN103758373B (zh) 快速安装的太阳能车棚
JP2014080824A (ja) 既設構造物の躯体を利用する基礎構造の構築工法及び基礎構造
CN212105423U (zh) 一种可实现绿植覆盖的建筑施工围蔽板
CN211312546U (zh) 一种开槽护壁使用的环形工字钢结构
CN203769369U (zh) 快速安装的太阳能车棚
KR20190130414A (ko) 태양광 발전 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1111806A (ja) 屋根材付き太陽光発電パネル
JP3178805U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配置構造
CN205475422U (zh) 一种高效组合式雨水收集模块
WO2012160004A1 (en)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and the like
CN218713734U (zh) 一种地面组装式排水装置
CN214069435U (zh) 一种预装式装配型电力电缆沟
JP3112511U (ja) 道路仮復旧用敷設ブロックマット
KR100695035B1 (ko) 조립식 강재토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