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61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614B1
KR101872614B1 KR1020160149663A KR20160149663A KR101872614B1 KR 101872614 B1 KR101872614 B1 KR 101872614B1 KR 1020160149663 A KR1020160149663 A KR 1020160149663A KR 20160149663 A KR20160149663 A KR 20160149663A KR 101872614 B1 KR101872614 B1 KR 10187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rotation
rotat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815A (ko
Inventor
이동경
김찬호
이승환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6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회동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를 변경하는 회전부,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각각의 회동플레이트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위치가 고정된 고정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회동플레이트 각각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회동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열풍에 힘입어 신선한 식재료를 이용하여 직접 음식을 조리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신선한 식재료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식재료를 지속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가 필요하다.
그런데, 냉장고에 식재료를 보관하더라도, 냉장고 내에서 식재료가 보관될 수 있는 기간 내에 해당 식재료를 모두 소비하기가 쉽지 않으며, 냉장고의 안쪽 공간의 경우 어떤 식재료가 보관되어 있는지 사용자가 모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실용실안등록출원 제 20-2012-0012184 호에서는, 뚜껑형 양문 김치 냉장고의 윗면 공간 활용 선반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냉장고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원판 형태의 회동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회전부,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각각의 플레이트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위치가 고정된 고정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고정부 및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각각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회동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회동플레이트와 구분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동이 필요없는 식재료를 별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시간에 회동플레이트를 회동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식재료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경계판 사이에 배치된 식재료의 종류 및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회동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회동플레이트가 회동하는 동안 식재료가 회동플레이트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에 포함된 회전부 및 동력부의 정면을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에 포함된 회전부 및 동력부를 도시한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의 회동플레이트, 동력부 및 경계판이도시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의 회동플레이트, 동력부, 고정판 및 경계판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냉장고에 포함된 회전부 및 동력부의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인 “우측”, “좌측”은 특정 구성요소를 각각의 도면상에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실제 해당 구성이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인 “외측”, “내측”은 특정 구성요소가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 방향에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일뿐, 실제 해당 구성이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의 구성을 나타낸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소정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납하고, 수납한 음식물을 사용자가 설정해둔 온도로 냉각하는 구성 및 장치이다. 소정의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 냉장고(1)는 수납공간(S)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냉장고(1)는 문(D)과 본체(M)를 포함한다.
본체(M)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문(D)은 외측면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M)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문(D)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문(D)은 본체(M)의 개방된 일면 중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문(D)이 회동하여 본체(M)와 밀착되는 경우 본체(M)의 개방된 일면은 폐쇄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하나의 문(D)을 포함하는데, 본체(M)의 개방된 면의 폭방향 양단 중 우측단 및 좌측단에는 각각 하나의 문(D)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문(D)의 내측면이 본체(M)와 밀착되는 경우 본체(M)의 개방된 일면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1)의 폭방향 양단 중 우측단 및 좌측단에 문(D)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폭방향 양단 중 일단에만 문(D)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본체(M)의 일면만이 개방되는 경우, 문(D)이 밀착되는 일면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수납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꺼내기가 쉽지않고, 나아가 사용자가 관리하기도 여렵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냉장고(1)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구성이 냉장고(1) 내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의 내부 구성 중 회전부(10) 및 고정부(2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회전부(10) 및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내부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는 음식물은 위치가 변경되는 구성 위에 배치되고. 반대로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음식물의 경우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구성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치가 변경되는 냉장고(1)의 구성이 회전부(10)이고,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냉장고(1)의 구성이 고정부(20)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회전부(10)는 회전축(11) 및 적어도 하나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은 후술할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할 때, 회동의 기준축이 되는 구성이다. 회전축은 냉장고(1)의 전술한 수용공간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2 에서는 회전축(11)이 수납공간(S)의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상면의 중심으로 연장된다고 도시하였으나, 후술할 회동플레이트의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고려하여 냉장고(1)의 저면 및 상면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 구성으로써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데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회전축(11)에 수직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회전축(11)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에는 음식물이 배치될 수 있는데,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독립적으로 회동함에 따라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의 음식물도 회전축(11)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판 형태의 제 1 내지 제 5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냉장고(1)의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2 에서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개수를 5 개로 도시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냉장고(1) 내부의 수용공간(S)의 부피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원주면을 따라 톱니(12a 내지 16a)가 배치될 수 있는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원주면의 톱니(12a 내지 16a)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고정부(20)는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분리된 구성으로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 상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가, 전술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는 냉장고(1) 적어도 하나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수용공간(S)의 내벽면으로부터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회전부(10)에 포함된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원주면까지 연장되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분리되어 냉장고(1) 내벽면으로부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달리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 상의 음식물도 함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제 1 내지 제 5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는 각각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되, 냉장고(1)의 내벽면으로부터 각각의 고정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포함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톱니(12a 내지 16a) 및 동력부(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회전부(10), 고정부(20) 및 동력부(30)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회전부(10), 고정부(20) 및 동력부(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의 제 1 회동플레이트(12), 동력부(30) 및 경계판(12b 내지 12e)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의 회동플레이트(12), 동력부(30), 경계판(12b 내지 12e) 및 고정판(120)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12a 내지 16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회전축(11)에 기초한 회전을 통하여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에 놓여진 음식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에 형성된 각각의 톱니(12a 내지 16a)에 후술할 기어(31 내지 35)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기어(31 내지 35)가 회전함에 따라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에 형성된 톱니(12a 내지 16a)가 회전하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5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외주면에는 톱니(12a 내지 16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회동플레이트(12)의 외주면에는 제 1 기어(31)가, 제 2 회동플레이트(13)의 외주면에는 제 2 기어(32)가, 제 3 회동플레이트(14)의 외주면에는 제 3 기어(33)가, 제 4 회동플레이트(15)의 외주면에는 제 4 기어(34)가, 제 5 회동플레이트(16)의 외주면에는 제 5 기어(35)가 배치된다. 각각의 기어(31 내지 35)가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도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내지 16)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동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30)는 회동플레이트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회전시키는 구성 및 장치이다. 동력부(30)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기어(31 내지 35) 및 모터(31a 내지 35a)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기어(31 내지 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모터(31a 내지 35a)는 회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회동력을 기어(31 내지 35)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기어(31 내지 35)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원주면에 같은 간격으로 돌기(31b 내지 35b)가 형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돌기(31b 내지 35b)가 전술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톱니(12a 내지 16a)와 서로 맞물릴 수 있고, 기어(31 내지 35)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31a 내지 35a)에서 발생된 회동력에 기초하여 기어(31 내지 35)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31 내지 35)의 돌기(31b 내지 35b)와 서로 맞물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톱니(12a 내지 16a)가 회전축(11)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어(31 내지 35)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후방의 좌측에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어(31 내지 35)는 모터(31a 내지 35a)가 발생시킨 회동력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데, 모터(31a 내지 35a)가 발생시킨 회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기어(31 내지 35)는 기어(31 내지 35)와 맞물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도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터(31a)에 의해 발생한 회동력에 기초하여 제 1 기어(31)가 회동하게 되는데, 제 1 기어(31)와 맞물린 제 1 회동플레이트(12)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모터(32a)에 의해 발생한 회동력에 기초하여 제 2 기어(32)가 회동하게 되는데, 제 2 기어(32)와 맞물린 제 2 회동플레이트(13)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3 모터(33a)에 의해 발생한 회동력에 기초하여 제 3 기어(33)가 회동하게 되는데, 제 3 기어(33)와 맞물린 제 3 회동플레이트(14)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4 모터(34a)에 의해 발생한 회동력에 기초하여 제 4 기어(34)가 회동하게 되는데, 제 4 기어(34)와 맞물린 제 4 회동플레이트(15)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한편,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면에는 경계판(12b 내지 12e)이 포함될 수 있다. 경계판은 회동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음식물이 회동플레이트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플레이트가 회동하는 각도의 척도가 되는 구성요소이다.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게 되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에 배치된 음식물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는 힘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다. 특히 액체인 음식물의 경우 미끄러지는 힘에 의해 그릇에서 넘칠 수 있는데, 냉장고(1) 내부 청결을 위해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식물의 크기가 각각 상이하므로 음식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음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경계판(12b 내지 12e)은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웃한 경계판(12b 내지 12e)과 협력하여 회동플레이트 상면의 공간을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경계판(12b 내지 12e)은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상면에서, 회전축(11)으로부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는데,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에 올려지는 음식물을 수에 기초하여 경계판(12b 내지 12e)의 개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3 가지 음식물을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에 배치할 경우 경계판(12b 내지 12e)도 3 개가 설치되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의 공간을 3 개의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회동플레이트는(12)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4 경계판(12b 내지 12e)을 포함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비록 도 5 및 도 6 에서 제 1 회동플레이트(12)를 예시로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제 1 회동플레이트(12) 외의 회동플레이트(13 내지 16)도 경계판(12b 내지 12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록 도 5 및 도 6 에서 제 1 회동플레이트(12)가 4 개의 경계판(12b 내지 12e)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실제 제 1 회동플레이트(12) 상에 배치되는 음식물의 수량에 따라 경계판(12b 내지 12e)의 수도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각도만큼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게 되는데,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각도만큼 회동하였는지를 냉장고(1)는 감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센싱부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회동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냉장고(1)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는 각각의 경계판(12b 내지 12e)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여 경계판(12b 내지 12e) 각각이 기준 위치 즉 기 설정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경계판(12b 내지 12e)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센싱부가 감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하여 기어(31 내지 35)의 회전을 멈추게 되고, 각각의 경계판(12b 내지 12e)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였음을 센싱부가 감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해야 한다고 인식하여 기어(31 내지 35)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된 동력부(30)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면, 기 설정된 기어(31 내지 35)를 회동시킨다. 이때 센싱부가 기 설정된 기어와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에 배치된 경계판(12b 내지 12e)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어(31 내지 35)의 회동을 멈출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예로 들면, 기 설정된 시각이 되면 냉장고(1)는 제 1 기어(31)를 회동시킨다. 이때 센싱부가 제 1 기어(31)와 대응되는 제 1 회동플레이트(12) 상에 배치된 제 1 경계판(12b)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면 제 1 기어(31)의 회동을 멈추게 되고, 이를 통해 제 1 경계판(12b)은 기 설정된 위치에 멈추게 된다.
또한, 센싱부는 냉장고의 문이 열리고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가 문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회동시킬 수 있는 바, 센싱부는 냉장고의 문이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내용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시각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입출력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 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예시는 소프트웨어 버튼 형식의 입출력부의 예시로써, 위 예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입출력부는 하드웨어 버튼 형식의 입출력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사용자의 명령이나 데이터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가 화상으로 표시되는 출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하나로 합쳐진 입출력부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하나로 합쳐진 입출력부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입력부와 출력부가 각각 별도로 구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입출력부는 냉장고(1)의 유저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고 후술할 제어부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는 제어부가 계산 및 판단한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음식물을 냉장고에 수납하는 경우, 음식물의 유통기한 등을 냉장고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관리구획에 음식물을 수납하는경우, 입출력부는 관리구획에 음식물이 수납되었음을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수납된 음식물의 유통기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는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유통기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유통기한은 일 예시로써 입출력부는 유통기한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도 추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동력부(30)로 하여금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회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부가 관리구획에 수납된 음식물의 유통기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입출력부로부터 전달된 유통기한 정보에 기초하여 문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리구획을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센싱부가 기 설정된 경계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할 때까지 동력부(30)로 하여금 기어를 회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을 유통기한 순서대로 각각의 구획에 배치하는 경우 일정한 주기에 따라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동력부(30)로 하여금 기 설정된 경계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동력부(30)로 하여금 기어를 회동시킴으로써 해당 구획이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냉장고에 포함된 문이 열리고 닫힘에 기초하여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회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장 효과가 필요하여 냉장고의 내부 깊숙히 수납되어야 할 물품임에도 유저가 꺼내기 쉬운 위치에 주로 수납되는 우유 등의 음식물의 경우 냉장고의 문이 닫혔을 경우 냉장고 내부 깊숙히 배치되고, 문이 열리는 경우 문에 가까운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센싱부가 문이 열렸음을 감지하는 경우, 동력부(30)로 하여금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회동시켜 관리구획이 문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문이 닫혔음을 감지하는 경우, 동력부(30)로 하여금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를 회동시켜 관리구획이 냉장고의 내부 깊숙히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고정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경계판을 통해 회동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음식물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원주방향으로는 미끌어지지 않더라도,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회동하는 회동력에 의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상면에 배치된 음식물은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외측을 향해 미끌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장고(1)는 음식물이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의 외측을 향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판(12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20)은 서로 이웃한 두 개의 경계판(12b 내지 12e)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계판(12b 내지 12e) 각각에는, 경계판(12b 내지 12e)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해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된 복수의 끼움홈(121)이 배치될 수 있는데, 고정판은 어느 하나의 경계판에 형성된 끼움홈(121)에서 이웃한 경계판의 끼움홈(12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고정판은 길이방향 양단 중 일단이, 서로 이웃한 경계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끼움홈(121)에 끼워지고, 길이방향 양단 중 타단이, 서로 이웃한 경계판(12b 내지 12e)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끼움홈(121)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 에서는 제 2 경계판(12b)으로부터 제 3 경계판(12c)까지 연장되는 고정판(12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 에 도시된 고정판(120)은 작은 부피의 크기를 갖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 제 2 경계판(12b)에 형성된 끼움홈(121) 중 가장 회전축(11)에 가까운 홈에 길이방향 일단이 고정되고, 제 3 경계판(12c)에 형성된 끼움홈(121) 중 가장 회전축에 가까운 홈에 타단이 고정된다. 도 6 의 예시는 작은 부피를 갖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써 더 큰 부피를 갖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경우 고정판은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끼움홈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회전부(10) 및 동력부(30)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2 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상면에 음식물이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와 기어(31 내지 35)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와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와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의 저면에 배치되되, 원주면에는 톱니(12a 내지 16a)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기어(31 내지 35)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다.
도 7 을 예로 들면, 제 1 내지 제 5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데, 각각의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는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와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는 대응되는 고정플레이트(21 내지 25)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는 대응되는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의 저면에 배치되되 해당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와 맞물린 기어(31 내지 3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제 1 기어(31)가 회동하게 되면 제 1 기어(31)와 서로 맞물린 제 1 하부플레이트(112)가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하부플레이트(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고정플레이트(21)와 동일높이에 존재하는 제 1 상부플레이트(102)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기어(32)가 회동하게 되면 제 2 기어(32)와 서로 맞물린 제 2 하부플레이트(113)가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 2 하부플레이트(1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2 고정플레이트(22)와 동일높이에 존재하는 제 2 상부플레이트(103)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3 기어(33)가 회동하게 되면 제 3 기어(33)와 서로 맞물린 제 3 하부플레이트(114)가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 3 하부플레이트(1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3 고정플레이트(114)와 동일높이에 존재하는 제 3 상부플레이트(104)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 4 기어(34)가 회동하게 되면 제 4 기어(34)와 서로 맞물린 제 4 하부플레이트(115)가 회동하게 되는데,이때 제 4 하부플레이트(1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4 고정플레이트(24)와 동일높이에 존재하는 제 4 상부플레이트(105)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인 냉장고(1)에 포함된 기어(31 내지 35)는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와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기어(31 내지 35) 및 모터(31a 내지 35a)의 구성 및 기어(31 내지 35)와 모터(31a 내지 35a)의 상대적인 배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가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와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로 이루어져 있고, 톱니(112a 내지 116a)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요소가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이므로 기어(31 내지 35) 또한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31a 내지 35a)에서 발생한 회동력이 기어(31 내지 35)에 전달되면 기어(31 내지 35)는 회동력에 기초하여 회동하게 되고, 기어(31 내지 35)와 맞물린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도 회동하게 된다.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가 회동하는 경우 하부플레이트(112 내지 116)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도 함께 회동하므로 상부플레이트(102 내지 106) 상면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도 변경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회동플레이트(12 내지 16), 기어(31 내지 35) 및 모터(31a 내지 35a)와 관련된 내용 외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냉장고
10: 회전부
11: 회전축
12, 13, 14, 15, 16: 회동플레이트
12b, 12c, 12d, 12e: 경계판
20: 고정부
21, 22, 23, 24, 25: 고정플레이트
31, 32, 33, 34, 35: 기어
31a, 32a, 33a, 34a, 35a: 모터
102, 103, 104, 105, 106: 상부플레이트
112, 113, 114, 115, 116: 하부플레이트
120: 고정판
121: 끼움홈

Claims (8)

  1. 수용공간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를 변경하는 회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동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고, 대응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의 고정플레이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음식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회동플레이트 각각을 회전시키는 동력부; 및
    경계판 각각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을중심으로 회동하는 판상의 경계판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센싱부가 기 설정된 경계판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할 때까지 기어를 회동시키고,
    상기 경계판 각각에는,
    상기 경계판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해 서로 대향되도록 연장된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소정의 경계판에 형성된 끼움홈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소정의 경계판과 이웃한 경계판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 타단이 체결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음식물이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각각의 회동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맞물려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각각의 고정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배치되고 원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원판 형태의 하부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각각의 하부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맞물려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2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기 설정된 시각에,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는, 냉장고.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경계판에 의해 각각의 구획으로 구분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센싱부가 냉장고의 문이 닫혔음을 감지하는 경우, 기 설정된 구획이 냉장고의 문과 멀어지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센싱부가 냉장고의 문이 열렸음을 감지하는 경우, 기 설정된 구획이 냉장고의 문을 향하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냉장고.
KR1020160149663A 2016-11-10 2016-11-10 냉장고 KR101872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63A KR101872614B1 (ko) 2016-11-10 2016-11-1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63A KR101872614B1 (ko) 2016-11-10 2016-11-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15A KR20180052815A (ko) 2018-05-21
KR101872614B1 true KR101872614B1 (ko) 2018-08-03

Family

ID=6245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663A KR101872614B1 (ko) 2016-11-10 2016-11-1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6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128A (ja) * 2006-08-07 2010-01-07 タリ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蔵された薬物を追跡しかつ調合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128A (ja) * 2006-08-07 2010-01-07 タリ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蔵された薬物を追跡しかつ調合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815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2351A1 (en) Automated food making apparatus
US20240044572A1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MX2010011620A (es) Refrigerador.
KR101872614B1 (ko) 냉장고
WO2016017662A1 (ja) 保存容器
AU2014410779A1 (en) A battery compartment, an electronically driven dispensing unit and a dispenser
KR101496679B1 (ko) 냉장고
KR20130043517A (ko)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US10852046B2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CN214950007U (zh) 冰箱
US11293680B2 (en)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KR200197472Y1 (ko) 김치 냉장고 시스템
KR20140069880A (ko) 회전 디스플레이 냉장고
KR20190070214A (ko) 회전 수용부를 구비한 냉동고
US20230400248A1 (en) Systems for internal refrigerator organization
CN203928575U (zh) 一种冰箱
JPWO2020105178A1 (ja) 冷蔵庫
KR102501430B1 (ko) 반자동식 뷔페용 음식용기
KR101991183B1 (ko) 냉장고
KR200460439Y1 (ko) 회전 수용부를 구비한 냉동고
KR20120129078A (ko) 원형 냉장고
US20230064175A1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and combined inlet/outlet
KR200340169Y1 (ko) 쇼케이스
KR200288412Y1 (ko) 냉장고 내부 360°회전선반
KR20180010905A (ko) 냉장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