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512B1 - 사이클론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512B1
KR101872512B1 KR1020160094215A KR20160094215A KR101872512B1 KR 101872512 B1 KR101872512 B1 KR 101872512B1 KR 1020160094215 A KR1020160094215 A KR 1020160094215A KR 20160094215 A KR20160094215 A KR 20160094215A KR 101872512 B1 KR101872512 B1 KR 10187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ixture
activated carbon
we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614A (ko
Inventor
유호경
이창호
이원상
Original Assignee
(주)중앙하이츠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하이츠개발 filed Critical (주)중앙하이츠개발
Priority to KR102016009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5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25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the material being slingered or fled out horizontally before falling, e.g. by dispersing elements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사이클론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는, 중량이 서로 다른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는 입구, 중량이 더 가벼운 제1 대상물이 배출될 수 있는 제1 출구 및 중량이 더 무거운 제2 대상물이 배출될 수 있는 제2 출구를 가진 본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이 본체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 및 혼합물을 본체 내부로 흡입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제2 대상물로부터 제1 대상물을 분리시켜 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출구에 연결된 흡입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이클론 분리 장치{CYCLONE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벼운 제1 대상물과 무거운 제2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은 농사짓는 토양이 부패한 경우 이러한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밀도를 저하시키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최근 부패한 토양의 환원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활성탄이 농사짓는 토양에 계속적으로 사용되면 활성탄에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부착되므로 전술한 활성탄의 효과가 저하된다. 여기서, 활성탄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활성탄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활성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수원에서 돌 내지 진흙을 채취하는 경우 이들에 포함된 나무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돌 내지 진흙만을 채취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하수도 관 내에 존재하는 슬러지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물질들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4-0039646호(공개일자:2014년04월02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채워지면 이를 배출할 수 있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이 서로 다른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는 입구, 중량이 더 가벼운 제1 대상물이 배출될 수 있는 제1 출구 및 중량이 더 무거운 제2 대상물이 배출될 수 있는 제2 출구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 및 상기 혼합물을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제2 대상물로부터 상기 제1 대상물을 분리시켜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출구에 연결된 흡입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일단에 중공이 형성되고 측벽이 막혀 있는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동력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의 중공을 통해 상기 제1 대상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흡입기에 각각 연결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기 중공에는 상기 동력원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관은, 상기 혼합물이 상기 본체에 유입된 후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로 유입된 후 낙하하여 적층된 상기 제2 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중량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측정기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체에 의해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본체 내부를 선회하면서 중량 차이에 의해 중량이 더 가벼운 제1 대상물이 흡입되어 배출되고 중량이 더 무거운 제2 대상물이 낙하하여 배출되므로,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상호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측정기에 의해 본체 내부의 제2 대상물의 중량이 측정되며, 제2 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채워지면 이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폐쇄형 바디를 가지는 회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방향을 향해 바라본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회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방향을 향해 바라본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10)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 가능하며, 중량이 서로 다른 제1 대상물(810)과 제2 대상물(820), 예컨대, 중량이 더 가벼운 제1 대상물(810)과 중량이 더 무거운 제2 대상물(820)이 혼합된 혼합물(800)을 흡입하여 제1 대상물(810)과 제2 대상물(820)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클론 분리 장치(10)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부착된 활성탄을 흡입 후 이물질을 배출시키고 활성탄만 분리하여 농사 등에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수원으로부터 돌 내지 진흙을 흡입 후 나무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을 배출시키고 순수 돌 내지 진흙만 분리하여 건설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수도관 내에 존재하는 슬러지를 흡입하여 역시 이물질을 배출시키고 순수 돌 내지 진흙만 분리하여 건설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하수도관 내에 존재하는 돌 내지 진흙에는 쓰레기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세정하는 과정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이클론 분리 장치(10)는 대상물을 분리하기 위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활성탄을 분리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1 대상물(810)은 활성탄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며, 중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2 대상물(820)은 활성탄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측은 원기둥 형상이고, 하측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0)는 유입되는 혼합물(800)과의 충돌에 대해서도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이 필요하므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료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0)는 입구(110)와, 제1 출구(120)와, 제2 출구(130)를 가질 수 있다. 입구(110)는 제1 대상물(810)과 제2 대상물(820), 즉, 활성탄과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800)이 공급될 수 있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물(800)은 혼합물(800)이 저장된 혼합물제공유닛(141)으로부터 본체(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에는 공급관(14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관(140)은 혼합물제공유닛(141)에도 연결된다. 즉, 혼합물제공유닛(141)에 저장된 혼합물(800)은 공급관(140)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혼합물(800)이 활성탄과 이물질인 경우 혼합물제공유닛(141)은 혼합물(800)이 저장된 저장탱크일 수 있고, 혼합물(800)이 상수원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돌 내지 진흙에 나무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인 경우 혼합물제공유닛(141)은 소정 범위에서 물의 흐름이 막혀 있는 상수원일 수 있으며, 또한, 혼합물(800)이 하수도 관 내에 존재하는 돌 내지 진흙에 나무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인 경우 혼합물제공유닛(141)은 혼합물(800)이 존재하는 하수도 관일 수 있다. 제1 출구(120)는 흡입기(300)에 연결되는 배출관(310)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 내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1 대상물(810)인 나무 부스러기, 먼지 등이 흡입기(300)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100)로부터 배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출구(130)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더 무거운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이 자중에 의해 본체(100)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쌓이게 되면 배출될 수 있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예를 들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출구(130)에는 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50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이 소정 범위에서 본체(100)에 적층되면 개폐밸브(500)가 개방되며, 이에 의해 활성탄은 본체(100)에 근접하게 예를 들어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된 저장용기(70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용기(7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저울(710), 예를 들어 전자저울이 결합되거나 전자저울 상측에 저장용기(700)가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본체(100)로 유입된 후 낙하하여 적층된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중량측정기(400)가 결합될 수 있다. 중량측정기(400)는 활성탄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량측정기(400)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체(100)에 결합되는 중량측정기(400)와, 저장용기(700)에 결합되거나 저장용기(700) 하측에 배치된 전자저울은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2가지 중 하나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중량측정기(400)의 측정 결과, 즉, 중량측정기(400)에 의해 본체(100)로 유입된 후 낙하하여 적층된 활성탄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전술한 개폐밸브(500)가 개방되어 소정 범위의 활성탄을 저장용기(700)로 배출한다. 본체(100)는 지지다리(15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중량측정기(400)는 지지다리(15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활성탄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중량측정기(400)는 본체의 다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폐쇄형 바디를 가지는 회전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방향을 향해 바라본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서 회전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A-A' 방향을 향해 바라본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체(200)는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활성탄 및 활성탄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800)이 본체(100)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후술하는 흡입기(300)가 배출관(310)에 연결되어 작동하면 혼합물제공유닛(141)에 저장된 혼합물(800)이 공급관(140)을 따라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회전체(200)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흡입기(300)로부터의 강한 흡인력으로 인해 혼합물(800) 모두, 즉, 활성탄과 이물질 모두 흡입기(300)로 흡입되므로 활성탄과 이물질이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10)는, 본체(100) 내부에 회전체(200)가 결합되어 회전하며, 본체(100)로 유입되는 혼합물(800)에 선회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회전체(200)가 본체(1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회전하게 되면 본체(100)로 유입되는 혼합물(800)은 회전체(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하며, 다만 회전체(20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혼합물(800)이 본체(100)의 내벽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의 내벽에 근접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체(200)가 회전하면 회전체(200)로부터 본체(100)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800)을 본체(100) 내벽측으로 밀어서 혼합물(800)이 본체(100)의 내벽에 근접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은 자중에 의해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낙하하게 되며(도 2의 실선 화살표 a 참조),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1 대상물(810)인 이물질은 낙하 중 흡입기(300)의 흡인력에 의해 배출관(310)으로 빨려들어가서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도 2의 점선 화살표 b 참조). 즉, 활성탄의 경우 회전체(200)에 의해 본체(100) 내벽측으로 밀려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떨어지면 활성탄의 자중에 의해 흡입기(300)로 흡입되지 않고 본체(100) 하측으로 낙하되어 적층되지만, 이물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낙하 중 흡입기(300)에 의해 흡입된다. 이에 의해, 혼합물(800)은 활성탄과 이물질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된 활성탄은 재활용되고, 이물질은 폐기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관(140)은 본체(100)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회전체(200)는 시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활성탄과 이물질의 혼합물(800)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때 회전체(200)의 회전 방향, 즉, 시계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유입된다면 혼합물(800)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후 선회력에 의해 시계의 회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관(140)은 회전체(200)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100)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체(200)는 바디(210)와, 회전날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예를 들어, 하측에 중공(211, 도 4 참조)이 형성되고 측벽과 상측은 막혀 있는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만약, 바디(210)의 측벽에 개구가 형성되거나 개방되어 있다면 이물질 뿐만 아니라 활성탄도 바디(210) 측벽의 개구나 개방된 부분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바디(210)의 측벽은 막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관(310)은 바디(210)와 흡입기(300)에 각각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물질이 낙하하면서 흡입기(300)의 흡인력에 의해 바디(210)에 형성된 중공(211)을 따라 배출관(310)으로 이동 후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디(210)는 회전을 위해 모터와 같은 동력원(2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디(210)의 중공(211)에는 지지부재(600)가 설치되고, 지지부재(600)는 연결부(252)를 통해 동력원(250)의 회전축(251)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하므로, 바디(21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원(250)은 받침대(9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1개 이상의 회전날개(220)가 바디(210)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1개 이상의 회전날개(220)는 공기의 유동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바디(210)를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날개(220)는 바디(210)를 기준으로 다양하게 경사가 형성될 수 있는데, 회전체(200)의 다른 실시예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개(220)는 예를 들어 하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면서 바디(210)를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입기(300)는 배출관(310)에 연결되며 흡입력을 제공하여 혼합물(800)을 본체(10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혼합물(800) 중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으로부터 제1 대상물(810)인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이물질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기(300)는 진공 펌프(미도시)와, 배출용기(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공 펌프(미도시)를 통해 흡입되는 제1 대상물(810)인 이물질이 배출용기(311)로 인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 펌프(미도시)와 배출용기(311)는 차량 등과 같은 운송유닛(3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용기(311)에 이물질이 가득찬 경우 배출용기(311)만 교체하면 계속 작업이 가능하므로 운송유닛(312)이 직접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운송유닛(312)이 여러 차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 또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100)는 공급관(140)과 배출관(310)에 연결되고, 공급관(140)은 혼합물(800)을 제공하는 혼합물제공유닛(141), 예를 들어, 활성탄과 이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배출관(310)은 진공 펌프(미도시)와 배출용기(311)를 포함하는 흡입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기(300)의 진공 펌프(미도시)가 작동하면 본체(100) 내부에도 흡인력이 발생되므로 저장탱크에 저장된 활성탄과 이물질이 공급관(140)을 따라 본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200)가 회전하므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혼합물(800)은 회전체(200)의 회전으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해 본체(100) 내벽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 내벽측을 따라 선회한다. 활성탄과 이물질은 본체(100) 내벽측을 따라 선회하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데,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1 대상물(810)인 이물질은 낙하 중 흡입기(300)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므로 중공(211)을 통해 배출관(310)으로 이동하며, 배출관(310)을 따라 배출용기(311)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2 대상물(820)인 활성탄은 흡입력이 작용하는 본체(100) 중심부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본체(100) 내벽측 근처에서 낙하하므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계속 낙하하여 본체(100)의 하측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활성탄은 소정 범위의 중량을 가지면 저장용기(700)로 배출된 후 이송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로부터 분리된 활성탄의 중량 측정을 위해 본체(100)에는 중량측정기(400)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소정 범위의 중량을 만족하는 활성탄의 배출을 위해 본체(100)에는 개폐밸브(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사이클론 분리 장치 100 : 본체
110 : 입구 120 : 제1 출구
130 : 제2 출구 140 : 공급관
141 : 혼합물제공유닛 150 : 지지다리
200 : 회전체 210 : 바디
211 : 중공 220 : 회전날개
250 : 동력원 251 : 회전축
252 : 연결부 300 : 흡입기
310 : 배출관 311 : 배출용기
312 : 운송유닛 400 : 중량측정기
500 : 개폐밸브 600 : 지지부재
700 : 저장용기 710 : 저울
800 : 혼합물 810 : 제1 대상물
820 : 제2 대상물 900 : 받침대

Claims (8)

  1. 중량이 서로 다른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은 고체의 이물질이고, 상기 제2 대상물은 고체의 활성탄 또는 슬러지이며,
    상기 이물질과, 상기 활성탄 또는 상기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는 입구, 중량이 더 가벼운 상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제1 출구 및 중량이 더 무거운 상기 활성탄 또는 상기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는 제2 출구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 및
    상기 혼합물을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하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활성탄 또는 상기 슬러지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분리시켜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출구에 연결된 흡입기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하단에 중공이 형성되고 측벽이 막혀 있는 폐쇄형으로 형성되며, 동력원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바디에 결합된 형태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회전날개의 일부분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혼합물이 상기 회전날개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구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날개의 일부분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이격된 거리는 상기 회전날개의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중공을 통해 상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흡입기에 각각 연결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기 중공에는 상기 동력원이 결합될 수 있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둘레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유입된 후 낙하하여 적층된 상기 활성탄 또는 상기 슬러지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중량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기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
KR1020160094215A 2016-07-25 2016-07-25 사이클론 분리 장치 KR10187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15A KR101872512B1 (ko) 2016-07-25 2016-07-25 사이클론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15A KR101872512B1 (ko) 2016-07-25 2016-07-25 사이클론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4A KR20180011614A (ko) 2018-02-02
KR101872512B1 true KR101872512B1 (ko) 2018-06-28

Family

ID=6122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15A KR101872512B1 (ko) 2016-07-25 2016-07-25 사이클론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5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858A1 (en) * 1983-01-28 1984-08-02 Bruss Vni Pi Galurgii Turbo-cyclone for separating suspensions
JPH0810655A (ja) * 1994-06-29 1996-01-16 Sanshu Tec:Kk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JP2000511824A (ja) * 1997-04-01 2000-09-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遠心ユニットを有するサイクロン室を設けた分離装置及びこの分離装置を設けた電気掃除機
JP3995335B2 (ja) * 1998-04-10 2007-10-24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気流式粉砕機の粉砕システム
KR101459053B1 (ko) 2012-09-24 2014-11-07 주식회사 이지 백필터 싸이클론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4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6436C (en) Vortex waste separator apparatus
US7998251B2 (en) Vortex waste separator apparatus
US7559965B2 (en)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which is capable of separately collecting water from dust
JP6920226B2 (ja) 集塵システム
US20070294858A1 (en) Portable Vacuum Canister and Method of Waste Disposal Therefrom
US20160114279A1 (en) Filter apparatus for extracting fine dust from air
US7323022B1 (en) Vacuuming machine
KR20090117976A (ko) 분말제거장치 및 입체 분리 시스템
KR101872512B1 (ko) 사이클론 분리 장치
US10314450B2 (en) Vacuum cleaner envelope
WO2009104009A1 (en) Suction recycling arrangement
KR200479874Y1 (ko) 유량 자동 조절형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867386B2 (en) Protein separator for aquaria
JP2016077948A (ja) 極小物質回収装置と粉粒体供給システム
US5370236A (en) Separator device to separate dense particulate matter from less dense particulate matter
FI87298B (fi) Suganlaeggning.
CN217070098U (zh) 一种滑石粉回收装置
US1422736A (en) Ore separator
KR200480397Y1 (ko) 2단 분리형 사이클론 집진장치
CN210656260U (zh) 一种生活污水分离器
KR101621768B1 (ko) 방사형 물입자와 비산먼지 사이의 물마찰튀김효과를 통한 스마트 비산먼지 제거 장치
JP6799330B2 (ja) 粉粒体材料の除粉装置
JP6526616B2 (ja) 固液分離処理装置
SE527597C2 (sv) Separeringsanordning
CN115868873A (zh) 表面清洁装置及其污物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