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214B1 -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214B1
KR101872214B1 KR1020160164444A KR20160164444A KR101872214B1 KR 101872214 B1 KR101872214 B1 KR 101872214B1 KR 1020160164444 A KR1020160164444 A KR 1020160164444A KR 20160164444 A KR20160164444 A KR 20160164444A KR 101872214 B1 KR101872214 B1 KR 10187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mounting groove
infant
grip memb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159A (ko
Inventor
박춘성
Original Assignee
(주)다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스 filed Critical (주)다인스
Priority to KR102016016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14B1/ko
Priority to CN201710656435.5A priority patent/CN108143075A/zh
Publication of KR2018006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손가락이 고정되게 하여 유아의 손이나 손가락이 다치지 않게 하는 상태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할 수 있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아가 손으로 파지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그립부재(100)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그립부재(100)를 파지한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NAIL CARE DEVICE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의 손이나 손가락이 다치지 않게 하면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할 수 있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 줄은 길게 자란 손톱이나 발톱을 깎게 될 때, 그 절단면이 거칠게 되므로 이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연마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손톱 줄은 손톱깎이와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손톱깎이에 마련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전문화된 미용업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대중화되어 별도의 연마용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손톱 줄은 금속으로 제조됨에 따라 거칠게 형성되어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는 도중에 유아가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펴는 동작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의 손톱을 정확하게 정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아의 손가락에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6073호(2003.05.30.)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아의 손이나 손가락이 다치지 않게 하면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할 수 있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는 동안에 다른 손으로 그립부재를 파지하도록 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손톱을 정리하는 손이 아닌 다른 손으로 유도할 수 있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유아가 파지하는 그립부재에 캐릭터를 형성하거나 또는 쿠션을 형성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그립부재(100)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재(200)를 포함하고, 그립부재(100)가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01)이 형성되어,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연마부재(200)를 강제로 삽입시키면 걸림턱(101)이 벌려진 후에 오므려져서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연마부재(200)가 걸림턱(101)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으며, 그립부재(100)에는 반원통형태로 볼록한 쿠션부재(120)가 형성되어, 연마부재(200)에 의해 유아의 손톱이 연마되는 동안에 유아가 다른 손으로 그립부재(100)를 파지할 수 있고, 그립부재(100)에는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유아의 흥미가 유도될 수 있으며, 연마부재(200)는 장착홈(201)이 형성된 연마바디(210)와, 장착홈(201)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220)와, 연마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걸림부(230)를 포함하고, 장착홈(201)이 연마부(220)의 두께보다 깊은 길이로 형성되어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장착홈(20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연마부(220)의 모서리나 꼭짓점에 의해 유아의 피부에 상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마바디(210)는 연마부(220)의 하부가 장착되는 장착홈(201)이 형성되는 제1바디(211)와, 제1바디(2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연마부(220)의 상부가 장착되는 장착홈(201)이 형성되는 제2바디(212)와, 제1바디(211) 및 제2바디(212)의 서로 마주되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하고, 제1바디(211)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제1바디(211)의 일측에 연마부(220)가 형성되면 제1바디(211)의 타측을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바디(211)의 장착홈(201) 및 제2바디(212)의 장착홈(201)의 둘레에 단턱(202)이 형성되어 연마부(220)를 장착홈(201)에 삽입시키면,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단턱(202)에 걸려서 지지되고, 연마부(220)는 연마바디(210)에 구비되는 유리판과, 유리판의 표면에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되어서 형성된 연마층으로 이루어져서, 유리판이 물에 세척되어도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으면서,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된 연마층에 유아의 손톱 이외의 피부가 접촉되거나 쓸려도 피부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유아의 손가락이 고정되게 하여 유아의 손이나 손가락이 다치지 않게 하는 상태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할 수 있어서, 유아의 손톱이 말끔하게 정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톱이 정리되는 과정에서 유아의 손가락에 상처가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재가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된 유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서 유아의 손톱이 부드럽게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파지하는 그립부재에 캐릭터가 형성될 수 있어서 유아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파지하는 그립부재에 쿠션이 형성될 수 있어서 유아의 그립부재를 부드럽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연마부재가 삽입되어서 장착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보관장소가 적게 소요되고 휴대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a)(b)는 일실시예의 그립부재에 연마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b)는 다른 실시예의 그립부재에 연마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a)(b)는 본 발명의 그립부재에 형성된 쿠션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연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그립부재가 배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그립부재(100)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반원통형태로 형성된다.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연마부재(200)가 삽입되어서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그립부재(100)에 연마부재(200)가 장착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재(100)는 유아가 손톱을 연마하는 동안에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유아가 손톱을 손질하는 손이 아닌 그립부재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그립부재(10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됨에 따라 유아가 손으로 쥐었을 때, 유아에게 부드러운 그립(grip)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중금속이나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세균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항균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립부재(100)를 유아가 입으로 물거나 유아의 피부에 접촉되어도 독성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내부공간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01)이 형성될 수 있어서,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연마부재(200)를 강제로 삽입시키면 걸림턱(101)이 벌려진 후에 오므려지게 되므로,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연마부재(200)가 걸림턱(101)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연마부재(200)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서 보관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턱(110)이 형성될 수 있어서, 연마부재(200)의 일측이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지지턱(110)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면, 연마부재(200)의 타측이 그립부재(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호자는 그립부재(100)를 강제로 벌려서 연마부재(2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유아의 흥미가 유발되도록, 동식물이나 만화주인공과 같은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된 그립부재(100)는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손톱이 연마되는 도중에 불안해하지 않으므로, 손톱정리과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00)에는 유아의 손가락이 벌려진 상태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파지되도록 스펀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반원통형태이면서 원호형상으로 볼록한 쿠션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립부재(100)는 외주면이 원호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손이 쿠션부재(120) 또는 원호형태를 움켜쥐면서 파지하면 흥미가 더욱 유발될 수 있다.
아울러, 그립부재(100)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재(200)는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서 보관되고, 분리된 상태로 유아의 손톱을 연마할 수 있는 것으로, 연마바디(210)와, 연마바디(210)에 구비되어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220)를 포함한다.
연마바디(210)는 그립부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어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항균효과가 있고,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됨에 따라 연마부(220)가 일측에 형성되면 보호자가 타측을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더욱이, 연마바디(210)의 손잡이 부분인 타측이 일측보다 홀쭉하게 형성되면서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보호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마바디(210)는 연마부(220)가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는 장착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홈(201)은 연마부(220)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외부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연마부(220)의 모서리나 꼭지점에 의해 유아의 피부에 상처가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바디(210)는 전술한 그립부재(100)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그립부재(100)의 관통홀 및 연마부재(200)의 관통홀을 동시에 클립이나 링이 관통되어서 설치되면, 그립부재(100)에서 연마부재(20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클립이나 링에 의해 분실의 염려가 없다. 물론, 관통홀에 벽에 박힌 못이 관통하면 그립부재(100) 및 연마부재(200)가 벽에 걸린 상태로 보관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바디(210)는 제1바디(211)와, 제1바디(2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212)와, 제1바디(211) 및 제2바디(212)의 서로 마주되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제1바디(211)에 형성되는 장착홈(201)에는 연마부(220)의 하부가 장착되고, 제2바디(212)에 형성되는 장착홈(201)에는 연마부(220)의 상부가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장착홈(201)의 둘레에는 단턱(202)이 형성되어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단턱(202)에 걸려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마부(220)를 단턱(202)에 지지되게 하면서 장착홈(201)에 슬라이딩시켜서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서 연마부(220)의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213)인 돌기 및 홈이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제1바디(211) 및 제2바디(212)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기들과 홈들이 각각 결합되면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13)를 이용하여 제1바디(211)를 제2바디(212)에 결합시키면, 장착홈(201)에 장착되는 연마부(220)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제2바디(212)에서 제1바디(211)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연마부(220)의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220)는 연마바디(210)에 구비되는 유리판과 유리판의 표면에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되어서 형성된 연마층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에 의해 유리판에 미세한 홈이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됨에 따라, 유아의 손톱이 홈의 테두리에 깍여서 연마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부(220)가 금속판으로 구성되지 않고 유리판으로 구성됨에 따라, 금속의 독성물질이 유아에게 전달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연마부(220)가 물에 세척되어도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아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리판이 가공되어 미세한 돌기와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유아의 손톱이 부드럽게 연마될 수 있다. 특히, 손톱이외의 피부가 접촉되거나 쓸려도 피부가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마부(220)는 불산과 같은 부식액에 의해 표면이 부식되어서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강화유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의 직경은 50~100㎛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홈과의 간격은 100~15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홈들이 강화유리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마부(220)에 의해 손톱이 부드럽게 연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재(200)는 연마바디(210)의 측면에 보호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걸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230)는 돌기나 홈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보호자의 손가락이나 손톱이 걸릴 수 있으므로, 그립부재(100)에 장착된 연마부재(2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내부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는 캡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마부재(200)는 하부에 보호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40)는 원통이나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어서 연마바디(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재(100)는 내부공간으로 연마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고, 손잡이(240)에 의해 내부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즉, 연마바디(210)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마바디(210)의 외측이 그립부재(100)의 내측에 접촉되므로, 연마바디(210)가 외압이 가해지기 전까지 그립부재(100)에서 배출되지 않고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물론, 연마부(220)를 이용하여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240)를 파지한 상태로 연마바디(210)를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캡형태의 그립부재(100)에도 유아의 흥미가 유발되도록, 동식물이나 만화주인공과 같은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그립부재(100)는 외관의 형상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구형태 또는 배나온 원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유아가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그립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자는 그립부재(100)를 유아의 손에 쥐어주어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손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도한 후에 연마부재(200)를 이용하여 유아의 손톱을 연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의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고정시킨 상태로 유아의 손톱을 부드럽게 정리할 수 있는 도구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그립부재
110 : 지지턱
120 : 쿠션부재
200 : 연마부재
210 : 연마바디
211 : 제1바디
212 : 제2바디
213 : 결합부
220 : 연마부
230 : 걸림부
240 : 손잡이

Claims (10)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그립부재(100)와,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유아의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재(200)를 포함하고,
    그립부재(100)가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01)이 형성되어, 그립부재(100)의 내부공간으로 연마부재(200)를 강제로 삽입시키면 걸림턱(101)이 벌려진 후에 오므려져서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연마부재(200)가 걸림턱(101)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으며,
    그립부재(100)에는 반원통형태로 볼록한 쿠션부재(120)가 형성되어, 연마부재(200)에 의해 유아의 손톱이 연마되는 동안에 유아가 다른 손으로 그립부재(100)를 파지할 수 있고,
    그립부재(100)에는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유아의 흥미가 유도될 수 있으며,
    연마부재(200)는
    장착홈(201)이 형성된 연마바디(210)와,
    장착홈(201)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 손톱을 연마하는 연마부(220)와,
    연마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걸림부(230)를 포함하고,
    장착홈(201)이 연마부(220)의 두께보다 깊은 길이로 형성되어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장착홈(20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유아의 손톱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연마부(220)의 모서리나 꼭짓점에 의해 유아의 피부에 상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마바디(210)는
    연마부(220)의 하부가 장착되는 장착홈(201)이 형성되는 제1바디(211)와,
    제1바디(2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연마부(220)의 상부가 장착되는 장착홈(201)이 형성되는 제2바디(212)와,
    제1바디(211) 및 제2바디(212)의 서로 마주되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하고,
    제1바디(211)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제1바디(211)의 일측에 연마부(220)가 형성되면 제1바디(211)의 타측을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바디(211)의 장착홈(201) 및 제2바디(212)의 장착홈(201)의 둘레에 단턱(202)이 형성되어 연마부(220)를 장착홈(201)에 삽입시키면, 장착홈(201)에 장착된 연마부(220)가 단턱(202)에 걸려서 지지되고,
    연마부(220)는
    연마바디(210)에 구비되는 유리판과,
    유리판의 표면에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되어서 형성된 연마층으로 이루어져서,
    유리판이 물에 세척되어도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으면서, 마이크로포토애칭 가공된 연마층에 유아의 손톱 이외의 피부가 접촉되거나 쓸려도 피부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64444A 2016-12-05 2016-12-05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KR10187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44A KR101872214B1 (ko) 2016-12-05 2016-12-05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CN201710656435.5A CN108143075A (zh) 2016-12-05 2017-08-03 婴幼儿用指甲修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44A KR101872214B1 (ko) 2016-12-05 2016-12-05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59A KR20180064159A (ko) 2018-06-14
KR101872214B1 true KR101872214B1 (ko) 2018-06-28

Family

ID=6246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44A KR101872214B1 (ko) 2016-12-05 2016-12-05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2214B1 (ko)
CN (1) CN1081430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2904A (zh) * 2019-10-18 2020-01-24 江苏世丰知识产权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便于休闲娱乐的记录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652A1 (en) * 2014-05-15 2015-11-19 Spilo Worldwide, Inc. Nail file case with integrated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23B1 (ko) * 2009-06-04 2012-07-02 문진호 손톱 및 발톱소제구
KR20120136013A (ko) * 2011-06-08 2012-12-18 양두진 카드 일체형 손톱깎이
CN204232493U (zh) * 2014-10-25 2015-04-01 黄子培 一种新型儿童磨甲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652A1 (en) * 2014-05-15 2015-11-19 Spilo Worldwide, Inc. Nail file case with integrated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59A (ko) 2018-06-14
CN108143075A (zh)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1924A1 (en) Razor in cup-shaped configuration
US58232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rtificial fingernails and fingernail polish
EP2740447A1 (en) Contact-lens putting support tool
US20180133890A1 (en) Ergonomic Handle Device for Holding Tools
KR101872214B1 (ko)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US10362907B2 (en) Solid soap holder
US20120151701A1 (en) Multifaceted scrubbing device
US20160157579A1 (en) Fingernail Filing Device
US8430854B2 (en) Lotion applicator and method therefor
CN214711076U (zh) 一种便携多功能手部置物固定座
CN111202346A (zh) 一种u形刀具清洁刷
KR200233954Y1 (ko) 손톱 소제구
KR200233955Y1 (ko) 손톱 소제구
GB2527808A (en) Manicure or pedicure device
KR200232565Y1 (ko) 굳은살 제거구
JP3181910U (ja) 包丁支持具
JP2005253946A (ja) 爪削り器
JP5725633B2 (ja) アクセサリ留具の開放具
JP3179405U (ja) 包丁支持具
KR200437347Y1 (ko) 손톱 미용기구가 부착된 화장품 용기
KR20020065657A (ko) 손톱 소제구
JP2005074164A (ja) 束子
KR20180130768A (ko) 칼날용 행주 및 이와 손베임 방지 틀을 구비한 칼
JP3035908U (ja) 洗浄具
EP3141145B1 (en) Circular device with a rotating movement for nail varnish rem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