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952B1 -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 Google Patents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952B1
KR101871952B1 KR1020180017543A KR20180017543A KR101871952B1 KR 101871952 B1 KR101871952 B1 KR 101871952B1 KR 1020180017543 A KR1020180017543 A KR 1020180017543A KR 20180017543 A KR20180017543 A KR 20180017543A KR 101871952 B1 KR101871952 B1 KR 10187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sheet
waterproof
layer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와이
박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와이, 박찬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와이
Priority to KR102018001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콘크리트층(S) 바닥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10)과; 프라이머층(1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다수의 탈기로가 형성된 탈기방수시트(20)(20')와; 탈기방수시트(20)와 다른 탈기방수시트(20')의 경계면을 덮어 연결하는 방수마감테이프(30)와; 탈기방수시트(20)(20')에 형성되는 탈기구멍(20a)을 덮는 탈기장치(40)와; 탈기방수시트(20)(20'), 방수마감테이프(30) 및 탈기장치(40)의 바닥을 덮도록 도포되는 도박방수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complex waterproof structure using air vent shee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라브콘크리트층에 시공되는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방수는 물론 에어포켓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의 슬라브콘크리트층은 외부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비나 눈에 의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별도의 방수공법을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방수공법은, 건축물의 슬라브콘크리트층에 고무 아스팔트계, 염화비닐수지계 등의 합성 고분자계 시트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공법이나, 폴리우레탄고무계, 속경화 엘라스토머 방수 바닥재등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공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 10-1559133호 에 고무아스팔트계 방수시트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방수공법에 의하여 형성된 방수층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특정 부분이 손상되고, 이 상태에서 비나 눈이 올때 손상된 부분으로 물이 스며들어 슬라브콘크리트층으로 침투된다. 이후 비가 그치고 기온이 올라가면 슬라브콘크리트층에 침투된 물이 증발되어 수증기를 발생하며, 이때 발생된 수증기는 방수층을 슬라브콘크리트층에서 들뜨게 하는 에어포켓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에어포켓은 방수층 표면을 볼록하게 하여 약한 충격에도 방수층이 파손되게 하며, 이에 따라 방수능력이 급격히 약화되었다.
또는 슬라브콘크리트의 시공도중, 슬라브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때 슬라브콘크리트에 함수된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된다. 이러한 수증기나 가스 역시 방수층을 슬라브콘크리트로부터 들뜨게 하는 에어포켓 현상을 유발하여 방수층이 쉽게 파손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증기나 가스에 의한 에어포켓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방수층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비숙련자라도 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는 슬라브콘크리트층(S) 바닥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10); 상기 프라이머층(1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다수의 탈기로가 형성된 탈기방수시트(20)(20'); 상기 탈기방수시트(20)와 다른 탈기방수시트(20')의 경계면을 덮어 연결하는 방수마감테이프(30);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에 형성되는 탈기구멍(20a)을 덮는 탈기장치(40); 및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 방수마감테이프(30) 및 탈기장치(40)의 바닥을 덮도록 도포되는 도박방수층(50)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는, 바닥에 형성되는 점착층(21)과, 상기 점착층(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필름층(22)과, 상기 점착층(21)의 바닥 표면에 부분 매립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탈기로를 형성하는 탈기로시트(24)와, 상기 점착층(21) 측의 상기 탈기로시트(24)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그 탈기로시트(24)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내구성을 제공하는 월채널(wall channel, 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과 필름층(22) 사이에 형성되는 그 필름층(22)의 구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층(23)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및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은, 상기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 2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 5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며; 상기 난연제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2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감테이프(30)는, PET 등으로 된 테이프모재의 배면에 부틸고무층이 형성되어 구현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40)는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의 바닥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41)와, 상기 플랜지(41)에서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바디구멍(42a)이 형성된 바디(4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41)와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 사이에는 상기 바디구멍(42a)과 연통되는 링구멍(45a)이 형성된 점착방수링(45)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층 및 탈기로시트를 가지는 탈기방수시트를 채용함으로써, 슬라브콘크리트층(S)에 탈기방수시트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비숙련자라도 용이한 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탈기로시트의 상부표면에 형성되는 월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도 탈기로시트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콘크리트층(S)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에어포켓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탈기장치와 탈기방수시트 사이에 점착되는 별도의 점착방수링을 채용함으로써 도막방수층과 함께 2차에 걸쳐 방수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이에 따라 어떠한 외부 환경의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외부의 비나 눈이 탈기장치를 통하여 탈기방수시트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채용되는 탈기방수시트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탈기방수시트의 점착층에 매립되는 탈기로시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탈기로시트에 월채널이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탈기로시트에서 월채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탈기로시트와 탈기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점착방수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채용되는 탈기방수시트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탈기방수시트의 점착층에 매립되는 탈기로시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3의 탈기로시트에 월채널이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탈기로시트에서 월채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탈기로시트와 탈기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점착방수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는, 슬라브콘크리트층(S) 바닥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10)과; 프라이머층(1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다수의 탈기로가 형성된 탈기방수시트(20)(20')과; 탈기방수시트(20)와 다른 탈기방수시트(20')의 경계면을 덮어 연결하는 방수마감테이프(30)와; 탈기방수시트(20)(20')에 형성되는 탈기구멍(20a)을 덮는 탈기장치(40)와; 탈기방수시트(20)(20'), 테이프(30) 및 탈기장치(40)의 바닥을 덮도록 도포되는 도박방수층(50);를 포함한다.
프라이머층(10)은 슬라브콘크리트층(S)의 표면을 면처리한 후 프라이머를 도포함으로써 구현된다. 프라이머층(10)은 탈기방수시트(20)(20')가 슬라브콘크리트층(S)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탈기방수시트(20)(20')는 프라이머층(1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형성되는 점착층(21)과; 점착층(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필름층(22)과; 점착층(21)과 필름층(2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필름층(22)의 구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층(23)과; 점착층(21)의 바닥 표면에 부분 매립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탈기로를 형성하는 탈기로시트(24)를 포함한다.
점착층(21)은, 탈기방수시트를 별도의 접착제 없이 자기점착 방식에 의하여 슬라브(S) 바닥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점착층(21)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및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부틸고무는 기체와 수분에 대하여 낮은 투과성을 가지며, 천연고무나 스틸렌부타디엔고무에 비하여 내공기 투과성은 7-8배 이상 우수하고, 내수분 투과성은 10 배 이상인 고무이다. 폴리부틸렌은 액상의 형태로서 부틸고무와 혼합되어 자기 점착성 능력을 강화시킨다. 석유수지는 액상의 점착부여재인 폴리부틸렌을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 내열성 및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내열성 및 점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고상 점착부여제이다. 난연제는 점착층(21)의 내구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화된 대리석, 방해석 선석(霰石), 석회석, 백악, 빙주석(氷洲石), 조개껍데기, 달걀껍데기, 산호등이 있다.
이때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 20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를 가지고; 석유수지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 5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를 가지며;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20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부를 가진다. 상기 점착층(21)을 이루는 조성물이 상기 조성비보다 작을 경우 혼합반죽이 잘 되지 않고, 상기 조상비보다 클 경우 자기점착성 성질이 구현되지 않는다.
필름층(22)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탈기방수시트(20)(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필름층(22)은 PVC, PP, PE, PET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50 ~ 110㎛ 범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80㎛ 의 두께를 가진다. 이때 필름층(22)의 두께가 50㎛ 이하일 경우, 외부압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탈기방수시트(20)(20')가 파손될 수 있고, 두께가 110㎛ 이상일 경우 탈기방수시트(20)(20')의 제조과정에서 롤형태로 감을 때 필름층(22)의 표면에서 구겨짐이 발생된다.
탄성층(23)은, 점착층(2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필름층(22) 표면의 구겨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성을 가지게 하여 점착층(21)이 한여름에 과도하게 가열되거나 한겨울에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층(23)은 2~3 데이나이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테르(PE) 재질의 다수의 장섬유가 열압착되어 펠트(felt)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탄성층(23)은 단위질량이 40~100g/m2, 바람직하게는 70g/m2 인데, 단위 중량이 40 gr/㎡ 이하이면 탄성층(23)은 과도하게 얇아져 탄성층(23)의 단열성을 기대할 수 없고, 100 gr/㎡ 이상일 경우 과도하게 두꺼워져 오히려 후술할 필름층(22)의 표면 구겨짐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탄성층(23)은 유리섬유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탈기방수시트(20)(20')는 높은 내열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화재시에서 연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탈기로시트(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1)의 표면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수증기나 가스가 경유하는 다수의 탈기로를 형성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 탈기로(24a) 및 세로 탈기로(24b)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로 및 세로 탈기로(24a)(24b)는 다수의 섬유다발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메쉬 형태로 직조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부직포나 다공이 형성된 우레탄이나 스펀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성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탈기로시트(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기방수시트(20)에 탈기구멍(20a)을 형성할 때 탈기구멍(20a)의 단면을 통하여 노출되며, 이에 따라 탈기로시트(24)를 통하여 경유되는 수증기나 가스가 탈기구멍(20a)으로 배출되어 전술한 에어포켓 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탈기로시트(24)는 슬라브콘크리트층(S)의 표면에 탈기방수시트(20)(20')가 부착된 상태에서, 탈기방수시트(20)(20') 내부에서 슬라브콘크리트층(S)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가스가 흐르는 탈기로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고, 탈기로를 경유한 수증기 및 가스는 탈기구멍(20a)으로 배출되어 탈기구멍(20a)을 덮도록 설치되는 탈기장치(4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탈기로시트에 월채널이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탈기로시트에서 월채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1) 측의 탈기로시트(24)의 상부 표면에는 그 탈기로시트(24)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내구성을 제공하는 월채널(wall channel, 25)이 형성될 수 있다. 월채널(25)은, 탈기로시트(24)의 가로 및 세로 탈기로(24a)(24b)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점착층(21)의 표면에 몰입된 형태이며, 탈기로시트(24) 보다 단단한 수지 재질로 되어 점착층(21) 내부에서 가로 및 세로 탈기로(24a)(24b)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월채널(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1)의 하방으로 개구되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채널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탈기로시트(24)가 눌리어지지 않도록 하며, 슬라브콘크리트층(S)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나 가스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원활히 흐르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탈기로시트(24)를 통하여 효과적인 탈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방수마감테이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탈기방수시트(20)(20')의 경계를 방수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수마감테이프(30)는 PET 등으로 된 테이프모재의 배면에 부틸고무층이 형성되어 구현된 부틸방수테이프로 구현된다.
도 6은 도 4의 탈기로시트와 탈기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점착방수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기장치(40)는, 탈기방수시트(20)(20')의 바닥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41)와, 플랜지(41)에서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바디구멍(42a)이 형성된 바디(42)를 포함한다. 이때 바디(42)에는 비나 눈이 바디구멍(42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갓(43)이 설치되거나, 바디(42)가 전체적으로 거꾸로 형성된 "J"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탈기장치(40)의 플랜지(41)와 탈기방수시트(20) 사이에는 플랜지(41)와 탈기방수시트(20)(20')의 필름층(22)을 점착시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구멍(42a)과 연통되는 링구멍(45a)이 형성된 점착방수링(45)이 부착된다. 이러한 점착방수링(45)은 신율이 1,000% 이상인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며, 플랜지(41)와 필름층(22)을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기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탈기장치(40)에 의하여, 상기 탈기로시트(24)를 통하여 탈기구멍(20a)으로 유입되는 상기 수증기나 가스는 링구멍(45a) 및 바디구멍(42a)을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박방수층(50)은, 탈기방수시트(20)(20'), 방수마감테이프(30) 및 탈기장치(40) 바닥측의 플랜지(41)를 덮도록 도포함으로써 구현되며, 도막방수층(50)에 의하여 탈기방수시트(20)(20'), 방수마감테이프(30) 및 플랜지(4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도막방수층(50)은 폴리우레탄고무계, 속경화 엘라스토머 방수 바닥재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플랜지(41)와 탈기방수시트의 필름층(22) 사이에 점착되는 점착방수링(45)은, 도막방수층(50)과 함께 2차에 걸쳐 방수기능을 수행하게 하며, 따라서 어떠한 외부 환경의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탈기장치(40)를 통하여 외부의 비나 눈이 탈기방수시트(20)(20')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층(21) 및 탈기로시트(24)를 가지는 탈기방수시트(20)(20')를 채용함으로써, 슬라브콘크리트층(S)에 탈기방수시트(20)(2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비숙련자라도 용이한 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탈기로시트(24)의 상부표면에 형성되는 월채널(25)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도 탈기로시트(24)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브콘크리트층(S)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에어포켓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탈기장치(40)의 플랜지(41)와 탈기방수시트의 필름층(22) 사이에 점착되는 점착방수링(45)을 채용함으로써 도막방수층(50)과 함께 2차에 걸쳐 방수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이에 따라 어떠한 외부 환경의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외부의 비나 눈이 탈기장치(40)를 통하여 탈기방수시트(20)(20')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프라이머층 20, 20' ... 탈기방수시트
21 ... 점착층 23 ... 탄성층
22 ... 필름층 24 ... 탈기로시트
24a, 24b ... 가로 및 세로 탈기로 25 ... 월채널
30 ... 방수마감테이프 40 ... 탈기장치
41 ... 플랜지 42 ... 바디
42a ... 바디구멍 43 ... 갓
45 ... 점착방수링 45a ... 링구멍
50 ... 도막방수층

Claims (8)

  1. 슬라브콘크리트층(S) 바닥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10);
    상기 프라이머층(1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다수의 탈기로가 형성된 탈기방수시트(20)(20');
    상기 탈기방수시트(20)와 다른 탈기방수시트(20')의 경계면을 덮어 연결하는 방수마감테이프(30);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에 형성되는 탈기구멍(20a)을 덮는 탈기장치(40); 및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 방수마감테이프(30) 및 탈기장치(40)의 바닥을 덮도록 도포되는 도박방수층(50)을 포함하고;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는, 바닥에 형성되는 점착층(21)과, 상기 점착층(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필름층(22)과, 상기 점착층(21)의 바닥 표면에 부분 매립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탈기로를 형성하는 탈기로시트(24)와, 상기 점착층(21) 측의 상기 탈기로시트(24)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그 탈기로시트(24)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내구성을 제공하는 월채널(wall channel, 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과 필름층(22) 사이에 형성되는 그 필름층(22)의 구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층(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및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21)은,
    상기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 2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 5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며;
    상기 난연제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2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감테이프(30)는,
    PET 등으로 된 테이프모재의 배면에 부틸고무층이 형성되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40)는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의 바닥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41)와, 상기 플랜지(41)에서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바디구멍(42a)이 형성된 바디(4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41)와 상기 탈기방수시트(20)(20') 사이에는 상기 바디구멍(42a)과 연통되는 링구멍(45a)이 형성된 점착방수링(45)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20180017543A 2018-02-13 2018-02-13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187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43A KR101871952B1 (ko) 2018-02-13 2018-02-13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43A KR101871952B1 (ko) 2018-02-13 2018-02-13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952B1 true KR101871952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543A KR101871952B1 (ko) 2018-02-13 2018-02-13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9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33B1 (ko) * 2018-10-25 2019-05-30 김태우 엘이디 컨버터 장치
KR102141416B1 (ko) *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2300818B1 (ko) * 2020-10-19 2021-09-15 뉴그린텍 주식회사 빙축열조용 방수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91A (ja) * 2003-12-25 2005-07-14 Saitama Rubber Kogyo Kk 防水脱気シート
KR100877980B1 (ko) * 2007-10-19 2009-01-12 현흥창 자착식 필름 방수시트 및 그 방수공법
KR101455961B1 (ko) 2014-04-09 2014-10-31 (주)청우산업개발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101476959B1 (ko) * 2014-06-26 2014-12-24 김용규 자기점착성을 가지는 불연성 내화제 시트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1690138B1 (ko) * 2016-05-04 2016-12-30 씨엘엠테크(주)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91A (ja) * 2003-12-25 2005-07-14 Saitama Rubber Kogyo Kk 防水脱気シート
KR100877980B1 (ko) * 2007-10-19 2009-01-12 현흥창 자착식 필름 방수시트 및 그 방수공법
KR101455961B1 (ko) 2014-04-09 2014-10-31 (주)청우산업개발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KR101476959B1 (ko) * 2014-06-26 2014-12-24 김용규 자기점착성을 가지는 불연성 내화제 시트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1690138B1 (ko) * 2016-05-04 2016-12-30 씨엘엠테크(주)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33B1 (ko) * 2018-10-25 2019-05-30 김태우 엘이디 컨버터 장치
KR102141416B1 (ko) *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2300818B1 (ko) * 2020-10-19 2021-09-15 뉴그린텍 주식회사 빙축열조용 방수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952B1 (ko) 탈기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US3741856A (en) Novel sealants and adhesives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WO2006138053A2 (en) Breathable non-asphaltic roofing underlayment having tailorable breathability
US10358588B2 (en) Modified cold applied asphalt emulsion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101690138B1 (ko) 멀티 합성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 복합 방수공법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07142200A1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KR100593460B1 (ko)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20140116038A (ko) 자기 수평 모르타르와 단열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1741695B1 (ko) 시트 및 수성 방수제 도막층의 복합 방수공법 및 그 방수구조
KR20100105211A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710432B1 (ko)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221258B1 (ko) 방수용 섬유시트
KR20040091885A (ko)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4272311B2 (ja) 屋上断熱防水構造
EP1529895A1 (en) Panel particularly for insulating a loft slab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5209472B2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