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676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676B1
KR101871676B1 KR1020140181981A KR20140181981A KR101871676B1 KR 101871676 B1 KR101871676 B1 KR 101871676B1 KR 1020140181981 A KR1020140181981 A KR 1020140181981A KR 20140181981 A KR20140181981 A KR 20140181981A KR 101871676 B1 KR101871676 B1 KR 10187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image
size
focu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310A (ko
Inventor
준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3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reading pixels from selected 2D regions of the array, e.g. for windowing or digital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5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skipping some contiguous pixels within the read portion of the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촬상장치는,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들을 갖고, 피사체 상의 빛을 수광해서, 상기 피사체 상의 광전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는 제1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과, 제2 화상신호를 순차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판독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1 초점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1 연산 유닛과, 상기 제1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초점 조절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화상신호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상기 화상 신호의 일부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제1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보다 크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사체의 콘트라스트를 사용한 오토 포커싱 제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판독한 화상신호에 밴드패스 필터 처리를 행해서 얻어지는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오토 포커싱을 행하는 콘트라스트 AF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이외에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들에 근거하여 오토 포커싱을 행하는 기술도 출현하였다. 한편, 얼굴 검출 및 얼굴 인증 기술의 진보에 따라, 촬상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 영역을 식별하고, 얼굴을 포커스 측정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오토 포커싱을 행하는 기술도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8-139683호 공보에는, 얼굴 영역에 설정된 포커스 측정 프레임에 대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하고,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가중을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4-317699호 공보에는, 소정보다도 사이즈가 큰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 눈 영역에만 프레임을 설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일본국 특개 2008-139683호 공보에서는,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가 큰 경우, 그 얼굴 사이즈에 적합한 포커스 측정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성분을 취득하기 위한 상당한 용량의 라인 메모리를 확보해 놓을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 2004-317699호 공보에서는, 얼굴에 포함되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성분 중에서 눈 영역의 성분만을 추출하므로, 얼굴의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성분이 많다고 하는 생태적 특징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초점 조절이 행해질 때의 S/N비의 악화가 염려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판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행해지는 콘트라스트 평가에 있어서, 검출된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판독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피사체 영역의 콘트라스트 성분이 취득 가능해지는 기술을 실현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들을 갖고, 피사체 상의 빛을 수광해서, 상기 피사체 상의 광전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는 제1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과, 제2 화상신호를 순차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판독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1 초점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1 연산 유닛과, 상기 제1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초점 조절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화상신호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상기 화상 신호의 일부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제1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보다 큰,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들을 갖고 피사체 상의 빛을 수광해서, 상기 피사체 상의 광전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는 제1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2 화상신호를 순차 기억하는 단계와, 판독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1 초점신호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화상신호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상기 화상 신호의 일부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제1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보다 큰,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독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행해지는 콘트라스트 평가에 있어서, 검출된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판독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피사체 영역의 콘트라스트 성분이 취득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따른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단지 일례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다양한 상황과 구성에 따라 본 실시형태들을 적절히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형태들의 일부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촬상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실현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초점 조절 장치의 구성
도 1a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가 오토 포커싱(AF)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초점 조절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에 있어서, 촬영 렌즈(110)는 초점 조절 광학계로서 포커스 렌즈(112)를 포함하고, 촬영 렌즈(110)에 의해 피사체의 반사광인 피사체 상 빛이 촬상 소자(116)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116)는 광전변환 소자가 수평 방향(행 방향) 및 수직 방향(열 방향)으로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를 갖고, 촬영 렌즈(11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 상 빛을 광전변환한다. 촬상 소자(116)에 의해 광전변환된 수평 방향의 각 행의 화상신호는, 화상신호 판독부(10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전송되어 판독된다.
피사체 검출 유닛의 1개로서 기능하는 얼굴 검출부(105)는, 화상신호 판독부(104)에 의해 판독된 화상신호에 포함되는 피사체(예를 들면, 인물)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위치와 사이즈에 대응하는 포커스 측정 프레임을 설정한다.
평가값 연산부 106은, 포커스 측정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신호를, 판독 행마다 수평 방향으로 순차 필터 처리를 행하고, 수평 방향의 특정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전체 행의 특정 공간 주파수 성분을 가산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한다.
평가값 연산부 106에 의해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산출과 동시에, 기억부(107)는 얼굴 검출부(105)에 의해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을 적용함으로써,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에 포함된 화상신호를 판독 행마다 라인 메모리 위에 기억한다. 기억부(107)는, CPU의 워크 에어리어를 제공하는 RAM이나,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ROM 등의 메모리다.
평가값 연산부 108은, 기억부(107)에 기억된 화상신호를 수직 방향으로 순차 필터 처리를 행하여,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한다.
기억부(107)에 의한 화상신호의 기억 및 평가값 연산부 106 및 108에 의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산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토 포커싱(AF) 제어부(113)는, 평가값 연산부 106 및 평가값 연산부 108에 의해 산출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포커스 제어 값에 근거하여 포커스 렌즈(112)를 초점맞춤 위치로 구동한다. 이때,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전환과 가중된 평가값의 가산 등의 처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화상신호 판독부(104), 얼굴 검출부(105), 평가값 연산부 106 및 108, 기억부(107), 및 AF 제어부(113)는, 도 1b에 나타낸 시스템 제어부(122)의 제어하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된다.
촬상장치의 구성
도 1b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b에 있어서, 촬영 렌즈(110)는, 포커스 렌즈(112) 이외에, 줌 렌즈(111)를 포함한다. 조리개/셔터(114)는, 자동노출(AE) 제어부(115)의 동작 지령에 따라, 피사체 상 빛의 촬상 소자(116)에의 입사 광량을 조절하여 전하 축적 시간을 제어한다. AE 제어부(115)는, 조리개/셔터(114)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A/D 변환부(117)를 제어한다. 포커스 렌즈(112)는, AF 제어부(11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6)의 수광면 위에 초점을 맞춰서 광학상을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16)는, 수광면에 결상된 광학 상을 CCD나 CMOS 등의 광전변환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전기신호를 A/D 변환부(117)에 출력한다. A/D 변환부(117)는, 촬상 소자(116)로부터 입력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A/D 변환부(117)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CDS회로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아날로그 신호를 비선형 증폭하기 위한 비선형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화상처리부(118)는, A/D 변환부(117)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화소 보간 및 화상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와 색 변환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포맷 변환부(119)는, 화상 데이터를 DRAM(120)에 기억하기 위해서, 화상처리부(118)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행한다. DRAM(120)은, 고속의 내장 메모리의 일례이며, 화상 데이터의 일시적인 기억을 주관하는 고속 버퍼로서, 또는, 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에 있어서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서 사용된다.
화상 기록부(121)는, 촬영 화상(정지 화상, 동화상)을 기록하는 메모리카드 등의 기록매체와 그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시스템 제어부(122)는, CPU, 메모리(RAM, ROM), 입출력 회로, 타이머 회로 등을 갖고, CPU가 ROM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의 작업 에어리어에 전개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2)는, 촬상 소자(116)의 복수의 전하 축적 제어 모드 중에서 실시할 모드를 선택해서 제어를 행한다. VRAM(123)은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다. 표시부(124)는, 예를 들면, LCD 등이며, 화상의 표시, 조작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및 카메라의 상태 표시를 행하는 것 이외에, 촬영시에는 촬영 화면과 포커스 측정 영역을 표시한다.
촬영자는, 조작부(125)를 조작하여 촬상장치를 조작한다. 조작부(125)는, 예를 들면, 노출 보정과 조리개 값의 설정, 화상 재생시의 설정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메뉴 스위치, 촬영 렌즈의 줌 동작을 지시하는 줌 레버,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126)는, 시스템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스위치다. 제1스위치(127)는, 제1스위치 신호 SW1을 시스템 제어부(122)에 출력하여, AE 처리 및 AF 처리 등의 촬영 준비 동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다. 제2스위치(128)는, 제1스위치(127)에 의해 출력된 제1스위치 신호 SW1이 온인 동안(촬영 준비 상태)에, 제2스위치 신호 SW2를 시스템 제어부(122)에 출력하여, 촬영 지시를 행한다.
동작 설명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에 의한 화상신호 판독후에 행하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2의 처리는, 제1스위치(127)가 온되어, 제1스위치 신호 SW1이 시스템 제어부(122)에 출력되면 개시되고, 시스템 제어부(122)가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201에서는, 얼굴 검출부(105)가, 화상신호 판독부(104)에서 판독된 화상신호로부터 인물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위치와 사이즈에 관한 특징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2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스텝 S201에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포커스 측정 프레임을 설정한다.
스텝 S2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종 위치 촬영이 행해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종 위치 촬영에서는, 얼굴의 상하 방향이 촬상 소자(116)의 수평 방향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얼굴의 상하 방향에 고콘트라스트 성분이 많다고 하는 생태적 특징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행하는 것에 메리트가 거의 없다. 따라서, 스텝 S203에서 종 위치 촬영이 행해지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평가값 연산부 106에 의해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만을 사용한 통상 촬영을 행한다. 스텝 S203에서 종 위치 촬영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스텝 S202에서 설정된 포커스 측정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을 설정하여, 기억부(107)가 유지하는 일정 용량의 라인 메모리에 기억 가능하다.
스텝 S205에서는, 기억부(107)는, 스텝 S204에서 설정된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을 따라 솎아냄 처리를 행하면서, 화상신호 판독부(104)에 의해 순차 판독되는 수평 방향의 각 행의 화상신호 중, 포커스 측정 프레임에 포함되는 부분을 기억한다.
스텝 S2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기억부(107)가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에 따라 솎아냄 및 기억을 개시한 후, 스텝 S207의 수직 방향의 필터 처리에서 사용하는 필터의 탭 수에 해당하는 소정 행수의 화상신호가 기억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후, 소정 행수의 기억이 완료하면, 스텝 S20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수직 방향의 필터를 사용한 콘볼루션 연산을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공간주파수를 지원하는 공지의 필터링 기술이 사용된다. 또한, 복수의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를 동시 병렬로 사용해도 된다. 이때, 기억부(107)에 순차 기억되어 가는 행수의 증가에 따라, 필터 처리를 진행시키고, 필터 처리가 완료한 행은 소거한다. 따라서, 기억부(107)에는, 필터의 탭 수에 해당하는 행수를 기억하는 용량만을 확보해 둘 필요 있다.
스텝 S2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스텝 S207의 수직 방향의 필터 처리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각 열의 화상신호로부터 산출되는 피크값을 순차 유지한다. 이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스텝 S209 및 S210), 수직 방향의 각 열의 화상신호에 있어서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은 피크값이 얻어진다.
스텝 S2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평가값 연산부 108을 사용하여 스텝 S210까지 얻어진 수직 방향의 각 열의 콘트라스트의 피크값을 전부 가산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시스템 제어부(122)는, 1 프레임에 대한 얼굴을 포함하는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의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스텝 S203에서는, 줌 배율에 따라 서로 다른 솎아냄 비율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204에서 주밍에 의해 얼굴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솎아냄 비율을 더 높은 비율로 변경하면 된다.
도 2에서는 1 프레임에 대한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산출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후, AF 제어부(113)에 의한 포커스 렌즈(112)의 서치 구동이 행해지고, 다수의 프레임에서 다수의 포커스 위치에 관해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다른 지점에서 얻어진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가장 높아지는 포커스 렌즈(112)의 위치를 초점맞춤 위치로 사용하여 포커스 렌즈(112)가 구동된다. 이 일련의 동작을 1회의 초점 조절 동작으로 부른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는, 메인 스위치(126)에 전원이 투입되어 화상신호 판독부(104)에 의한 판독 동작이 개시된 시점부터, 이 초점 조절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정지 화상 촬영에 있어서, 촬영자가 제1스위치(127)를 온으로 하여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기 전에, 초점맞춤 위치 근방에 포커스 렌즈(112)를 이동함으로써, 보다 고속으로 1회의 초점 조절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촬영에 있어서는, 항상 이 초점 조절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피사체를 항상 초점맞춤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자가 제1스위치(127)로 1회째의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경우, 기억부(107)에 의해 사용되는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은, 최초의 프레임으로부터 검출되는 얼굴 사이즈에 따라 산출되어, 포커스 렌즈(112)를 초점맞춤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정지 화상 촬영에 있어서, 제1스위치(127)의 온으로부터 초점맞춤 완료까지 매우 짧은 시간이 걸려, 그 시간 동안에 피사체의 이동에 의한 얼굴 사이즈의 변화는 미소하기 때문이다.
수평 방향의 솎아냄 처리
여기에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도 2의 스텝 S205에 있어서 기억부(107)에 솎아냄 처리되어 기억된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의 화상신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촬영 화상 301a 및 301b에 포함되는 얼굴 영역에 포커스 측정 프레임 302a 및 302b가 설정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3a와 도 3b에서는, 포커스 측정 프레임에 포함되는 얼굴의 사이즈가 다르다.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얼굴 검출부(105)가 검출한 얼굴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기억부(107)는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이 더 커지도록 설정한다(예를 들면, 1/5 솎아냄=솎아냄 비율 80%). 반대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 검출부(105)가 검출한 얼굴 사이즈가 감소할수록, 기억부(107)는 수평 방향의 솎아냄 비율이 작아지도록 설정한다(예를 들면, 1/2 솎아냄=솎아냄 비율 50%).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억부(107)에 기억되는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의 화상신호의 열 수가 대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기억부(107)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행하기 위해 얼굴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더 이상 없어진다. 또한, 솎아냄 후의 화상신호에 있어서 얼굴에 포함되는 눈썹, 눈, 입술 등의 고콘트라스트 성분이 충분히 표현되기 때문에, 얼굴의 생태적 특징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에 있어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얼굴 전체의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성분이 취득 가능해진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열방향 솎아냄이 행해진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의 전체 행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직 평가에 사용하는 필터의 탭 길이에 해당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이 확보되어 있으면 되고, 필터 처리후 순차적으로 1라인에 해당하는 메모리를 소거 및 축적하면 된다.
변형예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얼굴 검출부(105)가 눈 검출부를 갖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촬영 화상(401)에 포함되는 얼굴 영역에 포커스 측정 프레임 402가 설정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 중 눈과 눈썹이, 수직 방향(얼굴의 상하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행한 경우에, 가장 높은 콘트라스트를 나타내기 때문에, 눈과 눈썹을 포함하는 화상신호를 솎아냄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얼굴 검출부(105)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얼굴 402를 검출하는 동시에, 눈 검출부가 얼굴 402에 포함되는 눈의 위치 403a 및 403b를 검출하여, 눈이 포함되는 열(도면 중의 영역 A 및 C)을 솎아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같이, 눈을 포함하는 열에 대해서는 솎아냄 비율을 낮추고(예를 들면, 1/3 솎아냄=솎아냄 비율 66%), 눈을 포함하지 않는 열(도면 중의 영역 B 및 D)에 대해서는 솎아냄 비율을 높인다(예를 들면, 1/20 솎아냄=솎아냄 비율 95%). 이와 같이 눈을 포함하는 영역과 눈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서 솎아냄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기억부(107)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에 적합한 솎아냄 비율(여기에서는, 80%보다 약간 적음)에서 솎아낸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용량으로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르면,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에 있어서, 검출된 얼굴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얼굴 전체의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성분이 취득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콘트라스트 평가의 영역은, 촬영 화면 내에서 검출된 얼굴의 영역(얼굴이 검출된 경우)으로 주어지지만, 얼굴 이외의 특정한 피사체 영역을 화상 검출을 사용하여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배경으로부터 피사체 상을 잘라내서 검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이외, 외부 입력 유닛으로부터 촬영 화면 내의 위치를 입력하거나, 파인더를 통해 보고 있는 촬영자의 시선을 검출해서 촬영 화면 내의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로서의 역할을 하는 촬상장치(200)에 의해 구현되는 오토 포커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촬상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촬상장치 100과의 차이는, 얼굴 검출부(105) 대신에, 피사체 검출부(201)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피사체 검출부(201)는, 얼굴 검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신호 판독부(104)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신호에 포함되는 주 피사체를, 휘도 정보나 색 정보를 기초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장치 200은, 촬상장치 100과 마찬가지로, 평가값 연산부 106 및 평가값 연산부 108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평가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촬영 광학계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차가 존재하고 있고, 그중에서 한개인 비점수차는, 수평 방향 평가값과 수직 방향 평가값의 피크에 차이를 발생하여, 한쪽의 피크 위치를 초점맞춤 위치로 하여 초점 조절을 행해도, 촬영된 화상이 초점맞춤 상태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인간의 눈이 수평 및 수직 양방향의 성분이 혼재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관찰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양자의 피크 위치의 평균 위치를 최종 초점맞춤 위치로 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 등의 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종래 제안되어 있다. 촬상장치(200)는, 그와 같은 비점수차 영향을 저감하는 초점 조절 동작이 가능한 촬상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로서의 역할을 하는 촬상장치(200)에 의한 화상신호 판독후에 행하는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까지를 포함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즉, 이 처리는, 촬영자가 초점 조절 동작을 개시하는 지시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셔터 릴리즈 버튼(미도시)을 눌러,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의 지시를 내린 이후에 행해지는 1회의 초점 조절 동작의 일부다. 또한, 이 처리는, 촬영자가 촬영을 행하기 전에, 카메라가 자동으로 실시하는 초점 조절 동작의 일부다. 스텝 S601에서는, 피사체 검출부(201)가,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 피사체를 검출하고, 이 주 피사체의 사이즈를 인식한다. 이것은, 촬영신호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내부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피사체와의 형상 매칭 처리에 의해 주 피사체의 사이즈를 인식하거나, 또는 화상 내의 엣지 추출 등의 처리를 거쳐 자동으로 주 피사체의 사이즈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스텝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스텝 S601에서 인식된 피사체의 사이즈에 따라 포커스 측정 프레임을 설정한다. 스텝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S602에서 설정된 포커스 측정 프레임의 중심 좌표가 소정 상 높이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중심 좌표가 소정 상 높이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수직 방향 평가값과 수평 방향 평가값의 양쪽을 산출하는 처리(S604 내지 S611 및 S612 내지 S614)로 진행한다. 한편, 중심 좌표가 소정 상 높이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수평 방향 평가값 만을 산출하는 처리(S612 내지 S614)로 진행한다. 이것은, 미리 정해진 상 높이를 초과한 경우에, 수직 평가값과 수평 평가값 사이에, 전술한 것과 같은 수차의 영향에 의해 격차가 생겨, 예를 들면, 그것의 평균 피크 위치를 최종 초점맞춤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스텝 S604 내지 스텝 S611에서 실시되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산출 처리는, 제1 실시형태의 도 2에 도시한 스텝 S204 내지 스텝 S211과 유사하다.
스텝 S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1 수직 동기 기간에 판독된 신호 열 중에서, 스텝 S602에 있어서 설정된 포커스 측정 프레임의 범위 내의 신호에 대해, 수평 방향(=판독 방향)으로 필터 처리를 행한다. 이때, 판독 행의 순차 필터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필터 처리와 달리, 필터 처리를 행하기 전에 판독 행을 라인 메모리에 기억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오토 포커싱 중의 1 수직 동기 기간에 판독되는 신호는, 고 프레임 레이트를 실현하기 위해, 행방향으로 솎아냄 판독을 실시한다. 이 행방향 솎아냄은,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값을 솎아냄 비율을 사용해서 실시된다. 스텝 S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스텝 S612에서 얻어진 필터 처리 파형으로부터 각 행의 콘트라스트 피크값을 유지한다. 이어서, 스텝 S6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2)는, 평가값 연산부 106을 사용하여, 스텝 S612에서 유지되어 있었던 포커스 측정 프레임 내의 콘트라스트 피크값을 전체 행에 대해 가산하여,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들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산출된 후, 본 처리는 종료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촬상장치(200)가 수직 및 수평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할 때 행해지는 솎아냄을 설명하는 개념도다. 도 7a는, 초점 검출이 행해질 때의 라이브 뷰로 촬영된 화상을 나타낸 것이다. 실선으로 나타낸 프레임은 촬상장치(200)가 주 피사체라고 판정한 포커스 측정 및 추미(tracking) 프레임이고, 파선으로 나타낸 프레임은 촬상장치(200)가 부 피사체라고 판정한 추미 프레임이다. 실제의 초점 조절 동작은 실선으로 나타낸 포커스 측정 및 추미 프레임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화면 중앙의 일점쇄선은,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동시에 산출할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경계선이다(도 6의 스텝 S603). 주 피사체로서 인식되어 사이즈 및 위치가 설정된 포커스 측정 및 추미 프레임의 중심 좌표가 일점쇄선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도 7b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을 위해, 열방향으로 솎아냄되어 라인 메모리에 축적되는 영역을 나타낸 모식도다. 여기에서, 열방향의 솎아냄 비율을 80%(1/5 솎아냄)로 주어진다. 이 열방향의 솎아냄 비율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사체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라인 메모리의 양을 가변으로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행방향 솎아냄 비율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에 근거하여 66%(=1/3 솎아냄)로 설정되어 있고, 도시한 것과 같이, 세로로 긴 영역에 대해 수직 방향의 평가가 행해진다. 도 7c는,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을 위해, 행방향 솎아냄 및 필터 처리가 행해진 영역을 나타낸 모식도다. 상기한 것과 같이,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시에는 곧바로 필터 처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한 행을 라인 메모리에 축적하는 것 등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소정 상 높이를 초과하고 있는 피사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 산출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라인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행할 때 사용되는 라인 메모리 양을 피사체 사이즈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도 7b 및 도 7c의 영역에 대해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산출되어, 소정의 서치 범위에 있어서 2개의 피크 위치가 검출된다. AF 제어부(113)는, 이들 2개의 피크 위치의 평균 위치를 최종 초점맞춤 위치로 하여 포커스 렌즈(112)의 구동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의 여부를 상 높이에 의존하여 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상 높이에 대해 양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산출을 행해도 된다. 또한, 촬상장치(200)가 렌즈 교환식의 촬상장치인지 아닌지에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촬상장치(200)가 렌즈 교환식의 촬상장치이고, 부착된 렌즈의 종류에 따라,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행할지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행하지 않을지를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AF 제어부(113)는 2개의 피크 위치의 평균을 최종 초점맞춤 위치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AF 제어부(113)는, 어느 한개의 피크 위치에 가중을 행하는 것 등의 처리를 행하여, 가중된 피크 위치를 최종 초점맞춤 위치로 해도 된다.
이들 2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열방향이 수직 방향인 콘트라스트 평가시의 솎아냄만 취급했지만, 실제로는, 판독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 가산처리를 행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신호의 판독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했지만, 수직 방향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에 기억될 때에 솎아내지는 것은 수직 방향의 화상신호가 되고,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신호로부터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산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가값 연산부 106과 평가값 연산부 108은 초점신호로서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초점신호가 얻어지는 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점신호를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촬상광학계의 동공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동공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상을 광전변환하는 초점 검출용 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초점 검출용 화소의 출력 신호를 사용해서 상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초점 조절을 행하는 위상차 AF 방식의 출력 신호를 초점신호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1개의 마이크로렌즈와 사출 동공을 분할하기 위한 복수의 광전변환부로 구성되는 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출 동공을 통과한 빛을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복수의 화소 출력 신호를 사용해서 상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초점 조절을 행하는 위상차 AF 방식에의 출력 신호를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위상차 AF 방식의 출력 신호란, 위상차나 디포커스(defocus) 양을 말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25)

  1.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들을 갖고, 피사체 상의 빛을 수광해서, 상기 피사체 상의 광전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는 제1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과,
    제2 화상신호를 순차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판독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1 초점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1 연산 유닛과,
    상기 제1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초점 조절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화상신호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상기 화상 신호의 일부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제1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보다 큰,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영역은 인물의 얼굴 영역인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솎아냄 처리는 소정 행수마다 화상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처리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하여 솎아냄이 일률적으로 행해지는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고,
    상기 제1 연산 유닛은 상기 수직 방향 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필터 처리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2 초점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2 연산 유닛을 더 구비한 촬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하 방향과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화상신호가 판독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초점 조절 유닛은, 상기 제2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는 촬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하 방향과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화상신호가 판독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초점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초점신호와 상기 제2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는 촬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촬영자로부터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의 지시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조작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의 지시를 받았을 때 행해지는 초점 조절 동작에서,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기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상기 솎아냄 비율이, 상기 초점 조절 유닛에 의해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는 촬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신호의 행수는, 상기 제1 연산 유닛이 사용하는 필터의 탭 수에 해당하는 촬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솎아냄 비율은 줌 배율에 따라 변경되는 촬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영역에서 주밍 결과가 제3 사이즈보다도 큰 제4 사이즈로 된 경우에,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의 상기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이 제3 사이즈인 경우보다도 더 크게 증가되는 촬상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얼굴 영역으로부터 눈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눈 검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눈을 포함하는 영역의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솎아냄 비율이, 눈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의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솎아냄 비율보다도 작게 감소되는 촬상장치.
  13.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화소들을 갖고 피사체 상의 빛을 수광해서, 상기 피사체 상의 광전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는 제1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2 화상신호를 순차 기억하는 단계와,
    판독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1 초점신호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초점 조절 동작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판독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화상신호 중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상기 화상 신호의 일부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제1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이 상기 피사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인 경우의 상기 솎아냄 처리의 솎아냄 비율보다 큰,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4. 컴퓨터에, 청구항 13에 기재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방향으로 제3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2 초점신호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2 연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기 사이즈에 근거하지 않는 솎아냄 비율로 솎아냄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촬상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영역은 인물의 얼굴 영역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솎아냄 처리는 소정 행수마다 화상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처리이고,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하여 솎아냄이 일률적으로 행해지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 판독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화상신호를 필터 처리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2 초점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하 방향과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화상신호가 판독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이 행해지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하 방향과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화상신호가 판독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초점신호와 상기 제2 초점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이 행해지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3항에 있어서,
    촬영자로부터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의 지시를 받아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를 받아들이는 단계에서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의 개시의 지시를 받았을 때 행해지는 초점 조절 동작에서,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기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상기 솎아냄 비율이,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신호의 행수는, 상기 산출하는 단계에서 사용하는 필터의 탭 수에 해당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방향으로 제3 화상신호를 순차 필터 처리하여, 제2 초점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화상신호는 상기 제1 화상신호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피사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 영역의 상기 사이즈에 근거하지 않는 솎아냄 비율로 솎아냄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5. 컴퓨터에, 청구항 16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81981A 2013-12-27 2014-12-17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3174 2013-12-27
JPJP-P-2013-273174 2013-12-27
JP2014220627A JP6383251B2 (ja) 2013-12-27 2014-10-29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JP-P-2014-220627 201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310A KR20150077310A (ko) 2015-07-07
KR101871676B1 true KR101871676B1 (ko) 2018-06-27

Family

ID=5337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981A KR101871676B1 (ko) 2013-12-27 2014-12-17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0162B2 (ko)
JP (1) JP6383251B2 (ko)
KR (1) KR101871676B1 (ko)
CN (1) CN104754213B (ko)
DE (1) DE102014119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2119B2 (ja) * 2013-04-30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5763696A (zh) * 2016-04-18 2016-07-13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拍照设备及拍摄组件
CN106341594A (zh) * 2016-08-23 2017-01-18 上海集光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机辅助聚焦的方法
CN106791441B (zh) * 2017-01-23 2019-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装置
JP6943115B2 (ja) * 2017-09-26 2021-09-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撮像装置
US11734957B2 (en) 2019-02-18 2023-08-22 Ne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751A (ja) * 2009-02-06 2010-08-19 Canon Inc 自動焦点検出装置
JP5285632B2 (ja) * 2009-01-26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699A (ja)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デジタルカメラ
JP4553346B2 (ja) * 2003-10-22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4576280B2 (ja) * 2005-04-11 2010-11-04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2007028339A (ja) * 2005-07-19 2007-02-01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326205B2 (ja) 2006-12-04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08139683A (ja) * 2006-12-04 2008-06-19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08172606A (ja) * 2007-01-12 2008-07-24 Sony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257969B2 (ja) * 2007-10-10 2013-08-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合焦位置制御装置、及び合焦位置制御方法、合焦位置制御プログラム
JP5147474B2 (ja) * 2008-03-14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55291B2 (ja) * 2009-11-05 2015-01-2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2012133112A (ja) * 2010-12-21 201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8520133B2 (en) * 2010-12-21 2013-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072923A (ja) * 2011-09-27 2013-04-22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5632B2 (ja) * 2009-01-26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10181751A (ja) * 2009-02-06 2010-08-19 Canon Inc 自動焦点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0162B2 (en) 2016-08-16
CN104754213A (zh) 2015-07-01
CN104754213B (zh) 2018-04-03
KR20150077310A (ko) 2015-07-07
US20150189157A1 (en) 2015-07-02
DE102014119150A1 (de) 2015-07-02
JP2015143815A (ja) 2015-08-06
JP6383251B2 (ja)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676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00772B2 (en) Focus adjustment device and focus adjustment method that detects spatial frequency of a captured image
US20130016245A1 (en) Imaging apparatus
US9106825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image captur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965192B2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JP2013029656A (ja) 撮像装置
US10542202B2 (en) Control apparatus that performs focusing by imaging-plane phase difference AF,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4655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391304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1232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method
EP2166408B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6197202A (ja) 焦点調節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US10812704B2 (en) Focus detec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sensor operations
JP201913302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焦点調節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018084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328528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70489A (ko) 촬상 장치 및 방법
CN102833484A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724900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US20190094656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6156950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64822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185354A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7023673B2 (ja) 焦点調節装置、焦点調節方法、及び撮像装置
JP5239250B2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