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61B1 -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61B1
KR101871261B1 KR1020180011875A KR20180011875A KR101871261B1 KR 101871261 B1 KR101871261 B1 KR 101871261B1 KR 1020180011875 A KR1020180011875 A KR 1020180011875A KR 20180011875 A KR20180011875 A KR 20180011875A KR 101871261 B1 KR101871261 B1 KR 10187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ink
loading device
hing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기
Original Assignee
장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기 filed Critical 장종기
Priority to KR102018001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트 장치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고,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장치(2)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패널(100)과; 메인패널(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제1힌지(H1)에 의해 각 메인패널(10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승강패널(200)과; 일측이 메인패널(10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승강패널(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힌지(H1)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S1)와; 전단은 제2힌지(H2)에 의해 적재장치(2)의 하부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제3힌지(H3)에 의해 메인패널(10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300)와; 전단은 적재장치(2)의 측면에서 제4힌지(H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메인패널(100)의 상부에서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메인패널(100)의 상부를 적재장치(2)에 연결하는 상부링크(400)와; 일측은 적재장치(2)의 측면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링크(300)의 제2힌지(H2)보다 하부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링크(300)의 후단을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LIFTING APPARATUS OF GARBAGE DISPOSAL TRUCK}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를 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후방에 구비된 리프트장치를 접어 적재장치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프트장치가 외부와 부딪쳐 손상 및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혀진 리프트 장치가 적재장치 후방의 오픈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에서는 일반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담아 규격화되어 있는 쓰레기통에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쓰레기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해 수거되는데, 상기 쓰레기 수거차량의 후방에는 규격화된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적재함에 적재하기 위한 쓰레기 적재장치(이하 간단히 '적재장치'라 칭하기로 한다)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적재장치는 통상적으로 규격화된 쓰레기통을 자동으로 들어올려 적재함에 투입할 수 있는 리프트(Lift)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리프트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좌우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패널(10)과; 상부와 하부에 지지대(21)로 상호 연결되고, 상부에는 쓰레기통(3)을 잡아주는 포크(22)가 접철되어 상기 고정패널(10)의 좌우 양측의 적재장치(2)와 이격되게 상기 고정패널(10)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승강패널(20)과; 일측은 적재장치(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패널(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을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30)와; 상기 적재장치(2)의 상부에 적재장치(2)와 이격되게 장착되어 뚜껑(4)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40)과; 적재장치(2)와 상기 승강패널(20) 사이에 장착되어 그 사이로 쓰레기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쓰레기받이(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22)를 펴서 쓰레기통(3)의 좌우에 형성된 제1돌기(3a)에 걸고, 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0)가 인장되어 승강패널(20)을 고정패널(10)에 힌지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쓰레기통(3)이 회전하면서 뚜껑(4)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2돌기(4a)가 안내레일(40)에 걸려 뚜껑(4)이 열리게 되어, 쓰레기통(3)의 쓰레기가 적재장치(2)에 투입되고, 적재장치(2)에 투입된 쓰레기는 이송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차량 적재함의 상부로 투입된다. 상기 이송장치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종래의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인력으로 쓰레기통(3)을 차량의 적재함까지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쓰레기 수거작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널(10) 및 승강패널(20)이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고정패널(10)과 승강패널(20)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쓰레기 수거시에 승강패널(20)과 포크(22)가 일정 각도로 회전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시나 좁은 골목길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때, 상기 고정패널(10) 및 승강패널(20)이 외부와 부딪쳐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이 오픈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가벼운 일부 쓰레기가 적재장치 밖으로 흩날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9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시에는 리프트장치를 완전히 접어서 적재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리프트장치가 외부 물체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만 리프트장치를 적재장치의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리프트장치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운행시 접혀진 리프트 장치가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일부 쓰레기가 적재장치 밖으로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좁은 골목길에서도 차량을 용이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는, 적재장치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가 지지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부에는 쓰레기통의 좌우 양측에 돌출된 제1돌기를 걸어주는 포크가 내측으로 접철되게 구성되며, 상단 이 제1힌지에 의해 각 메인패널의 상단 전방에 힌지결합되는 승강패널과; 상기 메인패널과 상기 승강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메인패널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힌지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승강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장 수축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을 상기 제1힌지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전단은 제2힌지에 의해 적재장치의 하부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제3힌지에 의해 메인패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패널의 하부와 적재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의 상부에 이격배치되어, 전단은 적재장치의 측면에서 제4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메인패널의 상부에서 제1힌지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제5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일패널에 의해 하부링크와 연동되면서 메인패널의 상부를 적재장치에 연결하는 상부링크와; 일측은 적재장치의 측면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링크의 제2힌지보다 하부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장수축에 의해 하부링크의 후단을 제2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가 인장되면, 하부링크와 상부링크의 후단에서 제3힌지와 제5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이, 제2힌지와 제4힌지를 기준으로 하부링크와 상부링크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재장치의 후방에 인접하게 이동배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가 수축하면, 하부링크와 상부링크의 후단에서 제3힌지와 제5힌지에 힌지결합된 상기 메인패널이, 제2힌지와 제4힌지를 기준으로 하부링크와 상부링크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재장치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장치와 상기 승강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쓰레기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받이의 전단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 방향으로 접철시키는 쓰레기받이 접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받이 접철부재는, 쓰레기받이가 전단에 고정장착되고, 적재장치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쓰레기받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고정링크와; 하부링크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힌지를 기준으로 하부링크와 함께 회전하는 제2고정링크(630)와; 일단은 제6힌지에 의해 제1고정링크의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7힌지에 의해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가 인장되면, 하부링크가 제2힌지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회전하여, 제6힌지와 제7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연결링크가 제1고정링크와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쓰레기받이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의 내측으로 접히고, 제2실린더가 수축하면, 하부링크가 제2힌지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힌지와 제7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연결링크가 제1고정링크와 회전축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에 고정된 쓰레기받이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와 승강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재장치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패널이 상방향으로 회전시, 쓰레기통의 뚜껑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돌기에 걸려 뚜껑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제2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 방향으로 접철시키는 레일 접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접철부재는, 안내레일에서 적재장치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제8힌지에 의해 적재장치에 힌지결합되는 돌출부와; 상단은 안내레일에 인접하게 돌출부의 하부에 제9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부링크의 제4힌지와 제5힌지 사이의 제10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가 인장되면, 하부링크와 연동되는 상부링크가 제4힌지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와 제10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2연결링크가 상승하여, 제8힌지를 기준으로 안내레일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고, 제2실린더가 수축하면, 하부링크와 연동되는 상부링크가 제4힌지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와 제10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2연결링크가 하강하여, 제8힌지를 기준으로 안내레일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에 의하면, 쓰레기 수거작업 시에는, 메인패널, 승강패널 및 제1실린더를 적재장치의 후방으로 돌출시켜서 쓰레기통을 들어올려 쓰레기를 수거하고, 차량운행 시에는, 메인패널, 승강패널 및 제1실린더가 적재장치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패널, 승강패널 및 제1실린더가 외부 물체와 부딪쳐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에는, 접혀진 리프트 장치가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일부 쓰레기가 적재장치 밖으로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통을 회전시켜 적재장치에 쓰레기를 적재할 때, 쓰레기받이와 승강패널 사이로 쓰레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패널이 회전하면서 쓰레기통을 들어 회전시킬 때, 쓰레기통 뚜껑이 원활하게 열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내레일을 적재장치와 이격시켜 쓰레기통의 뚜껑이 자동으로 열리게 하고, 쓰레기 수거작업을 완료하고 차량을 운행할 경우에는 적재장치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이동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에서 제2실린더에 의해 메인패널 및 안내부재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에서 제2실린더에 의해 쓰레기받이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로 쓰레통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제1실린더(S1), 하부링크(300), 상부링크(400), 제2실린더(S2), 쓰레기받이(500),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 안내레일(700) 및 레일 접철부재(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패널(10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후방에서 이격되어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패널(100)은, 후술하는 승강패널(200)이 장착되어 쓰레기통(3)에 수용된 쓰레기를 적재장치(2)에 적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패널(100)은, 후술하는 제2실린더(S2)에 의해,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패널(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패널(100)의 내측에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패널(200)은, 상부와 하부에 쓰레기통(3)의 전면이 지지되는 지지대(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제1실린더(S1)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패널(200)의 상부에는, 도 3(b), 도 4(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3)의 좌우 양측에 돌출된 제1돌기(3a)를 걸어주는 포크(220)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패널(20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패널(100)의 상단 전방에 제1힌지(H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H1)를 기준으로 제1실린더(S1)에 의해 후단이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쓰레기통(3)에 수용된 쓰레기를 적재장치(2)에 적재한다.
상기 제1실린더(S1)는, 각 메인패널(100)과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메인패널(10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1힌지(H1)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즉, 제1힌지(H1)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패널(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패널(2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1실린더(S1)는, 인장 수축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패널(200)을 제1힌지(H1)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쓰레기통(3)에 수용된 쓰레기를 적재장치(2)에 적재한다.
하부링크(300)는, 전단이 도 3(a), 도 4(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H2)에 의해 적재장치(2)의 하부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이 제3힌지(H3)에 의해 메인패널(10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링크(300)는, 각 메인패널(100)의 하부와 적재장치(2)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하부링크(300)는, 제2실린더(S2)에 의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를,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의 후방으로 인접 배치시키거나,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링크(40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전단이 도 3(a), 도 4(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측면에 제4힌지(H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메인패널(100)의 상부에 제1힌지(H1)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상부링크(400)는, 메인패널(100)에 의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어 각 메인패널(100)의 상부를 적재장치(2)에 연결한다.
즉, 상기 상부링크(400)는, 도 3(a), 도 4(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이 제2힌지(H2)에 의해 적재장치(2)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이 제3힌지(H3)에 의해 하부에 힌지 결합된 메인패널(100)에 의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가 상방향으로 회전시에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상부링크(400)는, 제2실린더(S2)에 의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가 회전하면, 메인패널(100)에 의해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여,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를,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인접 배치시키거나,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제2실린더(S2)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적재장치(2)의 측면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링크(300)의 제2힌지(H2)보다 하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즉,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2실린더(S2)는, 인장 수축에 의해 하부링크(300)의 후단을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에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이, 제2힌지(H2)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를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시킨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하부링크(300)의 후단이 회전하면서 메인패널(100)이 상승하며, 제5힌지(H5)에 의해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링크(300)와 상기 상부링크(400)의 후단에서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 및 메인패널(100)에 결합된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상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에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이, 제2힌지(H2)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하부링크(300)의 후단이 회전하면서 메인패널(100)이 하강하며, 제5힌지(H5)에 의해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에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 및 메인패널(100)에 결합된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에는,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를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시켜, 쓰레기통(3)을 들어올릴 수있도록 한다.
또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지 않고 차량(1)을 운행을 할 경우에는,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를 완전히 접는다.
이에 따라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에는, 접혀진 리프트 장치가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일부 쓰레기가 적재장치 밖으로 흩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쓰레기받이(500)는, 쓰레기통(3)을 회전시켜 적재장치(2)에 쓰레기를 적재할 때, 상기 적재장치(2)와 승강패널(20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쓰레기받이(5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3)을 회전시켜 적재장치(2)에 쓰레기를 적재할 때, 상기 쓰레기받이(500)와 승강패널(200) 사이로 쓰레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는,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고 차량(1)을 운행할 때, 쓰레기받이(500)가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는다.
이러한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는,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10), 제1고정링크(620), 제2고정링크(630) 및 제1연결링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쓰레기받이(500)의 전단에 고정장착되고, 적재장치(2)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쓰레기받이(50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1고정링크(620)는, 도 3 및 도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쓰레받이 및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링크(630)는, 도 3 및 도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제2링크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링크(640)는, 일단은 제6힌지(H6)에 의해 제1고정링크(62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7힌지(H7)에 의해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제1연결링크(640)는,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시, 회전력을 회전축(610)에 전달하여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하는 쓰레기받이(500)를 적재장치(2)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회전하여, 제6힌지(H6)와 제7힌지(H7)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1연결링크(640)가 제1고정링크(620)와 회전축(610)을 회전시켜, 회전축(610)에 고정된 쓰레기받이(5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의 내측으로 접철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힌지(H6)와 제7힌지(H7)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1연결링크(640)가 제1고정링크(620)와 회전축(610)을 반대방향 회전시켜, 회전축(610)에 고정된 쓰레기받이(5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와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에 의하면, 쓰레기받이(500)가 제2실린더(S2)의 인장과 수축에 의해 적재장치(2)로 완전히 접혀지거나, 적재장치(2)와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 작업을 할 때에는, 쓰레기가 적재장치(2)와 승강패널(200) 사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지 않고 차량(1)을 운행할 때에는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내레일(700)은, 도 3 내지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1실린더(S1)에 의해 승강패널(200)이 상방향으로 회전시, 즉 쓰레기통(3)을 회전시킬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3)의 뚜껑(4)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돌기(4a)에 걸려 뚜껑(4)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상기 제2돌기(4a)를 안내한다.
즉, 상기 안내레일(700)은,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패널(200)이 회전하면서 쓰레기통(3)을 들어 회전시킬 때, 뚜껑(4)의 회전중심점 이동에 따라 제2돌기(4a)를 안내하여 뚜껑(4)이 원활하게 열리도록 한다.
레일 접철부재(800)는, 안내레일(7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레일 접철부재(800)는, 쓰레기 수거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S2)의 인장에 의해 적재장치(2) 방향으로 상향 회전시킨다.
이러한 레일 접철부재(800)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10) 및 제2연결링크(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810)는, 도 3(a), 도 4(a),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700)에서 적재장치(2)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8힌지(H8)에 의해 적재장치(2)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돌출부(810)는, 제8힌지(H8)에 의해 안내레일(700)이 적재장치(2)에서 이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링크(820)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안내레일(700)에 인접하게 즉, 제8힌지(H8)와 이격되게 돌출부(810)의 하부에 제9힌지(H9)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부링크(400)의 제4힌지(H4)와 제5힌지(H5) 사이 즉, 상부링크(400)를 회전시키는 제4힌지(H4)와 이격되게 상부링크(400)에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제2실린더(S2)의 인장시,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부링크(400)의 상방향 회전에 의해, 안내레일(700)을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는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H9)와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2연결링크(820)가 상승하여,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안내레일(7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는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H9)와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2연결링크(820)가 하강하여,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안내레일(700)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레일 접철부재(800)에 의해, 안내레일(700)을 적재장치(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적재장치(2)와 이격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내레일(700)을 적재장치(2)와 이격시켜 쓰레기통(3)의 뚜껑(4)이 자동으로 열리게 하고,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지 않고 운행할 경우에는, 적재장치(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리프트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1)을 운행할 경우에는 제2실린더(S2)를 인장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가 회전하면서 하부링크(300)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패널(100)이 상승하면서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쓰레기받이(500)는,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링크(300)에서 돌출형성된 제2고정링크(630)가 회전하면서, 제1연결링크(640)에 의해 제1고정링크(620)와 함께 회전축(61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적재장치(2) 방향으로 접혀진다.
또한 안내레일(700)은,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연결링크(820)가 상승함으로써,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 제2실린더(S2)를 수축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되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가 회전하면서 하부링크(300)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패널(100)이 하강하면서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 도 5(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100), 상기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적재장치(2)와 이격되게 상향 회전하여 적재장치(2)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쓰레기받이(500)는,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부링크(300)에서 돌출형성된 제2고정링크(6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연결링크(640)에 의해 제1고정링크(620)와 함께 회전축(61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61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와 상기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안내레일(700)은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연결링크(82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700)이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제2실린더(S2)의 수축에 의해, 메인패널(100), 승강패널(200) 및 제1실린더(S1)가 적재장치(2)와 이격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3)에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쓰레기통을 들어올리는 리프트장치를 완전히 접어서 적재장치(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차량이 좁은 골목길 등을 운행할 때 리프트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에는, 접혀진 리프트 장치가 적재장치 후방의 지저분한 공간을 커버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일부 쓰레기가 적재장치 밖으로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H1: 제1힌지(Hinge) H2: 제2힌지
H3: 제3힌지 H4: 제4힌지
H5: 제5힌지 H6: 제6힌지
H7: 제7힌지 H8: 제8힌지
H9: 제9힌지 H10: 제10힌지
S1: 제1실린더 S2: 제2실린더
1: 차량 2: 적재장치
3: 쓰레기통 3a: 제1돌기
4: 뚜껑 4a: 제2돌기
100: 메인패널(Main Panel) 200: 승강패널
210: 지지대 300: 하부링크(Link)
400: 상부링크 500: 쓰레기받이
600: 쓰레기받이 접철부재 610: 회전축
620: 제1고정링크 630: 제2고정링크
640: 제1연결링크 700: 안내레일
800: 레일 접철부재 810: 돌출부
820: 제2연결링크

Claims (8)

  1. 적재장치(2)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패널(100)과;
    상기 메인패널(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가 지지대(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부에는 쓰레기통(3)의 좌우 양측에 돌출된 제1돌기(3a)를 걸어주는 포크(220)가 내측으로 접철되게 구성되며, 상단이 제1힌지(H1)에 의해 각 메인패널(100)의 상단 전방에 힌지결합되는 승강패널(200)과;
    상기 메인패널(100)과 상기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메인패널(10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힌지(H1)보다 후방으로 이격되게 승강패널(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장 수축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200)을 상기 제1힌지(H1)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S1)와;
    전단은 제2힌지(H2)에 의해 적재장치(2)의 하부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제3힌지(H3)에 의해 메인패널(10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패널(100)의 하부와 적재장치(2)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링크(300)와;
    상기 하부링크(30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전단은 적재장치(2)의 측면에서 제4힌지(H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메인패널(100)의 상부에서 제1힌지(H1)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패널(100)에 의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면서 메인패널(100)의 상부를 적재장치(2)에 연결하는 상부링크(400)와;
    일측은 적재장치(2)의 측면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링크(300)의 제2힌지(H2)보다 하부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장수축에 의해 하부링크(300)의 후단을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S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상기 하부링크(300)와 상기 상부링크(400)의 후단에서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의해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이, 제2힌지(H2)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상기 하부링크(300)와 상기 상부링크(400)의 후단에서 제3힌지(H3)와 제5힌지(H5)에 힌지결합된 메인패널(100)이, 제2힌지와 제4힌지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적재장치(2)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와 상기 승강패널(200) 사이에 구비되는 쓰레기받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받이(500)의 전단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2) 방향으로 접철시키는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받이 접철부재(600)는,
    상기 쓰레기받이(500)가 전단에 고정장착되고, 적재장치(2)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쓰레기받이(50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10)과;
    상기 회전축(610)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하는 제1고정링크(620)와;
    하부링크(30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힌지(H2)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링크(300)와 함께 회전하는 제2고정링크(630)와;
    일단은 제6힌지(H6)에 의해 상기 제1고정링크(62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7힌지(H7)에 의해 상기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연결링크(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상기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회전하여, 제6힌지(H6)와 제7힌지(H7)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연결링크(640)가 제1고정링크(620)와 회전축(610)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610)에 고정된 쓰레기받이(5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의 내측으로 접히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상기 하부링크(300)가 제2힌지(H2)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고정링크(630)의 끝단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힌지(H6)와 제7힌지(H7)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연결링크(640)가 제1고정링크(620)와 회전축(61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610)에 고정된 쓰레기받이(5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재장치(2)와 상기 승강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장치(2)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S1)에 의해 승강패널(200)이 상방향으로 회전시, 쓰레기통(3)의 뚜껑(4)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제2돌기(4a)에 걸려 뚜껑(4)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제2돌기(4a)를 안내하는 안내레일(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7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2) 방향으로 접철시키는 레일 접철부재(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접철부재(800)는,
    상기 안내레일(700)에서 적재장치(2) 방향으로 돌출되어, 끝단이 제8힌지(H8)에 의해 적재장치(2)에 힌지결합되는 돌출부(810)와;
    상단은 상기 안내레일(700)에 인접하게 상기 돌출부(810)의 하부에 제9힌지(H9)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상부링크(400)의 제4힌지(H4)와 제5힌지(H5) 사이의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연결링크(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S2)가 인장되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는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H9)와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2연결링크(820)가 상승하여,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안내레일(7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장치(2)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제2실린더(S2)가 수축하면,
    하부링크(300)와 연동되는 상부링크(400)가 제4힌지(H4)를 기준으로 상부링크(400)의 후단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9힌지(H9)와 제10힌지(H10)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2연결링크(820)가 하강하여, 상기 제8힌지(H8)를 기준으로 안내레일(700)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KR1020180011875A 2018-01-31 2018-01-31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KR10187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75A KR101871261B1 (ko) 2018-01-31 2018-01-31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75A KR101871261B1 (ko) 2018-01-31 2018-01-31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61B1 true KR101871261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875A KR101871261B1 (ko) 2018-01-31 2018-01-31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8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102108168B1 (ko) * 2019-06-07 2020-05-08 연성은 쓰레기 수거함 리프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30Y2 (ja) * 1992-10-01 1999-03-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ダストコンテナ反転装置
KR200386912Y1 (ko) * 2005-04-01 2005-06-16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
JP2008213899A (ja) 2007-03-06 2008-09-18 Nishihara Shoji:Kk 排出装置
KR101009737B1 (ko) * 2010-05-31 2011-01-19 (주)세종기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5812760B2 (ja) 2011-08-23 2015-11-1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傾倒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30Y2 (ja) * 1992-10-01 1999-03-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ダストコンテナ反転装置
KR200386912Y1 (ko) * 2005-04-01 2005-06-16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
JP2008213899A (ja) 2007-03-06 2008-09-18 Nishihara Shoji:Kk 排出装置
KR101009737B1 (ko) * 2010-05-31 2011-01-19 (주)세종기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5812760B2 (ja) 2011-08-23 2015-11-1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傾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8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102108168B1 (ko) * 2019-06-07 2020-05-08 연성은 쓰레기 수거함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6338B (zh) 一种集装箱全自动门
KR101871261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접이식 리프트장치
CN103950667B (zh) 机械手侧收式垃圾集运车
KR101668005B1 (ko)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1946064B1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101440544B1 (ko) 쓰레기 분리 수거차량
KR101206768B1 (ko) 화물차 적재함 개폐장치
CN209455420U (zh) 自卸式垃圾桶及与其配合的盖板自开闭式垃圾箱
CN201347264Y (zh) 地埋式垃圾箱
CN208560500U (zh) 垃圾车上料机构及垃圾车
KR100998289B1 (ko) 친환경 대형폐기물 수거차량
CN109178725B (zh) 分类垃圾收集车
CN103950662A (zh) 一种垃圾转运箱的锁门机构
CN206307561U (zh) 一种垃圾集装箱全自动折叠门
CN205602511U (zh) 带挡风装置的自装卸式垃圾车
CN208843036U (zh) 垃圾箱箱盖的开合机构
CN104875999B (zh) 一种侧装压缩式垃圾车
CN109592261B (zh) 一种环卫车联动式密封卸料装置
CN213036631U (zh) 一种带固液分离的垃圾回收装置
ITBO20070428A1 (it) Struttura per la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interrati
CN207737906U (zh) 一种垃圾车后装机构
CN202346236U (zh) 废料箱
CN208307604U (zh) 垃圾压缩箱的开门机构
CN207329419U (zh) 垃圾车
CN206782592U (zh) 一种垃圾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