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07B1 - 촬상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07B1
KR101871107B1 KR1020170029355A KR20170029355A KR101871107B1 KR 101871107 B1 KR101871107 B1 KR 101871107B1 KR 1020170029355 A KR1020170029355 A KR 1020170029355A KR 20170029355 A KR20170029355 A KR 20170029355A KR 101871107 B1 KR101871107 B1 KR 10187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refractive power
distance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탁상준
박찬영
원석재
송영호
장병조
오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트론텍
에이치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트론텍, 에이치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트론텍
Priority to KR102017002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27Systems for changing the beam intensity distribution, e.g. Gaussian to top-h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촬상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하고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s) 형태로 이루어진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면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태의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4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오목한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오목한 제6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7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8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9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및 제5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내고, 상기 제6 및 제7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광학계{Imaging 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촬상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9매 렌즈로 이루어진 저조도용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여 고해상도의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X-선은 고속전자의 흐름을 물질에 충돌시킬 때 발생되는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이며, 1895년 뢴트겐(Wilhelm Roentgen)이 처음 발견하여 뢴트겐선이라고도 한다.
이런 X-선 영상을 진단의 기본 도구로 사용해오고 있고, X-선을 이용한 기술은 환자의 안전과 질환예방을 위해 고해상도와 저방사선량에 초점을 두고 발전되고 있다.
의료용 진단장비 중 엑스선 영상장비는 엑스레이 발생기와 필름 및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얻는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CT), 골밀도 측정장치, 수술 등을 위해 실시간의 동영상을 얻는 엑스선 투시 촬영장치(fluoroscopy system) 등으로 분류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115호(특허문헌 1)에는 X-선 발생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X-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신틸레이터 패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신틸레이터 패널에 의해 변환된 상기 가시광의 광량에 비례하는 전하를 상기 다수의 픽셀에 충전하는 이미지 검출부; 상기 이미지 검출부의 특정 라인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라인의 픽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X-선 발생 장치로부터 조사된 X-선을 검출하여 자동노출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자동노출요청신호 생성부; 및 상기 자동노출요청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자동노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노출요청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자동노출요청신호가 유효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신호의 상태에 따라 노출 동작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이 기준진동 이하인 경우에 상기 자동노출요청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영상 촬영 장치가 개시되어 있어, 자동노출요청신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X-선 촬영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신틸레이터 패널에서 변환된 가시광을 이미지 검출부에 촬상하기 위한 렌즈 광학계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07호(특허문헌 2)에는 9매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제3 렌즈군이 F/2.0에 배치된 비대칭 광각 적외선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어안 형태로 된 1매의 구면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렌즈군은, 1매의 비균등렌즈와 1매의 구면렌즈와 2매의 비구면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렌즈군은, 1매의 비균등렌즈와 1매의 구면렌즈와 2매의 비구면렌즈로 구성되고, 광학계의 입사 광량을 제한하기 위해, 광학계의 최후단인 상면(像面) 앞에 구경 스톱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광각 적외선 광학계가 개시되어 있어, 수평방향으로는 100°이상의 넓은 시계(視界)를 제공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수평방향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으나, 특허문헌 2의 9매 렌즈 광학계는 적외선 광각 카메라에만 적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와 같은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을 촬상하기 위한 고특성의 렌즈 광학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115호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해상도를 갖고 밝은 광학계를 구성하여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는 촬상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촬상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하고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s) 형태로 이루어진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면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태의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4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오목한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오목한 제6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7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8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9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및 제5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내고, 상기 제6 및 제7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IMH는 상측 높이, OBH는 광학계로 입사되는 가시광선의 최외곽 광선에서 광축까지의 거리일 때, 0.15 < IMH/OBH < 0.25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1T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간격, L3T가 상기 제3렌즈와 상기 제4렌즈 간격, L5T가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 간격, L7T가 상기 제7렌즈와 상기 제8렌즈 간격, L8T가 상기 제8렌즈와 상기 제9렌즈 간격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L1T/F < 0.01, 0 ≤ L3T/F + L5T/F < 0.045, 0 ≤ L7T/F + L8T/F < 0.01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Vd4가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d5가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일 때, │Vd4 - Vd5│ > 30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OAL이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7 < OAL/F < 1.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f1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f1/F < 1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Fno가 광학계의 F-Number이고, OAL이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며,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Fno x OAL/F < 3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BF가 광학계의 후방 초점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03 < BF/F < 0.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CS가 상기 제8렌즈 및 상기 제9렌즈의 곡률의 역수값일 때, -0.03 < CS/F < 0.03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을 이미지 센서에 촬상시키기 위한 촬상렌즈용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9매 렌즈로 이루어진 저조도용 촬상렌즈 광학계로 고해상도의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에서 물체측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로 입사되는 가시광선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촬상 렌즈 광학계는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을 입사받아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시키기 위한 촬상렌즈용 광학계이다.
도 1의 촬상 렌즈 광학계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렌즈를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제7렌즈(700), 제8렌즈(800), 제9렌즈(900) 및 필터(1000)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촬상 렌즈 광학계는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을 이미지 센서(2000)로 촬상시키기 위하여 제1 내지 제9렌즈(100,200,300,400,500,600,700,800,900) 및 필터(1000)가 순차로 배열되어 있다.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은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조리개(미도시),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제7렌즈(700), 제8렌즈(800), 제9렌즈(900) 및 필터(1000)를 경유하여 이미지 센서(2000)로 입사된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에 조리개(stop)가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20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체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물체측을 향하는 렌즈면을 의미하며, "상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결상면을 향하는 렌즈면(즉, 이미지 센서에 향한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
촬상렌즈 광학계의 렌즈를 설명하면, 먼저, 제1렌즈(10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하고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s) 형태의 렌즈로 이루어진다.
제2렌즈(20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면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태의 렌즈이고, 제3렌즈(30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40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하고, 제5렌즈(50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오목하다.
여기서, 제4렌즈(400)와 제5렌즈(500)는 접합되어 양의 굴절력을 나타낸다.
제6렌즈(60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오목하고, 제7렌즈(70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하다.
그리고, 제6렌즈(600)와 제7렌즈(700)는 접합되어 양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8렌즈(80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볼록하고, 제9렌즈(90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여기서, 제9렌즈(900)는 곡률의 중심이 상측으로 위치하고 있는데, 즉, 광학계에서 제9렌즈(900)의 배치된 상태로 설명하면 제9렌즈(9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고 상측면이 오목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내부에 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구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하고 남은 렌즈형상에서 양단을 제거하여 제9렌즈(900)를 제작한다.
아울러, 도 1의 촬상렌즈 광학계의 'S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이고, 'S2'는 제1렌즈(100)의 상측면이고, 'S3'은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이고, 'S4'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이고, 'S5'는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이고, 'S6'은 제3렌즈(300)의 상측면이다.
그리고, 'S7'은 제4렌즈(400)의 물체측면이고, 'S8'은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이고, 'S9'는 제5렌즈(500)의 상측면이다.
또한, 'S10'은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이고, 'S11'는 제7렌즈(700)의 물체측면이고, 'S12'는 제7렌즈(700)의 상측면이고, 'S13'은 제8렌즈(800)의 물체측면이고, 'S14'는 제8렌즈(800)의 상측면이고, 'S15'는 제9렌즈(900)의 물체측면이고, 'S16'는 제9렌즈(900)의 상측면이다.
도 3의 렌즈 데이터에서, '17'과 '18'은 필터(1000)의 물체측면과 상측면이고, '19'는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후술된 수학식 1 내지 8를 만족하도록 제1 내지 제9렌즈(100,200,300,400,500,600,700,800,900)를 구성하고 배치한다.
(수학식 1)
0.15 < IMH/OBH < 0.25
여기서, IMH는 상측 높이, 즉 결상되는 이미지의 높이이고, OBH는 물체측 높이이며,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렌즈 광학계로 입사되는 가시광선의 최외곽 광선(Ray1)에서 광축(P)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IMH가 2.29㎜이고 OBH는 10.71㎜이므로, IMH/OBH는 0.21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2)
0 ≤ L1T/F < 0.01
0 ≤ L3T/F + L5T/F < 0.045
0 ≤ L7T/F + L8T/F < 0.01
여기서, L1T는 제1렌즈(100)와 제2렌즈(200) 간격, L3T는 제3렌즈(300)와 제4렌즈(400) 간격, L5T는 제5렌즈(500)와 제6렌즈(600) 간격, L7T는 제7렌즈(700)와 제8렌즈(800) 간격, L8T는 제8렌즈(800)와 제9렌즈(900) 간격이고, F는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L1T가 0.4㎜, L3T가 0.17㎜, L5T가 3.62㎜, L7T가 0.37㎜, L8T가 0.82㎜이고, F가 100㎜이다.
그러므로, L1T/F는 0.4/100 = 0.004이므로 수학식 2의 '0 ≤ L1T/F < 0.01'조건을 만족하고, L3T/F + L5T/F는 0.17/100 + 3.62/100 = 0.0379이므로 수학식 2의 '0 ≤ L3T/F + L5T/F < 0.045'조건을 만족하며, L7T/F + L8T/F는 0.37/100 + 0.82/100 = 0.0045이므로 수학식 2의 '0 ≤ L7T/F + L8T/F < 0.1'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3)
│Vd4 - Vd5│ > 30
여기서, Vd4는 제4렌즈(400)의 아베수이고, Vd5는 제5렌즈(400)의 아베수이다.
수학식 3은 제4렌즈(400) 및 제5렌즈(500)의 아베수를 규정하고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Vd4는 55.5, Vd5는 23.8이고, │Vd4 - Vd5│는 31.7이므로, 수학식 3의 '│Vd4 - Vd5│ > 30'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4)
0.7 < OAL/F < 1.7
여기서, OAL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에서는 OAL이 120.82㎜이고, OAL/F는 120.82/100 = 1.2082이므로, 수학식 4의 '0.7 < OAL/F < 1.7'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5)
0 < f1/F < 1
여기서,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에서는 f1은 54.06㎜이고, f1/F는 54.06/100 = 0.5406이므로, 수학식 5의 '0 < f1/F < 1'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6)
0 < Fno x OAL/F < 3
여기서, Fno는 풀 개방시의 F수로, 이는 광학계의 밝기를 나타내는 상수이며 즉, 촬상렌즈 광학계의 F-Number이다. 그리고, OAL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에서는 Fno가 0.8, OAL이 120.82, Fno x OAL/F는 0.8 x 120.82/100 = 0.96656이므로, 수학식 6의 '0 < Fno x OAL/F < 3'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Fno가 0.8로 설계하여 밝은 광학계를 구현하여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 7)
0.03 < BF/F < 0.7
여기서, BF는 광학계의 후방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에서는 BF가 4.86㎜, BF/F는 4.86/100 = 0.0486이므로, 수학식 7의 '0.03 < BF/F < 0.7'조건을 만족한다.
(수학식 8)
-0.03 < CS/F < 0.03
제8렌즈(800)와 제9렌즈(900)는 수학식 8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CS는 제8렌즈(800)와 제9렌즈(900)의 곡률의 역수값이다.
제8렌즈(800)의 물체측면의 CS는 0.029274이고 제8렌즈(800)의 물체측면의 CS/F는 0.029274/100 = 0.00029이다.
그리고, 제8렌즈(800)의 상측면의 CS는 -0.002418이고 제8렌즈(800)의 상측면의 CS/F는 -0.002418/100 = -0.00002이다.
또한, 제9렌즈(900)의 물체측면의 CS는 0.105932이고 제9렌즈(900)의 물체측면의 CS/F는 0.105932/100 = 0.00106이다.
제9렌즈(900)의 상측면의 CS는 0.160514이고 제9렌즈(900)의 상측면의 CS/F는 0.160514/100 = 0.0016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는 제8렌즈(800)의 물체측면의 CS/F가 0.00029, 제8렌즈(800)의 상측면의 CS/F가 -0.00002, 제9렌즈(900)의 물체측면의 CS/F가 0.00106, 제9렌즈(900)의 상측면의 CS/F가 0.00161으므로, 수학식 8의 '-0.03 < CS/F < 0.03'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 광학계는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이 변환된 가시광선을 입사받아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결상시켜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피사체를 통과한 X-선은 형광체배관(image intensifier)(1)과 같은 광변환장치에서 가시광선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가시광선은 본 발명의 촬상렌즈 광학계(2)로 입사되고, 9매 렌즈로 이루어진 저조도용 촬상렌즈 광학계(2)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에 결상됨으로써, 고해상도의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형광체배관 2: 촬상렌즈 광학계
100: 제1렌즈 200: 제2렌즈
300: 제3렌즈 400: 제4렌즈
500: 제5렌즈 600: 제6렌즈
700: 제7렌즈 800: 제8렌즈
900: 제9렌즈 1000: 필터
2000: 이미지 센서

Claims (9)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이 오목하고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s) 형태로 이루어진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측면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태의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4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오목한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오목한 제6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7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볼록한 제8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9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및 제5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내고, 상기 제6 및 제7렌즈는 접합되어 정(+)의 굴절력을 나타내며,
    IMH는 상측 높이, OBH는 광학계로 입사되는 가시광선의 최외곽 광선에서 광축까지의 거리일 때,
    0.15 < IMH/OBH < 0.25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L1T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간격, L3T가 상기 제3렌즈와 상기 제4렌즈 간격, L5T가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 간격, L7T가 상기 제7렌즈와 상기 제8렌즈 간격, L8T가 상기 제8렌즈와 상기 제9렌즈 간격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L1T/F < 0.01, 0 ≤ L3T/F + L5T/F < 0.045, 0 ≤ L7T/F + L8T/F < 0.01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Vd4가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이고, Vd5가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일 때,
    │Vd4 - Vd5│ > 30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OAL이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7 < OAL/F < 1.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f1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f1/F < 1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Fno가 광학계의 F-Number이고, OAL이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에서 이미지센서의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며,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 < Fno x OAL/F < 3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BF가 광학계의 후방 초점거리이고, F가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일 때,
    0.03 < BF/F < 0.7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CS가 상기 제8렌즈 및 상기 제9렌즈의 곡률의 역수값일 때,
    -0.03 < CS/F < 0.03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광학계.

















KR1020170029355A 2017-03-08 2017-03-08 촬상 렌즈 광학계 KR10187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55A KR101871107B1 (ko) 2017-03-08 2017-03-08 촬상 렌즈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55A KR101871107B1 (ko) 2017-03-08 2017-03-08 촬상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07B1 true KR101871107B1 (ko) 2018-06-29

Family

ID=6278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55A KR101871107B1 (ko) 2017-03-08 2017-03-08 촬상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6783A (zh) * 2019-02-22 2019-06-07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CN111736312A (zh) * 2020-07-27 2020-10-02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US20220075147A1 (en) * 2020-09-08 2022-03-10 Changzhou Raytech Optronics Co., Ltd. Camera optical lens
CN114859525A (zh) * 2022-05-09 2022-08-0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及摄像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859A (ja) * 2009-07-22 2011-02-10 Ricoh Co Ltd 撮像光学系および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27907B1 (ko) 2011-11-04 2012-03-21 국방과학연구소 비균등렌즈가 적용된 비대칭 광각 적외선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를 포함하는 열영상장비
KR101377115B1 (ko) 2012-09-11 2014-06-12 주식회사 뷰웍스 X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859A (ja) * 2009-07-22 2011-02-10 Ricoh Co Ltd 撮像光学系および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27907B1 (ko) 2011-11-04 2012-03-21 국방과학연구소 비균등렌즈가 적용된 비대칭 광각 적외선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를 포함하는 열영상장비
KR101377115B1 (ko) 2012-09-11 2014-06-12 주식회사 뷰웍스 X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6783A (zh) * 2019-02-22 2019-06-07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CN109856783B (zh) * 2019-02-22 2024-03-29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CN111736312A (zh) * 2020-07-27 2020-10-02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1736312B (zh) * 2020-07-27 2020-11-27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WO2022021458A1 (zh) * 2020-07-27 2022-02-03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US20220075147A1 (en) * 2020-09-08 2022-03-10 Changzhou Raytech Optronics Co., Ltd. Camera optical lens
CN114859525A (zh) * 2022-05-09 2022-08-0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及摄像机
CN114859525B (zh) * 2022-05-09 2023-11-1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及摄像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107B1 (ko) 촬상 렌즈 광학계
CN108459392B (zh) 影像撷取光学系统、取像装置及电子装置
KR10164946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CN107817572B (zh) 影像镜头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US9703077B2 (en)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KR101917228B1 (ko) 촬상 렌즈
US20160377838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CN108318993A (zh) 影像撷取光学镜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JP6309478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10462363B2 (en) Optical apparatus
CN207037205U (zh) 一种具有潜望式结构的耐辐照广角镜头装置
JPWO2020017200A1 (ja) 撮像光学系、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220221694A1 (en) Lens system,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US20220214528A1 (en) Lens system,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TW201713979A (zh) 攝影用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6569319B (zh) 摄影用光学镜片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EP3783416A1 (en) Optical imaging system and imaging device
JP2016170352A (ja) 光学系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6546076B1 (en) Digital high resolution x-ray imaging utilizing an imaging sensor
US20090261260A1 (en) X-ray imaging apparatus
CN115494614A (zh) 一种基于微距镜头中继光学的高画质快速成像系统
CN101477300B (zh) 应用于数字x光诊断系统的光学成像系统
KR101854547B1 (ko) 촬상 렌즈 광학계
TWI407244B (zh) X射線成像設備
US20100316189A1 (en) Object scan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