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81B1 -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81B1
KR101870781B1 KR1020180024884A KR20180024884A KR101870781B1 KR 101870781 B1 KR101870781 B1 KR 101870781B1 KR 1020180024884 A KR1020180024884 A KR 1020180024884A KR 20180024884 A KR20180024884 A KR 20180024884A KR 101870781 B1 KR101870781 B1 KR 10187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housing
controller
communica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호
Original Assignee
황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호 filed Critical 황정호
Priority to KR102018002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05B37/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터널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하고 손목 등의 신체 건강을 유지하며 더 나아가 컴퓨터 사용자에게 장시간의 업무 활동 등이 주는 각종 스트레스와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극 전선(L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음극 전선(L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가티브 페이퍼(111')와,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 사이에 배치되는 벨로스텟(112)과, 서로 적층된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벨로스텟(112)과 네가티브 페이퍼(111')를 함께 감싸 포장하는 커버(113, 113')로 구성된 압력감지센서(110); 둘 이상 색상의 선택적인 점등이 가능한 램프(120);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130);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해 발신하는 자이로센서(140); 음극 전선(L22)과 양극 전선(L21)에 직류전기를 인가해서 압력감지센서(110)를 통한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저항값이 기준값 이하인 시간의 총합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중계기(130)의 통신회로를 열어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차단하고,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자이로센서(140)로부터 설정된 횟수 이상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재개하며,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램프(120)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조정하는 컨트롤러(150);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를 수용하는 함체(101);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통신회로를 염과 동시에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함체(101)를 수용하도록 용기 형상을 이루며 내측면에 걸림홈(171a)이 형성된 보울(171)과, 보울(171)의 바닥면에 입설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72)와, 실린더(172)에 상하로 인입출하는 지지형 피스톤(173)과, 실린더(172)에 내설되어서 지지형 피스톤(173)을 탄발하게 지지하는 제1스프링(174)과,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자석(175)으로 구성된 베이스(170); 상기 함체(101)에 내설되며 컨트롤러(1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자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82)와, 함체(101)의 측면에 인입출하게 배치되며 솔레노이드(182)의 전자력에 의해 동작하면서 걸림홈(171a)에 탈착하는 걸림돌기(183)와, 상기 전자력 소실시 걸림돌기(183)를 탄발하게 밀어서 함체(101)의 측면으로 인출되게 하는 제2스프링(184)으로 구성된 스토퍼(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체(101)는, 상기 함체(101)의 저면에서 지지형 피스톤(173)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1자석(175)과 척력을 일으키도록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되는 제2자석(103);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APPARATUS CONTROLLING A MOUSE FOR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본 발명은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터널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하고 손목 등의 신체 건강을 유지하며 더 나아가 컴퓨터 사용자에게 장시간의 업무 활동 등이 주는 각종 스트레스와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컴퓨터의 사용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컴퓨터 모니터 및 자판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하여 유발되는 VDT 증후군,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작업함으로써 유발되는 허리 및 목 디스크, 키보드 및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여 손가락 및 어깨 관절염 등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응용소프트웨어는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작업시간이 지나면 휴식시간을 알려주어 컴퓨터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사용자들마다 작업 유형, 작업의 집중도 및 이에 따라 발생하는 신체적인 피로도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컴퓨터 작업시간을 일률적으로 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만을 기준으로 하여 휴식을 취해야 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방법만으로는 사용자의 피로도 경감이라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었다.
한편, 컴퓨터 사용자가 자신의 작업에 몰두하다보면, 휴식 중에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방법, 부위 및 운동의 필요성에 대하여 망각하기 쉽다.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신체 각 부위에 쌓이는 피로를 즉각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은 피로가 조금씩 누적되어 유발되는 질병이 손목에 발생하는 터널증후군이다. 따라서, 휴식이 필요한 시점에 사용자에게 그 휴식의 필요성 및 운동 방법 등을 자동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12664호(2016.02.03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손목의 피로 누적을 방지해서 수근관에 발생하는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며, 컴퓨터로 작업하는 사용자에게 규칙적인 운동과 휴식을 유도해서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각종 질병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전선(L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음극 전선(L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가티브 페이퍼(111')와,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 사이에 배치되는 벨로스텟(112)과, 서로 적층된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벨로스텟(112)과 네가티브 페이퍼(111')를 함께 감싸 포장하는 커버(113, 113')로 구성된 압력감지센서(110); 둘 이상 색상의 선택적인 점등이 가능한 램프(120);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130);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해 발신하는 자이로센서(140); 음극 전선(L22)과 양극 전선(L21)에 직류전기를 인가해서 압력감지센서(110)를 통한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저항값이 기준값 이하인 시간의 총합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중계기(130)의 통신회로를 열어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차단하고,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자이로센서(140)로부터 설정된 횟수 이상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재개하며,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램프(120)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조정하는 컨트롤러(150);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를 수용하는 함체(101);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통신회로를 염과 동시에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함체(101)를 수용하도록 용기 형상을 이루며 내측면에 걸림홈(171a)이 형성된 보울(171)과, 보울(171)의 바닥면에 입설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72)와, 실린더(172)에 상하로 인입출하는 지지형 피스톤(173)과, 실린더(172)에 내설되어서 지지형 피스톤(173)을 탄발하게 지지하는 제1스프링(174)과,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자석(175)으로 구성된 베이스(170); 및
상기 함체(101)에 내설되며 컨트롤러(1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자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82)와, 함체(101)의 측면에 인입출하게 배치되며 솔레노이드(182)의 전자력에 의해 동작하면서 걸림홈(171a)에 탈착하는 걸림돌기(183)와, 상기 전자력 소실시 걸림돌기(183)를 탄발하게 밀어서 함체(101)의 측면으로 인출되게 하는 제2스프링(184)으로 구성된 스토퍼(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체(101)는, 상기 함체(101)의 저면에서 지지형 피스톤(173)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1자석(175)과 척력을 일으키도록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되는 제2자석(103);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손목의 피로 누적을 방지해서 수근관에 발생하는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며, 컴퓨터로 작업하는 사용자에게 규칙적인 운동과 휴식을 유도해서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각종 질병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압력감지센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동작 모습을 순차로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램프의 동작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베이스와 함체 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함체가 베이스에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함체가 베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함체가 베이스로부터 인출된 후에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압력감지센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동작 모습을 순차로 보인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의 통제장치(100)는, 압력감지센서(110)와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를 포함하며,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는 함체(101)에 일체로 수용된다.
여기서 압력감지센서(110)는 마우스(20)의 사용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구성되며, 본 실시의 경우 마우스 패드(10)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마우스 패드(10)는 사용자의 손목을 얹는 받침(11)을 구성하며, 압력감지센서(110)는 사용자의 손목 하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받침(11)에 내설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압력감지센서(110)는, 양극 전선(L21)의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음극 전선(L22)의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가티브 페이퍼(111')와,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 사이에 배치되는 벨로스텟(112)과, 서로 적층된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벨로스텟(112)과 네가티브 페이퍼(111')를 함께 감싸 포장하는 커버(113, 1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압력감지센서(110)는 저렴한 제조단가에도 사용자의 마우스 사용 여부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는 각각 알루미늄 화일과 같은 도전성 재질의 필름이며, 컨트롤러(150)로부터 인출된 양극 전선(L21)과 음극 전선(L22)으로부터 직류전류를 인가받아 통전한다. 한편,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 사이에 벨로스텟(112; Velostat)을 배치한다. 벨로스텟(112)은 도전성 페이퍼이나, 포지티브 페이퍼(111) 및 네가티브 페이퍼(111')와는 각각 긴밀하게 접촉한 상태는 아니므로,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는 벨로스텟(112)과 접촉한 일부 지점만을 통해 서로 통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압력감지센서(1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력감지센서(110) 자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갖는다. 하지만 압력감지센서(110)에 압력이 가해지면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는 각각 벨로스텟(112)과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지점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압력감지센서(110)의 저항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결국, 양극 전선(L21)과 음극 전선(L22)이 인출된 컨트롤러(150)는 양극 전선(L21)과 음극 전선(L22)에 흐르는 전류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해서, 저항값이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와 해당 시간을 확인한다.
참고로, 사용자가 마우스(20)를 사용하려면 손목을 마우스 패드(10)의 받침(11)에 얹어야 하고, 이를 통해 그 하중이 압력감지센서(110)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실시의 램프(120)는, 다색 점등이 가능한 LED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색상으로 점멸한다.
본 실시의 중계기(130)는,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에 통신을 중계한다. 따라서 중계기(130)는 컴퓨터(30)에 마우스(20) 연결용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코드(C1) 및 케이블(L1)과, 마우스(20)의 케이블(L3)이 연결되는 포트를 각각 구성한다. 결국, 마우스(20)의 입력신호는 중계기(130)를 경유해서 컴퓨터(30)에 전달된다.
본 실시의 자이로센서(140)는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해 발신한다. 자이로센서(140)는 역학운동을 감지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이로센서(140)의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컨트롤러(150)는, 상기 음극 전선과 양극 전선에 직류전기를 인가해서 압력감지센서(110)를 통한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확인하고(S10), 상기 저항값이 기준값 이하인 시간의 총합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중계기(130)의 통신회로를 열어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차단하고,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자이로센서(140)로부터 설정된 횟수 이상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재개하며,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램프(120)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감지센서(110)는 사용자가 마우스(20) 사용을 위해 손목을 마우스 패드(10)의 받침(11)에 얹으면 컨트롤러(150)에 확인되는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압력감지센서(110)의 저항값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며 해당 시간을 누적해서 수집하고(S20), 누적된 시간의 총합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중계기(130)의 통신회로를 연다(S30). 물론 상기 통신회로의 열림에 의해 마우스(20)와 컴퓨터(30) 간의 통신은 단절되고, 사용자는 마우스(20)를 사용할 수 없다.
마우스(20)와 컴퓨터(30) 간에 통신이 단절되면, 사용자는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서 자이로센서(140)가 설치된 함체(101)를 쥐고 운동을 한다. 자이로센서(140)는 이러한 운동을 감지해서 움직임 신호를 발신하고, 컨트롤러(150)는 설정된 횟수 이상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면(S40)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재개한다(S50).
본 실시의 함체(101)는,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를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룬다. 함체(101)는 사용자가 쥐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태와 크기 등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통제장치(100)는, 컨트롤러(150)와 모바일(4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컨트롤러(150)는 일반적인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간을 설정하지만, 별도의 통신채널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러(150)의 설정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통신채널을 생성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40)에 컨트롤러(150)의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단으로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컨트롤러(150)와 통신하며, 사용자는 컨트롤러(150)에 입력된 상기 기준값과 설정시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미 설명한 도면부호인 'L2'는 압력감지센서(110)와 컨트롤러(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며, 양극 전선(L21)과 음극 전선(L22)으로 구성된다.
미 설명한 도면부호인 'L3'은 마우스(20)의 본체로부터 인출된 전선이며, 말단에는 컴퓨터(30) 또는 중계기(130)의 포트에 꽂혀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드가 구성된다.
미 설명한 도면부호인 '151'은 컨트롤러(150)의 실행을 ON/OFF하는 스위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램프의 동작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본 실시의 컨트롤러(150)는,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램프(120)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조정한다.
본 실시의 통제장치(100)는 마우스(20)와 컴퓨터(30) 간에 통신을 제어하는 수단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제장치(100)의 동작 파트는 크게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마우스(20)와 컴퓨터(30) 간에 통신이 가능할 때와, 상기 통신회로를 열어서 마우스(20)와 컴퓨터(30) 간에 통신이 불가능할 때와, 사용자가 운동을 위해 자이로센서(140)를 들고 움직일 때로 나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150)는 상기 세가지 경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120)의 점등 색깔을 조정한다. 참고로, 본 실시에서 도 6의 (a)도면은 램프(120)가 파란색으로 점등된 모습을 보인 것이며, 이 경우는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상태이다. 그러나 도 6의 (b)도면은 램프(120)가 빨간색으로 점등된 모습을 보인 것이며, 이 경우는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마우스(20) 사용이 불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경우에 자이로센서(140)를 들고 흔들어서 운동을 시작하고, 이때 램프(120)는 도 6의 (c)도면과 같이 초록색으로 점등된다. 사용자는 지속적인 운동으로 램프(120)의 점등 색상이 다시 파란색으로 변경되면,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상태로 조정되었으므로 마우스(2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제장치의 베이스와 함체 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함체가 베이스에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함체가 베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함체가 베이스로부터 인출된 후에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의 통제장치(100)는, 컨트롤러(150)가 상기 통신회로를 염과 동시에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함체(101)의 저면에서 지지형 피스톤(173)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1자석(175)과 척력을 일으키도록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되는 제2자석(10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의 통제장치(100)는, 함체(101)를 수용하도록 용기 형상을 이루며 내측면에 걸림홈(171a)이 형성된 보울(171)과, 보울(171)의 바닥면에 입설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72)와, 실린더(172)에 상하로 인입출하는 지지형 피스톤(173)과, 실린더(172)에 내설되어서 지지형 피스톤(173)을 탄발하게 지지하는 제1스프링(174)과,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자석(175)으로 구성된 베이스(170); 함체(101)에 내설되며 컨트롤러(1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자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82)와, 함체(101)의 측면에 인입출하게 배치되며 솔레노이드(182)의 전자력에 의해 동작하면서 걸림홈(171a)에 탈착하는 걸림돌기(183)와, 상기 전자력 소실시 걸림돌기(183)를 탄발하게 밀어서 함체(101)의 측면으로 인출되게 하는 제2스프링(184)으로 구성된 스토퍼(18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함체(101)는 테이블 또는 컴퓨터(30) 상에 단순히 안착해 배치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마우스(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L3)의 흔들림으로 인해 함체(101)가 상기 테이블 또는 컴퓨터(30)에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70)는 상기 테이블 또는 컴퓨터(30) 상에 양면 테이프 등을 매개로 고정되고, 함체(101)는 베이스(170)에 수용되도록 안착해서 외력에도 흔들림 없이 제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70)는 함체(101)를 수용하는 용기 형상의 보울(171)을 구성한다.
한편, 보울(17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실린더(172)가 입설되고, 실린더(172) 각각에는 지지형 피스톤(173)이 상하로 인입출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실린더(172)의 내측에는 제1스프링(174)이 내설되어서, 자체 탄력으로 지지형 피스톤(173)을 밀어올린다. 또한,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는 제1자석(175)이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실린더(172)와 지지형 피스톤(173)과 제1스프링(174)과 제1자석(175) 간에 어셈블리는 보울(171)의 바닥면에 다수 배치되어서, 보울(171)에 수용되는 함체(101)의 저면을 서포팅한다.
계속해서, 함체(101)에는 스토퍼(180)가 설치되며, 스토퍼(180)의 걸림돌기(183)는 함체(101)의 측면에서 인입출하면서 보울(171)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71a)에 탈착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도면과 같이 평상시에는 걸림돌기(183)가 제2스프링(184)의 탄력에 의해 함체(101)의 측면으로 인출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8의 (b)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함체(101)를 보울(171) 안으로 삽입하여 안착시키면, 걸림돌기(183)는 보울(171)의 측면에 의해 일시적으로 눌려서 함체(101)의 측면 안으로 인입되고, 걸림홈(171a)과 마주하는 순간 제2스프링(184)의 탄력으로 인출되면서 걸림홈(171a)에 삽입된다. 결국, 함체(101)는 걸림홈(171a)에 삽입된 걸림돌기(183)에 의해 보울(171)과 일시적으로 결합해서 분리됨 없이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컨트롤러(150)가 상기 통신회로를 염과 동시에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솔레노이드(182)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른 통전으로 전자력을 일으켜서 걸림돌기(183)를 당긴다. 물론 솔레노이드(182)의 전자력은 제2스프링(184)의 탄력보다 강하므로, 도 9의 (a)도면과 같이 걸림돌기(183)는 솔레노이드(182)를 향해 이동하고, 이를 통해 걸림돌기(183)는 걸림홈(171a)으로부터 이탈한다.
걸림돌기(183)가 걸림홈(171a)으로부터 이탈하면, 보울(171)과 함체(101) 간의 결합은 해제되고, 함체(101)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어셈블리의 지지형 피스톤(173)은 제1스프링(174)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함체(101)를 도 9의 (b)도면과 같이 밀어 올린다. 이때,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 배치된 제1자석(175)은 함체(101) 저면의 해당 위치에 배치된 제2자석(103)과 극성이 동일하게 마주하도록 되어서 척력이 가해지므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함체(101)는 상방으로 이동한 이후에 상기 척력에 의해 자세가 틀어지면서 보울(171) 안으로 재 삽입되지 않게 되고, 사용자는 함체(101)를 보울(171)로부터 분리하는 수고 없이 손쉽게 쥐고 운동할 수 있다.
참고로, 함체(101)의 측면에는 통기를 위한 홀(102)을 형성해서, 함체(101)가 보울(171) 안으로 인입출할 때 공압에 의해 상기 인입출이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마우스 패드 11; 받침 20; 마우스
30; 컴퓨터 100; 통제장치 101; 함체
102; 홀 103; 제2자석
110; 압력감지센서 111; 포지티브 페이퍼 111'; 네가티브 페이퍼
112; 벨로스텟 113, 113'; 커버 120; 램프
130; 중계기 140; 자이로센서 150; 컨트롤러
151; 스위치 160; 무선통신모듈 170; 베이스
171; 보울 172; 실린더 173; 지지형 피스톤
174; 제1스프링 175; 제1자석 180; 스토퍼
182; 솔레노이드 183; 걸림돌기 184; 제2스프링
L1, L3; 케이블 L21; 양극 전선 L22; 음극 전선
W; 와이어

Claims (2)

  1. 양극 전선(L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음극 전선(L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네가티브 페이퍼(111')와,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네가티브 페이퍼(111') 사이에 배치되는 벨로스텟(112)과, 서로 적층된 포지티브 페이퍼(111)와 벨로스텟(112)과 네가티브 페이퍼(111')를 함께 감싸 포장하는 커버(113, 113')로 구성된 압력감지센서(110); 둘 이상 색상의 선택적인 점등이 가능한 램프(120);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130);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해 발신하는 자이로센서(140); 음극 전선(L22)과 양극 전선(L21)에 직류전기를 인가해서 압력감지센서(110)를 통한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저항값이 기준값 이하인 시간의 총합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중계기(130)의 통신회로를 열어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차단하고, 상기 통신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자이로센서(140)로부터 설정된 횟수 이상의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통신회로를 닫아서 컴퓨터(30)와 마우스(20) 간의 통신을 재개하며, 상기 통신회로가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램프(120)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조정하는 컨트롤러(150); 램프(120)와 중계기(130)와 자이로센서(140)와 컨트롤러(150)를 수용하는 함체(101);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통신회로를 염과 동시에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함체(101)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용기 형상을 이루며 내측면에 걸림홈(171a)이 형성된 보울(171)과, 보울(171)의 바닥면에 입설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72)와, 실린더(172)에 상하로 인입출하는 지지형 피스톤(173)과, 실린더(172)에 내설되어서 지지형 피스톤(173)을 탄발하게 지지하는 제1스프링(174)과, 지지형 피스톤(173)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자석(175)으로 구성된 베이스(170); 및
    상기 함체(101)에 내설되며 컨트롤러(1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자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82)와, 함체(101)의 측면에 인입출하게 배치되며 솔레노이드(182)의 전자력에 의해 동작하면서 걸림홈(171a)에 탈착하는 걸림돌기(183)와, 상기 전자력 소실시 걸림돌기(183)를 탄발하게 밀어서 함체(101)의 측면으로 인출되게 하는 제2스프링(184)으로 구성된 스토퍼(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체(101)는, 상기 함체(101)의 저면에서 지지형 피스톤(173)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1자석(175)과 척력을 일으키도록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되는 제2자석(103);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50)와 모바일(4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KR1020180024884A 2018-02-28 2018-02-28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KR10187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884A KR101870781B1 (ko) 2018-02-28 2018-02-28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884A KR101870781B1 (ko) 2018-02-28 2018-02-28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81B1 true KR101870781B1 (ko) 2018-06-26

Family

ID=6278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884A KR101870781B1 (ko) 2018-02-28 2018-02-28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00A (ko) 2018-07-19 2020-01-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KR102110895B1 (ko) * 2020-02-06 2020-05-14 신규승 바이오리듬 검출 기반의 마우스 컨트롤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101B1 (ko) * 1995-06-12 1998-08-17 김광호 사무자동화기기의 커버 자동 개방장치
KR20150086863A (ko) * 2014-01-21 2015-07-29 (주) 에이더블유에이 모니터 제어기능을 구비한 손목 받침대
KR20160012664A (ko) 2014-07-25 2016-02-03 김보성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20160044724A (ko) * 2014-10-16 2016-04-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손목 보호용 마우스 및 알림 방법
KR20180015414A (ko) * 2016-08-03 2018-02-13 백한위 마우스 사용시간 측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101B1 (ko) * 1995-06-12 1998-08-17 김광호 사무자동화기기의 커버 자동 개방장치
KR20150086863A (ko) * 2014-01-21 2015-07-29 (주) 에이더블유에이 모니터 제어기능을 구비한 손목 받침대
KR20160012664A (ko) 2014-07-25 2016-02-03 김보성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20160044724A (ko) * 2014-10-16 2016-04-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손목 보호용 마우스 및 알림 방법
KR20180015414A (ko) * 2016-08-03 2018-02-13 백한위 마우스 사용시간 측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00A (ko) 2018-07-19 2020-01-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KR102110895B1 (ko) * 2020-02-06 2020-05-14 신규승 바이오리듬 검출 기반의 마우스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81B1 (ko)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EP3045229B1 (en) Atomizer
JP5829432B2 (ja) 磁気マウスデバイスおよびマウスパッドシステム
GB0107689D0 (en) Self service terminal
JPH11114863A (ja) 吸着装置
MY119408A (en) Controller unit for electronic devices
GB0025331D0 (en) Control apparatus
KR100681066B1 (ko) 위치 가변형 버스 손잡이
EP4224275A1 (en) Electronic device
JP2009282565A (ja) マウスデバイス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9167869A (zh) 多功能手机壳
WO2016098993A1 (ko)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
JP2021069654A5 (ja) 測定装置、及び測定システム
CN207489720U (zh) 一种适用于单路和双路结构的微动开关
CN208782892U (zh) 多功能手机壳
CN217137687U (zh) 一种防误触的豆浆机
US20230245841A1 (en) Butt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3179421A1 (zh) 头戴式设备的手柄以及头戴式设备
CN212101515U (zh) 一种用于机器人乘梯的电梯开门控制装置
CN214070125U (zh) 按键模式与触控模式切换的无线耳机
KR102580431B1 (ko) 졸음 방지 반지
KR102353510B1 (ko)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CN213126005U (zh) 用于酒店的触控式开关设备
CN214422032U (zh) 一种用于电梯选层或呼梯的控制装置
CN211795489U (zh) 一种座椅感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