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437B1 -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437B1
KR101870437B1 KR1020100042232A KR20100042232A KR101870437B1 KR 101870437 B1 KR101870437 B1 KR 101870437B1 KR 1020100042232 A KR1020100042232 A KR 1020100042232A KR 20100042232 A KR20100042232 A KR 20100042232A KR 101870437 B1 KR101870437 B1 KR 10187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ctuator
tubular
hole
thre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271A (ko
Inventor
비트라이스 두코르네츠
데니스 마그리
Original Assignee
쏨피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쏨피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쏨피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2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4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빌딩 내에서 와인딩 가능한 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종방향 축(X-X'), 감속 기어 및 튜브의 제 1 단부에 배열된 출력 샤프트(4)를 가진 튜브(3) 및 튜브의 제 2 단부에 2 부분으로 구성된 고정 지점(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점은 튜브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부분(20, 20') 및 튜브 내에 조립된 제 2 부분(40, 40')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하나 이상의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는 제 2 부분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44, 44', 45, 45')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병진 운동 시 제 1 고정 수단(35, 37, 38)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해 종방향 축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TUBULAR ACTUATOR FOR DRIVING A ROLLER BLIND}
본 발명은 차양(awning), 선스크린(sunscreen) 또는 영상 투사 스크린, 롤러 블라인드와 같이 빌딩 내의 와인딩 가능한 요소(windable element)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관형 액추에이터는 와인딩가능한 요소가 감겨지는 와인딩 튜브 내로 삽입된다.
관형 액추에이터는 프레임의 부분에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액추에이터, 와인딩 튜브 및 와인딩가능한 요소의 중량의 일부, 일반적으로 중량의 절반을 지지하며, 액추에이터의 토크를 전체적으로 지탱한다. 상기 단부 부분은 액추에이터의 "헤드" 또는 "고정 지점"으로 불린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헤드는 축방향으로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이러한 기계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특히 와인딩가능한 요소가 헤드 상으로 감겨질 수 없으며, 헤드의 폭은 특정의 하우징이 프레임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면 이의 폭 만큼 감소된다.
게다가, 헤드는 예를 들어 금속 프레임 상의 볼트 또는 플러그식 나사의 도움으로 프레임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는 부착 부분에 의해 프레임에 연결된다. 부착 부분으로의 헤드의 연결은 바람직하게 제거가능하며, 즉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해제될 수 있어서 액추에이터 또는 와인딩가능한 요소의 설치 또는 보수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다수의 제조자는 토크와 중량을 동시에 지탱하기에 적합한 형태와 탄성 클리핑(elastic clipping)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특정의 부착 부분을 설계해왔다. 이러한 부착 부분은 WO 2008/3765(도 1에서 도면부호(2))호에 기술된다. 이는 단일의 부분과 고정 지점(도면부호 4)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제조자는 헤드의 형태만이 상이한 다양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고, 로지스틱스가 복잡해지는 다수의 요인이 제공된다. 액추에이터 제조자는 단일 타입의 헤드만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면, 와인딩가능한 요소를 제조하는 제조자에게 문제점이 야기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을 최적화할 필요가 없는 부착 해결방법을 채택한다.
따라서, 종종 액추에이터의 헤드는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 또는 빌딩의 외부에서 액추에이터를 이용함에 따른 방수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제조시에 테스트되고, 이의 제조자에 의해 보증된다. 이러한 보증은 전체적인 고정 지점에 관한 것이며, 이의 상호교체 가능성은 예를 들어 작업 지점에서 제조되어짐으로써 산업 환경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특히 위험하다. 고정 지점의 상호교체가능성은 액추에이터를 제조하는 제조자와 와인딩가능한 요소 및/또는 와인딩 튜브를 포함하는 자체적인 제품으로 액추에이터를 결합시키는 제조자 사이에 허용된 환경 내에서 작업실 내에 하나 이상의 인터벤션(intervention)이 요구된다.
특허 출원 제 WO 2009/016601호는 관형 액추에이터의 고정 지점 또는 헤드를 기술하며, 이러한 헤드 또는 고정 지점은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제 1 부분은 액추에이터의 튜브 내부로 거의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제 2 부분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는 튜브 내에 병진운동 시(in translation) 정지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한된 해결 방법에 따라 상호교체가능성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부착 수단의 기능을 보강시키지 않고 상기 언급된 힘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 특히 약하다. 이러한 특허 출원서에 제안된 해결 방법은 병진운동 시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의 고정이 단순하고 공구가 필요치 않는다는 것이 특히 가치 있으며, 이는 동일하게 고정해제에도 적용되며, 이는 상기 언급된 안전상의 목적에 대해서도 설명된다.
특허 출원 제 WO 2006/045724호 또는 등록된 디자인 DE 20 2007 005 138호는 특허 제 FR 2 840 012호와 유사하게 기술되며, 고정 지점은 액추에이터의 관형 부분과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 및 액추에이터의 정지(stopping)(토크 탐지, 회전 카운팅, 등등)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등록된 독일 디자인에서, 고정 지점은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리트랙터블 부분(9)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의 튜브로 링크고정된 제 2 부분(2)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헌에서, 상호교체가능성은 다양한 타입의 부착 부분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지 않지만 작업 지점에서 액추에이터의 최종 장착을 허용하거나 또는 제어 수단의 연기된 선택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기계적 및 안전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액추에이터의 헤드의 상호교체가능성을 위한 특히 단순하고 경제적인 해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액추에이터를 개선시키며, 상기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하고 경제적인 액추에이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기계적 및 안전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헤드의 상호교체가능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설비(installa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빌딩 내에서 와인딩 가능한 요소(windable element)를 구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종방향 축, 감속 기어 및 튜브의 제 1 단부에 배열된 출력 샤프트를 가진 튜브 및
-튜브의 제 2 단부에 2 부분으로 구성된 고정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점은 튜브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부분 및 튜브 내에 조립된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하나 이상의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는 제 2 부분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병진 운동 시 제 1 고정 수단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해 종방향 축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 수단은 제 1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고정 수단은 나사, 제 1 부분 내에 태핑(tapping), 제 2 부분 내에 나사 관통-홀(screw through-hole) 및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수단은 제 2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고정 수단은 나사, 제 2 부분 내에 태핑, 제 1 부분 내에 나사 관통-홀 및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은 제 2 부분에 부착된 제 2 고정 수단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해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 운동 시 고정될 수 있다.
제 2 고정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해 제 1 부분의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 운동 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고정 수단은 나사, 제 2 부분에 태핑,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 및 제 1 부분에서 관통하는 나사를 위한 개방된 축방향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주변 리세스(peripheral rece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홈-자동화 설비(home-automation installation)는 상기에서 기술된 관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성되고 실례로서 제공된 하기 기술내용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관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설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형 액추에이터의 부분적인 전개도.
도 3은 제 1 고정 지점 부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 2 고정 지점 부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 1 고정 지점 부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 2 고정 지점 부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액추에이터의 제 1 고정 지점 부분과 제 2 고정 지점 부분의 조립체에 대한 종방향 단면도.
도 8은 제 1 고정 지점 부분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관형 액추에이터(tubular actuator, 1)를 포함한 설비(100)를 도시한다. 관형 액추에이터는 고정 지점(fixed-point, 2), 관형 바디(tubular body, 3) 및 액추에이터의 관형 바디의 축(X-X') 상에서 회전가능한 출력 샤프트(output shaft, 4)를 포함한다. 출력 샤프트는 액추에이터가 맞물리는 와인딩 튜브(winding tube, 5)에 구동 휠(6)에 의해 연결된다. 베어링(7)으로 인해 와인딩 튜브는 액추에이터의 관형 바디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부착 부분(attachment accessory, 8)은 고정 지점을 프레임(frame, 9)에 연결한다. 도시되지 않은 와인딩 가능한 요소의 한 단부가 와인딩 튜브에 부착된다. 부착 부분은 예를 들어 빌딩의 구조물과 같이 프레임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부착 부분은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게다가, 부착 부분은 액추에이터의 고정 지점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부착 부분은 이러한 목적의 형태(shaping)를 가진다. 부착 부분에 따라 고정 지점은 프레임으로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관형 바디(3) 내에 맞물린 고정 지점 부분(2)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형 액추에이터의 부분적인 전개도를 도시한다.
고정 지점(2)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분(20, 20')과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분(40, 40')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실질적으로 튜브의 외측에 있으며, 제 2 부분에서의 직접적인 접촉부보다 더 작은 튜브와의 직접적인 접촉부를 포함한다. 점선(24a)은 제 1 부분의 가려진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가려진 부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다.
이러한 제 1 부분은 상호 교체가능하게(interchangeability) 제공된다. 따라서, 튜브의 외측 부분은 와이딩 가능한 요소의 제조의 요구사항에 의존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튜브(3)는 스틸로 제조된다. 특히, 튜브는 제 2 부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리피스(orifice, 33), 제 1 나사(37)의 바디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나사 홀(34) 및 제 2 나사(38)의 바디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나사 홀(35)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나사는 튜브와 제 2 부분 사이의 고정 수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X-X'는 축방향으로 형상되는 튜브의 주축을 나타낸다.
도 3은 고정 지점의 제 1 부분(20)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부분은 부착 부분(8)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22) 및 튜브의 축에 대해 수직한 평면 내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저부(21)를 포함한다. 돌출부 내에 형성된 요홈(groove, 23)에 부착 부분의 클립이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부착 부분 내에 제 1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그 외의 다른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원형 기저부는 제 1 핑거-형태의 축방향 신장부(24) 및 제 1 축방향 신장부와 동일한 제 2 축방향 신장부(25)를 지지한다. 또한, 원형 기저부는 제 3 축방향 신장부(26)를 지지한다.
축방향 신장부는 액추에이터의 토크의 일부분, 예를 들어 다수의 축방향 신장부에 의해 분할된 액추에이터의 토크, 즉 액추에이터의 토크의 3분의 1을 지탱할 수 있다. 게다가, 이는 완벽한 제품(와인딩 튜브와 와인딩 요소를 포함한 액추에이터)의 중량의 일부분, 예를 들어 다수의 축방향 신장부에 의해 분할된 중량의 절반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축방향 신장부는 제 1 나사 관통-홀(27)을 포함하고, 제 2 축방향 신장부는 제 2 나사 관통-홀(28)을 포함한다.
원형 기저부는 전기적 커넥터가 제 1 부분을 통해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관통-리세스(29)를 포함한다.
도 4는 제 2 고정 지점 부분(4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부분은 원통형 바디(41)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바디(41)는,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포함된 제어 수단의 전기적 절연 시 필요한 절연 튜브(도면상 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만을 두거나, 직접 접촉함으로써 튜브(3)에 체결될 수 있다. 원통형 바디는 타이트 슬리브-피트(tight sleeve-fit)를 수행하기 위하여 튜브(3)의 내측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하나 이상의 내측 링(41a)을 포함한다. 외측 링(42)은 내측 링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외측 링의 직경은 튜브(3)의 외측 직경과 동일하다. 외측 링의 외측은 제 1 부분의 원형 기저부에 대해 압축된다.
고정 수단(immobilization means, 43)은 오리피스(33)의 형태와 일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튜브(3)의 방향으로 외측 링의 축방향 신장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부분은 제 1 주변 리세스(first peripheral recess, 44)와 제 2 주변 리세스(second peripheral recess, 45)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부분은 비-주변 리세스(non-peripheral recess, 46)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세스는 간격 없이(또는 감소된 간격에 따라) 축방향 신장부(24 내지 26)가 리세스(44 내지 46) 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부분의 축방향 신장부와 일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2개의 나사 구멍(tapped hole, 47, 48)은 나사(37, 38)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제 2 관통-리세스(49)는 제 1 관통-리세스를 대향하여 제 2 부분을 통해 전기적 커넥터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 2 관통-리세스 내에 밀봉부(seal)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제 1 고정 지점 부분(20')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는 단지 제 1 또는 제 2 축방향 신장부의 길이가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며, 즉 제 1 축방향 신장부(24')는 제 1 나사(37)가 가로지르지 못하도록 제 1 실시예의 제 1 축방향 신장부보다 짧다. 제 2 실시예의 제 2 축방향 신장부(25')는 제 1 실시예의 제 2 축방향 신장부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제 2 나사(38)가 가로지르는 제 2 나사 관통-홀(28')을 포함한다.
도 6은 제 2 고정 지점 부분(40')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부분은 제 1 주변 리세스(44')와 제 2 주변 리세스(45')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분은 제 1 주변 리세스(24')의 축방향 길이가 제 1 실시예의 제 1 주변 리세스보다 짧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 2 부분과 상이하며, 이에 따라 제 1 나사 홀(34)은 제 1 주변 리세스(44')와 마주보지 않는다.
2개의 나사 구멍(47', 48')은 나사(37, 38)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제 1 나사(37)는 튜브와 제 2 부분만을 병진 운동 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반면 제 2 나사(38)는 튜브와 제 1 및 제 2 부분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나사가 튜브의 두 가지의 부분을 동시에 고정하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비해 선호될 수 있다.
특히, 제 1 나사(37)는 액추에이터의 제조자만이 이용하는 공구가 필요한 제 1 특정 헤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나사는 와인딩 가능한 요소의 제조자와 액추에이터의 제조자가 이용하는 공구가 필요한 제 2 특정 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안전한 조건 하에서 제 1 고정 지점 부분들의 교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의 부분도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제 1 축방향 신장부(24")에 대한 길이는 제 1 실시예의 제 1 축방향 신장부(24)의 길이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제 1 나사 관통-홀(27)은 튜브를 향해 제 1 축방향 신장부의 단부에서 개방되는 축방향 오리피스(27")로 변환된다. 따라서, 제 1 부분은 제 1 나사에 의해 병진 운동 시 고정되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1 축방향 신장부는 토크와 중량을 지지하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최대의 재료를 수용한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하기와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제 1 부분은 제 1 나사를 수용하도록 나사절삭된 제 1 홀(제 1 나사 관통-홀(27)에 대응)을 포함한 제 1 축방향 신장부 및 제 2 나사를 수용하도록 나사절삭된 제 2 홀(제 2 나사 관통-홀(28)에 대응)을 포함하는 제 2 축방향 신장부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제 1 및 제 2 나사의 단부, 바람직하게 홀 내에 나사체결되지 않고 홀 내에 고정된 나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2개의 간격 홀(2개의 홀(47, 48)에 대응)을 포함한다. 특히, 오직 나사의 팁만이 이러한 홀 내부로 삽입된다.
제 4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제 2 축방향 신장부는 나사를 수용하도록 나사절삭된 홀(제 2 나사 관통-홀(28')에 대응)을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상기 언급된 나사의 단부, 바람직하게 홀 내부로 나사체결되지 않고 홀 내에 고정된 나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간격 홀(홀(48)에 대응)을 포함한다. 나사의 단부는 나사산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평활하게 형성된다.
제 4 실시예의 변형예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와 하기와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제 2 축방향 신장부는 나사를 수용하도록 나사절삭된 홀(제 2 나사 관통-홀(28')에 대응)을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상기 언급된 나사의 단부, 바람직하게 홀 내부로 나사체결되지 않고 홀 내에 고정된 나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간격 홀(홀(48)에 대응)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제 1 나사를 수용하도록 나사절삭된 제 1 홀을 포함하는 제 1 축방향 신장부 및 제 2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간격 홀을 포함한 제 2 축방향 신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부분은 제 2 나사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나사 구멍을 포함하고, 제 1 나사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 1 간격 홀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제 1 부분으로 나사체결된 나사는 비-돌출식(non-emerging)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부분의 홀을 관통하지 않는다. 그 뒤, 제 2 부분의 홀은 필수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나사절삭(tapping)"은 홀 내의 탭(tap)에 의해 형성되는 쉐이핑(shaping) 뿐만 아니라 홀 내의 셀프-태핑 나사(self-tapping screw)에 의해 형성되는 쉐이핑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태핑은 홀 내부로의 나사의 나사 체결 이전에 수행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튜브(3)는 고정 지점의 제 2 부분으로 타이트하게 장착된다.

Claims (11)

  1. 빌딩 내에서 와인딩 가능한 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종방향 축(X-X')을 가지는 관형 튜브(3),
    - 상기 종방향 축(X-X')에 따라 회전가능한 출력 샤프트(4),
    - 관형 튜브(3) 에서, 관형 튜브의 제 1 단부에 배열된 감속 기어 및 출력 샤프트(4), 및
    -관형 튜브의 제 2 단부에 2 부분으로 구성된 고정 지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지점은 튜브의 외측과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부분(20, 20') 및 관형 튜브 내에 조립된 제 2 부분(40, 40')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하나 이상의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24, 24', 25, 25')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 및 중량 지지 축방향 신장부는 제 2 부분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44, 44', 45, 45')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병진 운동 시 제 1 고정 수단(27, 28, 34, 35, 37, 38, 28', 34, 35, 37, 38)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관형 튜브에 대해 종방향 축을 따라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제 1 고정수단에 의해 관형 튜브와 함께 종방향 축(X-X')에 따라 병진운동시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나사, 제 1 부분 내에 태핑, 제 2 부분 내에 나사 관통-홀 및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제 2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나사(37), 제 2 부분 내에 태핑(47), 제 1 부분 내에 나사 관통-홀(27) 및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부분(40')은 제 2 부분에 부착된 제 2 고정 수단(37, 47')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한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 운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튜브에 대해 제 2 부분의 종방향 축을 따라 병진 운동 시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 수단은 나사(37), 제 2 부분에 태핑(47'),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35) 및 제 1 부분에서 관통하는 나사를 위한 개방된 축방향 오리피스(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 수단은 나사(37), 제 2 부분에 태핑(47'), 튜브 내에 나사 관통-홀(35) 및 제 1 부분에서 관통하는 나사를 위한 개방된 축방향 오리피스(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주변 리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액추에이터.
  11. 제 1항에 따르는 관형 액추에이터(1)를 포함한 홈-자동화 설비(10).
KR1020100042232A 2009-05-05 2010-05-06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 KR101870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2150 2009-05-05
FR0902150A FR2945314B1 (fr) 2009-05-05 2009-05-05 Actionneur tubulaire d'entrainement d'un volet rou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271A KR20100120271A (ko) 2010-11-15
KR101870437B1 true KR101870437B1 (ko) 2018-06-22

Family

ID=4166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32A KR101870437B1 (ko) 2009-05-05 2010-05-06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75514B2 (ko)
EP (1) EP2248987B1 (ko)
KR (1) KR101870437B1 (ko)
CN (2) CN106593279A (ko)
AU (1) AU2010201783B2 (ko)
CA (1) CA2701665C (ko)
FR (1) FR2945314B1 (ko)
PL (1) PL2248987T3 (ko)
RU (1) RU25142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5426B1 (fr) * 2011-05-17 2018-03-02 Somfy Sas Tete d'actionneur electromecanique de manoeuvre d'un element enroulable
JP6046880B2 (ja) * 2011-06-01 2016-12-2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電動式シャッター装置への改修方法
FR2983368B1 (fr) 2011-11-24 2016-09-02 Somfy Sas Actionneur electrique tubulaire d'entrainement pour un ecran domotique, procede d'assemblage d'un tel actionneur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FR2992114B1 (fr) * 2012-06-13 2016-08-19 Somfy Sas Dispositif motorise de manoeuvre destine a la manoeuvre d’un ecran mobile a toile enroulable d’un dispositif de couverture de fenetre ou d’ecran de projection.
US10934773B2 (en) * 2012-06-13 2021-03-02 Somfy Activites Sa Motorized manoeuvring device intended to manoeuvre a moving windable fabric screen of a window or projection screen cover device
FR2992142B1 (fr) * 2012-06-13 2014-07-11 Somfy Sas Element de support d’une batterie dans un tube d’enroulement d’un ecran domotique.
FR3008255B1 (fr) * 2013-07-03 2015-07-31 Somfy Sas Actionneur d'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US10676989B2 (en) * 2016-02-19 2020-06-09 Hunter Douglas Inc. Motor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FR3052481B1 (fr) * 2016-06-08 2018-07-13 Somfy Sas Actionneur tubulaire d'entrainement d'un volet roulant
DE102017107826A1 (de) * 2017-04-11 2018-10-11 acomax GmbH Wellenbaugruppe, Verschluss- oder Schutzeinrichtung sowie Montagesatz
FR3072115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actionneur
FR3072118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FR3072117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actionneur
FR3072119B1 (fr) * 2017-10-10 2019-11-08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electromecanique tubulair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CN110847798B (zh) * 2018-04-27 2021-01-01 浙江兆事达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智能窗帘驱动机构
CN108792755A (zh) * 2018-06-06 2018-11-13 苏州安特实业有限公司 一种塑料包装用胶卷切割器
FR3096194B1 (fr) * 2019-05-15 2021-07-16 Somfy Activites Sa Actionneur électromécanique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d’occultation ou de protection solaire comprenant un tel actionneur électromécanique
CN111364909A (zh) * 2020-01-06 2020-07-03 邱永忠 一种防风卷帘平衡器及其组成的防风卷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3765A1 (en) * 2006-07-05 2008-01-10 Fitem Srl Fixing device for tubular motor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865A (en) * 1982-08-12 1985-01-29 Newpor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electric motor rotation into linear travel
US4467250A (en) * 1982-12-10 1984-08-21 Newport Corporation Electric motor controls for mechanical actuators
FR2573551B1 (fr) * 1984-11-16 1987-02-06 Somfy Dispositif de commande pour volet roulant ou similaire a lames orientables
US4858244A (en) * 1988-03-24 1989-08-15 Scot, Incorporated Mechanically actuated laser initiator
CN2071698U (zh) * 1990-05-13 1991-02-20 刘明曦 自动定位卷帘器
FR2666842B1 (fr) * 1990-09-17 1992-11-20 Somfy Dispositif d'enroulement a moteur tubulaire pour stores, volets roulants ou similaires.
US5123474A (en) * 1991-05-13 1992-06-23 Smith Richard C Roll-up closure device
CN2142139Y (zh) * 1992-11-19 1993-09-15 曾建设 多用卷帘式纱窗架
CH688006A5 (fr) * 1995-10-30 1997-04-15 Somfy Dispositif de manoeuvre d'un élément de fermeture se déplacant au moins approximativement verticalement.
FR2744759B1 (fr) * 1996-02-14 1998-04-17 Simu Dispositif de manoeuvre pour volet roulant
US6435252B2 (en) * 1998-06-22 2002-08-20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ES1042589Y (es) * 1998-07-01 2000-02-01 Fondevilla Calderon Joaquin Nuevo motor tubular para desplazar elementos aplanados enrollables.
US6564777B2 (en) * 1999-10-15 2003-05-20 Westport Research Inc. Directly actuated injection valve with a composite needle
FR2805307B1 (fr) * 2000-02-21 2002-05-24 Somfy Volet roulant motorise equipe de moyens d'arret automatique
ITMI20000738A1 (it) * 2000-04-06 2001-10-06 Paolo Astengo Dispositivo di comando con motore elettrico trifase per elementi avvolgibili
FR2837865B1 (fr) * 2002-03-28 2005-07-29 Simu Mecanisme de manoeuvre et installatio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FR2840012B1 (fr) * 2002-05-22 2004-08-13 Zurfluh Feller Dispositif d'entrainement electromecanique pour volet roulant
CN2554859Y (zh) * 2002-07-10 2003-06-04 华林 一种管状电机的制动装置
ITAN20030006U1 (it) * 2003-01-31 2004-08-01 Gaposa Srl Gruppo di connessione elettrica per dispositivi per l'azionamento automatico di tende, serrande ed avvolgibili in genere
FR2862334B1 (fr) * 2003-11-19 2006-02-10 Somfy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ecran de fermeture ou de protection solaire et installat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ITTV20040119A1 (it) * 2004-10-22 2005-01-22 Nice Spa Motoriduttore per avvolgibili.
US7299915B2 (en) * 2004-12-06 2007-11-27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Motorized pulley
ITMI20060042U1 (it) * 2006-02-06 2007-08-07 Cherubini Spa Supporto orientabile per motori tubolari
DE202007005138U1 (de) * 2006-04-12 2007-07-12 Gerhard Geiger Gmbh & Co Antriebsvorrichtung mit mechanischer und elektronischer Endabschaltung
JP4740831B2 (ja) * 2006-12-19 2011-08-03 新生精機株式会社 ブラインド用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のリモコン受光構造
FR2913132B1 (fr) * 2007-02-22 2010-05-21 Somfy Sas Dispositif de commande radio, actionneur electriqu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2919658B1 (fr) * 2007-08-01 2009-10-30 Somfy Sas Actionneur tubulaire pour l'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FR2946997B1 (fr) * 2009-06-23 2011-07-08 Somfy Sas Actionneur electrique d'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3765A1 (en) * 2006-07-05 2008-01-10 Fitem Srl Fixing device for tubular 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17799A (ru) 2011-11-10
US20100282890A1 (en) 2010-11-11
CN101881130A (zh) 2010-11-10
FR2945314B1 (fr) 2011-07-01
AU2010201783A1 (en) 2010-11-25
FR2945314A1 (fr) 2010-11-12
PL2248987T3 (pl) 2016-01-29
CN106593279A (zh) 2017-04-26
EP2248987B1 (fr) 2015-09-02
RU2514262C2 (ru) 2014-04-27
AU2010201783B2 (en) 2016-08-25
CA2701665C (fr) 2017-08-22
KR20100120271A (ko) 2010-11-15
EP2248987A3 (fr) 2011-01-26
CA2701665A1 (fr) 2010-11-05
EP2248987A2 (fr) 2010-11-10
US9175514B2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437B1 (ko)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관형 액추에이터
US8176679B2 (en) Gear mechanism part for a cable-controlled window lifter and drive unit for a cable-controlled window lifter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EP2684488B1 (en) Linear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linear actuator
EP221862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12511675A (ja) スペーサ装置、およびスペーサ装置を備えた取付け構成
KR20070086384A (ko) 애드-온과 지지부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EP3645915B1 (en) Linear actuator
US11560912B2 (en) Tolerance compensation device
TWI549404B (zh) Electric cylinder and electric cylinder system
US20160290455A1 (en) Spindle-rotor unit
US7669501B2 (en) Contrivance for automatic rope length correction
US20140186108A1 (en) Attachment device and attachment arrangement for attachment of components to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means of transport
US20180339577A1 (en)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90345983A1 (en) Mixer comprising a clamping sleeve assembly
JP2008069966A (ja) 収容ねじにねじ山保護要素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並びに該方法のための取付スピンドル及びねじ山保護要素
US20090272066A1 (en) Fastening assembly
CN215108647U (zh) 一种可提前预上力的弹簧卷帘器
JP552665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117046A (ko) 센서 프로브 고정장치
KR101412452B1 (ko) 축방향 고정부를 가진 트랜스미션 장치
CN208247883U (zh) 控制臂组件以及具有它的车辆
CN201747750U (zh) 一种装配公差吸收装置
JP5535660B2 (ja) 直線作動機
JP7267515B1 (ja) ロール式スクリーンを取り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