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02B1 -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02B1
KR101868502B1 KR1020160160840A KR20160160840A KR101868502B1 KR 101868502 B1 KR101868502 B1 KR 101868502B1 KR 1020160160840 A KR1020160160840 A KR 1020160160840A KR 20160160840 A KR20160160840 A KR 20160160840A KR 101868502 B1 KR101868502 B1 KR 10186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harer
culture
card
sha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849A (ko
Inventor
홍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Priority to KR102016016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문화를 공유하는 공유자의 공유자 단말로부터 피공유자가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공유자 단말과 매핑하는 단계, 체험할 문화의 정보에 포함된 가격 및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여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에게 노출하는 단계,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피공유자 단말에서 결제한 경우, 공유자 단말과 피공유자 단말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CAL CULTURE SHARING SERVICE USING LEVEL-CLASSIFIED CULTURE CARD}
본 발명은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공되는 문화 체험을 분류 및 등급을 부여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외 여행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패키지 여행 및 개별 여행에서 벗어나 현지의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개인인 현지인을 믿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고육지책으로 개별 여행을 하거나 패키지 여행을 선택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때, 문화를 공유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문화 관광 상품을 설계 및 공유하고, 문화 관광 관련 서비스 업체가 역경매를 통해 판매하거나 매칭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1452호(2012.11.06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031090호(2015.03.23 공개)에는, 문화 관광과 연관된 지식의 생성, 저장 및 공유 서비스와, 회원 가입자에 의해 요구된 문화 관광 상품을 기반으로 문화 관광 상품과 일치하는 상품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회원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콘텐츠를 공유 및 공개한다고 할지라도, 해당 콘텐츠를 사업화 또는 기업에서 실시하게 되면, 관광 상품이 되어버려 그 본질이 퇴색하고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많으나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용자는 어떠한 것이 정말 좋은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해당 지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콘텐츠를 현지 주민이 직접 전달해주는 것과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접하는 것과는 감성 품질의 현저한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화 체험을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문화 체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등급을 부여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및 공급자도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택 및 제공할 수 있고, 개별 여행 및 패키지 여행에 벗어나 현지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외부인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고, 기존 채널로는 충족할수 없는 본인만의 요구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현지 주민에게는 새로운 수입 창출원과 더불어 외부인 및 외국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갈 수 있는,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화를 공유하는 공유자의 공유자 단말로부터 피공유자가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공유자 단말과 매핑하는 단계, 체험할 문화의 정보에 포함된 가격 및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여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에게 노출하는 단계,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피공유자 단말에서 결제한 경우, 공유자 단말과 피공유자 단말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문화 체험을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문화 체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등급을 부여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및 공급자도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택 및 제공할 수 있고, 개별 여행 및 패키지 여행에 벗어나 현지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외부인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고, 기존 채널로는 충족할수 없는 본인만의 요구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현지 주민에게는 새로운 수입 창출원과 더불어 외부인 및 외국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가 분류 및 등급이 부여되어 카드가 생성되고 전송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에서 현지인과 외국인을 구분 및 체험중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의 현황과 정보가 통계로 제공 및 가상 현실 서비스로 제공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피공유자 단말(100),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공유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공유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피공유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공유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유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유자 단말(4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피공유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피공유자 단말(100),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공유자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피공유자 단말(100)은, 현지의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외지인 또는 외국인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피공유자 단말(1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문화를 공유할 대상을 검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 단말(100)과 공유자 단말(400)은, 국적, 위치 및 체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결정되는 역할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할에 따라 정의 및 기술될 뿐, 피공유자 단말(100)에서도 공유자 단말(4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공유자 단말(400)에서도 피공유자 단말(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피공유자 단말(100)은, 문화를 공유할 공유자가 제공한 정보로 생성된 문화 카드인 제공 카드를 검색 및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제공 카드는, 공유자가 기재한 체험 문화의 상세 정보, 가격, 지역, 능숙도 등을 포함한 정보가 기재된 카드일 수 있고, 웹 페이지 또는 앱 페이지 상에 업로드되는 카드일 수 있다. 이때, 문화 카드는 문화 체험을 제공하는 제공 카드, 문화 체험을 요청하는 요청 카드 및 요청에 대한 맞춤형 문화 체험을 제공하는 맞춤형 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문화 카드상에 텍스트가 기재되는 방식과 더불어, QR 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피공유자 단말(1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공유자 단말(400)과의 예약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피공유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공유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자 단말(400)이 제안하는 문화 공유 체험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안 카드를 생성할 때 제안 카드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제안 카드는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고 할지라도 각 체험의 희소성, 단가, 공유자(문화 체험 제공자)의 경력과 이에 따른 가치 등을 포함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기 다른 등급이 부여되는 카드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의 국적, 현재 위치 및 체류 기간 등에 기초하여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을 식별하고, 피공유자 및 공유자의 메인 화면을 변경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한국 국적의 A 사용자가 B 국가에 현재 위치한 경우, A 사용자를 B 국가에 대하여 외국인으로 정의하고, A 사용자의 단말을 피공유자 단말(100)로 정의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 국적의 A 사용자가 A 국가에 위치한 경우, A 사용자를 한국에 대한 현지인, 내국인 또는 자국인으로 구분하고, A 사용자의 단말을 공유자 단말(400)로 정의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체류 기간이나 해외 이민을 포함하는 변수에 따라 정의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안 카드가 노출되는 거리 및 노출되는 단말의 수를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의 예약을 관리하고, 체험을 위한 미팅이 시작된 후에는 현재 위치, 문화 체험 종류 등을 포함하는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약 후 미팅이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관리하고, 미팅 후에도 체험 후기를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체험 문화 서비스를 양질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공유자와 피공유자를 중개하는 서비스 이외에도,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크롤링 또는 공유된 체험 문화 정보를 수집 및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정보를 AR 또는 VR로 피공유자에게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또는 공유자의 결제 또는 수입 현황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덧붙여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공유 체험 콘텐츠를 수신하고 분류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수신된 체험 콘텐츠에 기반하여 제안 카드를 생성 및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의 업로드 페이지, 프로그램의 업로드 페이지 등 모든 페이지에 제안 카드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그 페이지의 종류는 상술한 페이지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100)로부터 문화 체험을 원하는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데이터에 기반하여 요청 카드를 생성 및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 데이터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지만, 공유자 단말(400)과 같이 동일한 콘텐츠를 경험하기를 원하는 피공유자는 드물다는 가정하에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바로 요청 카드를 생성한다고 기술하였지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100)의 요청 정보로 생성된 요청 카드에 대한 공유자 단말(400)의 맞춤형 카드를 생성하여 업로드 또는 요청 카드를 생성한 피공유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약속 시간 및 약속을 지켰는지의 여부에 대한 패널티를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로 부과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4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자신의 정보 및 공유할 문화 정보를 전송 및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공유자 단말(4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자신이 등록한 정보가 제안 카드로 등록된 후, 피공유자 단말(100)의 검색 및 결제에 의해 예약 메세지를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공유자 단말(400)은, 피공유자 단말(100)이 요청한 요청 사항이 기재된 요청 카드에 대한 피드백으로, 맞춤형 문화 체험 정보를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전송된 정보는 맞춤형 카드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되거나 요청 카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 피공유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맞춤형 카드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공유자 단말(4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예약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다만, 공유자 단말(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공유자 단말(100)일 수 있으며, 그 상황에 따라 주체 및 객체가 변경되는 것일 뿐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가 분류 및 등급이 부여되어 카드가 생성되고 전송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에서 현지인과 외국인을 구분 및 체험중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의 현황과 정보가 통계로 제공 및 가상 현실 서비스로 제공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핑부(310), 생성부(320), 노출부(330), 전송부(340), 체험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피공유자 단말(100) 또는 공유자 단말(400)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100) 또는 공유자 단말(400)은,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피공유자 단말(100) 또는 공유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피공유자 단말(100),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 공유자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문화 카드는 피공유자 및 공유자의 데이터로 서버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피공유자 및 공유자가 직접 다양한 레이아웃 및 디자인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후자의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후자의 경우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는 생성된 문화 카드를 등록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매핑부(310)는, 문화를 공유하는 공유자의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피공유자가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공유자 단말(400)과 매핑할 수 있다. 이때, 매핑부(310)는, 공유자 단말(400)의 등록을 위한 공유자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공유자 단말(400)의 공유자는 직접 가이드나 문화 체험을 알려주는 공유자와, 정보만을 제공하는 공유자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참여하고는 싶지만 무엇을 또는 어떻게 함께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현지 주민들(Local)은, 현지에서만 누릴 수 있는 이색적인 문화 체험을 희망하는 방문객(Visitor)들을 위해 이용자의 연령, 성별, 외국어 활용도, 취미, 관심사, 지역 등을 고려하여 문화 공유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무료 또는 유료로 피공유자에게 공유될 수도 있고, 공유자에게만 공유될 수도 있으며, AR 또는 VR 콘텐츠로 생성되어 시간 및 위치에 기반하여 피공유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시간은 피공유자 단말(100)이 해당 위치에 위치한 현재 시간과, 체험을 하고자 하는 박물관, 체험관, 식당 등의 개장 시간 또는 휴무일이 고려될 수 있다. 즉, VR 콘텐츠 또는 AR 콘텐츠가 피공유자 단말(100)의 화면에 출력되어 찾아갔지만 막상 휴무일이거나 개장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소비자의 시간낭비를 넘어 소비자의 해당 서비스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생성부(320)는, 체험할 문화의 정보에 포함된 가격 및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여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320)는,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체험할 문화의 종류, 시중 단가, 원가, 희소성 및 외국어 회화능력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는 상술한 파라미터에 한정되지 않고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제공된 체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가 선정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는,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체험 정보가 수신되면, 생성부(320)에서 데이터마이닝을 통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가 분류 기준과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할 경우,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하여 파라미터를 추가할 것을 출력함으로써 추가, 수정 또는 편집 등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생성부(320)는, 분류가 완료된 경우, 분류에 매핑된 특성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분류에 매핑된 특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문화 체험이 한복 만들기 체험(이하, A 체험)이라고 가정하면, A 체험 분야로 분류된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희소성을 인정할 수 있거나, 단가가 높아 프리미엄 서비스로 분류 및 등급을 부여할 수 있거나, 분류나 종류가 동일하지만 희소성이 있는 공유자, 예를 들어, 인간문화재가 직접 실시하는 체험 등과 같이 체험 정보, 체험 종류, 체험 단가, 문화를 공유하는 체험 주최자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 중 특수성이 인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가 특성 파라미터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특성 파라미터는 늘 동일한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 대중화도 등에 따라 변경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부(320)는, 특성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데, 동일한 특성 파라미터를 가질지라도, 예를 들어 상술한 가정을 인용하면, 동일한 인간문화재라고 할지라도, 인간문화재의 경력, 현재 사회적 평판, 어느 나라에서 선호하는 종류의 문화재인지 등에 따라 등급이 각기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종류라고 할지라도 그 자체로 등급이 달라질 수 있고, 등급이 동일하게 부여되었다고 할지라도, 문화 체험을 할 사람(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등급이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부(320)는, 분류 및 등급 부여를 실시하되, 소비자의 정보에 따라 다른 등급을 다시 부여하여 각 나라별, 성향별, 나이별 등으로 등급을 각각 부여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성부(320)는, 기 설정된 분류 및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안 카드가 생성되기 전, 정보가 사전 검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가 제안을 하는 경우(피공유자가 요청을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안하는 정보가 기 설정된 불법 콘텐츠와의 비교를 통하여 1차적으로 검수를 하고, 불법 콘텐츠로 추출된 제안 정보는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불법적이거나 위험한 문화 콘텐츠가 제안 또는 요청되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노출부(330)는,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100)에게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노출부(330)는, 생성된 제안 카드가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노출될 경우, 공유자 단말(400)의 위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인원의 피공유자 단말(100)로 노출되고,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노출될 경우, 제안 카드는 공유자 단말(400)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한 문화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노출부(330)는, 제안 카드가 실시간으로 공유자 단말(400)의 위치 또는 공유자 단말(400)이 설정한 거점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에 따라 노출되도록 할 것인지 또는 공유자 단말(400)이 설정한 노출 개수만큼만 노출되도록 할 것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부(330)는, 노출 개수 또는 노출 반경에 기초하여 공유자 단말(400)로 결제를 받거나 결제를 유도할 수 있지만, 그 실시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그 구현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노출부(330)는, 미리 예약을 하지 않았을지라도 즉석에서 실시간으로 피공유자와 공유자가 만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날씨 상황, 휴무 여부, 이벤트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체험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2월 13일에 야외에서 실행되는 체험 문화가 예약되었는데, 그날 폭설이 내려 야외에서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눈에 관련된 이벤트 또는 문화 체험을 즉석에서 제공 또는 받고자 하는 공유자 또는 피공유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가정 이외에도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피공유자 및 공유자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전송부(340)는,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경우, 공유자 단말(400)과 피공유자 단말(100)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공유자 단말(400)은, 공유자 단말(400)의 등록 및 인증된 국적과 현재 위치한 국가명이 일치할 경우 공유자 단말(400)로 식별되고, 피공유자 단말(100)은, 피공유자 단말(100)의 등록 및 인증된 국적과 현재 위한 국가명이 불일치할 경우 피공유자 단말(100)로 식별될 수 있다. 국적, 현재 위치 이외에도 해외 이민, 장기 체류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이민을 간 경우에는 그 나라의 문화를 자국어로 설명할 수 있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체험 관리부(350)는, 전송부(340)에서 추출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경우, 공유자 단말(400)과 피공유자 단말(100)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한 후,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시작 시간 및 장소에 공유자 단말(400) 및 피공유자 단말(100)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공유자 단말(400) 및 피공유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경우, 공유자 단말(400) 또는 피공유자 단말(100)의 타임라인(Timeline)에 이동 경로, 문화 체험 장소 및 시간,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 및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한 체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체험 관리부(350)는,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종료 시간이 경과하면,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종료 장소에 공유자 단말(400) 및 피공유자 단말(100)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체험 관리부(350)는, 예약 종료 장소와 공유자 단말(400) 및 피공유자 단말(100)이 위치한 경우, 상대방에 대한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는, 후기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후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평점인 경우, 후기 데이터가 입력된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체험한 체험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AR 콘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AR 콘텐츠는 VR 콘텐츠일 수도 있고, VR 및 AR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자 단말(400)에서 결제받은 금액에 대하여 지역별, 연령별, 기간별, 종류별, 등급별, 분류별 및 만족도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통계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에서 문화 카드의 종류를 공유자가 제공하는 제안 카드를 예로 들어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 카드에 기반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공유자 단말(400)에서 체험을 제안하고자 하는 정보를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하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안 카드를 생성하여 업로드를 실시한다. 이때, 제안 카드는 제안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카드(분류 1_등급_5)인 경우, 누구나 제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투어일 수 있고, 제안 카드(분류 3_ 등급 1)인 경우, 특정한 소수의 사람만이 제공할 수 있는 문화 체험일 수 있으며, 제안 카드(분류 7_ 등급 1)인 경우, 프리미엄 서비스일 수 있다. 이때, 프리미엄 서비스의 종류는, 건강 의료 서비스 프로그램, VIP 여행 투어, 개인 경비행기를 이용한 전세기 체험 등일 수 있다. 프리미엄 고객, 단체, 기업을 연결하는 문화 카드일 수 있다.
(b) 공유자 단말(400)은, 제안 카드가 노출될 반경을 설정할 수도 있고, (c) 개수(n)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유자 단말(400)의 선호도(외국어 종류, 성별, 종교 등) 및 성향을 반영하여 제안 카드가 노출될 객체(피공유자) 등을 설정할 수도 있고, 다양한 설정값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를 참조하면, (a) 국적이 한국으로 인증 및 등록된 A 단말의 경우에는, (b) 한국에 위치한 경우, A 단말을 현지인 및 내국인의 단말로 식별하여 문화를 공유하도록 하고, A 단말이 외국에 위치한 경우, A 단말을 외지인 및 외국인의 단말로 식별하여 문화를 체험하도록 자동으로 포지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공유자 단말(400) 또는 피공유자 단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현지 주민(공유자)인지 또는 체험을 하고자 하는 주민(피공유자)인지가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국적, 체류기간, 현재 위치 이외에도, A 지방에서 B 지방의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자국민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설정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c)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현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예약을 도와주는 것 뿐 아니라, 예약 이후 현지 문화를 체험할 때, 서로 모르는 사람이 만나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신의 현재 위치 등을 알리는 안심 메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공유자와 공유자가 만난 경우, 현지 문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는, 문화 체험중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자신의 현재 상황(문화 카드에 기재된 상세 정보와 함께, 시간대별 이동 장소, 시작과 끝 시간, 현재 체류 장소, 매칭중인 상대방에 대한 프로필 정보 등)을 SNS나 지인의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자가 피공유자에게 또는 피공유자가 공유자에게 가할 수 있는 위해를 최소화하고, 모니터링되고 있음을 서로 인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d) 또한, 타임라인이 생성되고 체험이 완료된 후에는,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은 서로 평가를 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되는데, 해당 인터페이스에 점수나 후기를 입력하지 않으면, 메인 화면으로 전환되지 않거나 다른 메뉴가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어, 후기를 강제하고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공유자)의 수입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보여줌으로써 공유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데, 주간, 월간, 연간 등으로 얻게 된 수익에 대하여 통계를 숫자 또는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b) 데이터마이닝으로 선별된 체험 정보를 유료 또는 무료로 피공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가 외국인이고 현지 사정을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는, 해당 언어로 지금 위치로부터 해당 위치까지 이동하는 수단, 경로, 시간, 필요한 회화, 가격, 시간, 평점 등을 AR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부터 목표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네비게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고, 출력이 되기 위한 조건은, 이동 시간, 수단, 체험 시간(최소 몇 시간이 소요됨과 같은 조건), 체험 가능 시간(몇시부터 몇시까지 체험장소를 이용가능과 같은 조건) 등일 수 있고, 해당 조건을 만족해야 출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위치부터 체험 장소까지 1시간이 소요되고, 1시간 이내에 체험관이 문을 닫는 경우는 필요없는 정보일 수 있고, 체험 장소가 현재 이용가능상태가 아닌 경우(공사중 등)에도 역시 필요없는 정보가 피공유자 단말(100)의 데이터만 소비하는 경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직관적으로 카메라를 통하여 정보를 확인하는 것 이외에도, (c)와 같이 주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등을 목록형으로 리스트업하여 출력하는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자 단말(400)의 국적 및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공유자의 단말임을 식별하며(S6100), 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문화 정보를 수신한다(S6200).
그리고,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문화 정보를 분류 및 등급을 부여하고(S6300), 제안 카드를 생성한다(S6400).
한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국적 및 현재 위치로 피공유자임이 식별되면(S6500), 실시간 기능이 온 상태인 경우(S6600), 역시 실시간 기능이 온 상태인 공유자 단말(400)의 제안 카드 전송 요청에 의해(S6600, S6800), 피공유자 단말(100)을 검색하고(S6810), 피공유자 단말(100)의 정보를 공유자 단말(400)로 전송한다(S6830). 이때, 피공유자 단말(100) 및 공유자 단말(400)에서 실시간 기능이 오프된 경우에는(S6700), 실시간 기능이 오프된 상태로 서로를 검색 및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자 단말(400)의 제안 카드가 피공유자 단말(100)로 전송된 경우(S6850), 피공유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하면(S6870), 예약이 완료된다(S6890).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약시간을 체크하고(S6900), 예약 시간과 현재 시간이 일치할 경우 피공유자 단말(100)과 공유자 단말(400)의 위치를 체크하여(S6920), 예약 장소와 일치할 경우 위치 추적을 실시하고(S6940), 타임 라인을 생성하여(S6950) 각 단말로 전송한다(S6960).
이때,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체험 문화가 완료된 경우(S6970), 후기를 수집하는 인터페이스가 각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고(S6980), 후기 작성을 강제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상술한 단계들(S6100~S6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문화를 공유하는 공유자의 공유자 단말로부터 피공유자가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공유자 단말과 매핑한다(S7100).
또한,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체험할 문화의 정보에 포함된 가격 및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여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하고(S7200),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에게 노출한다(S7300).
그리고,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피공유자 단말에서 결제한 경우, 공유자 단말과 피공유자 단말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한다(S7400).
이와 같은 도 7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문화 카드(Culture Card)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문화를 공유하는 공유자의 공유자 단말로부터 피공유자가 체험할 문화의 정보를 수신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상기 공유자 단말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체험할 문화의 정보에 포함된 가격 및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여 상기 등급이 부여된 정보를 기재한 제안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에게 노출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상기 피공유자 단말에서 결제한 경우, 상기 공유자 단말과 피공유자 단말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안 카드를 위치, 반경 및 인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에게 노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제안 카드가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노출될 경우, 상기 공유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반경 또는 기 설정된 인원의 피공유자 단말로 노출되고,
    상기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노출될 경우, 상기 제안 카드는 상기 공유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한 문화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자 단말은, 상기 공유자 단말의 등록 및 인증된 국적과 현재 위치한 국가명이 일치할 경우 공유자 단말로 식별되고,
    상기 피공유자 단말은, 상기 피공유자 단말의 등록 및 인증된 국적과 현재 위한 국가명이 불일치할 경우 피공유자 단말로 식별되는 것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안 카드에 기재된 가격을 상기 피공유자 단말에서 결제한 경우, 상기 공유자 단말과 피공유자 단말로 각각 예약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시작 시간 및 장소에 상기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경우, 상기 공유자 단말 또는 피공유자 단말의 타임라인(Timeline)에 이동 경로, 문화 체험 장소 및 시간,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 및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한 체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종료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예약 완료 메세지에 포함된 예약 종료 장소에 상기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예약 종료 장소와 상기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위치한 경우, 상대방에 대한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후기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후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후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평점인 경우, 상기 후기 데이터가 입력된 피공유자 단말에서 체험한 체험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AR 콘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60160840A 2016-11-29 2016-11-29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40A KR101868502B1 (ko) 2016-11-29 2016-11-29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40A KR101868502B1 (ko) 2016-11-29 2016-11-29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49A KR20180060849A (ko) 2018-06-07
KR101868502B1 true KR101868502B1 (ko) 2018-07-16

Family

ID=6262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840A KR101868502B1 (ko) 2016-11-29 2016-11-29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724A (ko) * 2008-10-28 2010-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육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101350710B1 (ko) * 2013-03-13 2014-01-14 공성식 장소 기반의 정보 제공 서버
KR101694458B1 (ko) * 2016-05-19 2017-01-09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724A (ko) * 2008-10-28 2010-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육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
KR101350710B1 (ko) * 2013-03-13 2014-01-14 공성식 장소 기반의 정보 제공 서버
KR101694458B1 (ko) * 2016-05-19 2017-01-09 주식회사 애스크컬쳐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현지인이 만드는 진짜 여행, 마이리얼트립 (2013.06.0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49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roviders with consumers of online goods and services
US8874489B2 (en) Short-term residential spaces in a geo-spatial environment
KR101758252B1 (ko)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149286A1 (en) Mobile provider advertising and scheduling platform
US20160012514A1 (en) Providing gifted travel-related services to a traveler
KR101713221B1 (ko) 부동산 분양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823587B1 (ko) 쇼핑몰 연동 캘린더 서비스 제공 방법
US11682024B2 (en) Dynamic contac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70074541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여행자와 가이드의 실시간 매칭 방법
Zhou et al. Development of the system to support tourists excursion behavior using augmented reality
JP2009093603A (ja) 通信網を利用した全世界のホテル検索及び予約、航空券の予約、都市情報の検索及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を含む旅行手続き一括システム
Daniela et al. On the path to mobility as a service: A MaaS-checklist for assessing existing MaaS-like schemes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30337B1 (ko) 글로벌 포탈 협력사 모집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92505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여행자와 가이드의 실시간 매칭 방법
US20190042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Booking And/Or Sharing A Travel Itinerary
KR102294476B1 (ko) 위치 기반 일감 대행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Burgess et al. A model of ICDT internet flows on mobile devices for the travel and tourism consumer
CN105912542A (zh) 一种烟叶种植大田地理信息数据融合系统
KR101763926B1 (ko) 자유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7557B1 (ko)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8502B1 (ko) 레벨로 분류되는 문화 카드 기반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Yamamoto Navigation system for foreign tourists in Japan
KR101694458B1 (ko) 현지 문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Goecke Advanced web technologies and E-tourism web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