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88B1 - 모피의류 - Google Patents

모피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88B1
KR101868388B1 KR1020170184301A KR20170184301A KR101868388B1 KR 101868388 B1 KR101868388 B1 KR 101868388B1 KR 1020170184301 A KR1020170184301 A KR 1020170184301A KR 20170184301 A KR20170184301 A KR 20170184301A KR 101868388 B1 KR101868388 B1 KR 10186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ur
wearer
contact portion
conducti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찬
Original Assignee
김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찬 filed Critical 김경찬
Priority to KR102017018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41D31/0066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6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모피의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는, 외피면에 모(毛)가 형성되고 외피면의 반대면인 내피면에 안감이 결합되는 모피원단과, 외피면에 모(毛)와 접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과, 안감에 형성되며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접촉부, 및 모피원단과 안감을 관통하여 도전선과 도전성 접촉부를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피의류{Fur clothing}
본 발명은 모피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毛) 사이에 발생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키고, 정전기의 방전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피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우, 밍크, 비버 등의 천연 모피는 모(毛)의 수명이 반 영구적이고, 보온성과 통기성이 우수하여 고급 의류, 머플러, 액세서리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천연 모피는 가공되어 제품에 이용되는데, 천연 모피를 가공하는 공정은 크게 드레싱(dressing) 단계와 레더링(leathering)이라고 하는 유성(柔成) 단계로 구분된다. 드레싱 단계는 천연 모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세척, 연화(軟化), 육면(肉面)의 지방육괴(肉塊)결체조직 제거, 늘이기로 나뉜다. 천연 모피는 제조 원가가 비싸고 원단 무게도 많이 나가므로, 본(本)에 맞추어 재단된 단위 모피에 수분을 가하여 늘인 다음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단위 모피에 복수의 절개선을 형성하여, 단위 모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늘임과 동시에 무늬를 부여하기도 한다. 드레싱 단계를 마친 모피는 염색, 표백, 팁트(긴 털만을 염색하는 것) 등의 유성 단계를 거쳐 풍부하고 균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모피원단은 원단의 특성 상 모(毛) 사이에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여 대전하기 쉬우며, 정전기의 방전에 따른 스파크가 발생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5745호 (1999. 06. 0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毛) 사이에 발생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키고, 정전기의 방전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피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는, 외피면에 모(毛)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면의 반대면인 내피면에 안감이 결합되는 모피원단과, 상기 외피면에 상기 모(毛)와 접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과, 상기 안감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접촉부, 및 상기 모피원단과 상기 안감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성 접촉부를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선은 그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毛)가 상기 도전선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촉부는 착용자의 목과 접하는 네크라인이나 착용자의 손목과 접하는 소맷부리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접촉부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면에 극세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상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성 접촉부보다 전기 저항이 큰 저항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毛) 사이에 발생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방전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착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피의류의 네크라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모피의류의 소맷부리 라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모피의류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모피의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류(1)는 모피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예를 들어, 모피코트, 모피 목도리 등 모피로 제작된 모든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피의류(1)는 모(毛, 10c) 사이에 발생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방전에 따른 스파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착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모피의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모피의류의 네크라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모피의류의 소맷부리 라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모피의류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모피의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류(1)는 모피원단(10)과, 도전선(20)과, 도전성 접촉부(30), 및 도전성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모피원단(10)은 세척, 연화, 육면의 지방육괴결체조직 제거, 늘이기 단계를 거친 천연 모피로, 외피면(10a)에 모(10c)가 형성될 수 있다. 천연 모피는 제조 원가가 비싸고 원단 무게도 많이 나가므로, 일정 크기로 재단된 단위 모피에 수분을 가하여 늘인 다음 건조하여 사용한다. 이 때, 단위 모피에 다수의 절개선(11)을 형성하여 늘일 경우, 절개선(11)이 벌어지며 단위 모피가 보다 효과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즉, 모피원단(10)은 다수의 절개선(11)이 벌어져 단위 모피가 확장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모(10c)가 형성된 외피면(10a)의 반대면인 내피면(10b)에는 안감(50)이 결합된다.
안감(50)은 모피원단(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물 또는 부직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피면(10b)에 재봉, 접착, 압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피원단(10)은 복수 개가 각각, 신체 형상에 맞게 재단된 후 재봉되어 서로 연결되며, 외피면(10a)에 도전선(20)이 결합된다.
도전선(20)은 모(10c)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기를 유도하여 흡수하는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면(10a)에 적어도 하나가 모(10c)와 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정전기는 흐르지 않고 물체에 고여 있는 전기로, 다른 물체와 접지되었을 때 방전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방전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불꽃, 즉,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스파크는 습도가 낮고 건조하며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때 더욱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모피의류(1)는 통상, 습도가 낮고 건조하며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에 착용하게 되므로, 모(10c)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기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몸에 축적된 정전기의 방전에 의한 스파크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도전선(20)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어 접지되었을 때 정전기 또는 정전 전하를 전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선(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피원단(10)의 외피면(10a)에 형성된 절개선(11)을 따라 연장되며 모(10c)와 접할 수 있다. 도전선(20)이 모(10c) 사이에 형성된 절개선(11)을 따라 연장되는 경우, 모(10c)와의 접촉 빈도가 증가하여 정전기의 유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전선(20)에 의해 모(10c)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모피의류(1)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선(2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절개선(11)을 따라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도전선(20)이 전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피면(10a)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전선(20)이 섬유로 형성되는 경우, 외피면(10a)의 외측면에 박음질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전선(20)은 제1 도전선(21)과 제2 도전선(22)을 포함하여 그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모(10c)는 도전선(20)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도전선(21)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도전선(22)은 제1 도전선(21)과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전선(20)이 제1 도전선(21)과 제2 도전선(22)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도전선(21)과 제2 도전선(22)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도전선(21)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도전선(22)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도전선(21)과 제2 도전선(22)은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굴절되며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안감(50)에는 도전성 접촉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접촉부(30)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띠 형상의 부재로, 안감(50)의 일 면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되 도전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감(50)의 일 면에 도전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접촉부(30)가 결합됨으로써, 도전선(20)으로 유도된 정전기 또는 정전 전하가 착용자의 피부와 통전되면서 소멸되어 방전될 수 있다. 특히, 도전성 접촉부(30)가 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방전될 수 있는 양이 증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전성 접촉부(30)는 탄성력이 있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와의 접촉을 유지시키고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전성 접촉부(30)는 착용자의 목과 접하는 네크라인이나 착용자의 손목과 접하는 소맷부리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네크라인과 소맷부리 라인은 모피의류(1)의 착용 시 착용자의 몸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므로, 정전기의 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접촉부(30)는 도전성 연결부재(40)를 통하여 도전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재(40)는 모피원단(10)과 안감(50), 및 도전성 접촉부(30)를 관통하여 도전선(20)과 도전성 접촉부(30)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일 측이 도전선(20)에 접하고 타 측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다. 즉, 모(10c) 사이에 형성된 정전기는 도전선(20), 도전성 연결부재(40), 도전성 접촉부(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통전되면서 방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선(20), 도전성 연결부재(40), 도전성 접촉부(30)는 모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통전되므로, 정전기 또는 정전 전하의 전도 및 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재(40)는 도전선(20)과 도전성 접촉부(30)보다 전기 저항이 큰 저항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재(40)가 도전선(20)과 도전성 접촉부(30)보다 전기 저항이 큰 저항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접지할 때 정전기 또는 정전 전하의 전도 속도가 늦추어져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재(40)는 관통부(40a)와 확장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40a)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모피원단(10)과 안감(50), 및 도전성 접촉부(30)를 관통한다. 관통부(40a)의 양단에는 각각, 확장부(40b)가 관통부(40a)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40b)는 관통부(40a)로부터 확장 형성된 판 상의 부재로, 관통부(40a)와 함께 정전기 또는 정전 전하의 전도 경로를 제공하되 모피원단(10)과, 안감(50), 및 도전성 접촉부(3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모피원단(10)과 접하는 확장부(40b)는 도전선(20)과 연결되며, 도전성 접촉부(30)와 접하는 확장부(40b)는 착용자의 피부와 연결될 수 있다. 확장부(40b)와 도전선(20)은 외피면(10a)에 박음질되는 전도성 실(6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도성 실(60)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선(20)과 확장부(40b)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되 외피면(1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실(60)이 도전선(20)과 확장부(40b)를 관통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도전선(20)과 확장부(40b)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실(60)은 도전선(20)과 확장부(40b)의 외측을 감싸며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연결부재(40)가 관통부(40a)와 확장부(40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도전성 연결부재(4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1)는 도전성 접촉부(30)의 일 면에 극세사(3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의류(1)는 도전성 접촉부(30)의 일 면에 극세사(31)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전성 접촉부(3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일 면에 극세사(31)가 형성된다. 극세사(31)는 전도성 재질의 얇은 섬유로 형성되어, 확장부(40b)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극세사(31)를 통해 도전성 접촉부(30)와 접할 수 있다. 도전성 접촉부(30)의 일 면에 극세사(31)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와의 접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전선(20)은 모피원단(10)과 접하는 확장부(40b)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피원단(10)과 접하는 확장부(40b)는 외측면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도전선(20)은 적어도 일부가 확장부(40b)의 만입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도전선(20)과 확장부(40b)는 접착, 압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확장부(40b)의 외측면에 도전선(20)이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전도성 실(60)로 박음질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모(10c) 사이에 도전선(20)과 확장부(40b), 및 도전선(20)을 배치하는 도 5의 경우보다, 모(10c) 사이의 간격이 적게 벌어져 모피의류(1)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10c)와의 접촉 빈도가 더욱 증대되므로, 정전기의 유도 및 방전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모피의류 10: 모피원단
10a: 외피면 10b: 내피면
10c: 모(毛) 11: 절개선
20: 도전선 21: 제1 도전선
22: 제2 도전선 30: 도전성 접촉부
31: 극세사 40: 도전성 연결부재
40a: 관통부 40b: 확장부
50: 안감 60: 전도성 실

Claims (5)

  1. 외피면에 모(毛)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면의 반대면인 내피면에 안감이 결합되는 모피원단;
    상기 외피면에 상기 모(毛)와 접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
    상기 안감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접촉부; 및
    상기 모피원단과 상기 안감을 관통하여 상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성 접촉부를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선은 그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면의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모(毛)는 상기 도전선 사이로 노출되며,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상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성 접촉부보다 전기 저항이 큰 저항체로 이루어진 모피의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촉부는 착용자의 목과 접하는 네크라인이나 착용자의 손목과 접하는 소맷부리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피의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촉부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면에 극세사가 형성되는 모피의류.
  5. 삭제
KR1020170184301A 2017-12-29 2017-12-29 모피의류 KR10186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01A KR101868388B1 (ko) 2017-12-29 2017-12-29 모피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01A KR101868388B1 (ko) 2017-12-29 2017-12-29 모피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388B1 true KR101868388B1 (ko) 2018-06-20

Family

ID=6276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01A KR101868388B1 (ko) 2017-12-29 2017-12-29 모피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3Y1 (ko) 2019-03-20 2019-12-11 (주)본온텍스타일 도전성 원단을 갖는 의류
KR102488202B1 (ko) 2022-06-28 2023-01-18 주식회사 비아체에프엔씨 모피의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110Y2 (ko) * 1986-03-28 1991-11-28
JPH0718601U (ja) * 1993-09-17 1995-04-04 ミドリ安全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用地下足袋
KR200155745Y1 (ko) 1997-08-02 1999-09-01 주식회사진도 모피의류
KR20120054561A (ko) * 2009-04-02 2012-05-30 켁 힝 카우 정전기 방전 의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110Y2 (ko) * 1986-03-28 1991-11-28
JPH0718601U (ja) * 1993-09-17 1995-04-04 ミドリ安全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用地下足袋
KR200155745Y1 (ko) 1997-08-02 1999-09-01 주식회사진도 모피의류
KR20120054561A (ko) * 2009-04-02 2012-05-30 켁 힝 카우 정전기 방전 의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3Y1 (ko) 2019-03-20 2019-12-11 (주)본온텍스타일 도전성 원단을 갖는 의류
KR102488202B1 (ko) 2022-06-28 2023-01-18 주식회사 비아체에프엔씨 모피의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20475A (en) Towel apron
KR101868388B1 (ko) 모피의류
US2870448A (en) Wearing apparel
KR101469417B1 (ko)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
ES2140388T3 (es) Material textil tricotado con propiedades elasticas y aislantes y prendas de vestir relacionadas.
US20090176049A1 (en) Towel
US5826595A (en) Method of drying one's hair
US20160135508A1 (en) Attached collar guard
CN103789895A (zh) 一种涤纶、大麻纤维、大豆蛋白纤维的混纺纱
TWI630296B (zh) Woven bristle elastic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5757812U (zh) 一种吸湿排汗涤纶混纺面料
CN113974242A (zh) 一种含有硫酸钡原料稳定且具有高效降温功能的服装
CN209359706U (zh) 一种高领口结构的修身羊毛衫
CN210139673U (zh) 一种抗静电服装面料
KR20110116513A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US20110197338A1 (en) Glove for drying hair (EHO 09204)
CN213029770U (zh) 一种不易形变的毛衫
KR101154045B1 (ko) 모피니트원단
KR101982335B1 (ko) 모피의류
CN215913338U (zh) 一种上衣及其袖口
CN103741306A (zh) 一种涤纶、桑蚕丝、珍珠纤维的混纺纱
KR20200096938A (ko)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영역을 가지는 의복
CN209923554U (zh) 一种亲肤且保暖的针织衣
CN210696012U (zh) 一种保暖高领毛衣
CN214340170U (zh) 一种防静电针织套头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