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134B1 - Door armres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armres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134B1
KR101868134B1 KR1020170120907A KR20170120907A KR101868134B1 KR 101868134 B1 KR101868134 B1 KR 101868134B1 KR 1020170120907 A KR1020170120907 A KR 1020170120907A KR 20170120907 A KR20170120907 A KR 20170120907A KR 101868134 B1 KR101868134 B1 KR 10186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rotrusion
skin
cushi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2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1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vehicle door armrest,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n arm of a user, comprising: a core unit coupled to the door trim and supporting the arm of the user; and a skin unit coming in contact with the arm of the user and integrated with a cushion unit to provide the user with cushioning sensation. Moreover, the skin unit can provide a vehicle door armrest fixed in a state of covering the core unit.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DOOR ARMREST FOR VEHICLE}{DOOR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암레스트 스킨을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for a vehicle which can fix an armrest skin without using an adhesive.

일반적으로 차량용 암레스트는 차량의 도어 측에 설치되는 도어 암레스트와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는 콘솔 암레스트로 구분된다.Generally, the armrest for a vehicle is divided into a door armrest installed on the door side of the vehicle and a console armres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도어 암레스트는 도어의 내측패널에 조립되어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트림에 설치되며, 도어트림과 함께 사용자에게 미감 및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door arm rest is assembled to the inner panel of the door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impact and is installed in a door trim configured to mount various part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sense of beauty and cushion together with the door trim.

도어 암레스트는 사용자와 접촉되는 스킨, 스킨과 결합되어 스킨을 지지하는 코어 및 스킨과 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oor arm rest includes a ski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 a core that supports the skin in combination with the skin, and a cushion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skin and the core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하지만 기존의 암레스트는 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쿠션을 코어에 접착 후 쿠션 상부에 스킨을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암레스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제조비용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armrest uses a method of bonding the cushion to the core by using an adhesive such as a bond to adhere the skin to the upper part of the cushion in order to prevent the cushion from being detached, the quality of the armrest is deteriorated, The manufacturing cost also increases.

특히, 쿠션의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스킨 및 코어에 설치할 경우 쿠션의 이동으로 인하여 오히려 쿠션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쿠션감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암레스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cushion, when the cushion is installed on the skin and the core without using the adhesive, the cushion feeling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ushion,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cush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ushion. Efforts are continuing.

대한민국 공개실용 실1999-0024715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1999. 07. 05.Korea Public Practice Room 1999-0024715 (Daewoo Motors Corporation) 1999. 07. 05.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쿠션 및 스킨을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vehicle door armrest capable of fixing a cushion and a skin without using an adhesi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과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코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되 상기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부는 상기 코어부를 감싸 고정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oor armrest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 user's arm, the door armrest comprising: a core part coupled to the door trim and supporting the user's arm; And a skin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arm and has a cush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 feeling of a cushion to the user, wherein the skin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core portion being enclosed and fixed.

상기 스킨부는 상기 코어부를 감싼 뒤 상기 코어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skin portion may be fixed by a protrusion formed on the core portion after the core portion is wrapped.

상기 코어부는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상면, 상기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측면을 이루되 상기 수용부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제1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다른 측면을 이루는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킨부는 상기 상면을 감싸는 제1 감싸기부, 상기 제1 측면을 감싸는 제2 감싸기부 및 상기 제2 측면을 감싸는 제3 감싸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portion has a top surfac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shion portion, a first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and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ide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The ski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a second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ide, and a third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side.

상기 상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는 상면돌기, 제1 측면돌기 및 제2 측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감싸기부, 제2 감싸기부 및 제3 감싸기부에는 상기 상면돌기, 제1 측면돌기 및 제2 측면돌기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제2 삽입홀 및 제3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protrusion, the first s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side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protrusion, A first insertion hole, a second insertion hole and a thir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 are inserted may be formed.

상기 상면돌기는 상기 상면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돌기는 상기 제1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싸기부 및 제2 감싸기부는 서로 같은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상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제1 측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urface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The first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to insert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to insert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상기 코어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 감싸기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감싸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And a wrapping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cor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쿠션부가 스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쿠션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cush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kin part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can be firmly fixed even without using an adhesive such as a bo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스킨부가 코어부를 감싸 고정되기 때문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암레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In 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kin portion covers and fixes the core portion, the armrest can be manufactured without using an adhesive such as a bond at al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쿠션부가 스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스킨부가 코어부를 감싸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제 도포의 불균형, 접착제 노화로 인한 암레스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The cush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kin part of the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kins are wrapped around the core part to prevent the imbala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agent and deterioration of the armrest due to aging of the adhesive agent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nufacturing cost from rising due to the use of the adhes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코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코어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스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쿠션부가 제거된 스킨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re portion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re portion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4 is a view showing a skin portion of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kin portion from which the cushion portion is remov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며, 도어트림과 함께 사용자에게 미감 및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 user's arm and provides a sense of aesthetics and cushion to the user along with a door trim.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는 코어부(100) 및 스킨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4, a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unit 100 and a skin unit 200.

코어부(100)는 도어트림과 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한다.The core portion 100 is engaged with the door trim and supports the user's arm.

코어부(100)는 상면(110), 제1 측면(120), 제2 측면(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re portion 10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10, a first side surface 120, a second side surface 130, and a coupling portion 140.

상면(110)은 코어부(100)의 상판을 이루며, 각종 제어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10 forms an upper plate of the core unit 100 and may have one side cut so that various control devices can be installed.

상면(110)에는 후술하는 쿠션부(210)가 수용되는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수용부(111)는 상면(110)의 일부가 일정 깊이로 파인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부(111)의 깊이는 후술하는 쿠션부(210)가 수용된 후 상면(110)과 쿠션부(210)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1 in which a cushion portion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The receiv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after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cushion portion 210 are not formed.

상면(110)에는 스킨부(200)를 고정하는 상면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돌기(112)는 상면(1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돌기(112)는 상면(110)의 저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urface protrusion 112 for fixing the skin portion 2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112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0. A plurality of upper surface protrusions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0.

제1 측면(120)은 상면(110)과 연결되어 코어부(100)의 측면을 이루며, 차량 내측 패널을 바라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0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core unit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manner of looking at the vehicle inner panel.

제1 측면(120)은 수용부(111)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1 측면(120)은 수용부(111)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부(111)의 깊이 및 수용부(111) 저면의 두께를 포함하는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120 is provid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The first side surface 12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and may have a height including the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1.

제1 측면(120)에는 스킨부(200)를 고정하는 제1 측면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돌기(121)는 제1 측면(12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돌기(121)는 제1 측면(12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120 may have a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121 for fixing the skin portion 200.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12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side surface 120. A plurality of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s 1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20.

제1 측면돌기(121)가 제1 측면(12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1 측면돌기(121)에 의해 1차 고정된 스킨부(200)를 후술하는 결합부(140)에 의해 도어트림과 코어부(100) 사이에서 2차 압입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어트림과 코어부(100) 사이에 압입 고정되는 스킨부(20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121 protrudes from the first side surface 120, the skin portion 200 fixed by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121 is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140 So that the skin portion 200 to be press-fitted between the door trim and the core portion 100 can be more firmly fixed.

제2 측면(130)은 상면(110)과 연결되어 코어부(100)의 다른 측면을 이루며, 차량 실내를 바라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130)은 ㄱ자 형태로 구부러져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0 to form another side surface of the core unit 10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looking 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second side 130 may be bent in a L-shaped form.

제2 측면(130)에는 스킨부(200)를 고정하는 제2 측면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돌기(131)는 제2 측면(13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돌기(131)는 제2 측면(130)의 저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130 may have a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131 for fixing the skin portion 200.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131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0. A plurality of the second side surface projections 13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0.

제2 측면돌기(131)의 돌출 방향은 도어트림의 결합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13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door trim.

결합부(140)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키며,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킨다. 결합부(140)는 체결수단 외 초음파 용접 등 다양한 체결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와 도어트림을 결합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40 engages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door and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rivet. The joining part 140 may be joined to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by various fastening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or the like.

결합부(140)는 상면(110)의 저면 및 제2 측면(130)의 내측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140)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스(141)가 결합부(140)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osses 141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on the coupling portion 140. The plurality of bosses 14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surface 110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0, As shown in FIG.

스킨부(200)는 사용자의 팔과 접촉되며,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2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The skin portion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ushion portion 210 to contact the user's arm and provide a sense of cushion to the user.

스킨부(200)는 전주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된 스킨부(200)에 쿠션부(210)를 발포 성형하여 스킨부(200)와 쿠션부(210)를 일체형으로 마련할 수 있다.The skin portion 2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conductive metal mold and may be formed by foam molding the cushion portion 210 on the injection molded skin portion 200 so that the skin portion 200 and the cushion portion 210 are integrally formed can do.

스킨부(200) 및 쿠션부(210)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kin portion 200 and the cushion portion 210 may be made of a polymer compound.

스킨부(200)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부(210)는 폴리우레탄에 기포가 들어 있는 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kin portion 200 may be made of TPE (Thermo Plastic Elastomer), and the cushion portion 210 may be made of a urethane foam material having bubbles in the polyurethane.

스킨부(200)는 코어부(100)를 감싸 고정되며, 코어부(100)를 감싼 뒤 코어부(100)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The skin portion 200 is fixed around the core portion 100 and can be more firmly fixed by protrusions formed on the core portion 100 after the core portion 100 is wrapped.

쿠션부(210)는 코어부(10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스킨부(200)와 함께 코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ushion part 210 may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part 111 of the core part 100 and fixed to the core part 100 together with the skin part 200. [

스킨부(200)는 제1 감싸기부(220), 제2 감싸기부(230) 및 제3 감싸기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kin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wrapping part 220, a second wrapping part 230, and a third wrapping part 240.

제1 감싸기부(220), 제2 감싸기부(230) 및 제3 감싸기부(240)는 스킨부(2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wrapping part 220,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and the third wrapping part 24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kin part 200.

제1 감싸기부(220)는 상면(110)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하며, 절개된 상면(110)의 둘레를 따라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wrapping part 220 covers the upper surface 110 and fixes the skin part 200. The first wrapping part 2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cised upper surface 110.

제1 감싸기부(220)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면(110) 단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wrapper 22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kin 200 may be fixed by covering the side and bottom of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110.

제1 감싸기부(220)에는 상면돌기(112)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221)이 형성된다. 제1 삽입홀(221)은 상면(1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상면돌기(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110)의 저면을 감싸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sert hole 221 into which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11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wrapper 220. The first insertion hole 22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11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0 may be inserted.

제2 감싸기부(230)는 제1 측면(120)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한다.The second wrapping part 230 covers the first side 120 and fixes the skin part 200.

제2 감싸기부(230)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측면(120) 단부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wrapping part 23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kin 200 may be fixed by covering the side and bottom of the end of the first side 120.

제2 감싸기부(230)에는 제1 측면돌기(121)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231)이 형성된다. 제2 삽입홀(231)은 제1 측면(120)에서 돌출되는 제1 측면돌기(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측면(120)의 측면을 감싸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insertion hole 231 through which the first side surface protrusion 121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wrapper 230. The second insertion hole 23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120 so that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121 protruding from the first side surface 120 may be inserted.

제3 감싸기부(240)는 제2 측면(130)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한다.The third wrapper 240 covers the second side 130 and fixes the skin 200.

제3 감싸기부(240)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측면(130) 단부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 스킨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The third wrapper 24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kin 200 may be fixed by covering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end of the second side 130.

제3 감싸기부(240)에는 제2 측면돌기(131)가 삽입되는 제3 삽입홀(241)이 형성된다. 제3 삽입홀(241)은 제2 측면(13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제2 측면돌기(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측면(130)의 저면을 감싸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third insertion hole 241 through which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131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third wrapper 240. The third insertion hole 24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0 so that the second side surface protrusion 13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0 may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제1 감싸기부(220), 제2 감싸기부(230) 및 제3 감싸기부(240) 중 복수의 감싸기부는 서로 같은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rapping portions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220, the second wrapping portion 230, and the third wrapping portion 240 of the vehicle door armre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on the same plane.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는(230) 서로 같은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쿠션부(210)가 형성되는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may exist on the same plane and may exist on a plane where the cushion part 210 is formed.

도 5는 스킨부(2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쿠션부(210)가 제거된 상태의 스킨부(200)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kin unit 200.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kin unit 200 in a state where the cushion unit 210 is remov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는 서로 같은 평면(도면을 기준으로 XY 평면) 상에 존재하며, 제3 감싸기부(240)는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와 다른 평면(도면을 기준으로 ZX 평면) 상에 존재한다.5, 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are on the same plan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and the third wrapping part 240 is on the same plane (ZX plan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wrapping parts 220 and 230.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가 서로 같은 평면 상에 존재할 경우, 작업자는 손쉽게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를 코어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를 고정시킨 후 제3 감싸기부(240)를 당겨 코어부(100)에 고정시킴으로 인해 스킨부(200)를 코어부(10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The operator can easily fasten 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to the core part 100 when 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are on the same plane. And the third wrapping part 240 is pulled and fixed to the core part 100 after fixing 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so that the skin part 200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100).

또한, 쿠션부(210)가 형성되는 평면 상에 제1 감싸기부(220) 및 제2 감싸기부(230)가 존재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쿠션부(210)가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다 손쉽게 제3 감싸기부(240)를 당겨 코어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Since the first wrapping part 220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exist on the plane where the cushion part 210 is formed, the operator can see the cushion part 210 in a state where the cushion part 2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11 The third wrapping part 240 can be easily pulled and fixed to the core par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의 코어부(100)는 감싸기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re portion 100 of the door arm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rapping portion 150.

도 6을 참조하면, 감싸기부(150)는 코어부(100)의 하측에서 제2 감싸기부(23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감싸기부(150)는 제1 측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 감싸기부(23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rapping part 15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re part 100. The wrapping part 150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120 to enclose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감싸기부(150)는 상면(110)에 형성된 수용부(111)의 저면에 마련되며, 제1 측면돌기(121) 하측에서 제2 감싸기부(23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wrapp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121.

감싸기부(150)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감싸기부(230)의 단면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rapping part 15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opposite to the end face of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감싸기부(150)는 제2 감싸기부(230) 중 제1 측면돌기(121)에 의해 고정된 면 이외의 면을 감싸 제2 감싸기부(230)를 추가 고정시킬 수 있다.The wrapping part 150 can further secure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by wrapping the surface of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other than the surface fixed by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121. [

감싸기부(150)는 결합부(140)의 결속력에 의해 제2 감싸기부(230)의 하부가 코어부(100)로부터 늘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노화 등으로 인해 제2 감싸기부(230)가 코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rapping part 150 can preven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wrapping part 230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core part 100 due to the binding force of the coupling part 140, (2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re part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코어부 110 : 상면
120 : 제1 측면 130 : 제2 측면
140 : 결합부 150 : 감싸기부
200 : 스킨부 210 : 쿠션부
220 : 제1 감싸기부 230 : 제2 감싸기부
240 : 제3 감싸기부
100: core part 110: upper surface
120: first side 130: second side
140: engaging portion 150:
200: skin part 210: cushion part
220: first wrapper 230: second wrapper
240: Third Wrapper

Claims (6)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과 결합되며, 돌기가 형성된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스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부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가 일체형으로 발포 성형되고, 상기 쿠션부가 일체형으로 발포 성형된 스킨부가 상기 코어부를 감싸 고정된 후 상기 삽입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코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코어부는 상기 쿠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상면, 상기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측면을 이루되 상기 수용부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제1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다른 측면을 이루는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킨부는 상기 상면을 감싸는 제1 감싸기부, 상기 제1 측면을 감싸는 제2 감싸기부 및 상기 제2 측면을 감싸는 제3 감싸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 감싸기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감싸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싸기부는 상기 상면에 형성된 수용부의 저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기 하측에서 상기 제2 감싸기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2 감싸기부 중 상기 돌기에 의해 고정된 면 이외의 면을 감싸 상기 제2 감싸기부를 추가 고정시키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A door lock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trim to support a user's arm,
A core portion coupled to the door trim and having a projection formed therein; And
And a skin portion coupled to the core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Wherein the cushion part for integrally providing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is formed by foam molding on the skin part, the skin part formed by foam molding integrally with the cushion part is wrapped around the core part, and t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core portion has a top surfac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shion portion, a first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and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ide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The second aspect comprising:
Wherein the skin portion includes a first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a second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side, and a third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side,
And the core portion includes a wrapping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re portion,
Wherein the wrapping portion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is further secured by wrapping a surface other than the fix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는 상면돌기, 제1 측면돌기 및 제2 측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감싸기부, 제2 감싸기부 및 제3 감싸기부에는 상기 상면돌기, 제1 측면돌기 및 제2 측면돌기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제2 삽입홀 및 제3 삽입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the first side protrusion, and the second side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protrusion,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ide projection are inserted are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돌기는 상기 상면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돌기는 상기 제1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싸기부 및 제2 감싸기부는 서로 같은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상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제1 측면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urface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Wherein the first insertion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on.
삭제delete
KR1020170120907A 2017-09-20 2017-09-20 Door armrest for vehicle KR101868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07A KR101868134B1 (en) 2017-09-20 2017-09-20 Door armres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907A KR101868134B1 (en) 2017-09-20 2017-09-20 Door armres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134B1 true KR101868134B1 (en) 2018-06-18

Family

ID=6276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907A KR101868134B1 (en) 2017-09-20 2017-09-20 Door armres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1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24B1 (en) * 2022-11-24 2023-04-18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crashpad assembly with couple structure of skin and co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966U (en) * 1997-08-26 1999-03-15 정몽규 Pad fixing structure of door pillar trim
KR19990024715A (en) 1997-09-05 1999-04-06 홍건희 Automotive tires for easy checking of wear
KR19990026523U (en)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Depot box of car
JP2014019375A (en) * 2012-07-23 2014-02-03 Mazda Motor Corp Door trim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70032915A (en) * 2015-09-15 2017-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armres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966U (en) * 1997-08-26 1999-03-15 정몽규 Pad fixing structure of door pillar trim
KR19990024715A (en) 1997-09-05 1999-04-06 홍건희 Automotive tires for easy checking of wear
KR19990026523U (en)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Depot box of car
JP2014019375A (en) * 2012-07-23 2014-02-03 Mazda Motor Corp Door trim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70032915A (en) * 2015-09-15 2017-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armr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24B1 (en) * 2022-11-24 2023-04-18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crashpad assembly with couple structure of skin and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4313B2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JP6359596B2 (en) Vehicle seat
US10010145B2 (en) Enhanced sidewalls of an accessor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40569B2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83283B2 (en) Armrest foam bun insert
KR101868134B1 (en) Door armrest for vehicle
JP2015097613A (en) Seat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17036B2 (en) Vehicle seat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78559B1 (en) Soft type vehecle interior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70210903A1 (en) Vibratory Warning Device and Seat Provided Therewith
KR20180057210A (en) Door trim structures comprising heating layer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90168B2 (en) Mold for RIM molding of resin molded product and RIM molding method
JP2002349524A (en) Cushioning clip and its molding method
JP2012228910A (en) Door trim
JP6026911B2 (en) Interior for vehicle and grill frame for speaker
KR20200118538A (en) The one body plastic frame for covering electric wires
KR100366504B1 (en) The fixing structure for vacuum insulating material to display braket of refrigerators
KR102522624B1 (en) crashpad assembly with couple structure of skin and core
JP2005178196A (en) Method for producing skin-integrated headrest
CN108860051B (en) Housing for a seat belt lock
CN108025666A (en) Headrest stay
JP2007508629A (en) Control handle for public works vehicles
KR200452556Y1 (en) Vibration-speaker mat
KR102322391B1 (en) Foam headrest structure for vehicle
CN114650487A (en) Gasket with speaker holding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