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071B1 -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071B1
KR101868071B1 KR1020170103681A KR20170103681A KR101868071B1 KR 101868071 B1 KR101868071 B1 KR 101868071B1 KR 1020170103681 A KR1020170103681 A KR 1020170103681A KR 20170103681 A KR20170103681 A KR 20170103681A KR 101868071 B1 KR101868071 B1 KR 10186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backstay
ship
support
laid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태
이하수
유봉상
Original Assignee
태광메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메카텍(주) filed Critical 태광메카텍(주)
Priority to KR102017010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 및 리더로 이루어진 굴착부를 백스테이에 고정하고, 상기 백스테이는 선박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선박의 상면에는 상기 리더가 얹히도록 리더서포트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백스테이는 동작부의 동작에 의해 강제로 눕혀지거나 또는, 세워지도록 구성한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박에 적재된 상태로의 이동시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춰 해당 선박의 전복이나 교량에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apparatus for Deep Cement Mixing}
본 발명은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재된 상태로의 운반시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춰 해당 선박의 전복을 방지함과 더불어 교량이나 연륙교를 지날 때에도 부딪힘에 따른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해당 선박에 적재된 상태 그대로 수중의 연약해진 지반을 보강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굴착 공사시에는 연약지반을 최우선적으로 보강한 후 이루어져야만 하며, 이러한 연약지반의 보강을 위한 기초 지반개량에 많은 공사비가 투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약지반의 보강은 심층 혼합처리장치(DCM:Deep Cement Mixing)를 이용하는 DCM 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즉, 연약지반을 굴착한 후 이 굴착된 지층의 내부로 시멘트풀을 주입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심층 혼합처리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037958호, 등록특허 제10-0719946호, 등록특허 제10-0940802호, 등록특허 제10-173614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특히, 항만공사와 같이 해저의 연약지반을 보강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된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바지선과 같은 선박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강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이 위치된 장소(혹은, 해양플랜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DCM 공법으로써 해당 해저의 심층부에 대한 연약지반을 안정화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수십 미터에 달하는 높이로 인해 선박에 고정한 상태로 이송할 때 연륙교나 각종 교량에 닿을 우려로 인해 상기한 연륙교나 교량이 없는 항로로 우회할 수밖에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상기 심층 혼합처리장치의 높이로 인해 전체적인 선박의 무게 중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선박의 전복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해저의 연약지반 보강을 위해 선박에 실어서 이동하는 심층 혼합처리장치의 경우는 해당 선박으로부터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해당 선박의 선상에 수평하게 눕혀 고정한 후 공사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선박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한 후 공사 지역에 도달하여 조립하는 구조의 경우 이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세워서 선박에 고정하여야만 함에 따른 별도의 추가 장비가 필요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설치 구조물의 추가가 필요하며, 또한 이송 중 떨림 등에 의한 손상 발생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37958호 등록특허 제10-0719946호 등록특허 제10-0940802호 등록특허 제10-173614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적재된 상태로의 운반시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춰 해당 선박의 전복을 방지함과 더불어 교량이나 연륙교를 지날 때에도 부딪힘에 따른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해당 선박에 적재된 상태 그대로 수중의 연약해진 지반을 보강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에 따르면 선박의 상면 중 후방측 부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서 해저의 굴착을 위한 오거 및 이 오거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굴착부;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상기 굴착부가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백스테이;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상기 백스테이의 전방 양측 부위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백스테이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백스테이 및 굴착부가 눕혀질 경우 리더가 얹히도록 제공되는 리더서포트; 상기 백스테이를 강제로 눕히거나 동작되는 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세워진 상태의 굴착부를 이루는 리더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리더와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면서 해당 리더를 고정하는 리더용 장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세워진 상태의 굴착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백스테이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백스테이와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면서 해당 백스테이를 고정하는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리더용 장착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리더가 눕혀질 경우 상기 리더의 상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리더의 전면 및 양측면을 받쳐주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스테이의 전면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그 일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리브가 힌지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굴착부가 눕혀질 경우 상기 백스테이의 결합리브를 받쳐주는 받침서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서포트의 상면은 상기 굴착부가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굴착부가 선박의 이동시 눕혀진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선박의 항해에 따른 교량을 지날 때 굴착부가 상기 교량이 부딪히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선박의 운항시 해당 선박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게 되어 해당 선박의 무게 중심이 높아서 야기될 수 있는 전복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굴착부가 눕혀질 경우 이 굴착부를 이루는 리더의 상측 끝단이 리더서포트에 형성된 안착홈 내에 수용되면서 안착되기 때문에 좌우로의 유동 발생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백스테이가 받침서포트의 상면에 얹힘과 더불어 받침서포트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굴착부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굴착부를 이루는 오거가 선박의 전방으로 원치않게 흘러내림이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눕혀지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눕혀지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완전히 눕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완전히 눕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별도의 전제가 없는 한 방향에 대한 설명은 굴착부가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함과 더불어 선박의 진행 방향을 전방측으로 설명함과 더불어 선박의 진행 반대 방향은 후방측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전방측에 위치된 면을 전면이라고 함과 더불어 후방측에 위치된 면을 후면이라고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세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눕혀지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눕혀지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완전히 눕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가 완전히 눕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오거(110) 및 리더(120)로 이루어진 굴착부(100)를 백스테이(200)에 고정하고, 상기 백스테이(200)는 선박(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선박(10)의 상면에는 상기 리더(120)가 얹히도록 리더서포트(400)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백스테이(200)는 동작부(500)의 동작에 의해 강제로 눕혀지거나 또는, 세워지도록 구성한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박(10)에 적재된 상태로의 이동시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춰 해당 선박(10)의 전복이나 교량에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굴착부(100)는 해저의 굴착 및 시멘트의 공급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굴착부(100)는 선박(10)의 상면 중 후방측 부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서 해저의 굴착을 위한 오거(110) 및 이 오거(11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더(120)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거(110)는 상기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승강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거(110)의 상단에는 오거모터(111)가 구비되면서 오거(1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오거(110)는 와이어(611)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611)는 상기 리더(120)의 상측 끝단면에 구비된 안내롤러(122)를 경유한 후 선박(10)의 상면에 구비된 윈치(610)에 권취되면서 상기 윈치(610)의 동작에 의한 와이어(611)의 당김 혹은, 풀림에 따라 상기 오거(110)가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선박(10)의 상면 중 상기 굴착부(100)를 이루는 리더(120)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리더(120)와 선택적으로 핀(621) 결합되면서 해당 리더(120)를 고정하는 리더용 장착브라켓(62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리더용 장착브라켓(620)에 상기 리더(12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착부(100)의 눕힘이 가능하면서도 굴착부(100)를 이용한 지반 개량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해당 굴착부(10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백스테이(200)는 상기 굴착부(100)를 눕히거나 혹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백스테이(20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스테이(200)의 후면에는 상기 굴착부(100)가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굴착부(100)는 볼팅 체결을 통해 상기 백스테이(200)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백스테이(200)의 전면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결합리브(210)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리브(210)는 그 일부가 지지프레임(300)에 힌지(211)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백스테이(200)의 상면에는 걸침바(220)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리더(120)의 전면에는 상기 걸침바(220)에 걸쳐지는 걸림고리(123)가 돌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리더(120)를 백스테이(200)에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리더(120)를 상기 백스테이(200)의 상면에 걸친 후 각각의 볼팅 체결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팅 체결시 크레인으로 들고 있는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침바(220)는 상기 리더(120)가 위치된 후방을 향해 일부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볼팅 작업시 상기 리더(120)와 백스테이(200) 간이 적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박(10)의 상면 중 상기 백스테이(200)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백스테이(200)와 선택적으로 핀(631) 결합되면서 해당 백스테이(200)를 고정하는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6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630)에 상기 백스테이(20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스테이(20))의 눕힘이 가능하면서도 굴착부(100)를 이용한 지반 개량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백스테이(20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선박(10)의 상면 중 상기 백스테이(200)의 전방 양측 부위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백스테이(20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211)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면에는 상기 백스테이(200)의 결합리브(210)가 수용되도록 수용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면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굴착부(100)가 눕혀질 경우 상기 백스테이(200)의 결합리브(210)를 받쳐주는 받침서포트(32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받침서포트(320)의 상면은 상기 굴착부(100)가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지 않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굴착부(100)가 90°를 초과하는 각도로 눕혀지게 될 경우 굴착부(100)를 이루는 오거(110)가 리더(120)의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굴착부(100)가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지 않도록 한 상태로 해당 선박(10)이 항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리더서포트(400)는 상기 백스테이(200) 및 굴착부(100)가 눕혀질 경우 리더(120)가 얹히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리더서포트(400)는 상기 선박(10)의 상면 중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전방측 부위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선박(10)의 상면 전방측 부위에는 선원이나 작업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11)가 위치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거주구(11)의 상면에 상기 리더서포트(4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리더서포트(400)의 상면에는 상기 리더(120)가 눕혀질 경우 상기 리더(120)의 상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리더(120)의 전면 및 양측면을 받쳐주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홈(4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착홈(410)으로 인해 선박(10)의 운항 중 상기 리더(12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리더(120)의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부(500)는 상기 백스테이(200)를 강제로 눕히거나 세우도록 동작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동작부(500)가 두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백스테이(2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두 동작부(500)는 일단이 선박(10)의 상면 중 각 지지프레임(300)의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각 동작부(500)의 플런저(510)는 상기 백스테이(200)에 형성된 두 결합리브(210)의 각 부위 중 힌지(211) 결합된 부위에 비해 더욱 상측 부위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각 동작부(500)로 유압이 제공되어 플런저(510)가 완전히 인출되도록 동작될 경우 상기 백스테이(200)가 완전히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스테이(200) 및 굴착부(100)가 세워진 상태로 해저 심층의 연약 지반에 대한 보강을 수행하게 된다.
즉, 굴착부(100)를 이루는 리더(1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오거모터(111)의 구동에 의한 오거(11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심층의 굴착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굴착된 부위로 시멘트가 공급됨으로써 연약 지반의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연약 지반에 대한 보강 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630)에 백스테이(200)가 핀(631) 결합으로써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리더용 장착브라켓(620)에 리더(120)가 핀(621) 결합으로써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작업 도중 굴착부(100)가 흔들리는 현상은 방지된다.
한편, 연약 지반에 대한 보강이 완료되어 또 다른 연약 지반으로 해당 굴착부(100)를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백스테이(200) 및 굴착부(100)를 눕힌 상태에서 이송한다.
이를 위해,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630)과 백스테이(200) 간의 핀(631) 결합을 해제함과 더불어 리더용 장착브라켓(620)과 리더(120) 간의 핀(621) 결합을 해제한 후 동작부(500)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한 동작부(50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이 동작부(500)에 연결된 백스테이(200)가 힌지(211)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점차 눕혀짐과 더불어 이러한 백스테이(200)에 고정된 굴착부(100)는 상기 백스테이(200)에 얹힌 상태로 상기 백스테이(200)와 함께 눕혀지게 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백스테이(200)의 회전에 의한 눕혀짐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백스테이(200)가 설정된 각도만큼 눕혀져서 상기 백스테이(200)의 결합리브(210)가 지지프레임(300) 상면의 받침서포트(320)에 얹히면 더는 백스테이(200)가 회전되지 않고 해당 위치에 정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굴착부(100)를 이루는 리더(120)의 상측 끝단이 리더서포트(400)에 형성된 안착홈(410) 내에 수용되면서 안착되기 때문에 좌우로의 유동 발생은 방지된다.
특히, 상기 받침서포트(320)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백스테이(200)가 90°를 초과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해당 굴착부(100)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굴착부(100)를 이루는 오거(110)가 선박(10)의 전방으로 원치않게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동작부(500)는 사실상 백스테이(200)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선박(10)의 운항시 백스테이(200) 및 굴착부(100)의 유동됨은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굴착부(100)는 선박(10)의 이동시 눕혀진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선박(10)의 항해에 따른 교량을 지날 때 굴착부(100)가 상기 교량이 부딪히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선박(1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게 되어 해당 선박(10)의 무게 중심이 높아서 야기될 수 있는 전복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선박 11. 거주구
100. 굴착부 110. 오거
111. 오거모터 120. 리더
121. 가이드레일 122. 안내롤러
123. 걸림고리 200. 백스테이
210. 결합리브 211. 힌지
220. 걸침바 300. 지지프레임
310. 수용홈 320. 받침서포트
400. 리더서포트 410. 안착홈
500. 동작부 510. 플런저
610. 윈치 611. 와이어
620. 리더용 장착브라켓 630.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
621,631. 핀

Claims (5)

  1. 선박의 상면 중 후방측 부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면서 해저의 굴착을 위한 오거 및 이 오거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리더의 전면 상단에는 걸림고리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굴착부;
    평판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후면에는 상기 굴착부가 고정 설치되며, 전면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리브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상기 굴착부의 걸림고리가 결합되는 걸침바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굴착부와 함께 눕혀지거나 혹은, 세워지도록 이루어진 백스테이;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상기 백스테이의 전방 양측 부위에 각각 구비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백스테이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상기 백스테이에 형성된 결합리브의 전방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얹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후방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백스테이 및 굴착부가 눕혀질 경우 리더가 얹히도록 제공되는 리더서포트;
    상기 백스테이를 강제로 눕히거나 세우도록 동작되는 동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세워진 상태의 굴착부를 이루는 리더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리더와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면서 해당 리더를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리더가 눕혀질 때에는 상기 리더와의 핀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리더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리더용 장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선박의 상면 중 세워진 상태의 백스테이의 직하방 위치에는 상기 백스테이와 선택적으로 핀 결합되면서 해당 백스테이를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백스테이가 눕혀질 때에는 상기 백스테이와의 핀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백스테이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백스테이용 장착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굴착부가 눕혀질 경우 상기 백스테이의 결합리브를 받쳐주는 받침서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서포트의 상면은 상기 굴착부가 90°이상의 각도로 눕혀지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서포트의 상면에는 상기 리더가 눕혀질 경우 상기 리더의 상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리더의 전면 및 양측면을 받쳐주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KR1020170103681A 2017-08-16 2017-08-16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KR10186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81A KR10186807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81A KR10186807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071B1 true KR101868071B1 (ko) 2018-06-18

Family

ID=6276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81A KR10186807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0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515A (ja) * 1985-05-14 1986-11-19 Fudo Constr Co Ltd 地盤改良施工機等におけるガイドリ−ダ−の倒立装置および方法
JPH0958576A (ja) * 1995-08-29 1997-03-04 I H I Amutetsuku:Kk 砂杭打設船
JP2004019113A (ja) * 2002-06-12 2004-01-22 Penta Ocean Constr Co Ltd 地盤改良船および地盤改良工法
KR100719946B1 (ko) 2006-10-30 2007-05-18 (주)효광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심층혼합처리장비 및 그의 공법
KR100940802B1 (ko) 2009-04-29 2010-02-05 최성희 연약지반 개량용 경화제와 이의 심층혼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1037958B1 (ko) 2011-01-06 2011-05-31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일체식 천공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1487404B1 (ko) * 2013-08-0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
KR101736140B1 (ko) 2015-01-23 2017-05-29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디씨엠 장심도 저중심 지반굴착공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1515A (ja) * 1985-05-14 1986-11-19 Fudo Constr Co Ltd 地盤改良施工機等におけるガイドリ−ダ−の倒立装置および方法
JPH0958576A (ja) * 1995-08-29 1997-03-04 I H I Amutetsuku:Kk 砂杭打設船
JP2004019113A (ja) * 2002-06-12 2004-01-22 Penta Ocean Constr Co Ltd 地盤改良船および地盤改良工法
KR100719946B1 (ko) 2006-10-30 2007-05-18 (주)효광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심층혼합처리장비 및 그의 공법
KR100940802B1 (ko) 2009-04-29 2010-02-05 최성희 연약지반 개량용 경화제와 이의 심층혼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1037958B1 (ko) 2011-01-06 2011-05-31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일체식 천공 심층혼합처리공법
KR101487404B1 (ko) * 2013-08-0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
KR101736140B1 (ko) 2015-01-23 2017-05-29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디씨엠 장심도 저중심 지반굴착공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667B2 (en) Modular drilling rig system
EP2992160B1 (en) Modular drilling ri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305867B1 (ko) 캡 라이저를 구비한 파이프 부설기
CA2805016C (en) A method for facilitating construction of a drilling rig
KR101868071B1 (ko) 선박 적재형 해저 심층 혼합처리장치
JP4931478B2 (ja) 低空頭杭打機
JP2515888B2 (ja) 海上構造物を築造するための鋼管杭の施工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321429A (ja) 地下構造物施工方法
CN105129641A (zh) 一种用于海底管道维修的提管平台
JP2890109B2 (ja) 水中土木作業用汎用装置
JP3615892B2 (ja) 掘削機の排土装置
CN114893199A (zh) 一种用于高瓦斯矿井的掘锚一体机及其掘锚系统
CN101535596A (zh) 用于采矿机械的水泥罐结构
TWI740251B (zh) 低頂空挖掘機及其組裝工法
JP7023581B2 (ja) 杭打機
US3184084A (en) Adjustable boom type pull shovel attachment for cranes and the like
JP6653965B2 (ja) 建設機械の組立方法
JP3637173B2 (ja) 掘削機の昇降装置
CN113585382B (zh) 一种围堰清基用的配重式平台设备
US20210395974A1 (en) Tren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trenching
KR20160084196A (ko) 시추선의 라이저요크/스위블 유닛 보관 방법
JP2002029492A (ja) 複数の機能を備えた作業船
JP2005336915A (ja) 立坑掘削装置
KR101707510B1 (ko) 시추선의 라이저요크/스위블 유닛 록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킹시스템
GB2578484A (en) Tren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tren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