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053B1 -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053B1
KR101868053B1 KR1020170033323A KR20170033323A KR101868053B1 KR 101868053 B1 KR101868053 B1 KR 101868053B1 KR 1020170033323 A KR1020170033323 A KR 1020170033323A KR 20170033323 A KR20170033323 A KR 20170033323A KR 101868053 B1 KR101868053 B1 KR 10186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ly
welding
roller member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기
Original Assignee
손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기 filed Critical 손용기
Priority to KR102017003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2Devices for guiding electrode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5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 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현한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1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와이어공급장치; 제2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2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2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공급장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공급제어장치;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2와이어를 용융시켜 피용접물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Dual Welding Wir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 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현한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 가스 아크 용접(Electro Gas Arc Welding : EGW)은 고능률 입향 용접 방법으로, 주로 이산화탄소(CO2)를 보호가스로 이용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며, 이 아크 열로 모재를 용융시켜 각각의 모재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통상 모재의 전면에는 수랭식의 동담금을, 후면에는 고정식 백킹재를 설치하고, 공급되는 용접와이어와 모재간에 발생되는 아크를 통해 용접부를 따라가며 1패스 용접이 진행되는 방식이다.
특히, 이러한 전기 가스 아크 용접 방법을 이용한 장치는 선박제조 시 판 두께가 8mm 이상인 후판 용접에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에 이러한 후판의 용접을 수행할 시에는 1전극 1패스 용접 방법으로 특히 용접부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피용접판이 갖는 용접부에 발생되는 입열이 가중되어 언더컷, 융합 불량 등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04070호(1999.03.25.)는 주이송장치의 구동력을 보조이송장치에 직접 양분 전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모터를 구비할 필요성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별도의 동력구조의 추가적 설치 없이 큰 구동력을 얻도록 함으로써 용접와이어의 이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원동 피드롤러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가스용접기의 용접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몸통 둘레에 환형의 용접와이어의 안내요홈이 형성되고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원동 피드롤러와, 가압력의 임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제1원동 피드롤러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용접와이어를 가압시켜 이송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피동 피드롤러와, 용접와이어의 권취보빈를 포함하는 주이송장치와 몸통 둘레에 용접와이어의 안내요홈이 형성되는 제2원동 피드롤러와, 가압력이 조절되는 상태로 제2원동 피드롤러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용접와이어를 가압시켜 이송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피동 피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이송장치에 일측이 결속되는 연장 케이블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보조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이송장치의 제1원동 피드롤러와 보조이송장치의 제2원동 피드롤러의 일측면에 일체로 성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상태로 주이송장치와 보조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전동 베벨기어와 상기 연장케이블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설치되며,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 베벨기어의 연결공에 착탈가능하게 결속되며 제1원동 피드롤러의 구동력을 제2원동 피드롤러에 전동시켜 주기 위한 플랙시블 전동축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9651호(2012.03.27.)는 용접와이어를 좌우로 위빙하는 위빙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와 외부에서 저온와이어를 용융지까지 연속 공급하는 저온와이어 공급장치를 각각 조합하고, 저온와이어의 송급속도를 가변 제어하여 다양한 강재 두께와 용접부 형상에 따른 최적의 용접조건 선정을 용이하게 하며, 용접 충진재를 살포하는 추가 용접 작업 없이도 용접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온와이어 공급장치를 갖춘 위빙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용접 부위에 설치되는 지지대; 전극용 용접와이어를 권취하는 용접와이어 권취릴; 상기 용접와이어 권취릴에 권취된 상기 용접와이어를 용접부위로 공급하는 용접와이어 공급기구부; 비전극용 저온와이어를 권취하는 저온와이어 권취릴; 상기 저온와이어 권취릴에 권취된 상기 저온와이어를 용융지 내로 공급하는 저온와이어 공급기구부; 상기 용접와이어를 위빙하는 위빙기구부; 용접에 필요한 각종 변수를 제어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용접와이어 공급기구부, 상기 저온와이어 공급기구부 및, 상기 위빙기구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대상에 탑재되어 상기 용접와이어 권취릴과 상기 저온와이어 권취릴, 상기 용접와이어 공급기구부, 상기 저온와이어 공급기구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위빙기구부를 설치하는 탑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저온와이어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 본체에 저온와이어 공급장치 및 용접와이어의 위빙장치를 일체화시켜 용접 충진재의 추가 살포를 배제하고, 이를 통해 용접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용접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비전극 저온와이어를 용융지 내에 공급함에 있어 송급 속도, 위빙 속도 및 스트로크를 용접 조건에 부합하도록 가변 제어함으로써 강재의 두께와 용접부의 형상 등에 따른 최적의 용접 조건을 선정하는 데 보다 편리하며, 작업시간과 작업인원의 축소에 따른 용접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접 장치는, 피용접물의 종류에 따라 솔리드 와이어를 위한 용접 장치와 플럭스 와이어를 위한 용접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였는 바, 불필요한 구매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용접 장치는, 용접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용접 와이어의 공급 도중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과전류의 발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0407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965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 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형성시키며, 공급되는 와이어의 단선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고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현한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1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와이어공급장치; 제2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2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2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공급장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공급제어장치;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2와이어를 용융시켜 피용접물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포함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는,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기 위한 제1권선부; 및 상기 공급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권선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제1와이어의 상부를 각각 눌러 주며,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와 대향하고 장착 설치되어 제1와이어의 하부를 각각 눌러 주며,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또는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급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또는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구동모터부재; 및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 및 제1구동모터부재를 내부에 장착 설치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해 주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와 다른 제1상부롤러부재를 연결하는 브리지수단;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브리지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항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리지수단을 하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권선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의 끊김을 감지하기 위한 끊김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끊김감지부재는, 제1와이어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주며, 제1와이어를 상기 제1권선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재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이송롤러수단; 상기 이송롤러수단의 하측에 대향하고 장착 설치되는 보조롤러수단; 상기 이송롤러수단을 체결해 주기 위한 체결수단; 상기 케이스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된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홈수단; 상기 체결수단의 상측 공간에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수단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 주기 위한 탄성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홈수단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단의 누름이 감지될 시 끊김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공급제어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수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끊김감지신호가 전달될 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구동정진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버튼을 확인하여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버튼에 따라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제어장치는, 권선된 와이어에 대응하는 와이어 공급속도 및 공급되는 전력량을 와이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제1와이어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눌러 준 후 제1와이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부재; 제1와이어의 하부를 눌러 준 후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롤러부재; 일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체결되며, 하부가 상기 구동롤러부재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주기 위한 체결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재, 상기 구동롤러부재 및 상기 체결롤러부재를 내부에 장착 설치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롤러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상기 케이스부재에 체결되기 위한 프레임수단; 상기 프레임수단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재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롤러수단; 및 상기 케이스부재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수단이 회동된 후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접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이산화탄소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상기 용접장치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는, 이산화탄소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기 위한 두 개의 전달관부재; 일측에 상기 전달관부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부재로부터 전달된 이산화탄소를 분배하기 위한 밸브부재; 및 상게 밸브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게 밸브부재로부터 분배된 이산화탄소를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용융되는 부분으로 각각 공급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급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부재는, 일측에 상기 전달관부재가 연결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으며,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공급관부재로 각각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공급관부재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뭉치; 및 상기 조절뭉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절뭉치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시켜 주기 위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형성시키며, 공급되는 와이어의 단선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고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현한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피용접물의 종류에 따라 솔리드 와이어를 위한 용접 장치와 플럭스 와이어를 위한 용접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구매 비용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용접 와이어의 공급 도중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여 통지함으로써 과전류의 발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와이어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공급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체결롤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밸브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제2와이어공급장치(200), 급제어장치(300) 및 용접장치(400)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공급제어장치(300)로부터 제1공급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로 공급한다. 이때, 제1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 중공이 아닌 단면 동질인 용접용 와이어) 또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flux-cored wire, 용접용 와이어로서 속이 비어 있으며, 그 내부에 아크의 안정화, 탈산 등의 목적으로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와이어이다. 이 종류의 와이어는 솔리드 와이어에 비해서 화학 조성이 쉬우며, CO2가스 아크 용접, 논가스 실드 아크 용접, 일렉트로 가스 용접 등에 널리 사용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와 대향하고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는, 제2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공급제어장치(300)로부터 제2공급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2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2와이어를 용접장치(400)로 공급한다. 이때, 제2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솔리드 와이어 또는 플럭스 충전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제어장치(300)는, 용접장치(400)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구동버튼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구동버튼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로 전달하거나, 해당 확인한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로 전달한다.
용접장치(400)는,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상용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제2와이어를 용융시켜 피용접물을 용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용접장치(400)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및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접장치(400)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용접하기 위한 토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토치는 용접하는 피용접물의 용첩 위치에 대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5m 내지 20미터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는, 용접 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형성시키며, 공급되는 와이어의 단선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고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현한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피용접물의 종류에 따라 솔리드 와이어를 위한 제1와이어공급장치(100)와 플럭스 와이어를 위한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구매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는, 피용접물의 필요로 하는 용접 와이어의 종류에 대응하여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제공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두꺼운 강판과 같은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솔리드 와이어를 공급받아 용접을 하도록 하며, 박막과 같은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플럭스 와이어를 공급받아 용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는, 용접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용접 와이어의 공급 도중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여 통지함으로써 과전류의 발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와이어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제1권선부(110) 및 제1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제1권선부(110)는,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해당 권선한 제1와이어를 제1구동부(1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와이어는, 플랙시블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인장강도가 약한 통상 0.8 ~ 2mm 굵기의 선재로서, 용접부위에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제1권선부(110)에 권선될 수 있다.
제1구동부(120)는, 공급제어장치(300)로부터 제1공급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와이어공급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인 제1구동부(120)는,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및 케이스부재(124) 등도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에 공급함으로써, 용접 시 융착금속의 양을 배가시켜 접합 가능한 두꺼운 모재금속을 단시간에 접합할 수 있음은 물론, 중공업, 조선소 등과 같은 대형 가공물을 용접 역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용접장치에는 단일 구성된 제1와이어가 공급되면서 용접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고, 이송 길이 역시 한정적으로 공급될 수밖에 없어 마찰저항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구동부(120)는,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및 케이스부재(124)를 포함한다.
제1상부롤러부재(121)는, 케이스부재(124)의 내부 공간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 주며, 제1하부롤러부재(122)와 맞물려서 함께 회전하여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 방향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상부롤러부재(121)는,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외측 부분을 따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하부롤러부재(122)는, 케이스부재(124)의 내부 공간 하부에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대향하고 장착 설치되며,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의 하부를 눌러 주며,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맞물려서 함께 회전하여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 방향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부롤러부재(122)는,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외측 부분을 따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모터부재(123)는, 제1상부롤러부재(121) 또는 제1하부롤러부재(122)에 연결 설치되며, 공급제어장치(300)로부터 제1공급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1상부롤러부재(121) 또는 제1하부롤러부재(122)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구동모터부재(123)는,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대향하며 장착 설치되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롤러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사이 및 제1하부롤러부재(122)와 제1하부롤러부재(122)와 대향하며 장착 설치되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롤러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장착 설치하도록 함이 구동력의 전달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구동모터부재(123)는, 제1공급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상부롤러부재(121) 또는 제1하부롤러부재(12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용접장치(400)로 공급되는 제1와이어의 공급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124)는, 제1상부롤러부재(121), 제1하부롤러부재(122) 및 제1구동모터부재(123)를 내부에 장착 설치한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구동부(120)는,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케이스부재(124) 및 압력조절부재(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및 케이스부재(124)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압력조절부재(125)는, 케이스부재(124)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연결 설치되어 제1상부롤러부재(121)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조절부재(125)는, 브리지수단(1251) 및 레버수단(125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수단(1251)은, 제1상부롤러부재(121)와 다른 제1상부롤러부재(121)를 연결하며, 레버수단(125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레버수단(1252)은, 케이스부재(124)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브리지수단(1251)에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항으로 회전하면서 브리지수단(1251)을 하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제1상부롤러부재(121)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수단(1252)은, 케이스부재(124)의 상부를 관통하는 부분에 나사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구동부(120)는, 압력조절부재(125)에 의해 제1상부롤러부재(121)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1와이어의 이송 압력을 유지 또는 조절할 수 있다.
도 5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구동부(120)는,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케이스부재(124) 및 끊김감지부재(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121),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122), 제1구동모터부재(123) 및 케이스부재(124)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끊김감지부재(126)는, 케이스부재(124)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1권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의 끊김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끊김감지부재(126)는, 이송롤러수단(1261), 보조롤러수단(1262), 체결수단(1263), 슬라이딩홈수단(1264), 탄성수단(1265) 및 감지수단(1266)를 포함한다.
이송롤러수단(1261)은, 제1와이어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주며, 회전하면서 제1와이어를 제1권선부(110)로부터 케이스부재(124)로 이송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이송롤러수단(1261)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외측 부분을 따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조롤러수단(1262)은, 이송롤러수단(1261)의 하측에 이송롤러수단(1261)와 대향하고 장착 설치되어, 제1와이어가 이송롤러수단(126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수단(1263)은, 이송롤러수단(1261)을 체결하며, 슬라이딩홈수단(1264)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홈수단(1264)은, 케이스부재(124)로부터 연장 형성된 프레임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체결수단(1263)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탄성수단(1265)은, 체결수단(1263)의 상측 공간에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체결수단(1263)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 준다.
감지수단(1266)은, 슬라이딩홈수단(1264)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체결수단(1263)의 누름이 감지될 시 끊김감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끊김감지신호를 공급제어장치(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급제어장치(300)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로부터 끊김감지신호가 전달될 시 해당 전달된 끊김감지신호에 따라 제1와이어공급장치(1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구동정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구동정지신호를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는, 공급제어장치(300)로부터 구동정지신호를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구동정지신호에 대응하여 즉각 제1구동모터부재(123)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공급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급제어장치(300)는, 입력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수동식 버튼 또는 액정화면 등의 터치패널 등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버튼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구동버튼을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10)로부터 구동버튼을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구동버튼에 따라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제1와이어공급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또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구동을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하여 구동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와이어공급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제1구동버튼을 입력받거나,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제2구동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및 제2와이어공급장치(200)의 일괄 구동을 위한 일괄구동버턴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제어부(320)는 제1공급제어신호, 제2공급제어신호 또는 일괄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공급장치(즉, 제1공급제어신호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제2공급제어신호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 또는 일괄공급제어신호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및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급제어장치(300)는, 메모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권선된 와이어에 대응하는 와이어 공급속도 및 공급되는 전력량을 와이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권선되는 와이어의 종류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와이어의 종류를 제어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20)는, 입력부(310)로부터 와이어의 종류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와이어의 종류에 따른 와이어 공급속도 및 공급되는 전력량를 메모리부(330)로부터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와이어 공급속도 및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응하는 공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공급제어신호를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또는 제2와이어공급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제1구동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구동부(120)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부재(127), 구동롤러부재(128), 체결롤러부재(129) 및 케이스부재(124)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재(127)는, 제1와이어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눌러 준 후 제1와이어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롤러부재(1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와이어의 상부 및 하부를 눌러 줄 수 있으면 그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롤러부재(128)는, 제1와이어의 하부를 눌러 준 후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용접장치(400) 방향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롤러부재(128)는, 도 3에 도시된 제1구동모터부재(123)에 연결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부재(12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체결롤러부재(129)는, 케이스부재(124)에 연결 설치된 일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케이스부재(124)에 연결에 체결되며,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에 하부가 구동롤러부재(128)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준다.
케이스부재(124)는, 가이드롤러부재(127), 구동롤러부재(128) 및 체결롤러부재(129)를 내부에 장착 설치한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체결롤러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롤러부재(129)는, 프레임수단(1291), 누름롤러수단(1292) 및 체결수단(1293)을 포함한다.
프레임수단(1291)은, 일측이 케이스부재(124)에 연결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체결수단(1293)에 의해 케이스부재(124)에 체결된다.
누름롤러수단(1292)은, 프레임수단(1291)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구동롤러부재(128)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준다.
체결수단(1293)은, 케이스부재(124)에 장착 설치되며, 프레임수단(1291)이 회동된 후 다른 일측을 체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는,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제2와이어공급장치(200), 급제어장치(300), 용접장치(400) 및 이산화탄소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와이어공급장치(100), 제2와이어공급장치(200), 급제어장치(300) 및 용접장치(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산화탄소공급부(500)는, 용접장치(400)에 연결 설치되며, 이산화탄소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용접장치(400)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산화탄소공급부(500)는, 두 개의 전달관부재(510), 밸브부재(520) 및 두 개의 공급관부재(530)를 포함한다.
전달관부재(510)는, 이산화탄소공급(500)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는다.
밸브부재(520)는, 다른 일측에 두 개의 전달관부재(51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두 개의 전달관부재(510)가 연결 설치되며, 전달관부재(510)로부터 전달된 이산화탄소를 공급관부재(530)로 분배한다.
공급관부재(530)는, 상게 밸브부재(520)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게 밸브부재(520)로부터 분배된 이산화탄소를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용융되는 부분으로 각각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산화탄소공급부(500)는, 도 11에서 후술할 조절뭉치(522)의 관통홀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0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전달관부재(510) 및 두 개의 공급관부재(530)가 모두 개방되어 관통홀을 통해 두 개의 공급관부재(530) 모두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관통홀이 일측 방향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0 (b) 또는 10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 중 하나의 전달관부재(510) 및 두 개 중 하나의 공급관부재(530)만이 개방되어 두 개 중 하나의 공급관부재(530)만을 통해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용융되는 부분 중 한 곳만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밸브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부재(520)는, 본체(521), 조절뭉치(522) 및 레버(523)을 포함한다.
본체(521)는, 일측에 전달관부재(510)가 연결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으며,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된 공급관부재(530)로 각각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조절뭉치(522)는, 본체(521)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공급관부재(53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조절한다.
레버(523)는, 조절뭉치(522)에 연결 설치되어 조절뭉치(522)를 본체(521)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밸브부재(520)는, 두 개의 배관으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제1와이어공급장치
110: 제1권선부
120: 제1구동부
121: 제1상부롤러부재
122: 제1하부롤러부재
123: 제1구동모터부재
124: 케이스부재
125: 압력조절부재
1251: 브리지수단
1252: 레버수단
126: 끊김감지부재
1261: 이송롤러수단
1262: 보조롤러수단
1263: 체결수단
1264: 슬라이딩홈수단
1265: 탄성수단
1266: 감지수단
127: 가이드롤러부재
128: 구동롤러부재
129: 체결롤러부재
1291: 프레임수단
1292: 누름롤러수단
1293: 체결수단
200: 제2와이어공급장치
300: 공급제어장치
310: 입력부
320: 제어부
330: 메모리부
400: 용접장치
500: 이산화탄소공급
510: 전달관부재
520: 밸브부재
521: 본체
522: 조절뭉치
523: 레버
530: 공급관부재

Claims (10)

  1.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1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와이어공급장치; 제2와이어를 권선(捲線)하며, 제2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제2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공급장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2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공급제어장치;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2와이어를 용융시켜 피용접물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장치에 연결 설치되며, 이산화탄소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상기 용접장치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는, 이산화탄소공급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기 위한 두 개의 전달관부재; 일측에 상기 전달관부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달관부재로부터 전달된 이산화탄소를 분배하기 위한 밸브부재; 및 상게 밸브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게 밸브부재로부터 분배된 이산화탄소를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용융되는 부분으로 각각 공급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급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공급장치는,
    제1와이어를 권선(捲線)하기 위한 제1권선부; 및
    상기 공급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권선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제1와이어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눌러 준 후 제1와이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부재;
    제1와이어의 하부를 눌러 준 후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롤러부재;
    일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체결되며, 하부가 상기 구동롤러부재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주기 위한 체결롤러부재; 및
    상기 가이드롤러부재, 상기 구동롤러부재 및 상기 체결롤러부재를 내부에 장착 설치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롤러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회동된 후 상기 케이스부재에 체결되기 위한 프레임수단;
    상기 프레임수단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재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제1와이어의 상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롤러수단; 및
    상기 케이스부재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수단이 회동된 후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제1와이어의 상부를 각각 눌러 주며,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상부롤러부재;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와 대향하고 장착 설치되어 제1와이어의 하부를 각각 눌러 주며, 회전하여 제1와이어를 상기 용접장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하부롤러부재;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또는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급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제1공급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또는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구동모터부재; 및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 상기 제1하부롤러부재 및 제1구동모터부재를 내부에 장착 설치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가 제1와이어를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해 주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상부롤러부재와 다른 제1상부롤러부재를 연결하는 브리지수단;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브리지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항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리지수단을 하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일측에 상기 전달관부재가 연결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각각 전달받으며,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공급관부재로 각각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공급관부재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뭉치; 및
    상기 조절뭉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절뭉치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시켜 주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KR1020170033323A 2017-03-16 2017-03-16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KR10186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23A KR101868053B1 (ko) 2017-03-16 2017-03-16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23A KR101868053B1 (ko) 2017-03-16 2017-03-16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053B1 true KR101868053B1 (ko) 2018-06-15

Family

ID=6262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323A KR101868053B1 (ko) 2017-03-16 2017-03-16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0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97B1 (ko) * 2018-07-17 2019-03-26 이준표 용접 장치
KR101962303B1 (ko) * 2018-07-17 2019-03-26 이준표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KR102350726B1 (ko) 2021-06-30 2022-01-13 씨앤더블 주식회사 복합 용접와이어 공급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71U (ja) * 1992-09-16 1994-04-19 株式会社ダイヘン 溶接ワイヤ送給装置
KR100204070B1 (ko) 1996-11-29 1999-06-15 이건국 이산화탄소 가스용접기의 용접와이어 이송장치
KR200451142Y1 (ko) * 2010-05-31 2010-11-29 김충선 용접 장치
KR20120029651A (ko) 2010-09-17 2012-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온와이어 공급장치를 갖춘 위빙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
KR20120008053U (ko) * 2011-05-17 2012-11-27 김충선 용접장치
JP2015136715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ダイヘン 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71U (ja) * 1992-09-16 1994-04-19 株式会社ダイヘン 溶接ワイヤ送給装置
KR100204070B1 (ko) 1996-11-29 1999-06-15 이건국 이산화탄소 가스용접기의 용접와이어 이송장치
KR200451142Y1 (ko) * 2010-05-31 2010-11-29 김충선 용접 장치
KR20120029651A (ko) 2010-09-17 2012-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온와이어 공급장치를 갖춘 위빙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캐리지
KR20120008053U (ko) * 2011-05-17 2012-11-27 김충선 용접장치
JP2015136715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ダイヘン 加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97B1 (ko) * 2018-07-17 2019-03-26 이준표 용접 장치
KR101962303B1 (ko) * 2018-07-17 2019-03-26 이준표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KR102350726B1 (ko) 2021-06-30 2022-01-13 씨앤더블 주식회사 복합 용접와이어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3B1 (ko)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US60668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hanging welding wire
CN100445012C (zh) 焊丝储存装置
CA3004726A1 (en) Wire feeder for welding
US20060201923A1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wire feed speed
US20060124622A1 (en) Welding torch with a drive unit and a wire buffer store
US20120298639A1 (en) Laser welding method and laser welding apparatus
US20090188896A1 (en) GMAW System Having Multiple Independent Wire Feeds
EP2593264B2 (en) Heat input control for welding systems
KR101772359B1 (ko) 롤 육성 용접 장치
JP2011050998A (ja) レーザー溶接装置及びレーザー溶接方法
CN100509241C (zh) 输线装置
JP5596394B2 (ja) アーク溶接方法
EP32977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weld root concavity
KR100827901B1 (ko)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의 용접와이어 위빙 장치
KR102000665B1 (ko) 루트 용접이 가능한 자동용접 장치
KR200444899Y1 (ko) 경량 탄뎀 egw 용접장치
KR101962303B1 (ko)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KR20100050223A (ko) 가스텡스텐아크 용접용 와이어 자동공급장치
JP5163601B2 (ja) 固定管の円周溶接方法及び装置
KR102518162B1 (ko) 연장 와이어 피더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US202002384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rive roll contact force in welding-type systems
KR101962297B1 (ko) 용접 장치
KR20080075428A (ko) 용접용 토치기구
JPH01170593A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