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30B1 -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30B1
KR101867330B1 KR1020110082743A KR20110082743A KR101867330B1 KR 101867330 B1 KR101867330 B1 KR 101867330B1 KR 1020110082743 A KR1020110082743 A KR 1020110082743A KR 20110082743 A KR20110082743 A KR 20110082743A KR 101867330 B1 KR101867330 B1 KR 10186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correlation
baseband signal
symbol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237A (ko
Inventor
최현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30B1/ko
Priority to US13/588,280 priority patent/US9100106B2/en
Publication of KR2013002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송신 장치는,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일 경우,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여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는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와,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코드에 각각 확산코드를 곱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와, 상기 적어도 둘이상 프리앰블 심볼과 데이터 페이로드를 기반으로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송신전극을 포함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값의 크기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부가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슈퍼프레임내의 모든 패킷을 복조하지 않더라도 방송프레임을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LOW POWER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저전력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기의 소형화, 저가화는 WLAN,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PAN 기술에 이어 무선인체통신(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기술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사회로 나아가는 사회적인 관심의 고조와 지속적인 연구 속에서 앞서 언급된 무선통신 기술들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분야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WBAN은 복지 및 건강관리(health-car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는 사회적 현상에 따라 건강관리, 원격 의료서비스, 진단, 치료 등을 위하여 의료기술과 IT기술을 결합하려는 시도와 함께 나타났다. 이와 같은 IT 기술과 의료 기술의 결합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IEEE 802.15.6 BAN Task Group을 중심으로 빠르게 활발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체내 이식된 WBAN 장치는 배터리 재충전이나 교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저전력 기술이 더욱 중요하다. WBAN 표준에서는 저전력을 위하여 변복조방식 등 통신을 위한 저전력 물리계층 기술과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저전력 MAC계층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WBAN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슈퍼프레임 2배 구간 동안 네트워크 내의 모든 패킷을 디코딩한 후 방송 프레임(Broadcast Frame)을 검색한다. 이후 검색된 방송 프레임을 통해 WBAN 장치는 네트워크 마스터에게 전용 프레임(dedicated frame) 할당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WBAN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의 프레임 개수가 256개가 있을 경우, 최대 512개의 패킷을 복조하여 정보를 확인해야 방송프레임인지 확인할 수 있고 마스터 노드에 프레임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슈퍼프레임 내의 모든 프레임을 복조하여 방송프레임을 검출해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크다.
따라서,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시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시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력 네트워크에서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상관값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일 경우,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여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는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와,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코드에 각각 확산코드를 곱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와, 상기 적어도 둘이상 프리앰블 심볼과 데이터 페이로드를 기반으로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송신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전극과, 상기 기적대역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하는 판단부와,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을 추출하여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검출부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크기를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프레임일 경우, 상기 방송프레임을 통해 전용프레임 할당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인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정보를 위한 프레임일 경우,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여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코드에 각각 확산코드를 곱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이상 프리앰블 심볼과 데이터 페이로드를 기반으로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적대역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을 추출하여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크기를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프레임일 경우, 상기 방송프레임을 통해 전용프레임 할당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킷에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여 전송함으로써, 프리앰블 심볼 값의 상관 값을 조정하여 해당 패킷이 방송프레임이 지시하는 부가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값의 크기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부가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슈퍼프레임내의 모든 패킷을 복조하지 않더라도 방송프레임을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의 송·수신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킹되지 않은 신호와 마스킹된 신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송신 방법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저전력 네트워크는 IEEE 802.15.6 BAN(Body Area Network)이며, 상기 BAN은 전기장 통신(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FC) 혹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EFC(Electric Field Communication) 송신부에서 전계가 유도되고, 상기 FEC 송신부에서 유도된 전계는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를 통해 전달되고, FEC 수신부는 유전체를 통해 전달되는 전계를 감지한다. 상기 유전체는 공기, 물, 사람의 인체가 될 수 있다.
즉, EFC 송신부는 전기장 유도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거나 유전체를 이용한 용량결합(capacitive couplin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인체를 매질로 사용할 경우 공기보다 300 ~ 500배 정도 유전율이 높아 인체를 이용할 경우 전송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한 변조나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 경박 단소하여 휴대용(portable) 기기 및 모바일기기에 장착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패킷은 4개의 프리앰블 심볼(200), SFD(Start Frame Delimiter), 물리계층 헤더(PHY header), MAC 헤더(MAC header), MAC 페이로드(MAC payload), FCS(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퍼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2의 다수의 패킷이 모여 하나의 슈퍼프레임을 구성한다. 슈퍼프레임 구조는 방송정보를 전달하는 구간, 활성화구간, 그리고 비활성화 구간으로 구분된다. 방송정보를 전달하는 구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을 포함하고, 활성화구간은 다수의 패킷을 포함한다. 비활성구간에서는 패킷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노드가 저전력 네트워크에 진입하려면 2개 슈퍼프레임 구간 동안에 모든 패킷을 복조하여 방송프레임 구간을 찾은 후, 방송프레임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마스터에게 전용 프레임 할당을 요청해야한다.
예를 들어, 슈퍼프레임 내에 프레임 혹은 패킷 개수가 256개일 경우 최대 512개의 프레임 혹은 패킷을 복조하여 정보를 확인해야 방송프레임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여 4개의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 값을 결정함으로써, 4개의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 값을 기반으로 해당 패킷이 방송프레임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노드는 모든 패킷을 복조할 필요없이 해당 패킷이 방송프레임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 패킷만을 복조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의 송·수신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송신장치는 제어부(400),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410),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420), 버퍼(430), 송신전극(4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신장치는 제어부(400), 수신전극(450), 판단부(460), 검출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송·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여, 특히 본 발명에 더하여 프리앰블 코드의 마스킹을 결정하여 해당 마스크 값을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410)로 제공한다.
상기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410)는 골드 코드를 생성하는 골드 코드 생성기(412)와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는 마스킹부(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상기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41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할지를 지시하는 마스킹 플래그 값과 마스크 값을 제공받아 도 5와 같이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하여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420)로 제공한다.
상기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420)는 상기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410)로부터 마스킹된 프리앰블 코드 혹은 마스킹되지 않은 프리앰블 코드를 제공받아, 프리앰블 심볼을 생성한다. 즉, 상기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420)는 전송률을 결정하기 FSC(Frqeuncy Shape Code) 생성기(422)와 프리앰블 심볼 결정기(424)를 포함한다. FSC는 확산계수로써 n비트를 m비트로 매핑한다 (m>n). 즉, 프리앰블 코드는 FSC와 곱해져 프리앰블 심볼이 된다. 여기서, 1심볼은 소정의 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430)는 상기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420)로부터 FSC와 프리앰블 코드가 곱해져 생성된 프리앰블 심볼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400)로부터의 데이터 심볼을 제공받아 도 2의 패킷 및 도 3의 슈퍼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송신전극(440)는 상기 버퍼(420)에 저장된 데이터 심볼 및 프리앰블 심볼을 기저대역에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수신전극(450)는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부(460)로 제공한다.
상기 판단부(460)는 정합필터(matched filter)를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즉,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0 혹은 1을 판단하여 그 결과를 검출부(480)로 제공한다.
상기 검출부(480)는 상기 판단부(460)에 의해 기저대역 신호가 변환된 비트열 정보를 제공받아, 프리앰블 심볼 및 데이터 심볼을 분리하여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검출부(480)는 도 2와 같이 반복되는 프리앰블 심볼에 대해 각각 상관 값을 결정하여 이를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 송신장치의 FSC(Frqeuncy Shape Code)에 대응되는 역확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프리앰블 코드로 변환한 후에 상기 프리앰블 코드에 대해 상관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검출부(480)로부터의 프리앰블 상관 값을 기반으로, 해당 패킷이 방송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을 복조할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의 저전력 네트워크의 송·수신 장치 구성도를 보면, 저전력 네트워크의 송·수신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 없이 기저대역 신호에서 디지털 변조 후 바로 송신이 가능하다. 송신신호가 기저대역을 통해 전송되므로 수신부에서도 송·수신 안테나가 필요 없으며 RF 반송파를 변·복조하기 위한 믹서기(mixer), 위상고정루프(Phase Locked Loop: PLL) 등이 사용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킹되지 않은 신호와 마스킹된 신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프리앰블 코드는 128비트 골드코드로 기반으로 생성되며, 마스킹되지 않은 프리앰블 코드는 방송을 위한 패킷 이외의 다른 패킷에 이용된다.
반면, 128비트 골드코드로 기반으로 생성된 프리앰블 코드의 일부(64비트 내지 127비트)를 "1"로 마스킹하여(이하 마스킹된 프리앰블 코드라 칭함), 마스킹된 프리앰블 코드는 방송을 위한 패킷에 이용된다. 구현에 따라, 128비트 골드코드로 기반으로 생성된 프리앰블 코드의 일부가 "0"을 마스킹되거나, 128비트의 특정 비트패턴(10101010····101010101)과 128비트의 프리앰블 코드가 마스킹될 수 있다(예: 128비트의 특정 비트패턴과 128비트의 프리앰블 코드 사이의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 연산 혹은 OR 연산이 수행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수신단에서 마스킹되지 않은 프리앰블 신호의 상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도 2와 4개의 프리앰블 심볼이 반복적으로 전송될 경우 크기가 동일한 4개의 피크 값이 존재한다.
반면, 4개의 프리앰블 코드에 대해 서로 다른 값으로 프리앰블 코드를 마스킹할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4개의 피크 값이 존재한다(도시하지 않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송신 방법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송신기는 700단계에서 골드 코드 기반으로 K번째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고 702단계에서 K번째 프리앰블 코드에 대해 마스킹 플래그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K번째 프리앰블 코드에 대해 일부 혹은 전체를 마스킹할지를 결정한다.
만약, 마스킹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을 시, 704단계로 진행하여 K번째 프리앰블 코드의 일부 혹은 전체를 마스킹한다. 즉, 프리앰블 코드는 128비트의 특정 비트패턴 혹은 M비트(M은 128비트보다 작은 정수)의 특정비트 패턴과 XOR 혹은 OR 연산으로 마스킹된다.
이후, 706단계에서 FSC와 프리앰블 코드를 곱해 K번째 프리앰블 심볼을 생성하고 708단계에서 K번째 프리앰블 심볼을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710단계에서 N번째 프리앰블 심볼을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N번째 프리앰블 심볼을 저장되지 않을 시, 700단계로 진행하고, N번째 프리앰블 심볼을 저장될 시 712단계로 진행한다. N은 패킷에 반복되는 프리앰블 심볼 수이다. 즉, N개의 프리앰블 심볼은 동일한 혹은 서로 다른 비트패턴으로 마스킹된다. 또한, 700단계에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코드는 동일한 프리앰블 코드이거나 서로 다른 프리앰블 코드일 수 있다.
이후, 712단계에서 마스킹된 N개의 프리앰블을 포함한 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수신 방법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800단계에서 마스킹된 N개의 프리앰블을 포함한 패킷을 송신기로부터 수신하고 802단계에서 마스킹된 N개의 프리앰블 심볼에 대해 상관 값을 추출한다.
이후, 804단계에서 N개의 프리앰블 심볼에 대한 상관 값을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806단계에서 현재 패킷이 방송프레임이 아닌 경우 800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806단계에서 현재 패킷이 방송프레임일 경우 808단계로 진행하여 방송프레임을 디코딩하고 8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송프레임을 통해 전용프레임 할당을 요청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FC의 프리앰블 구조는 상기 도 2와 같이 하나의 프리앰블 심볼을 4회 반복하여 수신 시 상관 값의 주기성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반복되는 프리앰블 구조에서 프리앰블 심볼값을 조정하면 상관 값의 크기가 조정된다.
송신부에서 프리앰블 심볼을 마스킹하여 수신부에서 검출하는 상관값의 크기를 조정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 값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4개의 심볼이 전송되므로 2^4=16 가지의 경우의 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1111, 0000은 구분할 수 없으므로 제외한다.
한편, 신규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을 수행할 시, 최소 슈퍼프레임 주기의 2배 구간 동안 전송되는 모든 패킷을 복조해야 네트워크의 정보를 알 수 있어 네트워크 진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할 시 프리앰블 심볼의 상관 값을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수신단에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패킷(방송 패킷 이외의 다른 패킷들)의 복조를 막아 저전력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프리앰블의 길이는 A라고 하면, 헤더 및 페이로드의 길이는 최소 100A에 해당된다. 슈퍼프레임의 프레임은 최대 256개가 할당 가능하므로 종래 발명의 신규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을 수행할 시 256*101A 길이 만큼 데이터를 복조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신규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시 256*(A) + 100A 구간만큼 복조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신규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할 시 네트워크 정보를 얻기 위해 소모전력을 종래 발명에 비해 2%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00: 제어부, 410: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 420: 프리앰블 생성기

Claims (20)

  1. 전기장 통신(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FC)을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에 포함되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을 마스킹하는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와,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을 확산시키기 위해 확산코드를 곱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생성하는 프리앰블 심볼 생성기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전송하는 송신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의 상관 크기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송신하고자하는 정보가 상기 방송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하고자하는 정보가 상기 방송 정보인 경우, 상기 프리앰블 코드 생성기에 마스크 값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극은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마스크 값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전기장 통신(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FC)을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전극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하는 판단부와,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검출부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프레임일 경우, 상기 방송프레임을 통해 전용프레임 할당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의 조합은 현 프레임이 방송프레임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는 각각의 프리앰블 심볼 값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변환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을 제공받아, 기 저장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과 상관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변환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을 제공받아, 역확산 계수를 곱해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리앰블 코드와 기 저장된 프리앰블 코드를 곱해 상관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전기장 통신(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FC)을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에 포함되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을 마스킹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을 확산시키기 위해 확산코드를 곱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의 상관 크기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송신하고자하는 정보가 상기 방송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하고자하는 정보가 상기 방송 정보인 경우, 마스크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패킷은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된 적어도 둘 이상의 반복되는 프리앰블 코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마스크 값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전기장 통신(electric field communication, EFC)을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기장(electric field)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기반으로, 방송프레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프레임일 경우, 상기 방송프레임을 통해 전용프레임 할당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의 조합은 현 프레임이 방송프레임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는 각각의 프리앰블 심볼 값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변환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을 제공받아, 기 저장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과 상관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을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변환된 프리앰블 심볼 비트열을 제공받아, 역확산 계수를 곱해 프리앰블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프리앰블 코드와 기 저장된 프리앰블 코드를 곱해 상관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프리앰블 심볼들 각각의 상관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82743A 2011-08-19 2011-08-19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86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43A KR101867330B1 (ko) 2011-08-19 2011-08-19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US13/588,280 US9100106B2 (en) 2011-08-19 2012-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low powe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743A KR101867330B1 (ko) 2011-08-19 2011-08-19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37A KR20130020237A (ko) 2013-02-27
KR101867330B1 true KR101867330B1 (ko) 2018-06-20

Family

ID=4771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743A KR101867330B1 (ko) 2011-08-19 2011-08-19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00106B2 (ko)
KR (1) KR101867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9862B2 (en) * 2012-09-10 2015-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in ultra wideband (UWB)
KR102071355B1 (ko) * 2014-05-15 2020-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627A1 (en) * 2009-07-13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ging preamble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97B1 (ko) * 2007-02-05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rach 구조를 이용한 rach 송신 방법, 및주파수 옵셋의 영향 감소를 위한 시퀀스 반복 방법
KR101576678B1 (ko) * 2009-05-04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00120045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 접근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레임 구조
KR20110063262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데이터 분해를 이용한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RU2530265C2 (ru) * 2010-05-07 2014-10-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низкочастотной полосе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при помощ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при помощ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7627A1 (en) * 2009-07-13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ging preamble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0106B2 (en) 2015-08-04
KR20130020237A (ko) 2013-02-27
US20130044789A1 (en)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463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enable wake-up receiver for modes of operation
CN108028825B (zh) 用于增强型ofdma随机接入的系统、方法和设备
KR101417691B1 (ko) 무선랜에서 멀티 채널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38531B2 (en) Method of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8696925B (zh) 无线通信方法以及无线通信装置
EP336774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high-density environment including overlapped basic service set
US10200974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mitigate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JP5718998B2 (ja) シーケンス生成方法及びシフトレジスタシーケンス生成装置
JP5551277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送信特性を信号で送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6885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232505B2 (en) Method of generating packet,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 and method of ranging of physical layer transmitter of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JP545684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フレーム構造
EP3679746B1 (en) Wake-up signal transmission
US90655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WO2017105729A1 (en) Fine timing measurement
CA2782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KR2014011084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107689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mpress identification
BR112015017284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comunicação sem fio
KR20230049626A (ko) 향상된 대역폭 협상
KR101867330B1 (ko)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5099804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estimate carrier frequency offset
US981938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increase transmission range
KR101558624B1 (ko) 무선 마이크로폰 비콘 시스템에서 보호 장치를 초기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0435A1 (zh) 一种用于无线保真Wi-Fi系统的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