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678B1 -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678B1
KR101576678B1 KR1020090039042A KR20090039042A KR101576678B1 KR 101576678 B1 KR101576678 B1 KR 101576678B1 KR 1020090039042 A KR1020090039042 A KR 1020090039042A KR 20090039042 A KR20090039042 A KR 20090039042A KR 101576678 B1 KR101576678 B1 KR 10157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reamble
pseudo
data
random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044A (ko
Inventor
최현국
황상윤
이종림
김기욱
허지혜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6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는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연산하여 얻어진 프리앰블을 출력하는 연산기와; 제2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과,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39042
의사 랜덤 코드, 전계 통신, 데이터 프레임, 프리앰블

Description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PSEUDORANDOM CODE}
본 발명은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호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통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계 통신은 송신단에서 전계를 유도하여 유전체 물질에 전계를 형성한 후 수신단에서 전계를 감지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계 통신 방식 중에서 인체를 유전체 물질로 고려하여 통신하는 방식을 인체 통신이라 한다. 즉, "인체 통신"이란 인체를 통신 매질로 하여 인체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 장치들 간에 통신하는 기술, 즉 인체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송신측 통신 장치가 전극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체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수신측 통신 장치가 전극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인체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수십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도 1은 기저 대역(~100MHz)에 대한 인체의 주파수 잡음 특성을 나타내고, 도 2는 연구실 환경에서 기저 대역(baseband)에 대한 주파수 잡음 특성을 나타낸다.
인체 통신 채널은 수MHz의 대역에서 인체에 의한 높은 잡음을 가지고 있으며, 수십MHz 대역에 걸쳐 잡음이 퍼져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체 통신에서는 송신 데이터의 대역이 인체 잡음이 밀집해 있는 수MHz의 대역을 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한다.
기저 대역의 채널은 13.56MHz 대역에서 태그(Tag)의 반송파 전력까지 공급하는 수동형 RFID 리더(passiv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에 의한 간섭, 통신 보드의 클럭 잡음(clock noise), 매질로 이용하는 유전체의 주파수별 감쇠 등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대부분의 오실레이터 클록(oscillator clock)은 수MHz ~ 수십MHz를 사용하므로, 기저 대역 통신 방식의 수신기는 그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유전체를 매질로 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에,전신송 주파수가 높으면 유전체를 통한 신호 전달보다는 방사를 통한 신호 전달이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인체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며,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두 통신 장치간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해서는 상호 동기가 이루어져야 하며, 상기 동기를 위해서 송신측 통신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측 통신 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확인하여 프레임 타이밍(frame timing)을 확보하고, 상기 확보된 프레임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러한 동기 신호로서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리앰블을 정확히 수신하지 못하면 프리앰블에 이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잡음과 관련된 통신 환경이 열악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는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연산하여 얻어진 프리앰블을 출력하는 연산기와; 제2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과,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 헤더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정보를 상기 송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상기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방법은,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연산하여 얻어진 프리앰블을 출력하는 과정과; 제2 무선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과,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은, 의사 랜덤 코드와 대역 성형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프리앰블을 이용함으로써 열악한 신호대 잡음비에서도 종래보다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은,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통신용 데이터 프레임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100)은 다른 통신 장치(이하, 제2 통신 장치라고 함)에게 상기 데이터 프레임(100)의 시작을 알려줌과 동시에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110)과, 헤더(130)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SFD(start frame delimiter, 120)와,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등의 정보를 갖는 헤더(130)와, 음성, 영상, 텍스트, 메시지 등의 실제 송신(또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갖는 데이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앰블(110)은 동일한 길이 및 정보를 갖는 연속된 4개의 프리앰블 유닛들(112~118)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신 장치(200)는 다른 통신 장치(이하, 제2 통신 장치라고 함)와의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 SFD, 헤더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부(220)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260)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정보를 상기 송신부(220)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수신부(26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송신부(220)로부터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신호 전극(250)으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전극(250)으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부(260)로 출력하는 송신/수신 스위치(240)와,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로부터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유전체 매질로 전달하고, 상기 유전체 매질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로 출력하는 신호 전극(250)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220)는 프리앰블 생성기(222), SFD 생성기(224), 헤더 생성기(226), 데이터 생성기(228), 직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 230), 직교 변조기(orthogonal modulator, 232), 대역 성형기(234) 및 다중화 기(238)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222)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자기 상관(auto-correlation) 특성이 양호한 프리앰블을 생성하여 상기 대역 성형기(234)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로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골드 코드(gold code), 카사미(Kasami) 코드 등과 같은 자기 상관 특성이 양호한 의사 랜덤 코드(psudorandom cod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골드 코드에 대해서는 S. Sarwate, M. Pursley, "Crosscorrelation properties of pseudorandom and related sequences", IEEE Proceedings, Vol. 68, May 198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앰블로서 의사 랜덤 코드의 일종인 골드 코드를 사용한다. 이하, 이해의 편이를 위해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을 의사 랜덤 코드라고 칭한다.
상기 SFD 생성기(224)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헤더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SFD를 생성하여 상기 대역 성형기(234)로 출력하고, 상기 헤더 생성기(226)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등의 정보를 갖는 헤더를 생성하여 상기 대역 성형기(234)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기(228)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를 갖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직병렬 변환기(230)로 출력한다.
상기 직병렬 변환기(230)는 상기 데이터 생성기(228)로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심볼(symbol)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의 전송률이 C이고, 1:P 직병렬 변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직렬 데이터는 P 비트의 심볼로 변환되고, 변환된 심볼의 종류는 2P가 된다.
상기 직교 변조기(232)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230)로부터 입력된 심볼을 직교 변조, 즉 상호 직교 특성을 갖는 시퀀스들 중의 하나에 맵핑(mapping)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직교 변조기는 2Q2 길이의 시퀀스들을 갖고, 상기 심볼의 P 비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심볼을 2P 시퀀스들 중의 하나에 맵핑한다. 상기 직교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률은 (C·2Q2)/P가 된다. 상기 직교 변조기(232)는 심볼 코드 매퍼라고도 칭할 수 있다.
상기 대역 성형기(234)는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222), SFD 생성기(224), 헤더 생성기(226) 및 데이터 생성기(228)(또는 직교 변조기(232))와 일대일 대응되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4 개의 대역 성형 유닛들을 포함하고, 이들로부터 입력되는 의사 랜덤 코드, SFD, 헤더 및 데이터의 각각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 4 개의 대역 성형 유닛들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222)와 대응되는 대역 성형 유닛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대역 성형기(234)에 구비되며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222)와 대응되는 대역 성형 유닛(3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대역 성형 유닛(310)은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320) 및 곱셈 연산기(330)(또는 멀티플라이 어(multiplier))를 포함한다.
상기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320)는 상기 프리앰블 생성기(222)로부터 입력된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고, 클럭 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한다. 즉, 상기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320)는 1비트(또는 1 레벨 비트) 및 0비트(또는 -1 레벨 비트)가 반복되는 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는 상기 의사 랜덤 코드 주파수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배의 주파수를 갖는다.
상기 곱셈 연산기(330)는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곱셈 연산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의사 랜덤 코드의 길이가 단위 시간당 M비트이고,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길이가 단위 시간당 L(=2N)비트라고 하면, 상기 곱셈 연산기(330)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의 길이는 단위 시간당 M×L 비트가 된다.
도 6은 상기 대역 성형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길이 인자인 N을 조절함으로써, 프리앰블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 성형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의사 랜덤 코드의 주파수가 8Mcps이고,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단위 시간당 비트가 4인 경우,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는 32Mcps(=8Mcps×L=8Mcps×4)이고, 상기 대역 성형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의 중심 주파수는 32Mcps에 대응하는 16MHz가 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상기 의사 랜덤 코드가 128비트인 경우, 상기 대역 성형 유닛(310)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은 512비트가 된다.
즉, 상기 대역 성형기(234)의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전체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N 값이 증가하면, 대역폭이 감소함과 동시에 자기 상관 특성이 악화되므로, N값은 제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3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다중화기(238)는 상기 대역 성형기(234)로부터 입력된 프리앰블, SFD,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로 출력한다.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는 상기 다중화기(238)로부터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신호 전극(250)으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전극(250)으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부(260)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전극(250)은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로부터의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유전체 매질로 전달하고, 상기 유전체 매질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송신/수신 스위치(240)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260)는 AFE(Analog Front End, 270), 역다중화기(demultiplexer, 272), 프리앰블 처리기(278), 헤더 처리기(274), 데이터 복조기(276) 및 SFD 처리기(277)를 포함한다.
상기 AFE(270)는 수신된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증폭하고 1비트 디시젼(1bit decision)을 하여 상기 역다중화기(272)를 통해 프리앰블, SFD, 헤더 및 데이터로 분리되어 각각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는 프리앰블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
도 7은 4회 반복되는 프리앰블 시퀀스, 즉 4개의 동일한 프리앰블 유닛을 갖는 프리앰블에 대한 시간별 상관값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앰블 유닛(또는 프리앰블 시퀀스) 4회 반복됨에 따라서, 상관값의 피크치도 4개가 도출된다.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가 상관값의 피크치를 도출하는 판별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26968217-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peak는 상관값의 피크치, x(N)은 N차 샘플링 상관값, PREAMBLE_TH_VALUE는 피크치인지의 여부를 구분하는 임계 상관값을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가 프리앰블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는, 4 개의 프리앰블 유닛 구간들(410~416)과, 각 구간(410~416)의 상관값 피크(420~426)가 도시되어 있다. Peak1~4는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프리앰블의 시작 위치)로부터의 해당 상관값 피크(420~426)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SFD 처리기(277)는 상기 역다중화기(272)로부터 입력된 SFD로부터 SFD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는 상관값 피크들(420~426)의 간격 오차를 산출하 며, 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26968217-pat00002
상기 식에서, PI1~3는 해당 상관값 피크들의 간격 오차를 나타내고, PrN은 프리앰블 유닛의 구간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PI1은 제1 상관값 피크(420)와 제2 상관값 피크(422)의 간격과 프리앰블 유닛의 구간 길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는 상관값 피크들(420~426)의 간격 오차가 허용치를 만족하는지를 판별하며, 이는 하기 식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26968217-pat00003
Figure 112009026968217-pat00004
상기 식에서, PREAMBLE_K_VALUE는 상관값 피크들(420~426)의 간격 오차의 허용치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이러한 허용치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는 프리앰블이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동기 정보를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로부터 입력된 동기 정보에 따라서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 정보 및 SFD 정보에 따라서 상기 역다중화기(272)가 헤더 및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분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헤더 처리기(274)는 상기 역다중화기(272)로부터 입력된 헤더로부터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복조기(276)는 상기 역다중화기(27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복조기(276)는 직교 복조, 병직렬 변환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200)의 수신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128비트의 골드 코드와 4비트의 대역 성형 코드를 이용하여 4회 반복된(즉, 4개의 프리앰블 유닛으로 이루어진)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는 경우의 수신 특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9에는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278)에서 샘플링된 신호를 2배 오버샘플링하여 측정한 SNR(signal to noise ratio) 곡선과, 상기 샘플링된 신호를 4배 오버샘플링하여 측정한 SNR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 랜덤 코드와 대역 성형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프리앰블을 이용함으로써 열악한 신호대 잡음비에서도 종래보다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즉,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프로그 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기록매체는 ROM 등과 같은 저장 장치, RAM, 메모리 칩, 집적 회로 등과 같은 메모리, CD, DVD,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파되는 통신 신호와 같이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한다.
도 1은 기저 대역에 대한 인체의 주파수 잡음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연구실 환경에서 기저 대역에 대한 주파수 잡음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대역 성형기에 구비된 대역 성형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대역 성형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리앰블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4회 반복되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시간별 상관값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프리앰블 처리기가 프리앰블의 정상 수신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수신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1)

  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는 대역 성형 코드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연산하여 얻어진 프리앰블을 출력하는 연산기와;
    제2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과,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랜덤 코드는 골드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성형 코드는 0비트와 1비트가 반복되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는 상기 의사 랜덤 코드의 주파수의 정수배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5.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2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 헤더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정보를 상기 송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연산을 통해 상기 프리앰블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생성기와;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 랜덤 코드, 헤더 및 데이터를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각각 연산하여 출 력하는 대역 성형기와;
    상기 연산된 의사 랜덤 코드인 상기 프리앰블과, 상기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프리앰블, 헤더 및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분리된 프리앰블의 상관값 피크들로부터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프리앰블 처리기와;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에 의해 획득된 동기 정보에 따라서 상기 역다중화기가 상기 헤더 및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랜덤 코드는 골드 코드이고, 상기 대역 성형 코드는 0비트와 1비트가 반복되는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성형 코드의 주파수는 상기 의사 랜덤 코드의 주파수의 4배에 해 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10.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의사 랜덤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사 랜덤 코드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대역 성형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사 랜덤 코드 및 상기 대역 성형 코드를 연산하여 얻어진 프리앰블을 출력하는 과정과;
    제2 무선 통신 장치와의 동기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과, 헤더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얻어진 데이터 프레임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
  11. 제10항의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39042A 2009-05-04 2009-05-04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57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42A KR101576678B1 (ko) 2009-05-04 2009-05-04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42A KR101576678B1 (ko) 2009-05-04 2009-05-04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44A KR20100120044A (ko) 2010-11-12
KR101576678B1 true KR101576678B1 (ko) 2015-12-11

Family

ID=4340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42A KR101576678B1 (ko) 2009-05-04 2009-05-04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30B1 (ko) * 2011-08-19 201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79096B1 (ko) * 2014-12-16 2020-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코드를 이용한 차량 통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65B1 (ko) 2006-11-16 2008-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한된 통과대역을 이용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65B1 (ko) 2006-11-16 2008-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한된 통과대역을 이용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44A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8681B1 (en) Backscatter devices including examples of single sideband operation
CN102067544B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物理层前导码格式
RU25302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низкочастотной полосе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при помощ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при помощ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KR100785777B1 (ko) 인체를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4664409B2 (ja) PAM波形の重ね合わせからM−aryCPM波形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8472501B2 (en) Human body communication apparatus for non-contact communications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method for non-contact communications in the same using frequency selective baseband
US8345735B2 (e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pparatus using frequency selective baseban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O1998035458A1 (en) Method of synchronizing a remote station with a base station in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7885315B2 (en) Pilot scrambling in communications systems
JP4775747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EP2146454A3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constant envelope orthogonal walsh modulation with channelization
US20190326948A1 (en) Apparatus and receiver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in analog spread spectrum systems
KR2002003958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시퀀스 생성장치 및 방법
US10148413B2 (en) Method for synchronising an FBMC system using a RACH channel
US8014483B2 (en) Method of acquiring initial synchronization in impuls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r
WO2008134582A1 (en) System and method using high performance preamble cover sequences for multi-band ofdm two-band hopping modes
WO20120490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hannel removal in multi-channel receivers
KR101576678B1 (ko) 의사 랜덤 코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방법
AU201035262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pseudo-random code
CN108702174B (zh) 用于通信的方法和装置
US8848827B2 (en) Chirp communications using interleaved symbols of varying periods
US20180097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KR100959899B1 (ko) 무선 신호 전송 방법
KR20100120041A (ko) 인체 통신 시스템에서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방법 및 그 인체 통신 시스템
CN110808936B (zh) 一种发送下行信号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