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070B1 -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070B1
KR101867070B1 KR1020160176319A KR20160176319A KR101867070B1 KR 101867070 B1 KR101867070 B1 KR 101867070B1 KR 1020160176319 A KR1020160176319 A KR 1020160176319A KR 20160176319 A KR20160176319 A KR 20160176319A KR 101867070 B1 KR101867070 B1 KR 10186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iler
frame
mounting fram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환
Original Assignee
(주)하늘금빛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금빛특장 filed Critical (주)하늘금빛특장
Priority to KR102016017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 B60D2001/00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s, e.g. tow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무게를 줄여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트레일러의 전체 중량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선택적으로 피 견인차량 전체를 탑재하거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피 견인차량의 중량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소형의 승용차로도 다른 차량을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는, 차량의 차체측과 연결하기 위한 선단프레임과, 상기 선단프레임 후방에 배치되어 제1 내지 제3 횡축에 의해 연결된 제1,2 탑재프레임 및 후미프레임과, 후미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견인바퀴와,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이 제2 횡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제3 횡축을 제1 횡축쪽으로 당기기 위한 절첩구동기구와,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피 견인차량 탑재를 안내하는 판상의 덮개판과, 제3 횡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이 지면에 닿는 사용위치와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탑재안내판과, 제3 횡축에 구비한 중간보조바퀴와, 제2 탑재프레임 후방에 배치되어 피 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승강받침대 및 승강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Trail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엔진 출력이 낮은 소형의 세단 승용차로도 다른 차량을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 견인용 트레일러는 보트를 탑재한 전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승용 차량 중 비교적 엔진 출력이 좋은 레저용 차량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는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전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차량 견인을 전문으로 하는 견인차량으로 견인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의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723644호에 알려진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바퀴를 구비한 프레임과,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어 차량을 적재시키는 적재판과, 트레일러를 견인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재판은 받침판, 2개의 연장판 및 발판으로 분리 구성되어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판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트레일러는 차량 견인을 위한 전용의 트레일러로서 승용 차량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연결한다고 하여도 트레일러의 중량에 더하여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트레일러 전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견인전용 차량보다 엔진 출력이 낮은 일반 승용 차량으로는 견인하기 쉽지 않음은 물론, 견인부하로 인해 견인 주행시 안전사고를 유발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트레일러는 적재판을 받침판, 2개의 연장판 및 발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실린더의 구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판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나, 적재판을 여러 개로 분리된 구성과, 분리된 구성을 지지하고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프레임 등 전체적으로 트레일러의 구성이 복잡하고 자체 중량을 증가시켜 트레일러 견인시 부하를 가중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 출력이 낮은 소형의 승용차에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무게를 줄여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트레일러의 전체 중량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선택적으로 피 견인차량 전체를 탑재하거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피 견인차량의 중량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소형의 승용차로도 다른 차량을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과 트레일러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여 다양한 차종으로 견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연결유닛의 무게와 트레일러 견인시에 차량에 전달되는 부하를 최대한 감소시켜 차량의 주행시 연료소비량을 줄일 수 있고, 견인시 수직하중과 견인력을 최대한 감소시켜 연결유닛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출력이 낮은 소형차로도 무거운 트레일러를 무리 없이 견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연결유닛을 직접 차량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어 피 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측과 연결하기 위한 선단프레임; 상기 선단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횡축; 상기 제1 횡축을 통해 상기 선단프레임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탑재프레임; 상기 제1 탑재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 횡축; 상기 제2 횡축을 통해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탑재프레임; 상기 제2 탑재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3 횡축; 상기 제3 횡축을 통해 상기 제2 탑재프레임과 연결된 후미프레임; 상기 후미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견인바퀴;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이 제2 횡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제3 횡축을 제1 횡축쪽으로 당기기 위한 절첩구동기구;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피 견인차량 탑재를 안내하는 판상의 덮개판; 및 상기 제3 횡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이 지면에 닿는 사용위치와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탑재안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횡축에 중간보조바퀴를 더 구비한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탑재프레임 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하강위치와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되고 피 견인차량의 바퀴를 받쳐지지하는 승강받침대와, 상기 승강받침대를 하강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프레임과 차량 사이에 위치하여 한쪽은 차량의 차체와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선단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선단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 견인브라켓; 상기 차체의 후륜축 하우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견인브라켓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연결유닛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트레일러 견인시 차체에 전달되는 견인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바퀴; 및 상기 축부재에 설치되어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차체연결부로 이루어진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축부재는, 중간에 위치한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 양쪽에 분리형성되어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리축으로 이루어져 보조바퀴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체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의 후륜축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고리를 구비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체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 후방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끼워지는 연결홈과 상기 견인고리가 연결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기구는, 일단이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지지바와, 상기 종방향지지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지지바의 타단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횡방향지지바와, 일단이 상기 횡방향지지바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고리가 구비된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횡방향지지바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지지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탑재안내판은, 제1 안내판과 제2 안내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안내판에는 피 견인차량의 견인시 탑재안내판을 지지하는 지지바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의하면, 차량을 탑재하기 위한 주요구성이 제1 내지 제3 횡축으로 연결한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과 후미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단순화되고 무게가 감소되어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트레일러의 전체 중량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엔진 출력이 높은 견인 전용의 견인차가 아닌 일반 승용차로도 피 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횡축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이 절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짐에 따라 트레일러 전장길이를 줄일수 있어 선택적으로 피 견인차량 전체를 탑재하거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 부분만 탑재할 수 있게 되므로, 피 견인차량의 중량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소형의 승용차로도 다른 차량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일러가 연결유닛을 통해 차량의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닛에는 보조바퀴가 구비됨과 동시에, 차체와 연결유닛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걸림 유지시킨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보조바퀴가 연결유닛의 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트레일러 견인시의 차체에 전달되는 견인부하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시 부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시 연료소비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엔진출력이 낮은 소형의 승용차로도 무거운 트레일러를 무리 없이 견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견인시 수직하중과 견인력을 감소시켜 연결유닛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의 후륜축 하우징 또는 견인고리에 연결유닛의 차체연결부를 걸림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연결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연결유닛을 차체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트레일러를 견인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차체로부터 연결유닛을 분리함으로써 연결장치의 무게가 가중되므로 인한 차량의 연비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서 덮개판 및 탑재안내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서 덮개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서 절첩구동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서 승강받침대 및 승강구동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의한 피 견인차량의 견인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서 탑재안내판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연결유닛으로 차체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견인 상태도.
도 9는 도 8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연결유닛에서 차체연결부의 연결기구에 의한 차체와의 연결상태도.
도 12는 도 9의 연결유닛에서 차체연결부의 연결브라켓에 의한 차체와의 연결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연결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의 (a) 및 (b)는 도 13에 나타낸 연결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일러를 견인차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일러(T)는, 차량의 차체측과 연결하기 위한 선단프레임(10)을 구비한다.
선단프레임(10)은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한쪽은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다른 쪽은 트레일러(T)의 폭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V자 형태로 벌려 배치한 한 쌍의 보강바(11)와, 차체(C) 측에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 선단바(12)로 이루어진다. 보강바(11)의 벌어진 후단에는 횡축방향으로 배치한 제1 횡축(21)이 설치되고, 선단바(12)는 한 쌍의 보강바(11)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C) 측과 트레일러(T)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선단바(12)는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13)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횡축(21)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 탑재프레임(31)의 선단이 연결되어 제1 횡축(21)을 통해 상기 선단프레임(10)과 제1 탑재프레임(3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탑재프레임(31)은 4개의 지지바(31a)를 제1 횡축(21)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되고, 4개의 지지바(31a)는 일단이 제1 횡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프레임(10)과 나란한 수평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도 4의 (b) 참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지지바(31a)는 피 견인차량의 바퀴 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피 견인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에는 덮개판(41)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피 견인차량을 탑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탑재프레임(31)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바(31a) 후단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2 횡축(22)이 설치되고, 제2 횡축(22)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2 탑재프레임(32)의 선단이 연결되어 제2 횡축(22)을 통해 상기 제1 탑재프레임(31)과 제2 탑재프레임(32)이 연결되어 있다.
제2 탑재프레임(32)은 제1 탑재프레임(31)과 마찬가지로 4개의 지지바(32a)를 제2 횡축(32)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되고, 4개의 지지바(32a)는 일단이 제2 횡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탑재프레임(31)과 함께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도 4b 참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지지바(32a)는 피 견인차량의 바퀴 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피 견인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에는 덮개판(42)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피 견인차량을 탑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탑재프레임(32)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바(32a) 후단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3 횡축(23)이 설치되고, 제3 횡축(23)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후미프레임(33)의 선단이 연결되어 제3 횡축(23)을 통해 제2 탑재프레임(32)과 후미프레임(33)이 연결되어 있으며, 후미프레임(33)에는 견인바퀴(40)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한편, 선단프레임(10)에는 제1 탑재프레임(31)과 제2 탑재프레임(32)이 제2 횡축(22)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제3 횡축(23)을 제1 횡축(21)쪽으로 당기기 위한 절첩구동기구(50)가 구비되어 있다.
절첩구동기구(50)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프레임(10)에 윈치(51)를 설치하고, 윈치(51)의 와이어(52) 끝단을 상기 제2 횡축(22)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윈치(51)를 구동하여 제2 횡축(22)을 당기는 것에 의해 도 4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이 절첩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제3 횡축(23)이 제1 횡축(21)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러(T)를 일정길이(L)만큼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윈치(51)의 와이어(52)는 제1 횡축(2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당김유도바(53)의 끝단을 관통하되, 와이어(52)와 당김유도바(53)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도록 관통설치한 것으로, 도 4a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51)를 구동하여 와이어(52)를 당길 때, 처음에는 와이어(52)와의 마찰력에 의해 당김유도바(53)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제2 횡축(22) 쪽의 와이어(52)를 위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도 4b에서와 같이 당김유도바(53)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위치에서는 당김유도바(53)는 정지하여 제 위치에 있고, 와이어(52)만 마찰력을 이기고 당겨짐으로써 제2 횡축(22)을 위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구동기구(50)의 일 예로서, 윈치(51)와 와이어(52)를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고, 그 외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을 절첩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라면 이용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3과 도 7을 참조하면, 제3 횡축(23)에는 지지대(43d)가 고정되고, 이 지지대(43d)에 탑재안내판(4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이 지면에 닿는 사용위치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유지시킨 대기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탑재안내판(43)을 통해 피 견인차량 전체를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 상으로 유도하여 탑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탑재안내판(43)은 제1 안내판(43a)과 제2 안내판(43b)으로 분리 구성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탑재안내판(43)을 수직방향으로 세울 때 제1 안내판(43a)와 제2 안내판(43b)을 절첩하여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제1 안내판(43a)에는 지지바퀴(43c)를 설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안내판(43)을 사용위치로 회전시켜 피 견인차량을 탑재할 때 탑재안내판(4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도 지지바퀴(43c)가 탑재안내판(43)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횡축(23)에 중간보조바퀴(44)를 구비하여 탑재되는 피 견인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고, 중간보조바퀴(44)는 제3 횡축(23)에 고정 설치한 지지브라켓(45)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탑재프레임(31,32) 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하강위치와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되고 피 견인차량(V)의 바퀴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받침대(63)와, 상기 승강받침대(63)를 하강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구(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받침대(63)는 피 견인차량의 바퀴의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의 장방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구동기구(60)는, 승강프레임(61)과 구동실린더(62)로 구성된다.
즉,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기구(60)는 상기 승강프레임(61)을 지지프레임(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일단은 승강받침대(63)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구동실린더(62)는 실린더본체 일단을 중간보조바퀴(44)의 바퀴축(44a)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실린더로드 끝단은 상기 승강프레임(6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전장길이를 줄이고 늘리는 구조가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 제1 내지 제3 횡축(21,22,23), 절첩구동기구(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절첩구동기구(50)의 윈치(51)를 구동하여 와이어(52)를 당기게 되면, 당김유도바(53)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5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므로, 제2 횡축(22)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절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3 횡축(23)이 제1 횡축(21)쪽으로 이동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트레일러(T)의 전장길이를 당겨진 만큼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윈치(51)의 와이어(52)를 풀면, 제3 횡축(23)을 제1 횡축(21)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다시 트레일러(T)의 전장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T)의 전장길이를 줄이고 늘리는 구조가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 제1 내지 제3 횡축(21,22,23), 절첩구동기구(50)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트레일러(T)의 전체 구성을 단순화하여 트레일러(T) 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피 견인차량을 탑재한 트레일러(T)의 전체 중량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소형 차량으로도 트레일러(T)에 피 견인차량을 탑재하여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트레일러(T)의 길이를 짧게 하면, 피 견인차량을 탑재하지 않고 트레일러(T)를 차량에 연결하여 주행할 때 편리하고, 도 4a 및 도 6의 (a)에서와 같이 트레일러(T)의 길이를 길게 하면, 트레일러(T)에 피 견인차량(V) 전체를 탑재하여 견인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T) 후방에 구비된 승강받침대(63)와 승강구동기구(60)에 의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 승강받침대(63) 상에 피 견인차량의 바퀴를 올려놓고, 승강구동기구(60)의 구동실린더(62)를 동작시켜 실리더로드를 후진시키면, 승강프레임(61)이 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에서와 같이 승강받침대(63)를 들어올리게 되므로, 도 6의 (b)에서와 같이 피 견인차량(V)의 바퀴를 들어올려 견인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구동실린더(62)의 실린더로드를 전진 시키면, 승강프레임(61)이 하강하여 승강받침대(63)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피 견인차량(V)을 하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받침대(63)와 승강구동기구(60)를 이용하여 도 6의 (b)에서와 같이 피 견인차량(V)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을 탑재하여 견인할 수 있고,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탑재안내판(43)의 제1 및 제2 안내판(43a,43b)을 펼쳐 사용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안내판(43b)의 끝단을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로써 탑재안내판(43)을 이용하여 도 6의 (a)에서와 같이 피 견인차량(V) 전체를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31,32) 상에 탑재할 수 있게 되므로, 소형 차량으로 피 견인차량(V)을 견인할 경우, 무거운 차량은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 탑재하여 견인하고 가벼운 차량은 전체를 견인할 수 있어 피 견인차량(V)의 중량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일러(T)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를 레저용 차량 또는 세단 차량 등 다양한 차량의 차체(C)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100)을 구비한다.
연결유닛(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견인브라켓(110)과, 수평의 횡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견인브라켓(110)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축부재(120)와, 축부재(120)의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연결유닛(100)의 자체무게를 지탱하고, 트레일러(T)의 견인시 차체(C)에 전달되는 견인부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견인시 수직하중과 견인력을 감소시켜 연결유닛(10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바퀴(130)를 구비한다.
견인브라켓(110)에는 연결구(111)가 구비되어 트레일러(T)의 선단프레임(10)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연결구(111)는 '견인볼'이라 불리우는 공지의 견인용 연결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브라켓(110)의 높이조절은, 축부재(12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구멍(17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70)을 고정하고, 상기 견인브라켓(110)에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구멍(171)과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고정구멍(112)을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축부재(120)는 양쪽 보조바퀴(13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에 위치한 메인축(121)과, 상기 메인축(121) 양쪽에 분리형성되어 보조바퀴(130)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리축(122,123)으로 구성되어 보조바퀴(13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분리축(122,123)을 메인축(121)에 삽입하여 양쪽 보조바퀴(13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124)에 의해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유닛(100)은 축부재(120)에 설치되어 차체(C)와 연결하기 위한 차체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연결부(140)는, 차체(C)에 구비된 후륜축 하우징(C1)(도 10 참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150)와, 차체(C)에 구비된 견인고리(C2)(도 11 참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160)을 구비한다.
연결기구(150)는, 일측이 상기 축부재(1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과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고리(15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151)는 전후, 좌우, 상하로 조절가능하게 되어 여러 차종에 따라 위치가 다르게 설정된 후륜축 하우징(C1)에 대응하여 걸림고리(15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기구(150)는 일단이 상기 축부재(120)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1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지지바(152)를 구비한다. 상기 종방향지지바(152)의 높이조절은, 축부재(120)의 고정브라켓(17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구멍(172)을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지지바(152)의 일단에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구멍(152)과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고정구멍(152a)을 형성하여 높이가 조절된 위치에서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으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종방향지지바(152)의 타단은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횡방향지지바(153)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종방향지지바(152)는 2단으로 분리형성하여 횡방향지지바(153)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152b)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횡방향지지바(153)에는 한 쌍의 연결바(154)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연결바(154) 일단은 횡방향지지바(153)에 횡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과 연결하기 위한 걸림고리(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바(154)도 2단으로 분리형성하여 걸림고리(151)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154a)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고리(1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이 개방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에 걸림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걸림고리(151)의 개방부분 일끝단에는 개방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위치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탈방지편(151a)을 구비하며, 이탈방지편(151a)이 폐쇄위치에서 걸림고리(151)가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횡방향지지바(153)에는 차체(C)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받침부재(15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155)의 형상을 'U'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체(C)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부분의 형상에 따라 변경가능하며, 'U'자 형상의 받침부재(155)일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체(C)의 지지부분 형상에 따라 받침부재(155)의 양쪽 지지날개의 폭을 조절가능하게 하여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155)와 횡방향지지바(153) 사이에는 2단 구조의 수직방향지지바(156)가 설치되어 받침부재(15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156a)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지지바(156)와 횡방향지지바(153)의 연결부분은 횡방향지지바(153)에 대하여 수직방향지지바(156)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양쪽 받침부재(155)의 폭방향 간격을 차종의 받침부분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차체(C)에 구비된 견인고리(C2)에 연결하기 위한 차체연결부(140)의 연결브라켓(160)은, 일측이 축부재(1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C) 후방에 구비된 견인고리(C2)(도 12 참조)에 끼워지는 연결홈(161)과 상기 견인고리(C2)가 연결홈(16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볼트(163)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62)을 형성하고 있으며, 연결브라켓(160)의 높이조절은, 축부재(120)의 고정브라켓(170)에 고정구멍(171)과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구멍(173)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브라켓(160)의 일단에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구멍(173)과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고정구멍(164)을 형성하여 조절된 위치에서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체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유닛(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유닛(100)은 차량의 차체(C)와 트레일러(T) 사이에 배치되어 차체연결부(140)는 차체(C)와 연결하고 견인브라켓(110)은 연결구(111)로 트레일러(T)의 선단프레임(10)과 연결함으로써 차량으로 트레일러(T)를 견인할 수 있다.
이때 차체(C)와 연결유닛(100)의 차체연결부(140)를 연결함에 있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구(150)의 연결바(154)에 구비된 걸림고리(151)를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에 걸림유지시키고, 이탈방지편(151a)으로 걸림고리(151)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는 작업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차체(C)와 연결유닛(10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걸림고리(151)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연결유닛(100)의 하중이 차체(C)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연결부(140)는 차체(C)의 견인고리(C2)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브라켓(160)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브라켓(160)의 연결구조도 연결홈(161)을 견인고리(C2)에 끼운 후, 관통구멍(162)에 볼트(163)를 끼워 너트로 체결하는 작업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걸림고리(15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체(C)와 연결유닛(10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볼트(163)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연결유닛(100)의 하중이 차체(C)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연결유닛(100)은 보조바퀴(130)를 구비한 것이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연결유닛(100)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견인된 트레일러(T)의 부하가 차체(C)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트레일러(T)를 견인하여 주행할 때 소비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견인시 수직하중과 견인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유닛(10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견인 부하가 감소되는 것에 의해 트레일러(T)에 보트보다 더 무거운 차량을 싣고 견인할 수도 있고, 출력이 낮은 소형차로도 트레일러(T)에 보트나 다른 차량을 싣고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차체(C)의 후륜축 하우징(C1) 또는 견인고리(C2)에 연결유닛(100)의 차체연결부(140)를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트레일러(T)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차체(C)로부터 연결유닛(100)를 분리할 수 있고, 이로써 종래에 연결유닛의 무게가 가중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차량의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일러 연결유닛(100)은, 차체(C)와 연결하기 위한 차체연결부(140)의 걸림고리(151) 위치를 전후, 좌우, 상하로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고, 걸림고리(151)와 연결브라켓(160)을 통해 이중으로 차체(C)에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걸림고리(151) 또는 연결브라켓(160)중 어느 하나만으로 차체(C)와 연결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C)의 견인고리(C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160) 대신 다른 형태의 연결브라켓(180)을 고정브라켓(170)에 고정하게 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연결장치(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연결장치(200)는 차체(3)에 고정되는 연결본체(210)와, 상기 연결본체(210)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본체(220)로 이루어지고, 견인본체(220)에는 트레일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30)가 구비되며, 견인본체(220)의 길이조절구조는, 연결본체(210)에 형성된 사각구멍에 견인본체(220)의 사각기둥(221)을 삽입하여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나사 등의 고정부재(230)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연결브라켓(180)에 사각기둥(181)을 형성하여 연결본체(210)의 사각구멍에 삽입하게 되면, 본 발명의 연결장치(100)를 차량(3)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연결장치(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기존의 연결장치(20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 및 견인력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연결장치(200)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일러(T)를 견인차(R)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선단프레임(10)을 제거하고 제1 탑재프레임(31)을 견인차(R)의 후단에 고정하며, 절첩구동기구(50)의 윈치(51)는 견인차(R)의 후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나, 선단프레임(10)을 제거하지 않고 트레일러(T) 전체를 견인차(R) 후단에 고정하여도 본 발명의 트레일러(T)를 견인차(R)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선단프레임 21,22,23 : 제1 내지 제3 횡축
31,32 : 제1 및 제2 탑재프레임 33 : 후미프레임
40 : 견인바퀴 41,42 : 덮개판
43 : 탑재안내판 44 : 중간보조바퀴
50 : 절첩구동기구 60 : 승강구동기구
61 : 승강프레임 63 : 승강받침대
100 : 연결유닛 110 : 견인브라켓
120 : 축부재 121 : 메인축
122,123 : 제1 및 제2 분리축 130 : 보조바퀴
140 : 차체연결부 150 : 연결기구
151 : 걸림고리 152 : 종방향지지바
153 : 횡방향지지바 154 : 연결바
155 : 받침부재 160,180 : 연결브라켓
161 : 연결홈 162 : 관통구멍
163 : 볼트 C : 차체
C1 : 후륜축 하우징 C2 : 견인고리
T : 트레일러 T1 : 연결부
V : 피 견인차량

Claims (9)

  1.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어 피 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측과 연결하기 위한 선단프레임;
    상기 선단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1 횡축;
    상기 제1 횡축을 통해 상기 선단프레임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탑재프레임;
    상기 제1 탑재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 횡축;
    상기 제2 횡축을 통해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탑재프레임;
    상기 제2 탑재프레임 후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3 횡축;
    상기 제3 횡축을 통해 상기 제2 탑재프레임과 연결된 후미프레임;
    상기 후미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견인바퀴;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이 제2 횡축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제3 횡축을 제1 횡축쪽으로 당기기 위한 절첩구동기구;
    상기 제1 탑재프레임과 제2 탑재프레임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피 견인차량 탑재를 안내하는 판상의 덮개판; 및
    상기 제3 횡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이 지면에 닿는 사용위치와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된 탑재안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횡축에 중간보조바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프레임 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하강위치와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되고 피 견인차량의 바퀴를 받쳐지지하는 승강받침대와, 상기 승강받침대를 하강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프레임과 차량 사이에 위치하여 한쪽은 차량의 차체와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선단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트레일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구비된 견인브라켓;
    상기 차체의 후륜축 하우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견인브라켓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연결장치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트레일러 견인시 차체에 전달되는 견인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바퀴; 및
    상기 축부재에 설치되어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차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중간에 위치한 메인축과, 상기 메인축 양쪽에 분리형성되어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분리축으로 이루어져 보조바퀴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의 후륜축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고리를 구비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차체 후방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끼워지는 연결홈과 상기 견인고리가 연결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일단이 상기 축부재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지지바와, 상기 종방향지지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지지바의 타단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횡방향지지바와, 일단이 상기 횡방향지지바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고리가 구비된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횡방향지지바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의 하부를 받쳐지지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안내판은, 제1 안내판과 제2 안내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안내판에는 피 견인차량의 견인시 탑재안내판을 지지하는 지지바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KR1020160176319A 2016-12-22 2016-12-22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KR10186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19A KR101867070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19A KR101867070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070B1 true KR101867070B1 (ko) 2018-06-20

Family

ID=6276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319A KR101867070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0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831A (zh) * 2018-10-11 2019-01-0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转运轮胎的小车
CN109199268A (zh) * 2018-10-09 2019-01-15 中山市景驰清洁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式洗地机
CN109435815A (zh) * 2018-12-21 2019-03-08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跑车专用的拖车
CN113865837A (zh) * 2020-06-12 2021-12-3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挂车牵引测试装置
CN114987312A (zh) * 2022-06-08 2022-09-02 深圳市大为弘德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基于震动辅助下料的渣土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44B1 (ko) * 2006-04-26 2007-05-31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44B1 (ko) * 2006-04-26 2007-05-31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268A (zh) * 2018-10-09 2019-01-15 中山市景驰清洁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式洗地机
CN109199268B (zh) * 2018-10-09 2024-02-09 中山市景驰清洁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式洗地机
CN109159831A (zh) * 2018-10-11 2019-01-0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转运轮胎的小车
CN109159831B (zh) * 2018-10-11 2023-08-25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转运轮胎的小车
CN109435815A (zh) * 2018-12-21 2019-03-08 山东新活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跑车专用的拖车
CN113865837A (zh) * 2020-06-12 2021-12-3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挂车牵引测试装置
CN113865837B (zh) * 2020-06-12 2023-11-0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挂车牵引测试装置
CN114987312A (zh) * 2022-06-08 2022-09-02 深圳市大为弘德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基于震动辅助下料的渣土车
CN114987312B (zh) * 2022-06-08 2024-02-02 深圳市大为弘德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基于震动辅助下料的渣土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070B1 (ko)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US8376684B2 (en) Loader and carrier apparatus
US6988351B2 (en) Midmount mower apparatus with raiseable and accessible mower deck
US8360462B2 (en) Folding trailer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US4068772A (en) Dual load trailer
US20100207355A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US5013209A (en) Wheel lift towing dolly
US4589814A (en) Boat and car trailer
US11130436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20100213429A1 (en) Jack assembly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CA2635886C (en) Ground level loading trailer
US4815915A (en) Under-vehicle towing apparatus
EP0089614A2 (en) Bumper mounted hoist and movable hitch
US3908842A (en) Tow truck
US4946332A (en) Convertible boat and vehicle trailer
US11021349B2 (en) Utility vehicle having collapsible game hanger apparatus
US4483549A (en) Vehicle towing trailer
CA2707471A1 (en) Method for mounting a forklift to a vehicle
US6382898B2 (en) Boat 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vehicles
US3536353A (en) Industrial lift trucks
US4103799A (en) Multi-purpose working vehicle
US5653566A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 boat trailer and boat onto a vehicle
US11565559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3915320A (en) Tow truck lift h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