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564B1 -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564B1
KR101865564B1 KR1020180032690A KR20180032690A KR101865564B1 KR 101865564 B1 KR101865564 B1 KR 101865564B1 KR 1020180032690 A KR1020180032690 A KR 1020180032690A KR 20180032690 A KR20180032690 A KR 20180032690A KR 101865564 B1 KR101865564 B1 KR 10186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utton
dowel
booth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태
Original Assignee
황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태 filed Critical 황은태
Priority to KR102018003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564B1/ko
Priority to US16/978,431 priority patent/US11486157B2/en
Priority to EP19771097.3A priority patent/EP3770359B1/en
Priority to CN201980018178.XA priority patent/CN111836938B/zh
Priority to PCT/KR2019/002934 priority patent/WO20191822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the action of one or more springs or resilient retai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4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thre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2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resilient connectors, e.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프레임; 본체다보(10); 상기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다보(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11, 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 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Exhibition booth module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본 발명은, 다보의 버튼을 한번 눌렀다 놓음으로써 패널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용 부스는 각종 행사, 전시, 학회, 박람회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부스의 외면에 문자나 도형이 새겨진 광고패널을 부착하여 사용된다.
전시용 부스는 목재, 강재 등으로 현장에서 구조물을 제작하여 설치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부스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기도 한다.
전시용 부스모듈에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보를 사용하게 된다.
다보는 일반적으로 옷장, 책장, 선반 등 각종 가구를 조립할 때, 광고판, 패널 등을 특정 구조물이나 벽에 부착할 때, 전시장의 부스를 제작할 때, 액자를 만들 때, 액자를 벽에 걸 때 등에 사용한다.
전시장에서 부스모듈을 사용하여 부스를 제작하고 다보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패널을 부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다보와 부스모듈에 패널을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인데, 도 1에는 다보몸통(200)이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부스모듈(900)이 나타나 있으며, 도 3, 4에는 다보몸통(200)과 다보캡(100)을 사용하여 부스모듈에 패널(500)을 부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부스모듈(900)에는, 직각 모서리 안쪽에 직각브라켓(800)이 체결되어 있고, 도 2의 부스모듈(900)들을 볼트, 너트로 서로 체결하여 부스를 제작하고, 부스모듈의 정면에 있는 직각브라켓(800)의 나사구멍에 다보몸통(200)의 나사를 결합한 후, 도 3, 4와 같이 패널(500)과 다보캡(100)을 하나하나 체결하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종래의 부스모듈과 전시용 부스의 전체적인 설치과정을 담은 사진이다.
종래에는, 부스모듈에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 부스모듈(900)의 모서리 안쪽에 직각브라켓(800)을 체결하고, 직각브라켓의 나사구멍에 다보몸통(200)을 하나하나 돌려가며 나사결합을 하고, 패널(500)을 끼운 후, 다보캡(100)을 하나하나 돌려서 체결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부스는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패널을 하나하나 체결하게 되는 구조인데, 다보를 하나 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패널을 설치해야 하는 부스가 많을 경우에는 생산성과 업무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전시장, 박람회의 부스를 만들기 위해 수천, 수만개 이상의 다보를 일일이 사람이 손으로 돌려가면서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패널 하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설치와 해체가 단시간에 이루어져야 할 경우, 좁은 공간에서 많은 사람을 필요로 하게 되어 설치비용과 해체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설치와 해체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피로도와 혼잡도가 가중되어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었다(전시장의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의 수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블록부스는 패널이 단순히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거나 약간의 충격이 있을 경우, 다보와 패널의 분실 위험이 있었고, 다보로 고정되는 패널이나 광고판이 규모가 큰 경우에는 패널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92551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원터치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보의 분실이 방지되는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시용 부스를 만드는 전시용 부스모듈에 있어서, 상기 부스모듈은, 프레임; 본체다보(10); 상기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다보(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11, 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 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시용 부스를 만드는 전시용 부스모듈에 있어서, 상기 부스모듈은, 프레임; 본체다보(10); 상기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다보(20) 및 캡다보(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다보(20)는, 볼트삽입구(221)가 형성된 몸체(22), 상기 몸체(2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2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21), 상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2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24)을 포함하며, 상기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11, 21, 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221, 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 211, 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을 제공한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볼트삽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볼트관통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핀홀과 상기 장공의 일부가 연통되어 있어, 핀이 상기 핀홀과 상기 장공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볼트관통구의 내면 중 일부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본체다보(10)의 몸체(12)는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주변으로 볼트머리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버튼에서 스프링과 맞닿는 일단에는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시용 부스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볼트(40)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전시용 부스모듈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패널(500)을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우는 단계; 상기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중간다보(20)의 버튼(2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중간다보(20)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우는 단계; 상기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위 두 가지 형태의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에는 상기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들을 서로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보의 버튼을 한번 눌러서 볼트에 끼우면 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시용 부스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시간이 획기적으로 절약된다.
둘째, 설치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설치에 소요되는 인원이 줄어들게 되어 인건비가 대폭 절감된다. 전시회에서 부스를 설치하는 경우, 간단한 2부스는 3명이 약 2시간 소요되고, 복잡한 형태의 2부스는 5명이 2~3시간 소요되는데, 본 발명의 부스모듈을 사용할 경우, 간단한 2부스는 2명이 40~50분이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2부스는 3명이 1시간 정도면 가능해진다.
셋째, 설치만 간편한 것이 아니라, 해체도 빠르고 간단하여 신속한 설치와 해체를 필요로 하는 전시회 등에 매우 적합하다.
넷째, 수시간 내에 설치 또는 해체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인원을 투입할 수 있는 인원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큰 비용을 들여 작업자를 많이 고용한다고 해도 수시간 내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급하게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극심하게 증가되는데, 본 발명의 부스모듈과 설치방법은 그 설치와 해체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므로, 좁은 공간이 허용하는 최소한의 인원 만으로도 수시간 내 설치와 해체가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감소되어 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
다섯째, 스프링이 버튼을 계속 밀고 있고, 결국 버튼의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관통구의 내면이 볼트를 계속 밀고 있으므로, 나사결합의 결합력이 느슨해지지 않아 패널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아울러, 다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 패널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육각볼트 뿐만 아니라 무두볼트 등 나사산만 형성되어 있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므로 현장 적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일곱째, 원터치 다보 세트가 구비된 부스모듈을 통해, 전시용 부스를 쉽게 설치하고, 해체하여 언제든지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의 재활용과 자원절약에 도움이 된다.
여덟째, 볼트머리가 있는 볼트를 사용할 때,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여 볼트머리홈이 걸림턱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오랜 사용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이 약해지더라도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려 있게 되어 볼트(40)가 쉽게 빠지지 않고, 특히, 전시용 부스의 천정 쪽에서 볼트머리를 위로 하고, 볼트몸체를 아래로 하는 방향(연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볼트(40)를 설치하는 경우,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려서 안착되어 있어 볼트가 아래로 빠지지 않으므로, 견고한 전시용 부스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다보몸통(200)의 모습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부스모듈(700)의 모습이다.
도 3, 4는 종래기술에서 부스모듈에 패널이 체결된 모습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몸체(12)의 배면을 나타낸 본체다보(10)의 모습이다.
도 7, 8은 본 발명의 몸체(12)의 정면을 나타낸 본체다보(10)의 모습이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버튼(11, 21, 31)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중간다보(20)의 모습이다.
도 13, 14는 본 발명의 캡다보(30)의 모습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를 볼트에 체결하는 모습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본체다보(10)에 볼트(40)가 체결된 모습이다.
도 17, 18은 본 발명의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와 패널이 설치된 모습이다.
도 19는 부스모듈에 본체다보(10)가 부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20은 부스모듈에 패널(500)이 설치되어 있는 배면의 모습이다.
도 21은 부스모듈에 패널(500)이 설치되어 있는 확대도이다.
도 22, 23, 24는 종래의 부스모듈과 다보를 사용한 전시용 부스의 제작 과정을 담은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볼트와 체결되어 패널(50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원터치 다보와 원터치 다보 세트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원터치 다보가 부스모듈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와 전시용 부스를 설치하는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터치 다보 세트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5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를 포함한다.
본체다보(10)는 볼트(40)의 머리가 있는 쪽에 결합되고, 중간다보(20)는 본체다보와 캡다보(30)의 사이에서 볼트의 길이에 따라 추가로 사용되어지며, 캡다보(30)는 패널(500)을 체결하는 마무리 다보로 사용된다.
도 15를 보면, 본체다보(10)에 먼저 볼트(40)가 체결되고, 그다음 중간다보(20)가 체결되며, 마무리로 캡다보(30)가 체결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17, 18을 보면, 본체다보(10)와 중간다보(20)가 연속적으로 볼트(40)에 체결되어 있고, 그 다음 패널(500)이 끼워진 후, 캡다보(30)로 마무리 체결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때 본체다보(10)는 패널(500)을 부착하고자 하는 부스모듈이나 프레임에 미리 용접이나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진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의 형상은 부착되어지는 부스모듈이나 프레임의 조건에 맞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원터치로 볼트와 체결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는 볼트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명명되어진 것이고, 볼트와 체결되는 기본원리는 모두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따라서 먼저 본체다보(10)의 작동구조에 대해 설명한 후, 동일한 부분을 참조하여 중간다보(20)와 캡다보(30)에 대해서도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다보(10)는 도 5 내지 도 8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1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관통구(111)의 내면 중 스프링(1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2)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와 나란한 방향으로 핀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11)에는 상기 볼트관통구(1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핀홀(122)과 상기 장공(113)의 일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핀홀(122)과 상기 장공(113)에는 핀(13)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11)에서 스프링(14)이 접하는 부분에는 스프링홈(114)이 형성되어 스프링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버튼(11)의 볼트관통구(111)의 내면 중 스프링(1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버튼(11)에 힘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나사산(112)이 몸체(12)의 볼트삽입구(121) 안쪽에 위치해 있고, 버튼(11)이 외부로 많이 돌출되어 있다(도 6a).
버튼(11)은 장공(113)의 길이만큼, 버튼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데,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몸체(12)의 외부 돌출된 부분 쪽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고(도 6a), 이때 버튼(11)은 장공(113)에 핀(13)이 꽂혀 있으므로 더 이상 외부쪽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F방향으로 버튼(11)을 몸체(12) 쪽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버튼(11)이 몸체(12)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나사산(112)이 스프링(14)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몸체(12)의 볼트삽입구(121)는 빈공간이 된다.
작업자가 다시 버튼에 가한 힘을 빼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버튼은 도 6a처럼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제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고자 할 때, 도 6b의 F방향으로 버튼(11)을 누르게 되면 → 스프링이 압축되고 → 몸체(12)의 볼트삽입구(121) 안쪽에 위치해 있던 나사산(112)이 스프링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몸체(12)의 볼트삽입구(121)에는 걸리는 것이 없게 되고 → 몸체(12)의 볼트삽입구(121)에 볼트(40)를 완전히 끼워 넣은 후(나사산이 없어졌기 때문에 볼트가 쉽게 삽입된다) → 누르고 있던 버튼(11)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업자가 누르던 힘의 반대방향으로 버튼(11)이 이동하게 되고, →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나사산(112)이 볼트(40)의 나사산을 항상 누르게 되어 견고하게 체결된다.
몸체(12)의 배면에는 볼트머리홈(124)을 형성했기 때문에(도 5, 6 참조) 볼트(40)의 머리는 상기 볼트머리홈에 안착하게 된다.
도 16에는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중간다보(20)가 도시되어 있다.
중간다보(20)는 볼트삽입구(221)가 형성된 몸체(22), 상기 몸체(2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2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21), 상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2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2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2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2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관통구(211)의 내면 중 스프링(2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2)에는 상기 볼트삽입구(221)와 나란한 방향으로 핀홀(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21)에는 상기 볼트관통구(2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222)과 상기 장공(213)의 일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핀홀(222)과 상기 장공(213)에는 핀(23)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21)의 볼트관통구(211)의 내면 중 스프링(2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캡다보(30)가 도시되어 있다.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볼트관통구(311)의 내면 중 스프링(3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2)에는 상기 볼트삽입구(321)와 나란한 방향으로 핀홀(3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31)에는 상기 볼트관통구(3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3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322)과 상기 장공(313)의 일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핀홀(322)과 상기 장공(313)에는 핀(33)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31)의 볼트관통구(311)의 내면 중 스프링(34) 쪽 내면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다보(20)와 캡다보(30)의 차이로는 중간다보(20)는 볼트삽입구(221)가 위아래로 관통되어 있는 반면, 캡다보(30)의 볼트삽입구(321)는 관통되어 있지 않다. 캡다보(30)는 패널을 설치하고 마무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볼트를 가려야 하기 때문이다.
중간다보(20)와 캡다보(30)의 볼트 체결 원리는 위에서 설명한 본체다보와 동일한 원리로 볼트와 체결되게 된다.
본체다보(10)의 몸체는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에는 상기 볼트삽입구 주변으로 볼트머리홈(124)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머리가 있는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할 때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안착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리는 구조를 형성하여 볼트머리홈이 걸림턱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오랜 사용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이 약해지더라도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려 있게 되어 볼트(40)가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시용 부스의 천정 쪽에서는 볼트머리를 위로 하고, 볼트몸체를 아래로 하는 방향(연직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볼트(40)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볼트머리가 볼트머리홈에 걸려서 안착되어 있으므로 절대 볼트가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15, 도 17 및 도 18에서는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및 캡다보(30)가 하나의 세트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볼트(40)가 짧은 경우 또는 패널이나 광고판이 두꺼운 경우에는 중간다보를 생략하고 설치할 수도 있고, 볼트가 긴 경우 또는 패널이나 광고판을 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고자 할 때에는 중간다보(20)를 2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시용 부스모듈(7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금속파이프로 만든 프레임, 본체다보(10),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다보(30)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전시용 부스모듈(7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금속파이프로 만든 프레임, 본체다보(10),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다보(20) 및 캡다보(30)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볼트(40)가 짧은 경우 또는 패널이나 광고판이 두꺼운 경우에는 중간다보가 없는 전시용 부스모듈이 될 수 있고, 볼트가 긴 경우 또는 패널이나 광고판을 구조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고자 할 때에는 중간다보(20)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모듈이 될 수도 있다.
위 두가지의 전시용 부스모듈 모두 일단 프레임에 본체다보(10)를 부착시켜야 하는데, 프레임에 용접으로 접합할 수도 있고,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프레임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나 금속 각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프레임의 전체적인 구조나 형상은 최종적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전시용 부스의 구조나 형상에 맞도록 제작하게 된다.
도 19, 20에는 정육면체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전시용 부스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직육면체 구조나 곡선형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중간다보가 없는 형태의 전시용 부스는,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을 준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들을 서로 체결하고, →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고, →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운 다음, →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중간다보가 있는 형태의 전시용 부스는,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을 준비하여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들을 서로 체결하고, →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고, → 중간다보(20)의 버튼(21)을 누르고, 볼트(40)에 중간다보(20)를 체결하고, → 상기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운 다음, → 상기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따라서 프레임과 「본체다보(10), 중간다보(20), 캡다보(30), 볼트(40)」를 포함하는 것 또는 프레임과 「본체다보(10), 캡다보(30), 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이 전시용 부스모튤이 되고, 복수 개의 전시용 부스모튤에 패널(500)을 설치한 것이 전시용 부스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다보 11. 버튼
111. 볼트관통구 112. 나사산
113. 장공 114. 스프링홈
12. 몸체 121. 볼트삽입구
122. 핀홀 123. 버튼설치구
124. 볼트머리홈 13. 핀
14. 스프링
20. 중간다보 21. 버튼
211. 볼트관통구 212. 나사산
213. 장공 214. 스프링홈
22. 몸체 221. 볼트삽입구
222. 핀홀 223. 버튼설치구
23. 핀 24. 스프링
30. 캡다보 31. 버튼
311. 볼트관통구 312. 나사산
313. 장공 314. 스프링홈
32. 몸체 321. 볼트삽입구
322. 핀홀 323. 버튼설치구
33. 핀 34. 스프링
40. 볼트 500. 패널
700. 부스모듈
100. 다보캡 200. 다보몸통
800. 직각브라켓 900. 부스모듈(종래)

Claims (10)

  1. 전시용 부스를 만드는 전시용 부스모듈에 있어서, 상기 부스모듈은,
    프레임;
    본체다보(10);
    상기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다보(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11, 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 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2. 전시용 부스를 만드는 전시용 부스모듈에 있어서, 상기 부스모듈은,
    프레임;
    본체다보(10);
    상기 본체다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40);
    상기 볼트(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다보(20) 및 캡다보(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다보(10)는, 볼트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2),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1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11),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다보(20)는, 볼트삽입구(221)가 형성된 몸체(22), 상기 몸체(2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2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21), 상기 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2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24)을 포함하며,
    상기 캡다보(30)는, 볼트삽입구(321)가 형성된 몸체(32), 상기 몸체(32)에 형성된 버튼설치구(323)를 통해 몸체에 그 일부가 삽입설치되는 버튼(31),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1)의 일단을 미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하되,
    상기 버튼(11, 21, 31)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221, 321)와 연통되는 볼트관통구(111, 211, 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볼트삽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볼트관통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핀홀과 상기 장공의 일부가 연통되어 있어, 핀이 상기 핀홀과 상기 장공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관통구의 내면 중 일부에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다보(10)의 몸체(12)는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에는 상기 볼트삽입구(121) 주변으로 볼트머리홈(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서 스프링과 맞닿는 일단에는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의 전시용 부스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볼트(40)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전시용 부스모듈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패널(500)을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8. a) 제1항의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우는 단계;
    d) 상기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
  9. a’) 제2항의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본체다보(10)의 버튼(11)을 누르고, 본체다보(10)에 볼트(40)를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중간다보(20)의 버튼(2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중간다보(20)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볼트(40)에 패널(500)의 구멍을 끼우는 단계;
    d’) 상기 캡다보(30)의 버튼(31)을 누르고, 상기 볼트(40)에 캡다보(3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모듈(700)을 복수 개 준비하는 단계에는 상기 복수 개의 부스모듈(700)들을 서로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방법.



KR1020180032690A 2018-03-21 2018-03-21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KR10186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90A KR101865564B1 (ko) 2018-03-21 2018-03-21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US16/978,431 US11486157B2 (en) 2018-03-21 2019-03-14 Booth module for exhibition, booth for exhibi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EP19771097.3A EP3770359B1 (en) 2018-03-21 2019-03-14 Booth module for exhibition, booth for exhibi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CN201980018178.XA CN111836938B (zh) 2018-03-21 2019-03-14 展示用展位模块、展示用展位及其安装方法
PCT/KR2019/002934 WO2019182286A1 (ko) 2018-03-21 2019-03-14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90A KR101865564B1 (ko) 2018-03-21 2018-03-21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564B1 true KR101865564B1 (ko) 2018-06-08

Family

ID=6260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90A KR101865564B1 (ko) 2018-03-21 2018-03-21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86157B2 (ko)
EP (1) EP3770359B1 (ko)
KR (1) KR101865564B1 (ko)
CN (1) CN111836938B (ko)
WO (1) WO20191822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51B1 (ko) 2012-04-06 2012-10-17 (주)다원공간 프로파일 및 마감재 결속 시스템
KR20130004564U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토인애드 조립식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4273A1 (de) * 1976-05-29 1977-12-08 Warth Fa Erwin Klemmvorrichtung zur loesbaren verbindung von mindestens zwei gestellbauteilen miteinander
US4142809A (en) * 1978-05-17 1979-03-06 Shell Irving W Connector assembly
US4558713A (en) * 1982-10-29 1985-12-17 American Canvas Company Frame system and connectors for portable shelters
US4970841A (en) * 1985-06-10 1990-11-20 Nomadic Structures, Inc. Universal building system
US4776721A (en) * 1985-09-13 1988-10-11 Interlock Structures International, Inc. Connecting apparatus
FR2600726B2 (fr) * 1986-04-11 1988-11-10 Chenel Guy Dispositif d'assemblage d'ossature de stand pour exposition temporaire.
SE460387B (sv) * 1988-01-27 1989-10-02 Ahlberg & Co Ab Displaysystem
KR920005374Y1 (ko) * 1988-11-07 1992-08-08 형남식 가구용 문의 괘정구
US4954032A (en) * 1989-11-13 1990-09-04 Windfred M. Berg, Inc. Anti-backlash nut
DE8913643U1 (ko) * 1989-11-18 1990-02-15 Zillgen, Joachim, 5000 Koeln, De
KR920006537Y1 (ko) 1990-08-08 1992-09-19 삼화기연 주식회사 과부하 계전기
US5302039A (en) * 1992-08-11 1994-04-12 Omholt Bruce D Panel coupler
GB9411313D0 (en) * 1994-06-07 1994-07-27 Hedley Purvis Ltd Improved reaction nut
US5560502A (en) * 1994-12-02 1996-10-01 Hsiung; Yu-Kuang Collapsible closet frame structure
US5785480A (en) * 1995-03-16 1998-07-28 Difeo; Mark J. Adjustable nut
US5680737A (en) * 1996-02-16 1997-10-28 Sheipline; Gary D. Structural connector hub for exhibit booths
US5779418A (en) * 1997-02-10 1998-07-14 Ying-Che; Lin Quick-setting nut
BR9811297A (pt) * 1997-07-29 2000-08-29 Intex Exhibits International L Sistema de exposição portátil e botão de engate para a montagem removìvel de um componente no outro
US6370803B1 (en) * 1999-12-07 2002-04-16 Visionquest Display Banner stand having swivel connector and methods
US6829869B1 (en) * 2002-02-15 2004-12-14 Skyline Displays, Inc. Channel bar with spring loaded hub connector for a display framework
KR20040003872A (ko) * 2002-07-04 2004-01-13 (주)고두이미지네이션 나사결합구 및 그 체결공구
US7610727B2 (en) * 2002-09-20 2009-11-03 Boothseal Llc Securable cover apparatus for trade show booths
US7461485B2 (en) * 2002-09-20 2008-12-09 Dario Toledo Securable cover apparatus for trade show booths
KR20080060276A (ko) * 2005-10-07 2008-07-01 오라바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반응형 구조적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체
CN201286533Y (zh) * 2008-10-23 2009-08-12 张晓东 便携式展览器械
KR200458697Y1 (ko) 2009-04-27 2012-03-07 주식회사 삼호산업 전시 부스용 프레임 구조물
US7874090B2 (en) * 2009-05-12 2011-01-25 Rodger H. Flagg Free standing modular display
KR20110001689U (ko)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토인애드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US8382412B2 (en) * 2010-04-09 2013-02-26 Jeffrey Stuart Swanson Apparatus for fastening single and multiple sheets and method for using same
TWM391894U (en) * 2010-06-10 2010-11-11 Yi-Qing Guo Anti-wearing structure for display rack
KR101022975B1 (ko) * 2010-09-20 2011-03-22 유승협 실내외 전시행사를 위한 컨테이너형 시스템부스
US9004145B2 (en) * 2012-03-29 2015-04-14 Boothseal Llc Securable cover apparatus for trade show booths
US8739493B2 (en) * 2012-08-15 2014-06-03 Todd Carnes Interlocking joint system for emergency structures
KR101458089B1 (ko) 2014-07-11 2014-11-05 이경표 횡방향 프리모멘트 구조부재를 이용한 조형물
US10260227B2 (en) * 2015-06-09 2019-04-16 Rock West Composites, Inc. Tubular framing system and method
CN105761642B (zh) * 2016-04-21 2018-08-21 杭州邦美展览器材有限公司 一种可自由组合的拉网展架
US10240337B2 (en) * 2016-12-06 2019-03-26 Stephen T. Evert Personal, relocatable protective enclosure
CN206412044U (zh) * 2017-01-06 2017-08-15 肖茂 一种可嵌入双面灯箱的模块化展览装置
KR101726283B1 (ko) * 2017-01-25 2017-04-12 주식회사 에스엠피 조립식 부스
US11255367B2 (en) * 2017-07-31 2022-02-22 Taylor Print & Visual Impressions, Inc. Universal hub and plate assembly for attaching multiple graphic systems on a single frame
US10217388B1 (en) * 2017-10-10 2019-02-26 Nimlok Chicago Display System
US10705488B1 (en) * 2019-09-19 2020-07-07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determined efficient bagging of ordered items
US11672341B2 (en) * 2020-10-12 2023-06-13 Seth Hanna Collapsible unit for facilitating multiuse of the collapsible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564U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토인애드 조립식 구조물
KR101192551B1 (ko) 2012-04-06 2012-10-17 (주)다원공간 프로파일 및 마감재 결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36938B (zh) 2021-08-24
WO2019182286A1 (ko) 2019-09-26
US11486157B2 (en) 2022-11-01
US20210047851A1 (en) 2021-02-18
EP3770359B1 (en) 2024-01-03
CN111836938A (zh) 2020-10-27
EP3770359A1 (en) 2021-01-27
EP3770359A4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808B2 (en) Front adjustable wall panel mounting device
US5522193A (en) Panel mounting arrangement
US3590543A (en) Clip assemblies for use with canopies and wall paneling constructions
EP1746293A1 (en) Fixing device for hollow frames and plate surfaces
US20120216484A1 (en) Partition panel, panel structur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KR101898213B1 (ko)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KR101865564B1 (ko) 전시용 부스모듈, 전시용 부스 및 그 설치방법
KR102169617B1 (ko)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KR101537086B1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101849272B1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JP6506038B2 (ja) 連結構造
US5237791A (en) Modular structures and components thereof
US6952904B2 (en) Mounting system
US4045090A (en) Easy-to-assemble structure
KR200210940Y1 (ko) 구조물 조립 구조
JP3440445B2 (ja) 防音パネルにおける補強材の取付構造
JPH0449658Y2 (ko)
JP3233934U (ja) 展示ブース用部材
JP2003056104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238883B1 (ko) 전시 모듈을 이용한 전시 모듈 구조체
JP6808196B2 (ja) 連結構造
JP3833680B2 (ja) 看板装置
KR100820721B1 (ko) 건축용 안전판넬의 설치구조
JP2003193593A (ja) パネル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