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65B1 -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65B1
KR101865265B1 KR1020170171267A KR20170171267A KR101865265B1 KR 101865265 B1 KR101865265 B1 KR 101865265B1 KR 1020170171267 A KR1020170171267 A KR 1020170171267A KR 20170171267 A KR20170171267 A KR 20170171267A KR 101865265 B1 KR101865265 B1 KR 10186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unit block
module
storage tan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권
이성웅
강한민
함은경
제상우
Original Assignee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filed Critical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7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판재 형상의 모듈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단위블록을 연결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소규모 저류조 또는 대규모 저류조로의 조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계획에 따라 침투 기능과 저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고,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방근 기능을 가지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STORAGE TANK}
본 발명은 단위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 형상의 모듈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단위블록을 연결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소규모 저류조 또는 대규모 저류조로의 조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계획에 따라 침투 기능과 저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고,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방근 기능을 가지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지성 폭우로 인해 발생되는 도심 내 홍수 등을 예방하는 도시 인프라요소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자연지반으로의 빗물침투량을 높이기 위한 빗물관리시설에 대한 수효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빗물관리시설들은 레인가든, 빗물받이연계 소규모 침투시설과 같은 분산형 빗물관리시설에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빗물관리시설들 중 도심에 적용되는 빗물관리시설은 도시기반시설의 지하부에 설치되다보니 전기, 통신, 가스와 같은 기존 지하 관로로 인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협소한 공간에 맞는 저류조와 침투녹지와 같이 식생하부에 설치가 가능한 저류조가 필요하다.
이에, 근래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필요시 하천으로 방류하는 저류조가 설치되고 있는데, 상기 저류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통상 지반을 굴착하고, 다진 상태에서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데, 이는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및 해체과 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길어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보관 및 운반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분산형 빗물관리시설의 일환으로 빗물을 저류하여 이용하려는 노력들도 있어 왔는데 사실상 그 효율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간 강우량이 여름에 집중된 한국의 실정상 저류조가 비어있는 시기가 많고, 집중호우 기간에는 되려 저류조의 정해진 용량만큼만 수용 가능하기 때문에 강우로 인해 늘어난 유입량에 비해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현된다.
즉, 한정적인 저류조의 크기가 증가된 유입량에 비해 작아 유출량 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집중 호우 시에도 처리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자연 침투를 유도하는 침투조의 형태와 추후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저류 기능을 함께 보유하여 월별 강우량의 폭이 큰 국내 기후에 대응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빗물저류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판재 형상의 모듈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저류조의 기본을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저류조의 설치 및 해제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단위블록을 연결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소규모 저류조 또는 대규모 저류조로의 맞춤형 조성이 가능한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단위블록 외면에 방근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방근 기능을 가지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계획에 따라 저류조의 측면에 저류시트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침투 기능과 저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한 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류조 내부에 오염물질 확산방지구조를 가져 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저류조 전체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외면에 다수개의 침투공이 형성된 사각판재 형상의 모듈이 상하좌우에서 서로 결합되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류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일단은 인접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에 접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이 지지되는 제1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제1지지턱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체결볼트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모듈의 일단부 내면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사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저류조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은 그 전단에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연결을 위해 단위블록을 밀착시키면 서로 밀착되는 모듈의 제1결합홈부 및 제2결합홈부에 의해 연결부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결합홈에는 연결부재가 끼움 고정되어 단위블록을 서로 결합시키게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부는 모듈의 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끼움홈과, 제1끼움홈의 전방으로 모듈의 전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끼움슬릿과, 상기 제1끼움슬릿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끼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부는 모듈의 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끼움홈과, 제2끼움홈의 후방으로 모듈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슬릿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끼움슬릿과, 상기 제2끼움슬릿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편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끼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 및 제2끼움홈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끼움슬릿 및 제2끼움슬릿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편및 제2끼움편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방근시트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저류시트가 부착되어 단위블록의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에 저류시트가 부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저류시트가 부착되는 부분까지는 단위블록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저류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에 저류시트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은 모듈의 침투공을 통해 단위블록 내부로 물이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저류조를 형성하고, 상기 저류조 내에는 관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오염물질확산방지조가 형성되되, 상기 저류조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저류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오염물질확산방지로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여과시트가 부착되어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여과하고 물만이 저류조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저류조 전체로 확산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곰팡이를 억제하고 방습성을 강화시키도록 방습코팅층을 더 형성하되, 상기 방습코팅층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20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중량%와, 리시놀레인산 바륨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방습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는 판재 형상의 모듈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저류조의 기본을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단위블록을 연결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소규모 저류조 또는 대규모 저류조로의 맞춤 조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계획에 따라 침투 기능과 저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는 단위블록 외면에 방근시트가 부착되어 방근기능을 가지게 구성됨으로써, 저류조가 식물뿌리에 의해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위블록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재 형상의 모듈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저류조)의 기본을 이루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외면에 다수개의 침투공(110)이 형성된 사각판재 형상의 모듈(100)이 상하좌우에서 서로 결합되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류공간(S)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100)의 일단(101)은 인접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102)에 접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이 지지되는 제1지지턱(10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제1지지턱(103)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턱(104)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턱(103)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결합돌기(1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0) 사이에 체결볼트(130)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모듈(100)의 일단부 내면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돌기(120)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40) 사이에는 상기 체결볼트(130)가 체결되는 체결공(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단위블록(10)을 형성하기 위해 모듈(100)을 서로 결합할 때, 결합돌기(120)는 결합홈(140)에 끼움 고정시키고, 체결볼트(130)는 체결공(150)에 체결시켜 모듈(100)을 서로 결합시켜줌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0)이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위블록을 통해 저류조를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저류조의 설치 및 해제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위블록(10)은 연결부재(200)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저류조(1)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단위블록(10)이 연결되는 갯수를 조절하여 소규모 저류조 또는 대규모 저류조로의 맞춤형 조성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100)은 그 전단에 제1결합홈부(161)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제2결합홈부(162)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10)의 연결을 위해 단위블록(10)을 밀착시키면 서로 밀착되는 모듈(100)의 제1결합홈부(161) 및 제2결합홈부(162)에 의해 연결부재결합홈(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결합홈(160)에는 연결부재(200)가 끼움 고정되어 단위블록(100)을 서로 결합시키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홈부(161)는 모듈(100)의 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끼움홈(161a)과, 제1끼움홈(161a)의 전방으로 모듈(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끼움슬릿(161b)과, 상기 제1끼움슬릿(16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끼움편(161c)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부(162)는 모듈(100)의 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끼움홈(162a)과, 제2끼움홈(162a)의 후방으로 모듈(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슬릿(161b)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끼움슬릿(162b)과, 상기 제2끼움슬릿(162b)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편(162c)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끼움편(162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제1끼움홈(161a) 및 제2끼움홈(162a)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끼움부(210)와 상기 끼움부(210)를 연결하고 상기 제1끼움슬릿(161b) 및 제2끼움슬릿(162b)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부(220)와, 상기 연결부(2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편(161c) 및 제2끼움편(162c)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2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위블록(10)을 연결하여 저류조(1)를 형성시킬 때, 단위블록(1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모듈의 제1결합홈부(161) 및 제2결합홈부(162)에 의해 형성된 연결부재결합홈(160)에 연결부재(200)를 끼워 고정시키면, 단위블록(10)이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위블록을 연결부재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연결되는 단위블록의 갯수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저류조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의 외면에는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방근시트(300)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근시트(300)는 차수성 시트 및 여과성 시트 모두 적용 가능하며, PVC 시트, 재생 PVC 시트, EVA 시트, PE 시트, 고무시트 및 개질아스팔트 시트 중에서 선택되는 내구성 시트 및 상기 내구성 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위블록(10)의 외면에 방근시트(300)가 부착되면, 식물의 뿌리에 의한 단위블록(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저류 성능을 유지하고, 나아가 단위블록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의 외면에는 저류시트(400)가 부착되어 단위블록(10)의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류시트(400)는 저류된 빗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차수성 시트로 구성하여 빗물을 저류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공지의 펌프(pump) 또는 오리피스(orifice) 등에 의해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단위블록(10)에 저류시트(400)가 부착되는 높이(H)를 조절하여, 자체적으로 빗물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위블록(10)에 저류시트가 부착되는 부분(A)까지는 단위블록(10)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저류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10)에 저류시트(400)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은 모듈의 침투공(110)을 통해 단위블록(10) 내부로 물이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가 적용된 저류조를 사용하면, 침투 기능과 저류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는 침투 저류조로 사용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저류조(1)를 형성하고, 상기 저류조(1) 내에는 관로(P)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오염물질확산방지조(2)가 형성시켜 저류조(1)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저류조(1) 전체로 확산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염물질확산방지로(2)를 형성하는 단위블록(10)의 외면에는 여과시트(50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여과시트(500)는 투수성 시트로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관로(P)를 통해 오염물질확산방지로(2)로 유입되는 빗물은 여과시트(500)를 통해 오염물질은 여과되고, 순수한 물만이 저류조(1)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로(P)를 통해 저류조(1)로 유입되는 빗물이 오염물질확산방지로(2)에서 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저류조(1)로 공급되기 때문에 저류조 전체로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조(1)를 형성하는 단위블록(10)의 외면에는 저류시트(400)가 선택적으로 부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저류시트(400)는 가류고무를 내부층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층의 양면에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덮음으로써 빗물을 저류하는 차수성 시트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류조(1)를 형성하는 단위블록(10)의 외면에 저류시트(400)가 선택적으로 부착되게 구성됨으로써, 우수 이용시 오염물질확산방지조(2)가 전처리 시설로써 여과된 물을 저류하여 우수 이용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시스템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우수 미이용시 오염물질확산방지조(2)가 전처리 시설로써 물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을 지하수로 침투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로 활용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위블록(10)의 외면에는 곰팡이를 억제하고 방습성을 강화시키도록 방습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습코팅층은 일종의 도막으로서 방습코팅액을 도포함으로써 구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방습코팅액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20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중량%와, 리시놀레인산 바륨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는 액상 항균제로서 알카리 환경에서도 항균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서, 특히 진드기와 곰팡이에 대한 항균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DBNPA는 도막형성용 점착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수지에 완전히 점착된 상태로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도막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항균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화 특성에 따른 내습성은 물론 발수성도 제공하여 곰팡이 발생의 주요 요건중 하나인 습기가 도막에 머물지 못하게 함으로써 곰팡이 서식을 어렵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시놀레인산 바륨은 열분해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하여 도막이 들뜨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도막의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도막 형성용 점착성을 가진 베이스 수지이다.
이와 같이, 단위블록(10)의 외면에 방습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습성은 물론, 항균성 강화로 인한 곰팡이 서식을 억제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이 쉽게 부패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저류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습코팅층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방습코팅액를 단위블록(10)의 표면에 도포하여 1mm 두께의 도막을 형성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곰팡이 서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막 표면에 곰팡이균(균주:Aspergilus niger ATCC 9642)을 떨어뜨려 곰팡이균의 활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은 곰팡이균을 떨어 뜨린 후 36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ASTM G 21:2009의 시험법으로 테스트하였고, 테스트 결과 도막의 표면에서 곰팡이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곰팡이균이 사멸한 것으로서 곰팡이 서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위블록(10)을 수직하게 세워 도막이 수직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증류수를 15회 스프레이 하였다. 스프레이 후 도막에 떨어진 증류수는 구형을 이루더니 도막을 타고 곧바로 흘러내렸다. 이를 통해 방습성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저류조 2: 오염물질확산방지로
10: 단위블록 100: 모듈
200: 방근시트 300: 연결부재
400: 저류시트 500: 여과시트

Claims (6)

  1. 외면에 다수개의 침투공이 형성된 사각판재 형상의 모듈이 상하좌우에서 서로 결합되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류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단위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일단은 인접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에 접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타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이 지지되는 제1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모듈의 일단부 내면에는 인접하는 모듈의 제1지지턱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턱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체결볼트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모듈의 일단부 내면에는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사이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저류조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곰팡이를 억제하고 방습성을 강화시키도록 방습코팅층을 더 형성하되, 상기 방습코팅층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20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중량%와, 리시놀레인산 바륨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방습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그 전단에 제1결합홈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제2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연결을 위해 단위블록을 밀착시키면 서로 밀착되는 모듈의 제1결합홈부 및 제2결합홈부에 의해 연결부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결합홈에는 연결부재가 끼움 고정되어 단위블록을 서로 결합시키게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부는 모듈의 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끼움홈과, 제1끼움홈의 전방으로 모듈의 전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끼움슬릿과, 상기 제1끼움슬릿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끼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부는 모듈의 후면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끼움홈과, 제2끼움홈의 후방으로 모듈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슬릿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끼움슬릿과, 상기 제2끼움슬릿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편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제2끼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끼움홈 및 제2끼움홈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끼움슬릿 및 제2끼움슬릿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편및 제2끼움편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식물뿌리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방근시트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저류시트가 부착되어 단위블록의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에 저류시트가 부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저류시트가 부착되는 부분까지는 단위블록 내부에 물을 저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저류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에 저류시트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은 모듈의 침투공을 통해 단위블록 내부로 물이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저류조를 형성하고, 상기 저류조 내에는 관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오염물질확산방지조가 형성되되,
    상기 오염물질확산방지조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외면에는 여과시트가 부착되어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여과하고 물만이 저류조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저류조 전체로 확산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6. 삭제
KR1020170171267A 2017-12-13 2017-12-13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86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67A KR101865265B1 (ko) 2017-12-13 2017-12-13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267A KR101865265B1 (ko) 2017-12-13 2017-12-13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265B1 true KR101865265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267A KR101865265B1 (ko) 2017-12-13 2017-12-13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024B1 (ko) * 2012-06-07 2012-11-06 (주)한동알앤씨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시공방법
KR200466359Y1 (ko) * 2012-09-24 2013-04-10 쎄파주식회사 빗물 저류조
KR101260410B1 (ko) * 2013-02-20 2013-05-07 주식회사 수엔테크 터널형 저류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024B1 (ko) * 2012-06-07 2012-11-06 (주)한동알앤씨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시공방법
KR200466359Y1 (ko) * 2012-09-24 2013-04-10 쎄파주식회사 빗물 저류조
KR101260410B1 (ko) * 2013-02-20 2013-05-07 주식회사 수엔테크 터널형 저류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4B (ko)
US8449219B2 (en) Water-storage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KR101356690B1 (ko)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KR20090003912A (ko) 수상 부유 정원
KR102187898B1 (ko) 우수를 여과하고 저장 및 배출하는 벤치
JP4316601B2 (ja) 雨水の貯水施設
BRPI1107100A2 (pt) sistema de armazenamento de Água e depuraÇço de Água
KR101656036B1 (ko)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CN111809475A (zh) 海绵城市生态市政道路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US20230063223A1 (en) Carbon neutral groundwater and rainwater dual irrigation system
JP4384944B2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1865265B1 (ko) 조립식 단위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441369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JP2006046063A (ja) リサイクルガラスカレット利用の雨水貯留浸透施設
JP4491570B2 (ja) 保水性舗装体灌水設備
JP4163088B2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1198285B1 (ko) 생태연못 수표면 빗물 집수 및 활용 시스템
CN111719777B (zh) 建筑屋面的防水补强装置及施工方法
KR101542568B1 (ko)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KR100624746B1 (ko) 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시설물 구조
KR100478633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옥상 빗물을 이용하는 정원조경 물공급구조
KR20120011088A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AU2004205094B2 (en) Storage System for Water
KR101698158B1 (ko) 녹화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상층의 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