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129B1 -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 Google Patents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129B1
KR101865129B1 KR1020170067577A KR20170067577A KR101865129B1 KR 101865129 B1 KR101865129 B1 KR 101865129B1 KR 1020170067577 A KR1020170067577 A KR 1020170067577A KR 20170067577 A KR20170067577 A KR 20170067577A KR 101865129 B1 KR101865129 B1 KR 10186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egion
conveyor belt
cores
demagnet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칠
이군석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7006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6Methods and devices for demagnetising of magnetic bodies, e.g. workpieces,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롤러(1111)와 컨베이어 벨트(1113)로 이루어진 이송부(1100)와, 상기 이송부(1100)의 컨베이어 벨트(1113)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탈자부(1210)로 이루어진 탈자기구부(1200)와, 상기 이송부(1100)와 탈자기구부(1200)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링 형상이며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을 효과적으로 탈자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A Demagnetizing System Of Race Ring For Rolling Bearing}
본 발명은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 형상이며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을 효과적으로 탈자할 수 있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축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축이나 하우징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계요소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구름 베어링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름 베어링은 외륜(40)과, 내륜(20)과, 전동체(30)와, 리테이너(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40)은 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외륜(40)의 내주면에는 외륜궤도가 형성된다. 외륜궤도는 전동체와 구름 접촉된다.
상기 내륜(20)은 링 형태로 구비된다. 내륜(20)은 상기 외륜(4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내륜(20)의 외주면에는 내륜궤도가 형성된다. 내륜궤도는 전동체와 구름 접촉된다.
상기 전동체(30)는 외륜(40)과 내륜(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전동체(30)는 복수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전동체(30)는 외륜궤도 및 내륜궤도와 구름 접촉 상태에서 구름 운동한다.
상기 리테이너(10)는 상기 외륜(40)과 내륜(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10)는 복수의 전동체(30)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륜(20) 및 외륜(20)(이하에서 "궤도륜"이라 함)은 베어링강 등의 소재가 선삭(단조) 공정, 열처리 공정, 연삭 공정을 거쳐 제조 베어링으로 조립된다.
선삭 및 연삭 공정에서 궤도륜은 전기로 작동하는 마그네틱 척(Chuck)에 물리어 가공되므로 가공 공정에서 자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내륜 및 외륜인 강재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피탈자물은 탈자장치 위에 올려져서 자성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피탈자물의 크기가 클 경우, 일반적인 탈자장치의 크기 역시 커져야 하며, 일반적인 탈자장치는 피탈자물의 크기에 따라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탈자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탈자 장치의 제1 탈자부 및 제2 탈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탈자 장치는 제1 탈자부(100)와, 제2 탈자부(200)와, 조절부(300)와, 전류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는 강재(10)의 자성을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강재(10)가 제1 탈자부(100)와 제2 탈자부(200) 사이에 인입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는 각각 코일(120)과 철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20)은 전류가 통할 수 있는 도선이며,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철심(140)을 감은 형태를 지닌다. 코일(120)은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 또는 헤름헬츠 코일(Helmholtz coil)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심(140)은 코일(120)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120)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이 되어 자기력을 지닌다. 상기 전류공급부(400)에서 전류가 코일(120)로 공급되면 코일(120) 내부에 삽입된 철심(140)이 자기력을 지닌다. 반면 전류공급부(400)에서 전류가 코일(120)로 공급되다가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철심(140)은 자기력을 잃은다. 이때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는 강재(10)의 자성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도 4는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가 강재(10)에 인가하는 자기력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강재(10)의 자성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가 첫번째로 발생시키는 자기력은 강재(10)의 자성과 동일하거나 더 크며, 상기 자기력의 크기를 점점 줄이면서 강재(10)의 자성을 제거한다. 컨트롤러(600)는 코일(12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과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의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된다. 컨트롤러(600)는 상기 자기력의 크기를 점점 감소시키면서 주기적으로 상기 자기력의 방향을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강재(10)의 자성은 점점 감소하여 결국 제거된다.
강재(10)는 각각의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배열되었을 때 자성을 지니지 않고, 각각의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었을 때 자성을 지닌다.
상기 탈자장치는 자성을 지닌 강재(10)의 원자 자극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배열하여 상기 강재(10)의 자성을 제거한다.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가 일방향으로 자성을 지닌 강재(10)에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자기력을 인가하면, 강재 원자 일부의 자극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으로 변환된다. 그 후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가 상기 강재(10)에 상기 일방향으로 처음보다 작은 자기력을 인가하면 상기 일부보다 적은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일방향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탈자부(100) 및 제2 탈자부(200)는 계속적으로 자성을 지닌 강재(10)에 방향을 바꿔가며 점점 작아지는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배열되어, 자성을 지닌 강재(10)의 자성은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탈자 장치는 링 형태이면서 연속 생산되는 궤도륜의 탈자에 부적합하고, 탈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 제10-1292243호 등록특허공보 2. 대한민국 등록 제10-1607844호 등록특허공보 3. 대한민국 등록 제10-1704211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링 형태이면서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을 효과적으로 탈자할 수 있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는 구동롤러와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탈자부로 이루어진 탈자기구부와, 상기 이송부와 탈자기구부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링형태인 궤도륜을 탈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탈자기구부는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이격되며 컨베이어 벨트와 마주하는 판상의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컨베이어 벨트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원형을 이루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내측으로 백플레이트의 컨베이어 벨트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코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코어부는 코일부 내측에 배열된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는 직육면체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면에서 돌출된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의 코어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코어돌기가 돌출된 면의 반대면이 백플레이트를 향하며, 코어돌기의 단부가 컨베이어 벨트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코어돌기는 3개가 구비되며, 코어돌기 중 2개는 받침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받침부의 폭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구비되고, 1개는 받침부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구비되어 단면이 "E"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돌기의 측면은 받침부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코어부는 코일부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중심부를 지나 타측까지 연장된 복수의 코어가 일렬을 이루어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제1 영역에서 코어는 이웃하는 코어와 코어측면이 서로 마주하여 일렬을 이루어 구비되며; 제2 영역에서 복수의 코어는 제1 영역의 코어와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영역의 코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영역의 복수의 코어는 서로 코어폭면이 마주하며 코어측면은 제1 영역 코어의 코어폭면과 마주하여 일렬을 이루어 제1 영역과 나란하게 코일부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지나 타측까지 구비되며; 그 다음 열들의 각 열의 복수의 코어는 서로 코어폭면이 마주하며 이웃하는 열들의 코어는 코어측면이 서로 마주하여 일열을 이루어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지나 타측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백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원형이며 오목한 백플레이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를 이루는 복수의 코어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형성하며 백플레이트홈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부는 원형을 이루어 코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어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탈자부는 상기 코어부와, 코일부와, 코일부 주위의 백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경화된 에폭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측방에 위치하여 궤도륜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는 궤도륜과 탈자부의 코일부가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서 궤도륜을 센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서에서 궤도륜이 센싱되면 탈자부의 코일부로 전기가 공급되어 궤도륜이 탈자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에는 탈자기구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측방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궤도륜을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 중심로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단부가 탈자기구부와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는 링 형상이며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을 효과적으로 탈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름 베어링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탈자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탈자 장치의 제1 탈자부 및 제2 탈자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제1 탈자부 및 제2 탈자부가 강재에 인가하는 자기력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강재의 자성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탈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탈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6에서 세로방향의 상측을 "상향"으로 하고, 하측을 "하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또한, 도 8에서 가로방향의 좌측을 "전방"으로 하고, 우측을 "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1000)는 구동롤러(1111)와 컨베이어 벨트(1113)로 이루어진 이송부(1100)와, 상기 이송부(1100)의 컨베이어 벨트(1113)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탈자부(1210)로 이루어진 탈자기구부(1200)와, 상기 이송부(1100)와 탈자기구부(1200)가 설치되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1000)는 컨베이어 벨트(1113) 상에서 이송되는 링형태이며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의 궤도륜(R)이 탈자부(1210) 사이에 위치되고 탈자부(1210)에 전력이 공급되면서 탈자된다. 이하 설명에서, 탈자 장치의 원리 및 방법은 종래에 기재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탈자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100)의 구동롤러(1111)는 원통형이며 서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1111)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는 상기 구동롤러(1111)를 감싸며 이격된 구동롤러(1111)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는 무한궤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폐회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가이드부재(1115)와 센서부(11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15)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탈자기구부(1200)의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측방에 위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15)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폭방향 일측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115)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15)는 단부가 탈자기구부(1200)와 컨베이어 벨트(1113)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15)로 인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 상에서 이송되는 궤도륜(R)는 컨베이어 벨트(1113)의 폭 방향 중심로 안내된다.
상기 센서부(1120)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1120)는 궤도륜(R)을 감지하며, 궤도륜(R)과 탈자부(1210)의 코일부(1213)가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서 궤도륜(R)을 센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1120)에서 궤도륜(R)이 센싱되면 궤도륜(R)이 탈자되도록 탈자부(1210)의 코일부(1213)로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10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전원장치와 연결된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탈자부가 연결되어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탈자부(1210)의 코일부(1213)로 전력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전력의 세기도 제어된다.
상기 탈자부(121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을 사이에 두고 컨베이어 벨트(111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탈자부(121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의 상부에 위치한 탈자부(1210)와 컨베이어 벨트(1113) 사이로 궤도륜(R)이 이송되며 탈자된다. 상기 탈자부(1210)는 백플레이트(1211)와, 코일부(1213)와, 코어부로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1211)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1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컨베이어 벨트(1113)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21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211)에 백플레이트홈(1211-1)이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홈(1211-1)은 상기 백플레이트(1211)의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홈(1211-1)은 상기 백플레이트(1211)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홈(1211-1)은 원형이며 상기 백플레이트(1211)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코일부(1213)는 상기 백플레이트(1211)의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코일부(1213)는 원형을 이루어 코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어부를 감싸는 환형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부(1213)의 내경은 궤도륜(R)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코일부(1213)에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일부(1213)의 내측으로 백플레이트홈(1211-1)에 구비된다. 상기 코어부는 1개의 제1 영역(A)과 2개의 제2 영역(B)을 형성하며 구비된 복수의 코어(1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1215)는 직육면체의 받침부(1215-2)와, 상기 받침부(1215-2)의 일면에서 돌출된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의 코어돌기(121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1215)에서 상기 코어돌기(1215-1)가 돌출된 면의 반대면은 백플레이트(1211)를 향하며, 상기 코어돌기(1215-1)의 단부는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코어돌기(1215-1)는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코어돌기(1215-1) 중 2개는 받침부(1215-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받침부(1215-2)의 폭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돌출 구비되고, 1개는 받침부(1215-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코어(1215)의 단면은 "E"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돌기(1215-1)의 측면은 받침부(1215-2)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1215-2)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구비된 코어돌기(1215-1)의 폭은 상기 받침부(1215-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된 코어돌기(1215-1)의 폭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의 제1 영역(A)은 구비되어 상기 코일부(1213)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중심부를 지나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복수의 코어(1215)가 일렬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영역(A)에서 코어(1215)는 이웃하는 코어(1215)와 코어측면(1215A)이 서로 마주하여 일렬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영역(B)은 상기 코일부(1213) 내측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A)의 양측으로 복수의 코어(1215)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B)의 복수의 코어(1215)는 이웃하는 코어(1215)와 코어폭면(1215B)이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복열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영역(B)에서 복수의 코어(1215)는 상기 제1 영역(A)의 복수의 코어(1215)와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영역(A)의 복수의 코어(1215)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영역(B)의 복수의 코어(1215)는 서로 코어폭면(1215B)이 마주하며 코어측면(1215A)은 제1 영역(A) 코어(1215)의 코어폭면(1215B)과 마주하여 일렬을 이루어 제1 영역(A)과 나란하게 상기 코일부(1213)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지나 타측까지 구비된다. 그 다음 열들의 각 열의 복수의 코어(1215)는 서로 코어폭면(1215B)이 마주하며 이웃하는 열들의 코어(1215)는 코어측면(1215A)이 서로 마주하여 일열을 이루어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지나 타측까지 구비된다.
상기 탈자부(1210)에 경화된 에폭시층(1217)을 더 구비된다. 상기 에폭시층(1217)은 상기 백플레이트(1211)로부터 노출된 코일부(1213)와 코어부의 외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에폭시층(1217)은 상기 코어부와 코일부(1213)와 코일부(1213) 주위의 백플레이트(1211)의 적어도 일부만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는 링 형상이며 연속 생산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을 효과적으로 탈자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1100 : 이송부 1113 : 컨베이어 벨트
1200 : 탈자기구부 1210 : 탈자부
1213 : 코일부 1215 : 코어

Claims (7)

  1. 구동롤러(1111)와 컨베이어 벨트(1113)로 이루어진 이송부(1100)와, 상기 이송부(1100)의 컨베이어 벨트(1113)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탈자부(1210)로 이루어진 탈자기구부(1200)와, 상기 이송부(1100)와 탈자기구부(1200)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탈자기구부(1200)는 컨베이어 벨트(1113)로부터 이격되며 컨베이어 벨트(1113)와 마주하는 판상의 백플레이트(1211)와, 상기 백플레이트(1211)의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원형을 이루는 코일부(1213)와, 상기 코일부(1213)의 내측으로 백플레이트(1211)의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코일부(1213) 내측에 배열된 복수의 코어(1215)로 이루어지는 코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1215)는 직육면체의 받침부(1215-2)와, 상기 받침부(1215-2)의 일면에서 돌출된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의 코어돌기(1215-1)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1215)는 코어돌기(1215-1)가 돌출된 면의 반대면이 백플레이트(1211)를 향하고 코어돌기(1215-1)의 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113)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는 코일부(1213)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중심부를 지나 타측까지 연장되며 복수의 코어(1215)가 일렬을 이루어 형성된 제1 영역(A)과, 상기 제1 영역(A)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코어(1215)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제2 영역(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A)을 이루는 복수의 코어(1215)는 코어측면(1215A)이 서로 마주하여 일렬로 정렬되며, 상기 제2 영역(B)을 이루는 복수의 코어(1215)는 코어폭면(1215B)이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복열을 이루어 정렬되며;
    제1 영역(A)을 이루는 코어(1215)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영역(B)의 복수의 코어(1215)는 코어측면(1215A)이 제1 영역(A) 코어(1215)의 코어폭면(1215B)과 마주하여 일렬을 이루어 제1 영역(A)과 나란하게 상기 코일부(1213) 내측 영역의 일측에서 지나 타측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돌기(1215-1)는 3개가 구비되며, 코어돌기(1215-1) 중 2개는 받침부(1215-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받침부(1215-2)의 폭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구비되고, 1개는 받침부(1215-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구비되어 단면이 "E"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돌기(1215-1)의 측면은 받침부(1215-2)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7577A 2017-05-31 2017-05-31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KR10186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77A KR101865129B1 (ko) 2017-05-31 2017-05-31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77A KR101865129B1 (ko) 2017-05-31 2017-05-31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129B1 true KR101865129B1 (ko) 2018-06-07

Family

ID=6262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77A KR101865129B1 (ko) 2017-05-31 2017-05-31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9474A (zh) * 2020-10-27 2021-02-09 白城中一精锻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连杆退磁除水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560B2 (ja) * 1995-03-01 2000-07-1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異方性磁石の脱磁方法および脱磁装置
JP2006261226A (ja) * 2005-03-15 2006-09-28 Kanetec Co Ltd 脱磁器及び脱磁装置
KR101292243B1 (ko) 2012-07-10 2013-08-01 이창호 탈자기
KR101506539B1 (ko) * 2014-12-12 2015-03-27 주식회사 화인엠티 평각선 코일 성형장치
KR101607844B1 (ko) 2014-11-14 2016-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탈자장치
KR101704211B1 (ko) 2015-06-12 2017-02-08 셰플러코리아(유)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560B2 (ja) * 1995-03-01 2000-07-1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異方性磁石の脱磁方法および脱磁装置
JP2006261226A (ja) * 2005-03-15 2006-09-28 Kanetec Co Ltd 脱磁器及び脱磁装置
KR101292243B1 (ko) 2012-07-10 2013-08-01 이창호 탈자기
KR101607844B1 (ko) 2014-11-14 2016-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탈자장치
KR101506539B1 (ko) * 2014-12-12 2015-03-27 주식회사 화인엠티 평각선 코일 성형장치
KR101704211B1 (ko) 2015-06-12 2017-02-08 셰플러코리아(유)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9474A (zh) * 2020-10-27 2021-02-09 白城中一精锻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连杆退磁除水机
CN112349474B (zh) * 2020-10-27 2022-05-31 白城中一精锻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连杆退磁除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1680A1 (en) Multi-pole magnetization of a magnet
KR101865129B1 (ko)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KR101030431B1 (ko) 마그네틱 척
JP2009027194A5 (ko)
US10207332B2 (en) Work holder and work machining method
KR101614218B1 (ko) 비자성체 가공용 마그네틱 연장지그, 이를 이용한 비자성체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2069990B1 (ko) 시트 분리 장치, 시트 분리 방법, 및 시트 형상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2007078043A (ja) 玉軸受の玉配列方法及び玉配列装置
JP5934227B2 (ja) 大きなターゲットによる高圧スパッタリングのためのスパッタ源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方法
US2535719A (en) Magnetic pulley
CN107923438B (zh) 磁轴承装置及包括该装置的热浸镀锌装置
KR101361819B1 (ko) 패턴 형성용 기판 홀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박막 증착 장치
EP3718946A1 (en) Attachment magnetic pole for lifting magnet, lifting magnet having magnetic pole for hoisting steel material, method for convey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late
US4470094A (en) Demagnetizing apparatus and method
US83362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acers for spindle device
KR101307096B1 (ko) 박막소자를 유연 기판에 제작하는 롤투롤 증착기의 기판 홀딩 장치
US3662304A (en) Magnetic circuit structure for high-resolution nuclear resonance spectrometers
KR101607851B1 (ko) 탈자장치
US6066241A (en) Pickling (etching) process and device
JP2006020379A (ja) 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10564A (ko)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20130007715A (ko) 마그네틱 척
KR10137880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착자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착자 시스템
JPH1045329A (ja) マグネットローラー及びマグネットローラー搬送装置
KR100755741B1 (ko) 복열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의 유도경화 열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