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52B1 -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 Google Patents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52B1
KR101864952B1 KR1020160150851A KR20160150851A KR101864952B1 KR 101864952 B1 KR101864952 B1 KR 101864952B1 KR 1020160150851 A KR1020160150851 A KR 1020160150851A KR 20160150851 A KR20160150851 A KR 20160150851A KR 101864952 B1 KR101864952 B1 KR 10186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rrection value
weight
measur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824A (ko
Inventor
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6015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9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에서, 측정자의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포함하는 측정자의 측정기본정보를 저장하는 측정자정보 저장부, 인체에 무해한 미세교류전류를 각 터치패드를 통해 상체측에 제공하여 상체측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 측정부, 상기 BIA 측정부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상기 측정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1차결과 산출부,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과 측정자의 체중 및 성별별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 보정이 필요한 4가지 신체유형 중 하나를 판단하는 신체특징 판단부,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서 판단한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산출하는 보정값 산출부, 그리고 상기 보정값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보정값을 상기 1차결과 산출부에 의해 산출한 체지방률에 곱하여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최종결과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PORTABLE BODY COMPOSITION WITH FUNCTION OF COMPENSATING MEASUREMENT VALUE}
본 발명은 체성분분석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성분분석기 중 4전극 8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는 측정 결과가 상당히 정확한 장점이 있어 병원, 고급 피트니스센터, 보건소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고가의 체성분 분석기를 대신하여 저가형의 휴대용 체성분분석기가 개발되어 가정용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저가형의 체성분 분석기로는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와 2전극 2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 등이 있다.
이 중,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는 몸 속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통하여 전기 저항(즉,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한 임피던스값으로 체수분의 양을 측정하여 근육량과 무기질량을 추정하는 전기저항분석(BIA :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방법을 이용한다.
BIA 방법을 이용하는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극판 즉, 터치패드을 전면과 배면에 각각 2개, 총 4개의 터치패드를 설치하고 측정자가 양손으로 터치패드을 잡도록 하여 상체 측정을 한다. 구체적으로,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터치패드을 잡도록 하여 측정함으로써 상체의 한쪽 팔과 다른 팔을 두 점의 양극으로 하는데, 주로 양손이나 손목을 극(pole)으로 하여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하는 상체 내에서 폐루프를 형성되게 한다.
그런데,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는 전신을 측정하는 고가의 장비인 4전극 8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가이면서도 고가의 장비인 4전극 8점 터치식 체성분 분석기만큼의 측정 정확도를 가진 체성분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는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이며, 측정자의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포함하는 측정자의 측정기본정보를 저장하는 측정자정보 저장부, 인체에 무해한 미세교류전류를 각 터치패드를 통해 상체측에 제공하여 상체측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 측정부,
상기 BIA 측정부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상기 측정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1차결과 산출부,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과 측정자의 체중 및 성별별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 보정이 필요한 4가지 신체유형 중 하나를 판단하는 신체특징 판단부,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서 판단한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산출하는 보정값 산출부, 그리고 상기 보정값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보정값을 상기 1차결과 산출부에 의해 산출한 체지방률에 곱하여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최종결과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가지 신체유형은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크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1 신체유형,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작고 표준체중 대비 실제체중이 1% ~ - 20% 범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신체유형,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강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3 신체유형, 그리고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약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 이상인 제4 신체유형이다.
상기에서 최종결과 산출부는 측정자의 신체유형이 상기 제1 내지 제4 신체유형 중 하나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1차결과 산출부에서 산출한 결과를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1 ~ 0.3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2 ~ 0.4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제3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35 ~ -0.1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상기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25 ~ 0.35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다.
상기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제1 신체유형 내지 상기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3 신체유형 또는 상기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작은 값의 보정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최종결과 산출부는 제1, 제2 및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체지방률을 높이는 보정을 하고, 제3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체지방률을 낮추는 보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는 측정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측정자의 디지털 신체 사진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측정자 골반의 넓이 및 어깨 넓이를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 제공하는 여성신체특징 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는 측정자의 모바일에서 측정한 측정자의 근력 정보를 이용하여 근력이 강한지, 평균인지 또는 약한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 제공하는 남성신체특징 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별 및 신체특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판단하고 판단한 보정값으로 측정값을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체성분률을 산출하여 측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측정자가 기기에 대한 신뢰도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소비자가 정확도가 높은 체성분분석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체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에서 전면 및 배면의 터치패드의 설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의 측정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개략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이하 "체성분분석기" 라 함)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로 한 설명에 앞서, 사람의 체성분은 상체 및 하체의 비율이 일정하다. 그래서 상체와 하체 모두 반영하는 체성분 측정기와 상체만을 고려하는 체성분 분석기의 체성분 측정 결과가 90% 이상 비슷하다.
하지만 이 두 방식 간에 체성분 측정값(체지방량, 체지방률, 근육량 등)에 차이가 날 경우 있다.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이 에스트로겐이 체지방에 주로 관여하기 때문에 체지방이 여성의 체성분에 관여를 많이 한다.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발달해 있고 이 발달이 여성마다 다르다. 여성은 골반과 상체의 비율이 거의 1:1이지만 어떤 여성은 골반이 상체에 비해 상당히 클 경우도 있다.
골반이 큰 여성일 경우 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일 경우 상 및 하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보다 상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의 체지방률이 낮게 나왔다. 즉 근육량이 높게 나왔다.
그리고 골반이 작으면서 표중체중보다 1~-20% 작은 경우에도 상, 하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보다 상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의 체지방률이 역시 낮게 나왔다. 즉 근육량이 높게 나왔다.
남성의 경우에, 근육 발달에 관여하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체성분에 관여를 많이 한다. 하체 근육 중 대퇴사두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 무리로 근육량에 많은 영향을 준다. 상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는 하체의 체성분을 제대로 반영 못하여 근력이 강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사람에 대해서 근육량이 낮게 나왔다. 즉 체지방률이 높게 나왔다.
상체 측정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는 하체의 체성분을 제대로 반영 못하여 근력이 약하고 실체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이상 인 경우에 근육량이 높게 나왔다. 체지방률이 낮게 나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적당한 보상치를 적용하여 체성분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 및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분석기는 모바일 통신부(101), 측정자정보 저장부(102), BIA 측정부(103), 1차결과 산출부(104), 신체특징 판단부(105), 표준정보 저장부(106), 보정값 산출부(107) 및 최종결과 산출부(108)를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부(101)는 측정자의 모바일 즉, 모바일의 측정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모바일 통신부(101)는 모바일의 이어폰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블루투스 통신으로 모바일과 데이터 통신을 한다.
측정자정보 저장부(102)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측정자의 측정기본정보를 저장한다. 측정기본정보는 측정자의 연령, 신장, 체중, 성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정자정보 저장부(102)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신체특징정보는 여성인 경우에 측정자의 골반 크기에 대한 정보(예; 크다, 평균이다, 작다)에 대한 정보이고, 남성의 경우에 측정자의 근력 정도에 대한 정보(예; 강하다, 평균이다, 약하다)에 대한 정보이다.
BIA 측정부(103)는 혈액 내에는 전류가 잘 통하나 지방조직에는 전류가 잘 통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4개의 터치패드 중 하나의 손에 접촉되는 2개의 터치패드로 인체에 무해한 미세교류전류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손에 접촉되는 2개의 터치패드로부터 교류전류를 수신하여 인체내 조직의 전기저항 즉,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1차결과 산출부(104)는 BIA 측정부(103)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된 측정자의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이용하여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무기질량 등의 체성분을 측정한다.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의 동작은 일반적인 방법 즉, BIA 방법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이다.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여성 또는 남성의 신체특징유형을 파악한다. 이러한 신체특징유형을 판단을 위해,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된 성별 정보를 통해 측정자의 성별을 판단하고, 표준정보 저장부(106)에 저장된 표준체중의 정보를 이용하며,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된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를 이용한다. 표준체중은 신장(즉, 키)를 이용하여 산출이 가능하다. 즉, 남성 표준체중 = (키(m) X 키(m) X 20), 여성 표준체중 = (키(m) X 키(m) X 22)이다. 신체특징 판단부(105)에서 자체적으로 표준체중을 산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이면 표준정보 저장부(106)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측정자의 성별, 표준체중 및 신체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 보정이 필요한 4가지 신체유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측정값 보정이 필요한 4가지 신체유형은,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크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1 신체유형,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작고 표준체중 대비 실제체중이 1% ~ - 20% 범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신체유형,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강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3 신체유형, 그리고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약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 이상인 제4 신체유형이다.
여기서 "골반의 크기가 크거나 작다" 라고 평가하는 기준은 골반의 넓이(길이)와 어깨와의 넓이(길이)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골반이 어깨보다 크면 골반이 크다고 판단하고, 골반의 길이(넓이)가 어깨 길이(넓이)의 95% 이하인 경우에 골반이 작다라고 판단하고, 골반의 길이가 어깨 길이 이상이면 골반이 크다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표준체중에 대한 정보는 남성 및 여성별 그리고 신장별로 표준체중이 기록된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다. 물론 표준체중은 신장을 이용하여 산출이 가능하므로, 표준체중이 기록된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신체특징 판단부(105)에서 산출 연산을 통해 표준체중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4가지 신체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측정자는 측정값 보정 대상이 아니므로 1차결과 산출부(104)의 출력을 그대로 이용한다.
표준정보 저장부(106)는 남성 및 여성별 각 신장에 대응하여 표준체중값이 기록된 표준체중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신체특징 판단부(105)와 연동하며, 신체특징 판단부(105)로부터 보정요청을 수신하며, 수신한 보정요청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판단하고, 판단한 보정값을 최종결과 산출부(108)에 제공한다. 여기서, 신체특징 판단부(105)에서 제공하는 보정요청에는 4개의 신체유형 중 하나의 정보가 포함되고, 제2 신체유형이나 제3 신체유형인 경우에 표준체중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1 또는 제4 신체유형인 경우에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판단하지만, 제2 또는 제3 신체유형인 경우에 신체유형 및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과의 비율을 판단하여 보정값을 판단한다.
결국, 신체특징 판단부(105) 및 보정값 산출부(107)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8500437024-pat00008
상기에서, 보정값 A는 0.1 ~ 0.3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보정값 B는 0.2 ~ 0.4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며, 보정값 C는 -0.35 ~ -0.1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보정값 D는 0.25 ~ 0.35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1 신체유형의 여성에 대해서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높을수록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여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을 높이는 보정을 하게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체지방률= 실제측정된 체지방률 + (체지방률*보정값)'이다. 그리고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2 신체 유형의 여성에 대해서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적을수록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여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을 높이는 보정을 하게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체지방률= 실제측정된 체지방률 +(체지방률*보정값)'이다.
그리고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3 신체유형의 남성의 경우에,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많을수록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여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을 낮추는 보정을 하게 한다. 또한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4 신체유형의 남성의 경우에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많을수록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여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을 높이는 보정을 하게 한다.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보정값 산출부(107)에 의해 산출된 보정값으로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체지방률을 보정하여 산출한다. 예컨대,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체지방률에 보정값을 곱하여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한다.
이렇게 최종결과 산출부(108)에 의해 산출된 체지방률은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측정자의 모바일에 제공되고, 측정자의 모바일에서 체지방률을 표시하여 측정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께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분석기(100)는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분석기(100)는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 또는/및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와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측정자로부터 골반 크기에 대한 수치값이나 근력에 대한 수치값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된다.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는 측정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측정자의 디지털 신체 사진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측정자 골반의 넓이(길이) 및 어깨 넓이(길이)를 파악하고, 이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제공한다.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는 측정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측정자의 근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근력 정보를 통해 근력이 강한지, 평균인지 또는 약한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개략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측정자는 체성분분석기(100)를 이용하여 체지방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신의 모바일(10)과 체성분분석기(100)를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10)과 체성분분석기(100)가 연결되게 한다(S401).
이런 상태에서, 측정자는 자신의 모바일(10)에 설치된 측정앱을 실행시키고(S402), 측정앱을 통해 기본정보(연령, 나이, 성별, 체중 등)을 입력한다(S403). 이러한 기본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모바일(10)의 측정앱은 체성분분석기(100)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S404), 체성분분석기(100)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한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한다.
측정자는 체성분분석기(100)의 각 터치패드에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잡는 측정 자세를 취하고, 이에 체성분분석기(100)는 BIA 측정부(103)를 통해 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S405).
이렇게 측정된 임피던스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 제공되고, 1차결과 산출부(104)는 수신된 측정자의 임피던스와 더불어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 등의 기본측정값을 산출한다(S406).
기본측정값 산출이 완료되면, 체지방분석기(100)는 모바일(10)로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고(S407), 이에 측정앱은 측정자로부터 신체특징정보(예; 골반의 크기 정보 또는 근력 정도의 정보)를 입력받는다(408). 측정앱은 입력된 신체특징정보를 체성분분석기(100)로 전송하고(S409), 체성분분석기(100)는 수신한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와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 및 측정자의 실제체중을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4가지 신체유형 중 측정자가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411).
체성분분석기(100)는 측정자가 4가지 신체유형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기본측정값을 최종측정값으로 하여 측정자에게 제공한다.
반면에, 체성분분석기(100)는 측정자가 4가지 신체유형 중 하나에 속하면, 보정값 산출부(107)를 통해 해당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판단하고(S412), 최종결과 산출부(108)를 통해 기본측정값의 체지방률에 보정값을 곱하여 보정측정값을 산출하며(S413), 산출한 보정측정값을 최종측정값으로 하여 모바일(1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414).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측정자가 여성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모바일(10)과 체성분분석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S501). 이런 상태에서, 측정자는 자신의 모바일(10)에 설치된 측정앱을 실행시키고(S502), 측정앱을 통해 기본정보(연령, 나이, 성별, 체중 등)을 입력한다(S503). 이러한 기본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모바일(10)의 측정앱은 체성분분석기(100)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S504), 체성분분석기(100)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한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한다.
측정자는 체성분분석기(100)의 각 터치패드에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잡는 측정 자세를 취하고, 이에 체성분분석기(100)는 BIA 측정부(103)를 통해 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S505). 이렇게 측정된 임피던스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 제공되고, 1차결과 산출부(104)는 수신된 측정자의 임피던스와 더불어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 등의 기본측정값을 산출한다(S506).
기본측정값 산출이 완료되면, 체지방분석기(100)는 모바일(10)로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고(S507), 이에 측정자는 모바일(10)을 통해 자신의 전신을 촬영하거나 기 저장된 자신의 전신 사진을 선택한다(S508). 이러한 측정자의 선택에 의해 측정앱은 측정자가 선택한 사진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체성분분석기(100)로 전송한다(S509).
체성분분석기(100)의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는 측정앱을 통해 측정자의 전신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를 하여 어깨 넓이를 측정하고 골반 넓이를 측정한 후 골반 넓이와 어깨 넓이를 비교한다(S510).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는 어깨 넓이에 대응한 골반 넓이의 비율이 100%-90% 이면 골반의 크기가 평균이라고 판단하고(S511), 이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알린다. 그러면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4가지 신체유형 중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최종결과 산출부(108)에 알리며,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기본측정값을 최종측정값으로 하여 모바일(1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512).
반면에,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는 어깨 넓이에 대응한 골반 넓이의 비율이 100%를 초과하면 골반의 크기가 크다고 판단하고(S513), 이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알린다. 그러면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을 파악하고 표준체중과 실제체중을 비교하여 실제체중이 표준체중에 비해 7% 이상 높은지를 판단하고 7% 이상 높으면 제1 신체유형이라고 판단한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실제체중이 표준체중에 비해 어느 정도 높은지를 파악하고,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보정값을 설정한다(S514). 이때 제1 보정값은 0.1 ~ 0.3 범위의 보정값 중 하나이며,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을 가진다.
한편, 여성신체특징 파악부(109)는 어깨 넓이에 대응한 골반 넓이의 비율이 95% 이하이면 골반의 크기가 작다고 판단하고(S513), 이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알린다. 그러면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을 파악하고 표준체중과 실제체중을 비교하여 표준체중에 대한 실제체중이 표준체중에 비율이 1% ~ -20%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범위에 있으면 제2 신체유형이라고 판단한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실제체중이 표준체중에 비해 어느 정도 높은지를 파악하고,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보정값을 설정한다(S515). 이때 제2 보정값은 0.2 ~ 0.4 범위의 보정값 중 하나이며,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을 가진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보정값을 산출하면, 이를 최종결과 산출부(108)에 제공하고,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기본측정값의 체지방률에 제1 보정값 또는 제2 보정값을 곱하여 최종측정값 즉,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하고 모바일(1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516).
다음으로,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측정자가 남성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모바일(10)과 체성분분석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S601). 이런 상태에서, 측정자는 자신의 모바일(10)에 설치된 측정앱을 실행시키고(S602), 측정앱을 통해 기본정보(연령, 나이, 성별, 체중 등)을 입력한다(S603). 이러한 기본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모바일(10)의 측정앱은 체성분분석기(100)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S604), 체성분분석기(100)는 모바일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한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측정자정보 저장부(102)에 저장한다.
이런 상태에서 측정자가 체성분분석기(100)의 각 터치패드에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잡고 측정을 하면, 체성분분석기(100)는 BIA 측정부(103)를 통해 측정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1차결과 산출부(104)를 통해 측정자의 임피던스와 더불어 측정자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 등의 기본측정값을 산출한다(S605).
기본측정값 산출이 완료되면, 체지방분석기(100)는 모바일(10)로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에 대한 입력을 요청한다(S606). 이에 측정자는 모바일(10)을 근력 측정을 위한 근력측정기구(예; 바벨)에 부착 또는 연결 등을 통해 일체화시키고, 근력측정기구를 이용하여 근력측정운동(예; 스쿼트, squat)을 수행한다.
측정자가 근력측정운동을 하면 근력측정기구에 일체화된 모바일(10)에 탑재된 가속도센서는 근력측정기구의 이동방향을 파악하고(S607), 가속도센서에 연동하는 측정앱에서는 가속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이동방향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가 근력측정운동을 1회 성공하였는지 또는 실패하였는지를 파악한다(S608). 이때 측정자는 모바일(10)의 측정앱에 현재 수행중인 근력측정기구의 무게를 입력하게 되며, 측정앱은 해당 무게에 대한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체성분분석기(100)에 제공한다(S609).
체성분분석기(100)의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는 측정앱으로부터 수신된 근력측정기구의 무게 및 성공 여부를 통해 1회 측정에 성공한 무게를 판단하고, 성공한 무게를 신체특징 판단부(105)에 제공한다. 이에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성공한 무게와 측정자의 표준체중을 파악하고, 성공한 무게가 측정자의 표준체중보다 7% 이상인지, 0% 이상 ~ 7% 미만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610).
신체특징 판단부(105)는 성공한 무게가 측정자의 표준체중보다 0% 미만이면 해당하는 신체유형이 없다고 판단하고(S611), 이에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기본측정값을 최종측정값으로 하여 모바일(1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612).
반면에,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는 성공한 무게가 측정자의 표준체중보다 7% 이상이면 근력이 강하다고 판단하고, 측정자가 제3 신체유형이라고 판단한다(S613). 이에 보정값 산출부(107)는 성공한 무게가 표준체중에 비해 어느 정도 높은지를 파악하고, 성공한 무게와 표준체중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3 보정값을 설정한다(S614). 이때 제3 보정값은 -0.35 ~ -0.1 범위의 보정값 중 하나이며, 성공한 무게와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절대치값을 기준으로 보다 큰 값을 가진다. 즉, 차이가 클수록 -0.35에 근접하는 값을 가지고, 차이가 작을수록 -0.1에 근접하는 값을 가진다.
한편, 남성신체특징 파악부(110)는 성공한 무게가 측정자의 표준체중 대비 0% 이상 ~ 7% 미만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제4 신체유형으로 판단하고, 보정값 산출부(107)는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제4 보정값을 설정한다(S615). 이때 제4 보정값은 0.25 ~ 0.35 범위의 보정값 중 하나이며,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을 가진다.
보정값 산출부(107)는 보정값을 산출하면, 이를 최종결과 산출부(108)에 제공하고, 최종결과 산출부(108)는 1차결과 산출부(104)에서 산출한 기본측정값의 체지방률에 제3 보정값 또는 제4 보정값을 곱하여 최종측정값 즉,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하고 모바일(10)을 통해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61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체성분분석기 10 : 모바일
101 : 모바일 통신부 102 : 측정자정보 저장부
103: BIA 측정부 104 : 1차결과 산출부
105 : 신체특징 판단부 106 : 표준정보 저장부
107 : 보정값 산출부 108 : 최종결과 산출부
109 : 여성신체 파악부 110 : 남성신체 파악부

Claims (6)

  1. 2전극 4점 터치식 체성분분석기에서,
    측정자의 모바일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부,
    상기 모바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포함하는 측정자의 측정기본정보를 저장하는 측정자정보 저장부,
    인체에 무해한 미세교류전류를 각 터치패드를 통해 상체측에 제공하여 상체측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 측정부,
    상기 BIA 측정부에서 측정한 임피던스값과 상기 측정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1차결과 산출부,
    측정자의 신장에 대응하는 표준체중과 측정자의 체중 및 성별별 측정자의 신체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 보정이 필요한 4가지 신체유형 중 하나를 판단하는 신체특징 판단부,
    측정자의 모바일에서 측정한 측정자의 근력 정보를 이용하여 근력이 강한지, 평균인지 또는 약한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 제공하는 남성신체특징 파악부,
    측정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된 측정자의 디지털 신체 사진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하여 측정자 골반의 넓이 및 어깨 넓이를 파악하고, 골반이 어깨보다 크면 골반이 크다고 판단하며, 골반의 넓이가 어깨 넓이의 95% 이하인 경우에 골반이 작다라고 판단하여 파악한 정보를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 제공하는 여성신체특징 파악부,
    상기 신체특징 판단부에서 판단한 신체유형에 대응하는 보정값을 산출하는 보정값 산출부,
    상기 보정값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보정값을 상기 1차결과 산출부에 의해 산출한 체지방률에 곱하여 보정된 체지방률을 산출하는 최종결과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4가지 신체유형은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크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1 신체유형, 여성의 경우에 골반이 작고 표준체중 대비 실제체중이 1% ~ - 20% 범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신체유형,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강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7% 이상 더 무거운 제3 신체유형, 그리고 남성의 경우에 근력이 약하고 실제체중이 표준체중 이상인 제4 신체유형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2. 제1항에서,
    상기 최종결과 산출부는 측정자의 신체유형이 상기 제1 내지 제4 신체유형 중 하나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1차결과 산출부에서 산출한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는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최종결과 산출부에서 산출한 체지방률은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 + (실제 측정된 체지방률*보정값)으로 산출되며,
    상기 제1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1 ~ 0.3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2 ~ 0.4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제3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35 ~ -0.1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이고, 상기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한 보정값은 0.25 ~ 0.35의 범위 내 값 중 하나인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4. 제2항에서,
    상기 보정값 산출부는 상기 제1 신체유형 또는 상기 제2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3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성공한 무게와 표준체중 간의 차이가 클수록 절대치값을 기준으로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며, 상기 제4 신체유형에 대응하여 실제체중과 표준체중간의 차이가 클수록 보다 큰 값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0851A 2016-11-14 2016-11-14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KR10186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51A KR101864952B1 (ko) 2016-11-14 2016-11-14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51A KR101864952B1 (ko) 2016-11-14 2016-11-14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24A KR20180053824A (ko) 2018-05-24
KR101864952B1 true KR101864952B1 (ko) 2018-06-07

Family

ID=6229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51A KR101864952B1 (ko) 2016-11-14 2016-11-14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9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15A (ja) 2000-01-25 2001-07-31 Ya Man Ltd 体脂肪測定機能付き運動量測定装置
KR20050093446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카스 피시(pc) 연결형 체중계를 이용한 체지방율 산출 방법및 그 장치
JP2006223560A (ja) 2005-02-17 2006-08-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KR101702825B1 (ko) 2016-06-22 2017-0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체성분 측정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114A (ja) * 1997-04-01 1998-10-13 Sekisui Chem Co Ltd 体脂肪率測定方法
KR20040050155A (ko) * 2002-12-09 2004-06-16 야만 가부시키가이샤 미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15A (ja) 2000-01-25 2001-07-31 Ya Man Ltd 体脂肪測定機能付き運動量測定装置
KR20050093446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카스 피시(pc) 연결형 체중계를 이용한 체지방율 산출 방법및 그 장치
JP2006223560A (ja) 2005-02-17 2006-08-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KR101702825B1 (ko) 2016-06-22 2017-0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체성분 측정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24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462B2 (ja) 重量測定装置および重量測定方法
US9259169B2 (en) Visceral fat measurement device
EP1306051B1 (en) Daily-life disability related physical information determining apparatus
US7932472B2 (en) Measurement apparatus for measuring changes in body composition
JP4074236B2 (ja) 体組成情報取得装置
WO1999060925A1 (fr) Appareil de mesure de la graisse, dote d'un instrument de mesure de la taille
US8536470B2 (en) Body composition monitor that corrects a body composition evaluation by comparing it with a user's change in weight reading to cancel errors caused by dryness of hands and way of gripping
EP1384435B1 (en) Muscle fatigue measuring equipment
EP1393675A1 (en) Apparatus for judgment of physical constitu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a person
JP2016055132A (ja) バランス能力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70989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5002779A (ja) 生体測定装置及び生体測定方法
US10561343B2 (en) Index deriving device, wearable device, and mobile device
EP119513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asal metabolism
US6782340B1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with built-in weight meter
JP2015093133A (ja) 生体測定装置
US73402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on of muscle mass
KR101864952B1 (ko) 측정값 보정기능을 가진 체성분분석기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5125059A (ja) 体脂肪計および体脂肪率推定プログラム
KR20200027356A (ko) 체성분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JP4953935B2 (ja) 体型誘導システム
JP4396290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20200069402A (ko) 신체 불균형에 대한 보정기능을 갖는 체성분 분석장치
JP3963145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