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891B1 -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891B1
KR101864891B1 KR1020160078534A KR20160078534A KR101864891B1 KR 101864891 B1 KR101864891 B1 KR 101864891B1 KR 1020160078534 A KR1020160078534 A KR 1020160078534A KR 20160078534 A KR20160078534 A KR 20160078534A KR 101864891 B1 KR101864891 B1 KR 10186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client
information
pin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93A (ko
Inventor
전홍기
Original Assignee
(주)비블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블로즈 filed Critical (주)비블로즈
Priority to KR102016007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8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결제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 단계;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판매자 클라이언트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구매자의 계정 정보,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 및 모바일 화폐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가 저장된 핀테크 서버에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와 고유코드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결제 승인 요청 단계; 및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핀테크 서버에서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입장에서 현금을 보유한 상태로 쇼핑 및 관광을 하다가 발생하는 각종 도난 및 범죄로부터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Settlement Method using Fin-tech Wearable Device for Putting a Money on and Paying the Money}
본 발명은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결제방법,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권별로 사용(결제)가 가능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손목 밴드)를 포함한 핀테크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동대문, 명동, 가로수길 등의 주요 상권에서의 관광객이 급증되고 있다. 국내 관광객 지출시장 규모와 관련하여, 이미 지난 2012년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수는 1,000만명을 돌파했으며, 이들의 71%는 순수관광을 목적으로 서울을 방문하여 평균 5.4일을 체류하고 1인당 141만여원을 지출하고 있다. 2012년 주요 외국인 관광객의 1인당 매출액 중 중국이 쇼핑에서 가장 높았으며 국내를 찾는 관광객 수가 현재 증가 추이에 있으므로, 국내 전체적인 외국인 관광객의 지출액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해당 상권의 점주에게는 관광객의 급증이 반길 일이지만,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입장에서는 현금(주로 원화)을 보유한 상태로 쇼핑 및 관광을 하다가 도난 등과 같은 각종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관광객의 쇼핑 및 관광에 있어서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의 조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애플워치와 같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Fitbit과 같은 스마트 밴드(Smart Band), iPhone과 같은 스마트폰(Smartphone) 등의 휴대 장치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러한 휴대 장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서비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장치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이나 온라인 매장 등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되고 있고, 인프라가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 특히, 삼성페이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신용카드에 대해 해당 신용카드의 마그네틱을 모방한 자기 신호를 스마트폰에서 직접 출력하는 루프페이 기술(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US8690059 등)을 적용하고 있어서, 기존의 POS 기기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루프페이는 카드 정보를 담은 스마트폰을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가까이 대면 결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하지만, 기존의 이러한 MST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카드 정보를 스마트폰의 루프페이 애플리케이션(현재는 삼성페이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에서 관광을 하는 관광객들은 대부분 삼성페이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제휴된 카드사/은행의 신용카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삼성페이가 가능한 갤럭시 S6 이후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따라서, 삼성페이가 위에서 언급한 관광객의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애플페이와 같은 NFC 방식은 국내에 NFC 단말기를 보유한 상점이 1% 미만인 점에서, 역시 위에서 언급한 관광객의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대부분의 관광객은 환전소에서 외화를 원화로 환전한 뒤, 이를 가지고 다니다가 관광 중에 이를 사용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고, 다른 일부의 관광객은 주 결제 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데, 위의 MST, NFC 방식은 이러한 관광객의 사용 행태 및 실물 시장 현장에 맞지 않은 방식으로서 관광객을 위한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의 조성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국내 금융 분야의 과도한 진입장벽과 규제로 인하여 핀테크는 2013년 이후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아직 국내 시장은 국외 시장과 비교하면 걸음마 단계이므로, 핀테크를 접목하여 온/오프라인 동시에 사용가능 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는 없는 상황이다.
미국 등록특허 US 8690059 B1,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netic stripe data transmitter, SAMSUNG PAY, INC., MASSACHUSETTS 한국 공개특허 10-2016-0007042, 착용형 장치 및 착용형 장치를 포함하는 후불 결제 시스템 및 후불 결제 방법, 유비트리 주식회사
본 발명의 목적은 관광객의 쇼핑 및 관광에 있어서,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의 조성을 위한 기반 인프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광객의 쇼핑 및 관광에 핀테크 기반의 새로운 금융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 및 판매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실물 시장 현장에 적합한 O2O 결제 서비스를 적용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결제방법, 프로그램 및 결제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자의 단말기인 판매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 단계;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구매자의 계정 정보, 상기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 및 모바일 화폐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가 저장된 핀테크 서버에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결제 승인 요청 단계; 및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서버에서 상기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수신 단계는, 상기 핀테크 서버가,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인 구매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탐색 단계 이전에, 모바일 화폐를 충전 및 정산해주는 정산자의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구매자가 충전할 모바일 화폐에 대한 정보인 충전 정보를 입력받는 충전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및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충전 정보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탐색 단계 이전에,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인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계;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및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구매자의 계정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계정 정보 송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수신 단계 이후에, 모바일 화폐를 충전 및 정산해주는 정산자의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구매자가 정산할 모바일 화폐에 대한 정보인 정산 정보를 입력받는 정산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및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정산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정산 정보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입장에서 현금을 보유한 상태로 쇼핑 및 관광을 하다가 발생하는 각종 도난 및 범죄로부터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환전의 경우에도 매도 및 매수를 지정된 장소에서 함으로 인하여 환전에 따른 수수료를 할인 받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내역과 판매자 연락처 정보를 확인함으로 인하여 쇼핑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서버(11)와 판매자/구매자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지급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의 애플리케이션 UI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시스템과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1)은 정산자 클라이언트(10), 핀테크 서버(11), 구매자 클라이언트(12),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 판매자 클라이언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자 클라이언트(10)는 정산자가 소지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정산자 클라이언트(10)는 인터넷과 연결된 POS 기기, 스마트폰, 태블릿PC, Laptop PC 등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 데스크탑 PC 등의 고정형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자는 구매자에게서 현금을 받고 모바일 화폐를 발행해주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정산자 클라이언트(10)는 핀테크 서버(11)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고객 ID, 충전 금액, 고유코드 등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1)의 중앙 처리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에는 정산자 클라이언트(10), 구매자 클라이언트(12)와 판매자 클라이언트(14)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는 정산자 클라이언트(1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고객 ID, 충전 금액, 고유코드 등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는 구매자 클라이언트(12)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는 판매자 클라이언트(14)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결제 승인 요청 및 결제 승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서버(11)와 판매자/구매자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서버(11)는 관리 모듈, 인증 모듈, 정산 모듈, CR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모듈은 고객 ID, 결제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인증 모듈은 고객 ID를 인증하고 결제를 승인을 인증하는 모듈이다. 정산 모듈은 정산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CRM 모듈은 상점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별/상점별 결제 정보를 저장하여 차후 고객관리 및 판매 관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는 구매자가 소지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는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PC, Laptop PC 등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는 정산자에게서 현금(외화를 포함함)에 대응되는 모바일 화폐를 발행받는 주체이고, 발행받은 모바일 화폐를 이용하여 판매자에게 특정 상품/서비스에 대응되는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이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는 핀테크 서버(11)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결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와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이란 근거리 통신으로 기기가 상호 연결(송수신, 수신 또는 송신 가능 상태)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페어링에 이용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이란, 블루투스(특히, BLE), Zigbee, SUN,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는 정산자가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구매자는 정산자에게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구매하거나 렌트할 수 있다. 구매자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 태깅/페어링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는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 고객 ID를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는 CCM을 이용하는 AES-128 암호화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의 강력한 암호화 및 인증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변조 지수(modulation index)가 늘어난 저에너지 Bluetooth 기술(BLE)의 최대 전송 거리가 100m 이상으로 증가된 점을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보다 향상된 결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클라이언트(14)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판매자 클라이언트(14)는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PC, Laptop PC 등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 또는 인터넷과 연결된 데스크탑 PC 등의 고정형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는 정산자에게서 모바일 화폐에 대응되는 현금을 정산받게 되는 주체이다. 또한,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모바일 화폐를 받게 되는 주체이다. 판매자 클라이언트(14)는 핀테크 서버(11)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결제승인 정보, 결제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판매자 클라이언트(14)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와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이란 근거리 통신으로 기기가 상호 연결(송수신, 수신 또는 송신 가능 상태)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페어링에 이용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이란, 블루투스(특히, BLE), Zigbee, SUN,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클라이언트(14)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태깅에 의해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화폐 발행 요청 단계(S1),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S2), 계좌 정보 생성(S3), 밴드 지급 단계(S4), 상점 방문 단계, 상품 구매 요청 단계(S5),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탐색 단계(S6), 결제 승인 단계(S7), 결제 승인 요청 단계(S8), 결제 승인 단계(S9), 결제 정보 전송 단계(S10), 상품 지급 단계(S11), 현금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화폐 발행 요청 단계(S1)는 구매자가 정산자에게 현금(한화 혹은 외화)를 제공하면서 모바일 화폐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S2)는 정산자가 구매자의 현금에 대응되는 모바일 화폐를 핀테크 서버(11)에 등록하여 충전하는 단계이다. 이때,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에 대응되는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구매자가 충전을 원하는 모바일 화페를 해당 고유코드에 대해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S2)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와 정산자 클라이언트(10)의 NFC 태깅 혹은 Bluetooth 페어링 등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화폐 충전 단계(S2)는 정산자 클라이언트(10)에 충전할 모바일 화폐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20), 정산자 클라이언트(10)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S21), 정산자 클라이언트(10)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단계(S22), 정산자 클라이언트(10)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와 충전할 모바일 화폐에 대한 정보를 핀테크 서버(11)에 송신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정보 생성(S3)는 핀테크 서버(11)에서 정산자 클라이언트(10)에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계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S3 단계에서 계좌 정보에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 코드, 모바일 화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밴드 지급 단계(S4)는 해당 고유 코드에 모바일 화폐를 충전한 뒤, 해당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정산자가 구매자에게 지급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지급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지급 후, 구매자는 구매자 클라이언트(12)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페어링한다(S40). 페어링과 동시에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가 수신되게 된다(S41).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 수신된 고유코드는 핀테크 서버(11)에 구매자의 계정 정보와 함께 핀테크 서버(11)에 송신되게 된다(S42). 핀테크 서버(11)에서는 수신된 구매자의 계정 정보를 S3 단계의 계좌 정보에 포함하여 저장한다(S43). 따라서, S4 단계에서의 계좌 정보에는 구매자 계정 정보,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 모바일 화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점 방문 단계는 구매자가 판매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판매자의 상점에 방문하는 단계이다.
상품 구매 요청 단계(S5)는 구매자가 상점에 방문하여 판매자에게 특정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탐색 단계(S6)는 판매자 클라이언트(14)가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고유코드 송신 단계(S7)는 구매자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통하여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결제 승인 요청 단계(S8)는 구매자가 구매 요청을 한 상품/서비스에 대해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서 핀테크 서버(11)로 결제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 금액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거래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는 핀테크 서버(11)에서 계좌 정보와 대응되어 이용될 수 있다.
결제 승인 단계(S9)는 핀테크 서버(11)에서 해당 결제 승인 요청 정보를 수신한 뒤, 해당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계좌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한 뒤, 해당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정보를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해당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가 확인되지 않거나 해당 계좌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화폐가 부족한 경우 결제 승인 정보가 송신되지 않는다. 결제 승인 정보를 송신하면서, 핀테크 서버(11)에서는 해당 구매자의 계좌 정보에 해당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계좌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화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결제 정보 전송 단계(S10)는 승인된 해당 결제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구매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서 거래된 내역만큼 모바일 화폐가 차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10에 의해 해당 구매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인 계좌 정보가 구매자 클라이언트(12) 및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10에서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서의 결제 승인 정보가 핀테크 서버(11)에 송신되어야 결제가 확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품 지급 단계(S11)는 해당 결제가 승인된 뒤,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급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정산 단계는 구매자가 원하는 모든 거래가 끝난 뒤, 정산자에게 방문하여 남아있는 모바일 화폐 중 적어도 일부 이상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구매자의 계정에 남아있는 적어도 일부의 모바일 화폐가 화폐로 정산되게 되면 정산자 클라이언트(10)에서 핀테크 서버(11)에 해당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정산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화폐 차감 내역)을 송신하게 되고, 핀테크 서버(11) 내에서 해당 정산 정보에 대한 모바일 화폐의 차감을 수행하게 된다. 핀테크 서버(11)에서 모바일 화폐의 차감이 문제없이 수행되면 핀테크 서버(11)에서 정산자 클라이언트(10)로 정산 완료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화폐 차감 내역)가 송신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은 컴퓨터, 이동단말기 상에서 해당 단계들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핀테크 서버(11)에서 수행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S2, S3, S8, S9, S1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산자 클라이언트(10)에서 수행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S1, S2, S3, 정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서 수행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S1, S4, S10, 정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클라이언트(14)에서 수행되는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S6, S7, S8, S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따르면,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고유코드를 Primary Key로 하여 계좌 정보, 계정 정보, 모바일 화폐 정보 등이 모두 통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갖게 되므로, 현금을 보유한 상태로 쇼핑 및 관광을 하다가 발생하는 각종 도난 및 범죄로부터 예방이 예방될 수 있다. 일단 구매자는 현금보다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를 잃어버리기 어려우며, 잃어버린다고 하여도 구매자 클라이언트와 페어링 되기 때문에 구매자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의 소지자가 맞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따르면, 판매자가 핀테크 서버(11)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구매자가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13)와 판매자 클라이언트(14)의 연결을 승인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의 조성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구매자가 구매자 클라이언트(12)에서 직접 거래하게 되면,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핀테크 서버(11)에 저장되기 어려워진다. 이는 상점 정보등록, 고객별/상별 결제 정보 저장이 가능해지므로, 고객관리, 판매관리 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내역과 판매자 연락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쇼핑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정산자 클라이언트(10)를 따로 이용함에 따라, 환전의 경우 환의 매도 및 매수를 지정된 장소에서 수행하게 되므로, 환전 수수료를 할인 받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의 애플리케이션 UI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산자용 어플리케이션(a)에는 충전, 정산, 밴드대여, 밴드 판매에 대한 UI가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용 어플리케이션(b)에는 관광객(구매자)가 최초 스마트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하기 위해 정산소를 방문하여 환전금액을 충전하고 이를 확인, 관리하는 UI가 구성될 수 있다.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c)에는 스마트 웨어러블 밴드를 사용하는 관광객(구매자)가 구매금액 결제를 완료하였을 때 이를 확인하고 인증하며, 정산내역을 관리하기 위한 UI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10: 정산자 클라이언트
11: 핀테크 서버
12: 구매자 클라이언트
13: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판매자 클라이언트

Claims (5)

  1. 모바일 화폐를 충전 및 정산해주는 정산자의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구매자가 충전할 모바일 화폐에 대한 정보인 충전 정보를 입력받는 충전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충전 정보를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충전 정보 송신단계;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인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계;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상기 구매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구매자의 계정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계정 정보 송신단계;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호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 단계;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구매자의 상기 계정 정보, 상기 구매자의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고유코드 및 모바일 화폐 정보를 포함하는 계좌 정보가 저장된 상기 핀테크 서버에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결제 승인 요청 단계; 및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서버에서 상기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수신 단계;
    모바일 화폐를 충전 및 정산해주는 정산자의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구매자가 정산할 모바일 화폐에 대한 정보인 정산 정보를 입력받는 정산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탐색 단계;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고유코드 수신단계; 및
    상기 정산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정산 정보를 상기 핀테크 서버에 송신하는 정산 정보 송신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승인 수신 단계는,
    상기 핀테크 서버가,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인 구매자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결제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판매자 클라이언트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핀테크 서버는,
    상기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고유코드를 Primary Key로 하여 상기 계좌 정보, 상기 계정 정보, 상기 모바일 화폐 정보가 모두 통합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갖는,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78534A 2016-06-23 2016-06-23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186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34A KR101864891B1 (ko) 2016-06-23 2016-06-23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534A KR101864891B1 (ko) 2016-06-23 2016-06-23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93A KR20180000493A (ko) 2018-01-03
KR101864891B1 true KR101864891B1 (ko) 2018-07-04

Family

ID=6100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534A KR101864891B1 (ko) 2016-06-23 2016-06-23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8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01B1 (ko) * 2014-02-28 2014-09-02 (주)동연시스템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하이패스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01B1 (ko) * 2014-02-28 2014-09-02 (주)동연시스템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하이패스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93A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6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nitiated payment transaction using customer's mobile device and card
CN106233664B (zh) 使用访问装置的数据验证
RU2589373C2 (ru) Доверенный внутренний интерфейс
US2012007878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purchaser to direct payment approval, settlement, and membership subscrip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2003946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currency point of sale
JP2016522925A (ja) ネットワークに頼らない携帯装置による不正検出
JP2003108902A (ja) 電子商取引における認証方法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0442A (ko) M­커머스 가상 현금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1781408B1 (ko) 택스 리펀드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4513825A5 (ko)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KR20210056436A (ko) 고객 개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4704520B (zh) 基于云的支付方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1014985A (zh) 使用作为储值装置的普通的移动装置使跨越不同的支付系统的非接触支付交易便利的系统和方法
Ahuja Mobile payments for conducting M-Commerce
KR20010016619A (ko) 크래디트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TWI647633B (zh) Method for inductive financial card payment by using mobile device
KR101852455B1 (ko)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KR101864891B1 (ko) 금전 충전 및 상권별 결제를 위한 핀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1693779B1 (ko)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0012063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구매자에 의한 결제 승인, 정산 및 멤버십가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I668647B (zh) Contactless offline transaction method, seller device and buyer device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