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64B1 - 콘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64B1
KR101864764B1 KR1020170001799A KR20170001799A KR101864764B1 KR 101864764 B1 KR101864764 B1 KR 101864764B1 KR 1020170001799 A KR1020170001799 A KR 1020170001799A KR 20170001799 A KR20170001799 A KR 20170001799A KR 101864764 B1 KR101864764 B1 KR 10186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ransverse
vertical
hoo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득
오상일
Original Assignee
(주) 쿠스코
오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쿠스코, 오상일 filed Critical (주) 쿠스코
Priority to KR102017000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의 폐쇄 상태가 인지 능력이 낮은 유아에 의해서는 쉽게 열리지 않아서 유아에 의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 조립체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플러그 수용부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탄성부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이격된 복수의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의 힌지에 각각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판스프링과 판스프링들을 연결하는 스프링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하우징에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판스프링들과 상기 복수의 힌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 콘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조립체{socket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배선 말단의 플러그를 접속하는 단자인 콘센트(socke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과 본체로 이루어져 벽체나 가구의 모서리부분에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인들이 널리 사용하는 언어 습관에 따라 전자 기기 배선 말단의 접속 단자를 플러그, 벽면이나 멀티 탭에 배치되는 단자를 콘센트로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옥내 배선측의 접속기인 콘센트에 전원이 연결되고, 전자제품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케이블의 단부에 플러그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전원이 차단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할 때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가능하게 된다.
콘센트에는, 일반적으로 플러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수용부인 소켓부를 구비한다.
여러 형태의 콘센트 중에서, 본 명세서의 대상이 되는 콘센트는, 멀티탭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형태가 아닌, 벽체의 모서리나 가구 등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고정되어 사용되는 콘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 사용되어 왔다. 벽체에 고정되는 콘센트는, 몸체의 좌측 및 우측 혹은 상측 및 하측에 벽체고정을 위한 체결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못 등의 체결수단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형성된 체결부의 존재로 인해, 3면의 벽체가 만나는 구석 부분에 콘센트를 설치하는 경우, 콘센트를 벽체 구석에 바짝 밀착 고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소비자는 콘센트가 구석에 밀착고정된 것을 원하지만, 본체로부터 돌출된 체결부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본체가 구석에 밀착되어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른 형태의 종래 콘센트의 경우에도, 테두리 부분에 체결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 구석에 콘센트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다고 하여도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15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벽체의 구석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의 구석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 및 플러그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가로판 관통공과,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걸이부를 구비한 가로판부;와, 상기 가로판부의 일측모서리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세로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판 관통공과,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 걸이부를 구비한 세로판부; 및 상기 세로판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가로판부와 대면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지지결합공이 구비된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제1,2,3,4,5 및 6면을 구비한 육면체로서, 상기 제1면은 상기 가로판부와 대면하되 상기 가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가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로돌기부가 구성된 제1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세로판부와 대면하되 상기 세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세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세로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한 제2면이며, 상기 제3면은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돌출지지부의 지지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들 지지결합공 및 고정관통공에 동시에 체결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걸이부와 제4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돌기부는,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돌기부는, 상기 제3걸이부와 제4걸이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3돌기부와 제4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3걸이부와 제4걸이부의 사이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관통공과 제4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센트 조립체에 의하면, 고정브라켓을 사전 결정된 위치에 결합한 후 여기에 본체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전체 콘센트 조립체가 벽체의 구석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 조립체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센트 조립체가 벽체 구석에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콘센트 조립체 구성 중 고정브라켓만이 도시된 도면,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콘센트 조립체 구성 중 본체만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도 1의 콘센트 조립체가 벽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콘센트 조립체를 벽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3개가 만나는 구석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콘센트 조립체(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 구석에 고정될 수도 있고, 우측 구석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콘센트 조립체(1)는 벽체의 구석뿐 아니라, 가구 등의 구석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석'이라고 함은, 3개의 벽체 혹은 판부재가 만나는 부분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 조립체(1)는, 고정브라켓(10)과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브라켓(10)은 벽체의 구석에 미리 고정되는 부재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이후 벽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에 본체(30)를 결합시킨다.
고정브라켓(10)은, 가로판부(12)와, 세로판부(14)와, 돌출지지부(16)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판부(12)는, 가로판 관통공과, 가로 걸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로판 관통공에는,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체결부재가 고정되면, 결국 고정브라켓(10)에 벽체의 구석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가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관통공(120)와 제2관통공(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 걸이부는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이다. 이러한 가로 걸이부에는 본체(3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가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걸이부(122)와 제2걸이부(124)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걸이부(124)는 아래를 향해 돌출된 부분(124a)과, 이로부터 좌측을 향해 꺾인 후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부분(124b)을 포함한다. 연장형성된 부분(124b)위로 공간(125)을 형성한다. 이 공간(125)에 가로 돌기부가 측면으로부터 삽입된 후 지지되는 것이다. 제1걸이부(122)의 구성도 동일하다.
상기 세로판부(14)는, 가로판부(12)의 일측모서리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부재이다. 세로판부(14)는, 세로판 관통공과, 세로 걸이부를 구비한다.
상기 세로판 관통공에는, 가로판 관통공과 마찬가지로,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체결부재가 고정되면, 결국 고정브라켓(10)에 벽체의 구석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세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관통공(140)와 제4관통공(141)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 걸이부는. 가로 걸이부와 마찬가지로서,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이다. 이러한 세로 걸이부에는 본체(3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세로 돌기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4걸이부(144)는 우측을 향해 돌출된 부분(144a)과, 이로부터 아래를 향해 꺾인 후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부분(144b)을 포함한다. 연장형성된 부분(144b) 좌측으로 공간(145)을 형성한다. 이 공간(145)에 세로 돌기부가 측면으로부터 삽입된 후 지지되는 것이다. 제3걸이부(142)의 구성도 동일하다.
상기 돌출지지부(16)는, 세로판부(14)의 하단부로부터 가로판부(12)와 대면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판부, 세로판부, 돌출지지부가 “ㄷ” 형태를 이룬다. 돌출지지부(16)는 지지결합공(160)을 구비한다. 지지결합공(160)은 제3면(36)의 고정관통공(362)과 동시에 체결되는 나사부재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출지지부(16)는 중앙부에 하나 구비되며,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의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참조번호 '148', '149'로 지시되는 부분은 세로판부의 양단부이다.
상기 본체(30)는, 고정브라켓(10)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본체(30)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소켓부(31)를 2개 구비한다. 각 소켓부(31)에는 사용자의 안전과 미려한 외관을 위해, 덮개(312)가 구비되어 있다. 덮개(312)는 힌지부를 구비한 일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본체(30)는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이다. 수학적인 정의에 의한 육면체는 아니지만,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를 이룬다. 본체(30)는, 제1,2,3,4,5 및 6면(32, 34, 36, 37, 38, 39)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면(32)은 상기 가로판부(12)와 대면하는 면이다. 제1면(32)은, 가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가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로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로 돌기부는, 제1걸이부(122)와 제2걸이부(124)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1돌기부(320)와 제2돌기부(322)를 포함한다.
제1돌기부(320)는 제1걸이부(122)와 비교하여 유사한 형상이다. 즉, 제1돌기부(320)는,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로 돌출된 후 후방으로 꺾인 후, 연장 형성된다. 제1돌기부(320)는, 상부로 돌출된 부분(320a)과, 꺾인 후 연장형성된 부분(320b)을 포함한다. 제2돌기부(322)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고정브라켓(10)이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돌기부(322)의 연장형성된 부분(322b)이 제2걸이부(124)의 공간(125)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연장형성된 부분(124b)에 지지된다. 제1돌기부(320)와 제1걸이부(122) 사이의 결합도 같은 방식이다.
상기 제2면(34)은, 세로판부(14)와 대면하는 면이다. 제2면(34)은, 세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세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세로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세로 돌기부는,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3돌기부(340)와 제4돌기부(342)를 포함한다.
제3돌기부(340)와 제4돌기부(342)는 방향만 다를 뿐, 그 전체적인 형상은 모두 제1,2돌기부((320,322)와 동일하다.
또한, 제3,4돌기부(340, 342)는 제3,4걸이부(142, 144)에 결합되는데, 결합방식은 제2돌기부(322)와 제2걸이부(124) 사이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다.
한편, 제2면(34)의 하부에는 돌출지지부(1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3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면(36)은 제2면(34)에 형성된 삽입구(344)에 삽입된 돌출지지부(16)에 형성된 지지결합공(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관통공(3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결합공(160) 및 고정관통공(362)에는 하나의 나사부재와 같은 체결수단이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의 콘센트 조립체(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을 벽체, 혹은 가구 등의 구석에 위치시킨다. 제1,2,3,4관통공(120, 121, 14, 141)의 각각에 못이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한다. 고정브라켓(10)은 단단히 벽체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에 본체(30)를 위치시킨 후 본체(3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본체(30)의 제1,2,3,4 돌기부(320, 322, 340, 342)의 각각이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브라켓(10)의 제1,2,3,4 걸이부(122, 124, 142, 144)의 각각의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하며, 돌출지지부(16)가 삽입구(344)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각 돌기부의 연장형성된 부분(예컨대 322a)을 대응하는 각 걸이부에 형성된 공간(예컨대 125)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30)를 좌측으로 더 이동시킨다. 4개의 돌기부의 각각의 연장형성된 부분이 대응하는 걸이부의 형성된 공간으로 동시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몸체(30)의 제3면(36)에 구비된 고정관통공(362)에 나사부재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되, 고정브라켓(10)의 돌출지지부(16)의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결합공(160)까지 함께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본체(30)는, 도 1과 같이 벽체의 구성에 밀착되어, 고정브라켓(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센트 결합체를 고정시키는 작업과는 별도로 전기선을 본체의 전선연결부(345)에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도 1에는 벽체의 좌측구석에 콘센트 결합체를 고정시키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벽체의 우측구석에도 같은 방식으로 콘센트 결합체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벽체가 만나는 구석이나, 혹은 2개의 벽체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고정브라켓을 사전 결정된 위치에 고정시켜 두고, 몸체를 간편하게 결합시킨 후, 하나의 체결부재만 체결하고 나면, 외관이 미려한 콘센트 결합체의 견고한 고정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짐이 자명하다.
1: 콘센트 조립체
10 : 고정브라켓 12 : 가로판부
14 : 세로판부 16 : 돌출지지부
30 : 본체 32,34,36,37,38,39 : 제1,2,3,4,5,6면

Claims (4)

  1. 벽체의 구석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브라켓(10); 및
    플러그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부(31)를 구비한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적어도 하나의 가로판 관통공과,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걸이부를 구비한 가로판부(12);와,
    상기 가로판부의 일측모서리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세로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판 관통공과, 돌출된 후 꺾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 걸이부를 구비한 세로판부(14); 및
    상기 세로판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가로판부와 대면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지지결합공이 구비된 돌출지지부(16);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30)는 제1,2,3,4,5 및 6면(32, 34, 36, 37, 38, 39)을 구비한 육면체로서,
    상기 제1면(32)은 상기 가로판부(12)와 대면하되 상기 가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가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가로돌기부가 구비된 제1면이고,
    상기 제2면(34)은 상기 세로판부(14)와 대면하되 상기 세로 걸이부에 그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세로 걸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세로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344)를 포함한 제2면이며,
    상기 제3면(36)은 상기 제2면(34)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돌출지지부(16)의 지지결합공(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관통공(362)이 형성되어, 이들 지지결합공 및 고정관통공에 동시에 체결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걸이부(122)와 제2걸이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걸이부는,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돌기부는, 상기 제1걸이부(122)와 제2걸이부(124)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1돌기부(320)와 제2돌기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돌기부는, 상기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3돌기부(340)와 제4돌기부(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16)는 상기 제3걸이부(142)와 제4걸이부(144)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1관통공(120)과 제2관통공(121)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판 관통공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한 제3관통공(140)과 제4관통공(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조립체.
KR1020170001799A 2017-01-05 2017-01-05 콘센트 조립체 KR10186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99A KR101864764B1 (ko) 2017-01-05 2017-01-05 콘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99A KR101864764B1 (ko) 2017-01-05 2017-01-05 콘센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64B1 true KR101864764B1 (ko) 2018-06-08

Family

ID=6259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799A KR101864764B1 (ko) 2017-01-05 2017-01-05 콘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571Y1 (ko) * 2005-05-20 2005-08-19 오남용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KR200404075Y1 (ko) * 2005-09-22 2005-12-16 채장준 콘센트
KR20090052772A (ko) * 2007-11-21 2009-05-26 옥윤선 삼각콘센트
KR101196875B1 (ko) * 2012-07-26 2012-11-05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벽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20130113358A (ko) * 2013-01-23 2013-10-15 최종우 책상용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140024037A (ko) * 2014-02-03 2014-02-27 최종우 책상용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101681563B1 (ko) 2014-05-26 2016-12-06 김남수 전원 플러그와의 결합이 용이한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571Y1 (ko) * 2005-05-20 2005-08-19 오남용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KR200404075Y1 (ko) * 2005-09-22 2005-12-16 채장준 콘센트
KR20090052772A (ko) * 2007-11-21 2009-05-26 옥윤선 삼각콘센트
KR101196875B1 (ko) * 2012-07-26 2012-11-05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벽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20130113358A (ko) * 2013-01-23 2013-10-15 최종우 책상용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140024037A (ko) * 2014-02-03 2014-02-27 최종우 책상용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101681563B1 (ko) 2014-05-26 2016-12-06 김남수 전원 플러그와의 결합이 용이한 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310B2 (en) Hidden hinge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AU2008210254A1 (en) A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1738095B1 (ko) 안전 콘센트 조립체
KR101864764B1 (ko) 콘센트 조립체
KR102043507B1 (ko) 신발장 후면판과 전기통신함 사이의 틈새막이장치
JP5886570B2 (ja) コンセント
KR20190009671A (ko) 가구용 콘센트 장치
JP6461717B2 (ja) 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方法、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装置、および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構造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101670347B1 (ko)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KR10197105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구조
US3470330A (en) Telephone backboard
CN111725670B (zh) 一种开关插座
TWI559639B (zh) 地板用配線器具
KR101227225B1 (ko) 뽑기 편한 플러그와 콘센트 세트
KR20120073696A (ko) 커넥터
JP3188367U (ja) 家具用電源コンセント
JP2004214223A (ja) 筐体の壁掛け構造
KR101532720B1 (ko) 방수 커넥터
CN212037144U (zh) 烹饪器具
JP5572363B2 (ja) 接続装置の取付け構造
JP2010027248A (ja) 直流コンセント
KR101033420B1 (ko)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브라켓의 결합이 가능한 천정매입등용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