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60B1 - 초콜릿 템퍼링 장치 - Google Patents

초콜릿 템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60B1
KR101864760B1 KR1020170092429A KR20170092429A KR101864760B1 KR 101864760 B1 KR101864760 B1 KR 101864760B1 KR 1020170092429 A KR1020170092429 A KR 1020170092429A KR 20170092429 A KR20170092429 A KR 20170092429A KR 101864760 B1 KR101864760 B1 KR 10186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ing
chocolate
temperature
cylin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102017009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20Apparatus for mould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콜릿이 수용되는 통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초보자도 쉽게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템퍼링통; 템퍼링통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템퍼링통의 양측에 설치되어 템퍼링통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구동부 및 가열장치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콜릿 템퍼링 장치{CHOCOLATE TEMPERING DEVICE}
본 발명은 초콜릿 템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콜릿이 수용되는 통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초보자도 쉽게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일반 가정이나 업소에서 초콜릿으로 장식몰드나 공예 제품을 만들 때 초콜릿을 녹여서 사용할 경우 반드시 템퍼링이라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템퍼링이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결정형의 성질을 이용해 안정된 결정을 만들어지도록 온도를 맞춰주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템퍼링을 할 때 대형 판 초콜릿(커버추어)을 녹는점 34~4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 녹인 후 대리석 위에 붓고 팔레트 나이프로 얇게 펼쳐 식히고, 온도 27~29℃에서 차츰 점성이 생기면 원래의 초콜릿 용기에 담아 온도를 30~32℃로 균일하게 맞춘다.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초콜릿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카카오버터의 성질 때문인데 카카오버터는 그 결정의 모양(분자 배열형태)에 따라서 성질(풍미나 감촉)이 크게 달라진다. 즉, 액체 상태의 지방분자가 굳으면서 어떤 모양으로 배열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결정이 형성된다.
일단, 녹인 카카오버터를 냉각하면 카카오버터의 분자가 결정 형태를 이루며 굳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성질을 가진 4가지 형태의 결정이 만들어지는데, 매끈한 광택의 초콜릿을 얻기 위해서는 베타형의 미세한 결정으로 만들어 굳혀야 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대형 판 초콜릿을 40~50℃ 정도로 가열해 결정이 없는 상태로 만든 다음, 27℃ 정도로 냉각한다. 그러면 베타형 결정의 핵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을 다시 가열해 30℃ 정도로 유지시킨다. 이 온도는 베타형 결정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므로 이 과정에서 베타형 결정이 서서히 증가함으로 대부분의 카카오버터가 안정적인 베타형 결정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카오버터의 특성상 템퍼링을 거쳐야 초콜릿 특유의 광택이 나고 형틀에서 초콜릿이 잘 떨어져 제과점이나 가정에서 누구나 좋은 초콜릿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템퍼링을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도구들이 필요하며, 템퍼링을 위해 초콜릿에 가해지는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므로 숙련자가 아닌 일반인이나 초보자가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54819호, "초콜릿 템퍼링 기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콜릿이 수용되는 통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초보자도 쉽게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하우징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템퍼링통; 템퍼링통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템퍼링통의 양측에 설치되어 템퍼링통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구동부 및 가열장치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상기 템퍼링통의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열장치는 다수의 발열수단을 구비하며, 이 발열수단들은 제어부에 의해 발열 세기가 각각 컨트롤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템퍼링 시간별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템퍼링통의 양측에서 지속적으로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가열장치 및 구동부의 작동을 컨트롤함에 따라 초콜릿이 수용되어 있는 템퍼링통의 온도가 템퍼링 시간별로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초보자도 쉽고 안정적으로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100)는, 가열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며, 가열장치(110)에 의해 가열되는 템퍼링통(130); 템퍼링통(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40); 템퍼링통(130)의 양측에 설치되어 템퍼링통(130)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150); 및 온도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구동부(140) 및 가열장치(110)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X, Y, Z 좌표를 이용하여, X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Y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Z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열장치(11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가열장치(110)는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장치로서, 인덕션이나 하이라이트(전기레인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함으로써 템퍼링통(130)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가열장치(110)는 하우징(120)의 상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발열수단(112)을 구비한다. 발열수단(11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부재로서, 각각의 발열수단(112) 별로 발열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발열수단(112)의 발열세기는 제어부(160)에 의해 컨트롤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발열수단(112)의 발열세기가 각각 제어됨에 따라 발열수단(112)에 의해 가열되는 템퍼링통(130)을 고르게 가열시켜 초콜릿을 고르게 템퍼링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열장치(110)의 발열수단(112)들이 모두 동일한 세기로 발열할 경우 중앙쪽에 비해 외부로부터 비교적 노출이 많은 템퍼링통(130)의 양단부의 온도가 템퍼링통(130)의 중앙부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템퍼링통(130)에 들어가 있는 초콜릿 온도가 위치별로 상이하게 되므로 초콜릿을 고르게 템퍼링하는게 어려운 반면, 발열수단(112)들의 발열 세기를 각각 컨트롤하게 되면 온도센서(150)에 의해 텀퍼링통(130)의 위치별로 온도가 다르게 측정될 시, 비교적 낮게 측정되는 부분에 인접하는 발열수단(112)의 발열 세기만을 조절하여 템퍼링통(130)의 전체적인 온도를 균일하게 맞춰줄 수 있게 되므로, 초콜릿을 고르게 템퍼링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1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110)가 구비된다. 하우징(120)은 전체적인 케이싱 역할로서, 하우징(120)에는 템퍼링통(130), 구동부(140) 및 온도센서(150)가 연결된다.
한편, 하우징(120)의 양측에는 온도센서(15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슬롯(1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150)의 좌우 이동을 위한 이동슬롯(122)이 하우징(120)의 양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홈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온도센서(150)의 일단부와 자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양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금속(철판) 및 자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마그넷)일 수 있다.
템퍼링통(130)은 하우징(1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템퍼링통(130)은 템퍼링 하고자 하는 초콜릿이 수용되는 통으로서, 가열장치(1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가열된 열을 초콜릿에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퍼링통(130)의 양단부는 브라켓(142)에 의해 지지되며, 템퍼링통(130)은 브라켓(142)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템퍼링통(130)의 일단부에는 초콜릿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된다. 템퍼링통(130)은 실리콘건과 같이 작동하며,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타단부를 눌러 주게되면 일단부의 배출구를 통해 템퍼링통(130) 안의 초콜릿이 배출되면서, 초콜릿을 이용하여 장식을 하거나 모양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템퍼링통(1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퍼링통(130)의 A, B, C 위치와 가열장치(110)의 간격이 서로 상이해짐에 따라 템퍼링통(1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초콜릿의 온도가 A, B, C 위치별로 상이해져 초콜릿의 고른 템퍼링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초콜릿 템퍼링 장치(100)는, 템퍼링통(130)을 전후방향(도 2의 a, b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템퍼링통(130)의 A, B, C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맞춰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템퍼링통(130)의 A 위치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온도센서(150)에 의해 B와 C 위치의 온도가 다소 낮게 측정되면, 구동부(140)는 템퍼링통(130)을 a 또는 b 방향으로 회전시켜 템퍼링통(130)의 B 위치 또는 C 위치를 중앙부에 위치시켜 온도를 높여주게 되며, 이와 같은 템퍼링통(130)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템퍼링통(130)의 A, B, C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시켜주게 된다.
덧붙여, 템퍼링통(130)을 회전시켜주게 되면 템퍼링통(130) 안의 초콜릿이 한군데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됨으로써 초콜릿을 젓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초콜릿의 템퍼링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구동부(140)는 템퍼링통(130)이 정역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템퍼링통(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구동부(140)는 템퍼링통(13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142)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운동하는 구동모터(144)로 구성된다. 구동모터(144)의 구동축은 템퍼링통(1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44)의 작동 시 템퍼링통(130)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구동모터(144)는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이 컨트롤 된다.
온도센서(150)는 템퍼링통(130)의 양측에 배치된다. 온도센서(150)는 하우징(120)의 이동슬롯(122)에 결합되어 템퍼링통(13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온도센서(150)는 적외선을 통해 템퍼링통(130)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온도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160)로 전달되며, 제어부(160)는 이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한 가열장치(110) 및 구동부(140)의 작동을 컨트롤하게 된다.
본 실시예서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와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는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일 수 있으며, 휴대용단말기에는 제어부(160)로부터 전송된 초콜릿 템퍼링 과정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제어부(160)를 컨트롤해 사용자의 임의적으로 가열장치(110) 및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에는 초콜릿 템퍼링 시간별 온도가 기설정되어 있으며, 템퍼링통(130)의 온도가 제어부(160)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160)는 템퍼링통(130)의 양측에서 지속적으로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가열장치(110) 및 구동부(140)의 작동을 컨트롤함에 따라 초콜릿이 수용되어 있는 템퍼링통(130)의 온도가 템퍼링 시간별로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초보자도 쉽고 안정적으로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초콜릿 템퍼링 장치 110:가열장치
120:하우징 122:이동슬롯
130:템퍼링통 140:구동부
142:브라켓 144:구동모터
150:온도센서 160:제어부

Claims (3)

  1. 초콜릿을 템퍼링할 수 있는 템퍼링 장치에 있어서,
    가열장치(110)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120);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템퍼링하고자 하는 초콜릿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며, 일단부에는 내부의 초콜릿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템퍼링통(130);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템퍼링통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142) 및 상기 템퍼링통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4)를 포함하는 구동부(140);
    상기 템퍼링통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템퍼링통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센서(150);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구동부 및 가열장치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템퍼링통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템퍼링통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템퍼링통의 타단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템퍼링통은 실리콘 건과 같이 작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내부의 초콜릿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템퍼링통의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다수의 발열수단(112)을 구비하며, 상기 발열수단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열 세기가 각각 컨트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템퍼링 장치.
KR1020170092429A 2017-07-21 2017-07-21 초콜릿 템퍼링 장치 KR10186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29A KR101864760B1 (ko) 2017-07-21 2017-07-21 초콜릿 템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29A KR101864760B1 (ko) 2017-07-21 2017-07-21 초콜릿 템퍼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60B1 true KR101864760B1 (ko) 2018-06-05

Family

ID=6263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429A KR101864760B1 (ko) 2017-07-21 2017-07-21 초콜릿 템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613A (ja) * 1998-03-16 1999-11-16 Aasted Mikroverk Aps チョコレ―ト状物質の連続的なテンパ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3291816B2 (ja) * 1993-03-03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品の温度計測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理器具
KR100854819B1 (ko) 2003-10-22 2008-08-27 초코비젼 코포레이션 초콜릿 템퍼링 기계
JP2009154001A (ja) * 2009-04-13 2009-07-16 Nichirei Foods:Kk 食品連続加熱機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放射温度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816B2 (ja) * 1993-03-03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品の温度計測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理器具
JPH11313613A (ja) * 1998-03-16 1999-11-16 Aasted Mikroverk Aps チョコレ―ト状物質の連続的なテンパ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854819B1 (ko) 2003-10-22 2008-08-27 초코비젼 코포레이션 초콜릿 템퍼링 기계
JP2009154001A (ja) * 2009-04-13 2009-07-16 Nichirei Foods:Kk 食品連続加熱機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放射温度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5496B1 (en) Process for preparing refrigerated products
CN107847086B (zh) 用于感测食品和饮料特性的厨房电器
US10328402B2 (en) Wireless blending device and system
KR101626918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이 가능한 믹서기
ITBO20070789A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alimentari liquidi e semiliquidi
CN108291724A (zh) 用于智能下置型感应灶的支撑烹饪容器的装置
MY176648A (en) Machine and system for preparing a cooled food product with aerated or whipped texture in controlled manner
JP2015150424A5 (ko)
CN205020020U (zh) 一种多样品磁力搅拌器
KR101864760B1 (ko) 초콜릿 템퍼링 장치
KR20200112302A (ko) 조리 보조 장치 및 조리 시스템
EP329886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able heat zones in an oven
US10856371B2 (en) Wireless sensor in a microwave oven
CN108215028A (zh) 一种用于制备抛光垫的模具系统及其使用方法
CN110037532A (zh) 加热组件
CN108602068A (zh) 用于进行试验的设备
US20210204755A1 (en) Foodstuff preparation device
GB2588888A (en) Cooking appliance and heating arrangement therefor
CN112656234A (zh) 用于操作加热系统和厨房器具的方法
CN108081544A (zh) 一种预热温度均匀的橡胶注塑进料控制系统
CN106929642B (zh) 一种使用高频涡流进行加热的精密震动式回火炉
EP3398443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crystallisation solidification curves of chocolate mass and other fat masses
JP3558041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4882427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WO2007131009A1 (en) Dispensing machine to enhance the visual appeal of prepared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