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02B1 -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02B1
KR101864302B1 KR1020160165780A KR20160165780A KR101864302B1 KR 101864302 B1 KR101864302 B1 KR 101864302B1 KR 1020160165780 A KR1020160165780 A KR 1020160165780A KR 20160165780 A KR20160165780 A KR 20160165780A KR 101864302 B1 KR101864302 B1 KR 10186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ack
spray
lique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오더블유 filed Critical (주)케이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6016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분무액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분무된 액체를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적용한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택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가열유체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택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가열부; 상기 스택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열부와 안내유로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의 가열을 통해 생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액화부; 상기 액화부와 유동관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스택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화부에서 생성된 액체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상기 스택의 내부로 액체를 분무하는 액체분무부; 상기 스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분무부에서 분무된 액체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하강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폐수포집부; 상기 폐수포집부에서 포집된 폐수를 수용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액체를 상기 가열부로 배출하는 폐수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FINE DUST REDUCING APPARATUS FOR STACK}
본 발명은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분무액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분무된 액체를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적용한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보일러, 폐기물 소각로, 용해로 등을 운전할 때 그을음(煤)과 먼지(粉塵)(상기 그을음과 먼지를 "매진" 이라 함) 및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이 발생되며, 상기한 매진 등은 공해물질이므로 공해방지법규에 의하여 규제함으로써, 집진장치를 사용하여 집진을 하고 있는바, 상기 집진장치중 포집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습식 집진(세정 집진)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습식 집진방법은 배기가스에 물(특수한 경우 표면 활성제를 첨가함)을 분사하여 물방울과 매진의 접촉에 의하여 매진입자를 포착하는 것이므로 배수의 처리와 집진 슬러리의 처리에 충분한 주의를 요하고 있다.
종래 습식 집진장치로서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5-5318호의 굴뚝 설치용 집진장치는 상단부에 저수부를 갖는 집진통을 장착하여 집진통의 내주면 일측에 다수의 물분사공을 갖는 급수파이프를 횡성하고 집진통의 저수부 바닦면에 배수구를 천설하여 지면에 장착되는 저수통과 집진통의 배수구로 연결하며 저수통의 펌프와 집진통의 급수파이프를 급수관으로 연결한 후 저수통의 배수관 하단과 펌프사이에 집진필터를 간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습식 집진장치는 굴뚝의 상부에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분사하는 구조로서 상단부에 물의 하중을 감당하여야 하므로 굴뚝이 견고한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굴뚝에서 배출하는 매연과 분사된 물의 접촉시간이 적어 매연을 제거하는 매에 포함된 매진을 제거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체가 채워진 가열부를 스택의 내부에 설치하고, 가열부에 채워진 액체가 배출가스의 열에 의해 데워져 수증기화되어 증발되게 하고, 이를 다시 액화시켜 스택의 내부로 분무함으로써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사용된 액체를 정화하여 다시 가열부로 보내는 방식의 유체 순환방식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제거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를 갖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택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가열유체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택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가열부; 상기 스택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열부와 안내유로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의 가열을 통해 생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액화부; 상기 액화부와 유동관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스택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화부에서 생성된 액체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상기 스택의 내부로 액체를 분무하는 액체분무부; 상기 스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분무부에서 분무된 액체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하강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폐수포집부; 상기 폐수포집부에서 포집된 폐수를 수용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액체를 상기 가열부로 배출하는 폐수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화부는 격판을 매개로 상부응축실과 하부액체수용실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상부응축실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액체가 상기 하부액체수용실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액체이동공과, 상기 액체이동공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응축실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액체가 상기 액체이동공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관로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액화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액체분무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관로에는 상기 액화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수용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액화부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액체분무부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액체분무부는, 상기 유동관로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스택의 내주연을 따라 설치되되 다수개의 유체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유체분사배관과, 상기 유체분사배관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격자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유체분사배관을 통해 유입된 액체의 분무를 위한 분무공이 형성된 격자형 분무관과, 상기 분무공의 하부에 상기 분무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무공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스택의 내부에 분무하는 안개분무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부공과 마주하는 상기 안개분무노즐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무공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넓은 방향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선회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폐수포집부는 배출가스가 상기 스택의 상측방향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로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액체분무부에서 분무된 액체와 함께 하강하는 경우, 일정크기의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구와, 상기 흡착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구를 통과한 유체를 포집하는 폐수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수증기를 형성하고, 형성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스택의 내부로 분무함으로써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유체 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개분무노즐에 의한 미세 입자 형태의 안개분무로 인해 분무입자의 대기 중 체류시간의 증가 및 미세부유물의 제거효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분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분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노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노즐에 의한 분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포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분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분무부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노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분무노즐에 의한 분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포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상기 스택(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가열부(100)와, 상기 스택(1)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는 액화부(200)와, 상기 액화부(200)에 연결되어 스택(1)의 내부로 액체를 분무하는 액체분무부(300)와, 폐수를 포집하는 폐수포집부(400)와, 폐수를 정화하여 상기 가열부(100)로 배출하는 폐수정화부(50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액체가 채워진 가열부(100)를 상기 스택(1)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가열부(100)에 채워진 액체가 배출가스의 열에 의해 수증기화되어 증발하게 되면 이를 다시 액화시켜 스택의 내부로 분무함으로써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사용된 액체를 정화하여 다시 가열부(100)로 보내는 방식의 유체 순환시스템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제거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100)는 상기 스택(1)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가열유체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택(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스택(1)에서 고온의 배출가스가 배출되면 상기 가열부(100)가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그 내부에 수용된 가열유체 또한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액화부(200)는 상기 스택(1)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열부(100)와 안내유로(24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100)의 가열을 통해 생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화부(200)는 격판(220)을 매개로 상부응축실(210)과 하부액체수용실(230)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상기 격판(220)에는 상기 상부응축실(210)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액체가 상기 하부액체수용실(230)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이동공(221)과 상기 액체이동공(221)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응축실(210)에서 응축되어 생선된 액체가 상기 액체이동공(221)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경사면(2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체이동공(221)에는 이물질의 여과를 위한 여과망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가열부(100)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상기 안내유로(240)를 따라 상기 액화부(200)의 상부응축실(210)로 유입되어 액화되고, 액화된 액체는 상기 격판(220)의 유동경사면(223)을 따라 상기 액체이동공(221)으로 모여 상기 하부액체수용실(230)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액체분무부(300)는 상기 액화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택(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화부(200)에서 생성된 액체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상기 스택(1)의 내부로 액체를 분무하게 되는 것으로, 액체를 작은 구멍으로 분출 비산시켜 미립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분무노즐일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때, 상기 액체분무부(300)는 상기 액화부(200)와 유동관로(31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유동관로(310)의 내주연은 상기 액화부(200) 방향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액체분무부(300) 방향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갈수록 내주연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액체분무부(300)는 상기 액화부(20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액화부(200)의 하부액체수용실(230)에 수용된 액체는 상기 유동관로(310)를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유동관로(310)의 내주연 형성으로 인해 유속이 점차 증가되어 상기 액체분무부(300)로 이동되고, 그로 인해 상기 액체분무부(300)에서 액체의 분무시 효과적인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관로(310)에 펌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하부액체수용실(230)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액체분무부(300)로 일정한 유속을 형성하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유동관로(310)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액화부(20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액체분무부(300)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관로(310)에는 상기 액화부(200)에 일정량의 액체가 수용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액화부(200)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액체분무부(300)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3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액체분무부(300)는, 상기 유동관로(31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스택(1)의 내주연을 따라 설치되되 다수개의 유체배출공(3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유체분사배관(320)과, 상기 유체분사배관(32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격자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유체분사배관(320)을 통해 유입된 액체의 분무를 위한 분무공(331)이 형성된 격자형 분무관(330)과, 상기 분무공(331)의 하부에 상기 분무관(33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무공(331)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스택(1)의 내부에 분무하는 안내분무노즐(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체배출공(321)과 상기 분무공(331)은 오리피스관로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공(331)과 마주하는 상기 안내분무노즐(340)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무공(331)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넓은 방향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선회홈(34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분무공(331)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안내분무노즐(340)에 타격되어 선회홈(341)을 거쳐 분무되는 경우, 미세 입자형태의 안개분무를 이룰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대기 중 체류시간의 증가 및 미세부유물의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폐수포집부(400)는 상기 스택(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분무부(300)에서 분무된 액체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하강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인접한 폐수포집부 사이에는 상기 액체분무부(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폐수포집부(400)는 배출가스가 상기 스택(1)의 상측방향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로(410)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액체분무부(300)에서 분무된 액체와 함께 하강하는 경우, 일정크기의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구(420)와, 상기 흡착구(4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구(420)를 통과한 유체를 포집하는 폐수받이(430)로 구성된다.
즉, 배출가스가 상기 이동로(410)를 통해 상기 스택(1)의 상측방향으로 상승이동되면 상기 액체분무부(300)에서 분무된 액체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흡착구(420)로 하강하게되고, 상기 흡착구(420)를 통과한 폐수가 상기 폐수받이(430)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호 인접된 각각의 폐수포집부의 이동로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폐수정화부(500)는 상기 폐수포집부(400)에서 포집된 폐수를 수용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액체를 상기 가열부(100)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폐수정화부(500)에는 정화된 액체를 상기 가열부(100)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수증기를 형성하고, 형성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스택의 내부로 분무함으로써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미세 입자 형태의 안개분무로 인해 분무입자의 대기 중 체류시간의 증가 및 미세부유물의 제거효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유체 순환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열부 200: 액화부
210: 상부응축실 220: 격판
221: 액체이동공 223: 유동경사면
230: 하부액체수용실 240: 안내유로
300: 액체분무부 310: 유동관로
311: 체크밸브 320: 유체분사배관
321: 유체배출공 330: 분무관
331: 분무공 340: 안개분무노즐
341: 선회홈 400: 폐수포집부
410: 이동로 420: 흡착구
430: 폐수받이 500: 폐수정화부

Claims (6)

  1. 스택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가열유체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택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가열부;
    상기 스택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열부와 안내유로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의 가열을 통해 생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액화부;
    상기 액화부와 유동관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스택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화부에서 생성된 액체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상기 스택의 내부로 액체를 분무하는 액체분무부;
    상기 스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분무부에서 분무된 액체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하강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폐수포집부;
    상기 폐수포집부에서 포집된 폐수를 수용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액체를 상기 가열부로 배출하는 폐수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부는 격판을 매개로 상부응축실과 하부액체수용실로 분할되게 구성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상부응축실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액체가 상기 하부액체수용실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액체이동공과, 상기 액체이동공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응축실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액체가 상기 액체이동공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로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액화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액체분무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관로에는 상기 액화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수용되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액화부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액체분무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무부는, 상기 유동관로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스택의 내주연을 따라 설치되되 다수개의 유체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유체분사배관과, 상기 유체분사배관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격자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유체분사배관을 통해 유입된 액체의 분무를 위한 분무공이 형성된 격자형 분무관과, 상기 분무공의 하부에 상기 격자형 분무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무공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스택의 내부에 분무하는 안개분무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공과 마주하는 상기 안개분무노즐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무공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넓은 방향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선회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포집부는 배출가스가 상기 스택의 상측방향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로와,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액체분무부에서 분무된 액체와 함께 하강하는 경우, 일정크기의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구와, 상기 흡착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구를 통과한 유체를 포집하는 폐수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0160165780A 2016-12-07 2016-12-07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86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80A KR101864302B1 (ko) 2016-12-07 2016-12-07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80A KR101864302B1 (ko) 2016-12-07 2016-12-07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302B1 true KR101864302B1 (ko) 2018-07-04

Family

ID=6291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80A KR101864302B1 (ko) 2016-12-07 2016-12-07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77B1 (ko) * 2019-04-01 2019-10-24 김상수 건축물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131364B1 (ko) * 2019-12-27 2020-07-08 (주)엠아이티코리아 화력발전소 굴뚝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102159383B1 (ko) * 2019-04-17 2020-09-23 박동일 미세먼지 집진장치
KR20210026492A (ko) * 2019-08-30 2021-03-10 이석주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220075572A (ko) * 2020-11-30 2022-06-08 김찬구 매연 포집 장치
CN115155285A (zh) * 2022-05-20 2022-10-11 江苏贯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软态不锈钢带生产用酸雾废气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941Y1 (ko) 1999-10-15 2000-03-15 김태진 대기오염 방지장치
KR101453387B1 (ko) 2013-07-01 2014-10-22 (주)귀뚜라미동광 열발생로의 배기가스 습식 집진장치
JP2015137797A (ja)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大川原製作所 ガス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941Y1 (ko) 1999-10-15 2000-03-15 김태진 대기오염 방지장치
KR101453387B1 (ko) 2013-07-01 2014-10-22 (주)귀뚜라미동광 열발생로의 배기가스 습식 집진장치
JP2015137797A (ja)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大川原製作所 ガス処理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77B1 (ko) * 2019-04-01 2019-10-24 김상수 건축물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159383B1 (ko) * 2019-04-17 2020-09-23 박동일 미세먼지 집진장치
KR20210026492A (ko) * 2019-08-30 2021-03-10 이석주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258941B1 (ko) 2019-08-30 2021-06-01 이석주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131364B1 (ko) * 2019-12-27 2020-07-08 (주)엠아이티코리아 화력발전소 굴뚝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220075572A (ko) * 2020-11-30 2022-06-08 김찬구 매연 포집 장치
KR102511804B1 (ko) * 2020-11-30 2023-03-21 김찬구 매연 포집 장치
CN115155285A (zh) * 2022-05-20 2022-10-11 江苏贯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软态不锈钢带生产用酸雾废气处理装置
CN115155285B (zh) * 2022-05-20 2023-11-03 四川罡宸不锈钢有限责任公司 一种超薄软态不锈钢带生产用酸雾废气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02B1 (ko) 매연에 포함된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226479B (zh) 一种湿法脱硫后烟气的高效湿式电除尘净化装置与方法
US9364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 desulfurization spray towers
KR20140087222A (ko) 미세먼지 포집용 스크러버 장치
CN106582248A (zh) 一种烟气湿法脱硫、除尘一体化装置及工艺
CN106390652A (zh) 一种湿式高效旋流脱除细微颗粒装置
CN210786823U (zh) 一种基于火电厂烟气净化用脱硫装置
CN106422633A (zh) 一种脱硫塔喷淋冷凝放大除尘除雾一体化装置
CN108072104A (zh) 一种新风净化装置
RU2283688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CN109603539A (zh) 一种工业烟气高温脱硫脱硝除尘系统及其处理方法
CN105817097A (zh) 一种水汽相变促进细颗粒长大并脱除的装置和方法
CN208574404U (zh) 一种工业烟尘净化设备
CN204018028U (zh) 一种湿法脱硫后烟气的高效湿式电除尘净化装置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KR20200020348A (ko) 습식냉각 가스정화장치
CN205700139U (zh) 一种锅炉废气净化除雾装置
KR10136409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폐가스 처리장치
CN110038372B (zh) 一种实现颗粒物超低排放的湿法净化除尘装置
CN105999916A (zh) 一种空气净化器
JP2005164115A (ja) ごみ焼却設備の燃焼ガス処理方法とその装置
CN208082190U (zh) 工业废气悬浮雾化净化设备
CN107213732A (zh) 湿法脱硫烟气中水蒸气、tds和so3脱除方法及装置
CN106552498B (zh) 一种预脱硫式烟气污染物一体化脱除装置
CN211847555U (zh) 一种用于污水脱硝的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